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선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학생 선교회(CCC)는 1958년 김준곤 목사에 의해 한국에서 시작된 기독교 단체이다. 민족 복음화와 세계 선교를 목표로, 전도, 육성, 훈련, 파송을 핵심 가치로 삼아 대학 캠퍼스, 지역 사회, 해외 등에서 다양한 사역을 펼치고 있다. 4영리를 활용한 개인 전도, 사회 봉사, 출판, 미디어 사역, 국제 협력 등을 통해 한국 교회 부흥과 사회적 약자를 돕는 활동을 해왔다. 그러나 성적 지향에 대한 입장, 영적 전쟁 용어 사용, 정치적 편향성 등의 비판과 논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1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세계복음주의연맹
세계복음주의연맹은 128개 국가의 복음주의 기독교 단체들이 연합한 국제적인 조직으로, 유엔 경제사회이사회에서 특별 협의 지위를 가지고 활동하며 인권 옹호, 구호 활동 등을 전개하지만, 신학적 방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1951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삼자애국운동
삼자애국운동은 중국 내 개신교 교회를 지도 및 관리하며, 자주·자립·자전의 원칙으로 자율성을 강조하지만, 정부 통제하에 애국심 고취와 외세 영향력 배제를 목표로 하며, 비평가들은 정부의 종교 통제 수단으로 본다. - 대한민국의 개신교 선교단체 - 한국기독학생회
한국기독학생회는 성경 연구를 통해 개인의 신앙 성장, 공동체의 성숙,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1953년 조직된 기독교 학생 단체이다. - 대한민국의 개신교 선교단체 - 기아대책
기아대책은 1971년 래리 워드가 설립한 국제 구호 개발 NGO로, 전 세계 빈곤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국내외에서 아동, 가정, 공동체를 대상으로 교육, 보건의료, 생계 지원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한국에서는 1989년 최초의 해외 원조 NGO로 창립되어 행복한나눔을 통해 나눔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투명한 재정 운영을 위해 ECFA의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학생 선교회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Cru |
이전 명칭 | 캠퍼스 크루세이드 포 크라이스트 인터내셔널 (Campus Crusade for Christ International) |
설립일 | 1951년 |
설립자 | 빌 브라이트와 보네트 재커리 브라이트 |
유형 | 기독교 친교 사회 클럽 학생회 비영리 501(c)3 단체 |
본부 | 올랜도, 플로리다주, 미국 |
웹사이트 | Cru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대표 | 데이비드 로빈스 |
자회사 | FamilyLife |
제휴 | 시카고 협정: 선교의 통일 |
관련 정보 | |
이전 명칭 | 캠퍼스 크루세이드 포 크라이스트 인터내셔널 |
2. 역사
1958년 김준곤 목사는 미국 유학 중 록키 산맥에 위치한 수양관 포레스트 홈(Forest Home)에서 간증할 기회를 얻었다. 그 자리에 빌 브라이트가 참석했는데, 그는 김준곤 목사의 간증에 감명을 받아 동역을 제안했고, 그 결과 최초의 해외 국가 CCC가 탄생하게 되었다.[6]
김준곤 목사는 한국 전쟁 당시 아버지와 아내가 학살당하고, 여러 차례 죽을 고비를 넘긴 경험이 있었다. 이러한 경험은 그가 민족 복음화와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국가 재건을 꿈꾸게 된 배경이 되었다. 국민 1인당 GNP가 78달러에 불과했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한국CCC는 광주를 시작으로 서울, 부산, 대구, 대전, 전주 등 전국 주요 도시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1960년에는 이들 도시에서 캠퍼스 전도 사역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6] CCC는 전도, 육성, 훈련, 파송을 핵심 가치로 삼고 대학생 제자화 운동을 통해 한국 교회의 부흥에 기여하였다. 빌 브라이트가 개발한 '4영리'는 CCC의 대표적인 전도 도구로 활용되었다.
1974년 CCC는 'EXPLO '74'를 개최하여 한국 개신교 역사상 최대 규모의 집회라는 기록을 세웠다. 그러나 이 집회는 유신 체제 하에서 개최되었고, 박정희 정권의 종교 탄압을 은폐하는 데 이용되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12]
1980년대 이후, CCC는 북한 젖염소 보내기 운동, 사랑의 무료급식, 헌혈 운동, 호스피스, 노인복지관 운영 등 다양한 사회 봉사 활동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노력하였다.[13] 또한, 문서 사역을 위해 각종 단행본과 CCC편지를 제작하였고, 풍성한 삶 QT책을 통해 대학생들의 말씀 생활을 강조하고 훈련하였다.
