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포병 레이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포병 레이더는 적 포병의 위치를 탐지하고 추적하기 위해 개발된 레이더 시스템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개발된 사격 통제 레이더에서 발전하여, 초기에는 박격포탄을 탐지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후 포, 곡사포, 로켓 등의 발사체를 탐지하는 기술로 발전했다. 1970년대 이후 Firefinder, COBRA, ARTHUR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실전 배치되었다. 대포병 레이더는 탄도 궤적을 분석하여 발사 지점을 계산하며, 위상 배열 레이더 기술을 통해 탐지 범위를 넓히고 정확도를 높였다. 주요 대포병 레이더 시스템으로는 AN/TPQ-36, AN/TPQ-37, COBRA, ARTHUR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은 천궁 레이더 및 대포병탐지레이더-II를 운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포병 레이더 - AN/TPQ-53 레이더
    AN/TPQ-53 레이더는 미군에서 사용하는 수송 가능한 대포병 레이더로, 기존 중거리 레이더를 대체하며 대화력전 및 대드론 임무 등을 수행하고 우크라이나에 지원되어 러시아 포격 위치 탐지에 활용된다.
  • 대포병 레이더 - AN/TPQ-37 파이어파인더
    AN/TPQ-37 파이어파인더는 적 포탄 발사 위치를 탐지하는 대포병 레이더 시스템으로, 전자식 조향 레이더를 사용하여 궤도를 역추적, 발사 지점을 계산하여 아군 포병의 대포병 사격을 지원하며, ROCS 업그레이드를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고 대한민국 국군도 운용 중이다.
대포병 레이더
개요
AN/TPQ-37 Firefinder 레이더
AN/TPQ-37 Firefinder 레이더
유형대포병 레이더
용도적 포병 위치 파악
아군 포병 사격 지원
기술적 특징
탐지 범위(최대)
작동 방식발사체 추적
사용 국가
운용 국가미국
대한민국
기타 (자세한 목록은 본문 참고)
관련 정보
관련 장비AN/TPQ-36 Firefinder 레이더
코브라 대포병 레이더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대공 방어를 목적으로 레이더가 처음 개발되었다. 초기 레이더는 빗나간 포탄의 물보라를 관측하여 사격 오차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이후 박격포탄 궤적 추적 기술이 발전했고, 1960년대부터는 박격포 위치 탐지 전용 레이더가 널리 사용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 포 탐지 레이더 시스템 개발이 본격화되었다.

미국은 AN/TPQ-36 파이어파인더, AN/TPQ-37 파이어파인더 레이더를 개발했다. 유럽 국가들은 COBRA (COunter Battery RAdar) AESA 시스템을 공동 개발하여 실전에 배치했다. 대한민국은 AN/MPQ-64 센티넬 레이더와 유사한 천궁 레이더를 개발, 배치하였고, 대포병탐지레이더-II를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다.

2. 1. 초기 레이더 기술 발전

제2차 세계 대전 직전에 대공 방어를 위한 레이더가 최초로 개발되었다. 곧이어 함선과 해안 포병 부대를 위한 사격 통제 레이더도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포탄이 너무 작고 빨라서 레이더로 직접 탐지하기 어려웠으며, 빗나간 포탄의 물보라를 관측하여 사격 수정에 활용했다.[2]

2. 2. 박격포 위치 탐지 레이더의 등장

전선 근처의 경대공포병대 레이더 운영자들은 박격포탄을 추적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탄두의 핀이 신호를 강하게 반사하는 부분적인 코너 큐브를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2] 이러한 우발적인 요격은 이 역할을 위한 전용 사용으로 이어졌으며, 필요한 경우 특수 보조 장치와 박격포 위치 탐지를 위한 레이더 개발이 이루어졌다. 1960년대부터 전용 박격포 위치 탐지 레이더가 일반화되었고 2000년경까지 사용되었다.

