약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약수는 정수 a, b에 대해 b = ac를 만족하는 정수 c가 존재할 때, a를 b의 약수라고 정의한다. 모든 정수는 1, -1, 자기 자신과 그 반수를 약수로 가지며, 0은 모든 정수를 약수로 갖는다. 약수의 개수는 유한하며, 어떤 수의 배수는 무수히 많다. 약수 관계는 정수 집합 위의 원순서이며, 최대공약수와 서로소, 소수, 합성수, 완전수, 부족수, 과잉수 등의 개념과 연관된다. 약수의 개수를 대응시키는 약수 함수는 곱셈적 함수이며, 약수의 총합을 대응시키는 약수 함수 역시 곱셈적 함수이다. 약수의 개념은 추상대수학에서 정역, 유일 인수 분해 정역, 가환환 등으로 일반화되며, 약수 관계는 격자를 형성한다. 양의 약수의 총합이 소수가 되는 자연수, 2개 이상의 양의 약수의 총합이 되는 홀수가 무수히 존재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미해결 문제로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눗셈 - 나머지
나머지는 정수 나눗셈에서 나누어 떨어지지 않고 남는 값으로, 최소 양의 나머지 및 최소 절대 나머지로 구분되며, 모듈러 연산, 다항식 나눗셈, 프로그래밍 언어, 암호화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나눗셈 - 조립제법
조립제법은 다항식 나눗셈을 간편하게 하는 방법으로, 특히 1차식으로 나눌 때 피제수의 계수와 제수의 상수항을 이용하여 몫과 나머지를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으며, 2차식 이상에도 응용 가능한 방법이다. - 수론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수론 - 최소공배수
최소공배수는 둘 이상의 정수들의 공배수 중 가장 작은 양의 정수로서, 소인수분해나 최대공약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분수 통분이나 기어 회전 수 계산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약수 | |
---|---|
수학적 정의 | |
정의 | 정수 의 약수는 을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정수이다. |
표기법 | N}}은 가 의 약수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이다. |
표현 | 의 약수는 을 두 정수 와 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 즉, ab}}이다. 여기서 이다. |
특수한 경우 | 0은 모든 정수의 배수이지만, 0은 0이 아닌 어떤 정수로도 나누어지지 않으므로 0을 제외한 어떤 정수도 0의 약수가 될 수 없다. |
성질 | |
약수의 개수 | 정수 의 약수의 개수는 유한하다. |
1과 자기 자신 | 1과 은 항상 의 약수이다. |
음수 약수 | 의 약수가 라면 -도 의 약수이다. 일반적으로 약수를 언급할 때는 양의 약수만을 의미한다. |
0의 약수 | 0을 제외한 모든 정수는 0의 약수가 된다. |
용어 | |
영어 명칭 | divisor, factor |
기타 명칭 | 승자(乘子) |
2. 정의
두 정수 , 에 대하여 를 만족하는 정수 가 존재하면, 를 의 '''약수'''라고 하며, 와 같이 표기한다. 0은 모든 정수의 약수이며, 모든 정수는 1과 자기 자신을 약수로 가진다.
모든 정수는 1, -1을 약수로 가진다. 또한, 모든 정수는 자기 자신과 그 반수를 약수로 가진다. 0은 모든 정수를 약수로 가지며, 0이 아닌 정수는 0을 약수로 가지지 않는다. 즉, 정수 에 대하여 다음 성질들이 성립한다.
정수 의 약수 가운데 1, -1, , 을 의 '''자명 약수'''(trivial divisor영어)라고 하고 자명 약수를 제외한 약수를 '''고유 약수'''(non-trivial divisor영어)라고 한다. 자기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를 '''진약수'''(proper divisor영어)라고 한다.
정수 은 0이 아닌 정수 으로 나누어 떨어지는데, 이는 을 만족하는 정수 가 존재할 때이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이것은 이 을 나눈다, 은 의 약수이다, 은 의 인수이다, 또는 은 의 배수이다라고 읽을 수 있다. 만약 이 을 나누지 않으면, 표기는 이다.
3. 성질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쐐기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
(, 는 서로 다른 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