CCC는 국제적인 선교 단체로서 총 196개국에서 캠퍼스 및 커뮤니티 복음 사역을 진행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25,000명의 전임 캠퍼스 선교사가 활동하고 있다. 특히, 누가복음을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 예수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상영되며 CCC의 선교 활동에 기여하였다. 1990년대에는 구 소련 선교를 위해 코미션(Co-Mission)과 제휴했다.[13]
2. 1. 설립 배경 (1950년대)
1958년, 김준곤 목사는 미국 유학 중 록키 산맥에 위치한 수양관 포레스트 홈(Forest Home)에서 간증할 기회를 얻었다. 그 자리에 빌 브라이트가 참석했는데, 그는 김준곤 목사의 간증에 감명을 받아 동역을 제안했고, 그 결과 최초의 해외 국가 CCC가 탄생하게 되었다.[6]김준곤 목사는 한국 전쟁 당시 아버지와 아내가 학살당하고, 여러 차례 죽을 고비를 넘긴 경험이 있었다. 이러한 경험은 그가 민족 복음화와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국가 재건을 꿈꾸게 된 배경이 되었다. 국민 1인당 GNP가 78달러에 불과했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한국CCC는 광주를 시작으로 서울, 부산, 대구, 대전, 전주 등 전국 주요 도시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1960년에는 이들 도시에서 캠퍼스 전도 사역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 2. 초기 활동과 성장 (1960년대)
1960년대에 한국CCC는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전주 등 전국 주요 도시에서 캠퍼스 전도 사역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6] CCC는 전도, 육성, 훈련, 파송을 핵심 가치로 삼고 대학생 제자화 운동을 통해 한국 교회의 부흥에 기여하였다. 빌 브라이트가 개발한 '4영리'는 CCC의 대표적인 전도 도구로 활용되었다.1952년 빌 브라이트는 UCLA에서 250여 명의 학생들과 함께 캠퍼스 크루세이드를 시작했으며, 여기에는 육상 십종 경기 선수이자 훗날 영화 배우가 된 레이퍼 존슨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후 다른 대학교에도 지부가 설립되면서 6명의 직원을 고용하게 되었다. 1953년에는 로스앤젤레스 웨스트우드 애비뉴에 작은 사무실을 임대하여 1960년대까지 본부로 사용했다. 1956년 빌 브라이트는 "당신의 삶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이라는 20분 분량의 전도 발표 자료를 개발하여 캠퍼스 크루세이드의 전도 및 제자 훈련 프로그램의 기틀을 마련했다. 1960년대 중반, 캠퍼스 크루세이드의 급속한 확장에 따라 해외, 평신도, 체육 사역이 분리되었다.[7]
2. 3. 대규모 집회와 논란 (1970년대)
1974년 CCC는 'EXPLO '74'를 개최하여 한국 개신교 역사상 최대 규모의 집회라는 기록을 세웠다. 그러나 이 집회는 유신 체제 하에서 개최되었고, 박정희 정권의 종교 탄압을 은폐하는 데 이용되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 시기 CCC는 보수적인 정치, 사회적 입장을 견지하며, 진보 진영과의 갈등을 빚기도 했다.[12]2. 4. 사회 참여와 국제 협력 (1980년대 ~ 현재)
1980년대 이후, CCC는 북한 젖염소 보내기 운동, 사랑의 무료급식, 헌혈 운동, 호스피스, 노인복지관 운영 등 다양한 사회 봉사 활동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노력하였다.[13] 또한, 문서 사역을 위해 각종 단행본과 CCC편지를 제작하였고, 풍성한 삶 QT책을 통해 대학생들의 말씀 생활을 강조하고 훈련하였다.CCC는 국제적인 선교 단체로서 총 196개국에서 캠퍼스 및 커뮤니티 복음 사역을 진행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25,000명의 전임 캠퍼스 선교사가 활동하고 있다. 특히, 누가복음을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 예수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상영되며 CCC의 선교 활동에 기여하였다.
1990년대, CCC는 구 소련 선교를 위해 코미션(Co-Mission)과 제휴했다.[13]
3. 주요 사역 및 활동
역사학자 존 G. 터너와 목사이자 신학자인 데이비드 코비아는 크루(Cru) 또는 캠퍼스 크루세이드를 제도적 교회(교단 및 회중)와 함께 존재하는 초교파 기독교 단체로 묘사했다.[3][4] 크루 또는 캠퍼스 크루세이드는 1959년에 핵심적인 복음주의 기독교 신념을 요약한 4단계 복음 전도 팸플릿인 "네 가지 영적 법칙"을 개발하여 배포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2006년까지 "네 가지 영적 법칙"은 25억 부 이상 인쇄되었으며, 크루와 그 국제 지부의 간행물에 계속 사용되고 있다.[5][6]
3. 1. 캠퍼스 사역
CCC는 대학 캠퍼스를 중심으로 전도, 양육, 훈련, 파송을 통해 대학생들을 제자화하는 데 힘쓰고 있다.[18] 대학생들의 말씀 생활을 강조하고 훈련하기 위해 풍성한 삶QT책을 활용하며, 성경 공부 모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9]1960년대와 1970년대에 CCC는 반문화 운동에 적극적으로 맞섰다. 1967년 1월의 "버클리 블리츠(Berkeley Blitz)" 캠페인에서는 콘서트, 유학생 저녁 식사, 마술사 앙드레 콜의 공연, 복음 전도사 빌리 그래함의 설교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복음을 전파했다.