박격포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비교적 쉬웠는데, 박격포의 궤도가 높이 아치형이기 때문이다. 발사 직후와 탄착 직전에는 궤적이 거의 직선에 가깝다. 레이더가 발사 직후 두 지점에서 포탄을 관측하면, 해당 지점 사이의 선을 지면으로 연장하여 박격포의 정확한 위치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대포병 포대가 쉽게 타격하기에 충분한 정보이다. 더 나은 레이더는 45° 이상의 고각으로 사격할 때 곡사포도 탐지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사용은 매우 드물었다.

2. 3. 포 탐지 레이더 기술 발전

박격포의 높은 궤적은 비교적 탐지가 쉬웠으나, 낮은 각도의 포 궤적 탐지는 어려움이 있었다. 1970년대 초, 포를 탐지할 수 있는 레이더 시스템 개발 가능성이 확인되면서, 여러 국가에서 관련 연구를 시작했다.

NATO 유럽 회원국들은 젠다(Zenda) 프로젝트에 착수했지만, 이 프로젝트는 오래가지 못했다.[2] 한편, 미국은 Firefinder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휴즈 항공기 회사(Hughes Aircraft Company)가 관련 알고리즘을 개발했다.[2]

2. 4. 현대 대포병 레이더의 발전

1986년 프랑스, 서독, 영국은 새로운 대포병 레이더에 대한 '군사적 요구 사항 목록'에 합의하였다.[2] 이 레이더는 개별 포를 탐지하는 것 외에도 여러 대를 동시에 탐지하고, 중심점, 치수, 포열 장축의 자세를 가진 포대로 그룹화할 수 있는 특징을 가졌다. 이 레이더는 결국 유로-아트(Euro-ART)의 COBRA (COunter Battery RAdar) AESA 시스템으로 실전에 배치되었다.[2] 2007년 8월까지 29대의 COBRA 시스템이 납품되었는데, 독일 12대(이 중 2대는 터키에 재판매), 프랑스 10대, 영국 7대였다.[3] 2009년 2월에는 아랍에미리트군에서 3대의 시스템을 추가로 주문했다.[4]

COBRA 개발과 동시에 노르웨이와 스웨덴은 ARTHUR로 알려진 더 작고 이동성이 뛰어난 대포병 레이더를 개발했다. 1999년에 실전 배치되었으며 현재 7개 NATO 국가와 대한민국에서 사용하고 있다. ARTHUR의 새로운 버전은 원래 버전보다 두 배의 정확도를 가진다.

이라크 전쟁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의 작전으로 전방 작전 기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작고 360° 커버리지를 제공하며 최소한의 인원이 필요한 새로운 소형 대박격포 레이더(LCMR)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미래에는 전장 항공 감시 레이더에 대포병 소프트웨어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3. 작동 원리 및 기술

대포병 레이더는 탄도 궤적의 일부를 추적하여 발사 지점을 계산하는 장비이다. 초기에는 운용자가 직접 발사체를 추적해야 했지만, 현대에는 자동 추적 시스템을 사용한다. 디지털 지형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계산 정확도를 높이고, 위상 배열 레이더 기술을 통해 넓은 범위를 탐지하고 여러 표적을 동시에 추적할 수 있다.[5]

원형 공산 오차(CEP)는 레이더 위치 정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표적 주변에 형성되는 원 안에 50%의 위치가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최신 레이더는 사거리의 약 0.3~0.4%의 CEP를 제공하지만, 대 게릴라전 작전에서 대포병 사격의 교전 규칙을 충족하기에는 정확도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5]

대포병 레이더는 먼 거리에서도 발사체를 탐지할 수 있는데, 더 큰 발사체일수록 더 강한 반사 신호(RCS)를 발생시킨다. 탐지 거리는 레이더 수평선, 궤적 높이, 그리고 궤적의 최소 몇 초를 포착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비포물선 궤적의 경우,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발사 지점에 최대한 가깝게 궤적을 포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 포병을 탐지한 후의 대응은 정책과 상황에 따라 다르다. 일부 군대에서는 레이더가 직접 대포병 사격 부대에 표적 정보를 전달하고 사격을 명령할 수 있지만, 다른 군대에서는 본부에 데이터를 보고하여 조치를 결정한다. 최신 레이더는 적 포병의 발사 위치뿐만 아니라 표적 정보도 기록하는데, 이는 정보 수집 목적이 크다. 왜냐하면 데이터 통신을 사용하더라도 전장 환경에서 표적에게 충분한 경고 시간을 주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2명의 군인이 운용하는 경량 대박격포 레이더(LCMR – AN/TPQ 48)는 전방 진지에 배치되어 인접 부대에 즉시 경고를 보내고, 가까운 박격포에 표적 데이터를 전달하여 반격을 지원한다. 또한, 2020년에 프랑스 육군이 인증한 GA10 (Ground Alerter 10)[6] 레이더는 전 세계 여러 전방 작전 기지(FOB)에 성공적으로 배치되었다.[7]

3. 1. 발사체 탐지

대포병 레이더의 기본 기술은 발사체의 탄도 궤적 일부를 충분한 시간 동안 추적하여 기록하는 것이다. 초기에는 운용자가 수동으로 추적해야 했지만, 보통 자동화되어 있다. 궤적 일부가 포착되면, 지상 발사 지점을 계산한다.[5]

비행 중인 발사체 탐지는 어려운 문제였다. 기존 레이더의 원뿔형 빔은 정확한 방향을 가리켜야 했지만, 빔 각도가 약 25°로 제한되어 발사체 탐지가 어려웠다. 청음 초소를 배치하여 레이더 운용자에게 빔 방향을 알려주기도 했지만, 기존 레이더 빔은 효과적이지 않았다.[5]

왕립 레이더 연구소는 그린 아처 시스템을 위해 새로운 접근 방식을 개발했다. 원뿔형 빔 대신, 약 40° 너비와 1° 높이의 부채꼴 형태 빔을 생성했다. 포스터 스캐너는 신호를 빠르게 앞뒤로 스캔하여 수평 위치에 집중하도록 수정하여 하늘의 작은 부분을 포괄적으로 스캔했다.[5]

운용자는 박격포탄이 슬라이스를 통과하는지 관찰하여 사거리, 수평 위치, 수직 위치를 파악했다. 안테나를 더 높게 향하는 두 번째 각도로 전환하여 신호를 기다렸다. 이는 아날로그 컴퓨터로 처리 가능한 두 점을 생성했다. 미국의 AN/MPQ-4도 비슷한 시스템이었지만, 더 자동화되었다.[5]

위상 배열 레이더는 현장 사용에 적합해지고 합리적인 디지털 컴퓨팅 성능을 갖추면서 더 나은 솔루션을 제공했다. 위상 배열 레이더는 안테나를 움직이지 않고도 최대 90°의 호를 빠르게 스캔하기 위해 차동 튜닝을 사용하는 많은 송수신기 모듈을 가지고 있다. 충분한 컴퓨팅 성능이 있다면 시야 내 모든 것을 감지하고 추적할 수 있다. 관심 없는 표적(예: 항공기)을 걸러내고, 나머지 표적의 유용한 비율을 추적할 수 있다.[5]

대포병 레이더는 작은 레이더 표적에 대해 가장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기 위해 대부분 X 밴드를 사용했지만, 오늘날 생산되는 레이더에서는 C 밴드 및 S 밴드가 일반적이다. Ku 밴드도 사용되었다.[5] 발사체 탐지 거리는 발사체의 레이더 단면적(RCS)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인 RCS는 다음과 같다.[5]

유형레이더 단면적
박격포탄0.01m2
포탄0.001m2
경로켓0.009m2
중형 로켓0.018m2



최신 레이더는 곡사포 포탄을 약 30 km 거리에서, 로켓/박격포를 50 km 거리에서 탐지할 수 있다. 궤적은 이러한 거리에서 레이더에 보일 만큼 충분히 높아야 하며, 장거리 탐지가 좋은 위치 결과를 보장하지는 않는다.[5]

3. 2. 레이더 주파수 및 탐지 거리

대포병 레이더는 작은 레이더 표적에 대해 가장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기 위해 대부분 X 밴드를 사용한다. 그러나 C 밴드 및 S 밴드도 사용하며, Ku 밴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5] 발사체 탐지 거리는 발사체의 레이더 단면적(RCS)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인 RCS는 다음과 같다.

유형레이더 단면적
박격포탄0.01m2
포탄0.001m2
경로켓 (예: 122mm)0.009m2
중형 로켓 (예: 227mm)0.018m2



최신 레이더는 곡사포 포탄을 약 30km, 로켓/박격포를 약 50km 거리에서 탐지할 수 있다.

3. 3. 위치 정확도

최신 레이더는 사거리의 약 0.3~0.4%의 원형 공산 오차(CEP)를 가진다.[5] 그러나, 장거리 정확도는 대 게릴라전 작전에서 대포병 사격을 위한 교전 규칙을 충족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3. 4. 운용 인원 및 배치

대포병 레이더는 보통 4~8명의 군인으로 구성된 팀으로 운영되지만, 실제 작동에는 한 명만 필요하다. 구형 모델은 대부분 별도의 발전기가 있는 트레일러에 장착되어 가동하는 데 15~30분이 걸렸고, 더 많은 인원이 필요했다. 1960년대부터는 자주포가 사용되었다.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려면 레이더 자체의 정확한 좌표와 방향을 알아야 한다. 1980년경까지는 기존의 포병 측량에 의존했지만, 1960년대 중반부터는 자이로 방향 장치가 사용되었다. 최신 레이더에는 GPS의 지원을 받는 통합 관성 항법 시스템이 탑재되는 경우가 많다.[5]

4. 위협 및 대응

레이더는 취약하며 고가치 표적이므로, 적이 ELINT/ESM 능력을 갖추고 있다면 탐지 및 위치 파악이 쉽다. 이러한 탐지 결과로 대레이더 미사일을 포함한 포격이나 항공기 공격, 전자전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1] 탐지에 대한 일반적인 조치는 지상 기반 탐지로부터 차폐하기 위해 레이더 지평선을 사용하고, 전송 시간을 최소화하며, 적대적인 포병이 활동 중일 때 레이더에 알리는 경고 체계를 사용하는 것이다. 레이더를 단독으로 배치하고 자주 이동하면 공격에 대한 노출을 줄일 수 있다.[1]

1990년대 발칸 반도와 같이 위협이 낮은 환경에서는 지속적으로 송신하고 주변 감시를 제공하기 위해 클러스터로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상황, 특히 직접 사격이나 단거리 간접 사격이 주된 위협인 대반란 작전에서는 레이더를 방어된 지역에 배치하지만, 다른 지역을 방어할 필요가 없다면 이동할 필요가 없다.

5. 안전

대포병 레이더는 수십 킬로와트에 달하는 비교적 높은 평균 에너지 소비량으로 마이크로파 주파수에서 작동한다. 고에너지 레이더의 경우 레이더 배열 바로 앞 지역은 인체에 위험하다. AN/TPQ-36과 같은 시스템의 강렬한 레이더파는 단거리에서 전기 뇌관이 장착된 탄약을 폭발시킬 수 있다.[1]

6. 주요 대포병 레이더 시스템

다음은 세계 각국에서 개발 및 운용하고 있는 주요 대포병 레이더 시스템이다.

주요 대포병 레이더 시스템
국가레이더비고
AN/TPQ-36 파이어파인더
AN/TPQ-37 파이어파인더
AN/TPQ-47 레이더
AN/TPQ-53 레이더구형 TPQ-36, TPQ-37 대체
AN/MPQ-64 센티넬대포병 임무 포함 다목적 레이더, 호크 미사일 최신 버전 레이더
AN/TPS-80 레이더대포병 임무 포함 다목적 레이더
AN/MPQ-10박격포 위치 추적, 에코 밴드, 1945년 이전[8] 1980년대 개조
AN/KPQ-1박격포 위치 추적, 1954년 이전[9]
AN/MPQ-4박격포 위치 추적, 1958년
AN/MPQ-64F1 개선형 센티넬멀티 모드 센티넬, 1997년 초기 센티넬, ~2020년 개선
AN/TPQ-48경량 대박격포 레이더(LCMR)[10]
AN/TPQ-49LCMR 대화력 레이더[10]
AN/TPQ-50LCMR 대화력 레이더, 2011년[10][11]
AN/TPS-80공중 감시 및 대포병 레이더 통합, 2016년
ARTHUR1994년 실전배치
BEL 무기 위치 레이더(WLR)AN/TPQ-37 레이더 기반 개발
Red Color2005년 실전배치
EL/M-2084아이언 돔 다목적 레이더
그린 아처1962년 실전배치
심벨린1975년 실전배치
704식 레이더AN/TPQ-37 레이더 4대 수입 후 SLC-2 레이더와 함께 개발
SLC-2 레이더
373형 레이더
BL904 레이더
1РЛ126|1RL126ru (NATO 보고 이름: Small Fred)PRP-3 Val 장착
1Б75 Пенициллин|1B75 페니실린ru음향-열 포병 정찰 시스템
ARSOM 2P (NATO 보고 이름: Small Yawn)
아이스트요노크2008년 개발
SNAR 1, SNAR 2 (NATO 보고 이름: Pork Trough)박격포 발사체 추적 레이더
1L219 주파크-11989년
1L220 주파크-2
천궁 레이더2015년 실전배치, AN/MPQ-64 센티넬과 유사
대포병탐지레이더-II
ASELSAN STR
ARTHUR Mod D영국 육군에서 TAIPAN 명칭으로 사용[12]
DTCBia공중 감시 및 대포병 레이더 통합, 2024년[13]
유로-아트 코브라 (레이더) 능동 전자 주사 배열
EL/M-2084공중 감시 및 대포병 레이더 통합
기린 AMB공중 감시 및 대포병 레이더 통합
스와티 무기 위치 레이더
레이더 FA No 15 (심벌린)박격포 위치 추적
레이더 FA No 8 (그린 아처)박격포 위치 추적
RZRA 리비에츠포병 정찰 레이더 시스템


6. 1. 대한민국

천궁 레이더는 2015년에 실전배치되었다. AN/MPQ-64 센티넬과 제원이 거의 동일하다.[1] 대포병탐지레이더-II[1]

6. 2. 미국


  • AN/TPQ-36 파이어파인더
  • AN/TPQ-37 파이어파인더
  • AN/TPQ-47 레이더
  • AN/TPQ-53 레이더 - TPQ-36, TPQ-37을 대체한 신형 레이더
  • AN/MPQ-64 센티넬 - 대포병 임무를 포함한 다목적 레이더, 호크 미사일 최신버전의 레이더
  • AN/TPS-80 레이더 - 대포병 임무를 포함한 다목적 레이더
  • AN/MPQ-10 (박격포 위치 추적) - 에코 밴드, 1945년 이전.[8] 1980년대에 ECM 훈련을 위해 에코 밴드 추적 및 C-밴드 지대공 미사일 유도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AN/MPQ-10S (Saunders 수정)로 개조됨.
  • AN/KPQ-1 (박격포 위치 추적) - 1954년 이전[9]
  • AN/MPQ-4 (박격포 위치 추적) - 1958년
  • AN/MPQ-64F1 개선형 센티넬 (멀티 모드 센티넬) - 1997년 초기 센티넬, ~2020년 개선
  • AN/TPQ-48 경량 대박격포 레이더(LCMR)[10]
  • AN/TPQ-49 LCMR 대화력 레이더[10]
  • AN/TPQ-50 LCMR 대화력 레이더 - 2011년[10][11]
  • AN/TPS-80 공중 감시 및 대포병 레이더 통합 - 2016년

6. 3. 스웨덴

ARTHUR는 1994년에 실전배치된 스웨덴의 대포병 레이더이다.

6. 4. 인도

BEL 무기 위치 레이더(WLR)는 인도가 AN/TPQ-37 레이더를 바탕으로 개발한 레이더이다.

6. 5. 이스라엘

6. 6. 영국

그린 아처는 1962년에 실전배치되었다.[1] 심벨린은 1975년에 실전배치되었다.[2]

6. 7. 중국

704식 레이더는 중국이 AN/TPQ-37 레이더 4대를 수입하여 이를 기반으로 개발한 레이더이다. 704식 레이더를 바탕으로 SLC-2 레이더가 개발되었다.[1]

6. 8. 러시아/소련


  • 1РЛ126|1RL126ru (NATO 보고 이름: '''Small Fred''') 대포병/감시 레이더는 PRP-3 Val에 장착되었다.
  • 1Б75 Пенициллин|1B75 페니실린ru 음향-열 포병 정찰 시스템.
  • ARSOM 2P (NATO 보고 이름: '''Small Yawn''')
  • 아이스트요노크는 2008년에 개발되었다.
  • SNAR 1, SNAR 2 (NATO 보고 이름: '''Pork Trough''') 박격포 발사체 추적 레이더.
  • 1L219 주파크-1은 1989년에 개발되었다.
  • 1L220 주파크-2 (우크라이나)

6. 9. 기타 국가

국가레이더
스웨덴ARTHUR1994년 실전배치
인도BEL 무기 위치 레이더(WLR)AN/TPQ-37 레이더를 바탕으로 개발
이스라엘Red Color2005년 실전배치
이스라엘EL/M-2084포탄 요격체계인 아이언 돔의 다목적 레이더
영국그린 아처1962년 실전배치
영국심벨린1975년 실전배치
중국704식 레이더4대의 AN/TPQ-37 레이더가 중국에 수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SLC-2 레이더와 704식 레이더를 개발


참조

[1] 서적 ARMY FM 3-09.12 (FM 6-121) MCRP 3-16.1A Tactics,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FIELD ARTILLERY TARGET ACQUISITION http://armypubs.army[...] US Army 2002
[2] 웹사이트 EURO-ART COBRA Counter Battery Radar http://www.euroart.c[...] EURO-ART GmbH 2014-10-17
[3] 웹사이트 COunter Battery RAdar http://www.defencean[...] null
[4] 뉴스 1st Export Success for COBRA Radar in Gulf Region http://www.asdnews.c[...] 2009-02-25
[5] 뉴스 Raytheon Demos Radar, Effector With US Army Counter-Drone Solution https://www.thedefen[...] Rojoef Manuel 2023-10-27
[6] 웹사이트 Ground Alerter 10 https://www.thalesgr[...] Thales Group
[7] 웹사이트 Bilan d'activités 2012 http://www.defense.g[...] 2013-02
[8] 웹사이트 AN/MPQ-10 - Radartutorial https://www.radartut[...]
[9] 웹사이트 Identification list (provisional) radar set AN/KPQ 1. https://www.awm.gov.[...]
[10] 웹사이트 Counterfire/Weapon Location Radars {{!}} LCMR Counterfire Radars https://www.srcinc.c[...] null
[11] 웹사이트 Lightweight Counter Mortar Radar (LCMR) https://man.fas.org/[...] 2012
[12] 웹사이트 Saab delivers British Army’s next generation artillery hunting radars https://www.saab.com[...] 2024-11-23
[13] 웹사이트 Exército realiza ensaio com o demonstrador de tecnologia do Radar Contrabateria https://www.eb.mil.b[...] 2024-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