1972년에는 예수 운동과 협력하여 댈러스의 코튼 볼 스타디움에서 익스플로 '72라는 국제 학생 복음주의 대회를 개최했다. 이 대회에는 8만 명의 대학생과 고등학생이 참석했으며, 빌리 그래함, 조니 캐시,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등 유명 인사들이 참여했다.
3. 2. 사회봉사 및 NGO 활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젖염소 보내기 운동을 진행하고 있다.[13]3. 3. 출판 및 미디어 사역
순출판사를 통해 CCC편지 등 단행본과 풍성한 삶 QT책을 제작하여 대학생들의 말씀 생활을 강조하고 훈련한다. 또한 누가복음에 근거하여 제작된 영화 예수를 상영한다.[1]3. 4. 국제 협력
Campus Crusade for Christ International영어는 전 세계 196개국에서 사역하고 있으며, 25,000여 명의 전임 캠퍼스 선교사들이 활동하고 있다.[13] Athletes in Action, FamilyLife, Josh McDowell Ministries 등 다양한 국제 사역 단체들과 협력하고 있다. 1992년에는 구 소련에서 선교 활동을 위해 코미션(Co-Mission)과 제휴했다.4. 비판과 논란
크루의 Inner City 선교는 현재 17개 도시의 교회를 훈련시키고 장비를 지원하여 즉각적인 육체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삶의 기술, 진로 준비를 위한 장기적인 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23][24]
일부에서는 대학생 선교회(CCC)의 운영 방식이 권위적이고 폐쇄적이라는 비판을 제기하기도 한다. 특히 성적 지향에 대한 입장 때문에 LGBTQ 활동 신자를 리더로 허용하지 않는다는 점이 비판받는다.[34][33]
4. 1. 정치적 편향성
대학생 선교회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보수적인 정치, 도덕, 사회적 입장을 지지했다. 빌 브라이트는 "미국 가정의 붕괴"에 반대하며 성경적 가치로의 회귀를 옹호했다. 또한 잭 W. 헤이포드, 팻 로버트슨, 팻 분, 윌리엄 L. 암스트롱, 빌리 제임스 하기스 등 다른 복음주의 지도자들과 협력하여 공화당 정치인들과 관계를 맺었다. 빌 브라이트는 도덕적 다수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을 지지했으며, 대학생 선교회 직원인 제리 레지어와 로버트 피텐저는 1980년 백악관 가족 회의와 국정 브리핑에 참여했다.역사가 터너는 빌 브라이트와 대학생 선교회의 보수적 정치 성향이 진보적인 복음주의자 짐 왈리스와 마찰을 빚었다고 기록했다. 1990년대 대학생 선교회는 성적 자제를 장려하는 캠페인을 벌였고, 1996년에는 내셔널 커밍아웃 위크(National Coming Out Week) 동안 "전 동성애자"의 증언이 담긴 광고를 게재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4. 2. 신학적 보수성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대학생 선교회'의 '신학적 보수성' 섹션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주어진 요약과 관련된 내용을 이 소스에서 추출하여 작성할 수는 없다.4. 3. 운영 방식
일부에서는 대학생 선교회(CCC)의 운영 방식이 권위적이고 폐쇄적이라는 비판을 제기하기도 한다. 특히 성적 지향에 대한 입장 때문에 LGBTQ 활동 신자를 리더로 허용하지 않는다는 점이 비판받는다.[34][33] 크루는 동성애자가 캠퍼스 리더가 되는 것을 막는 가치관 때문에 2018년 롤린스 칼리지로부터 학생 단체로 인정받지 못했는데, 이는 대학의 비차별 정책을 위반하는 것이었다. 크루의 헌장에는 비차별 정책이 있지만, 롤린스는 크루의 구속력 있는 신앙 고백이 구성원의 입학이나 리더 선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34]종교학자 엘리자베스 맥알리스터(Elizabeth McAlister)는 캠퍼스 크루세이드(Campus Crusade)의 "입대, 소집, 진격, 캠페인, 기습"과 같은 영적 전쟁의 언어가 복음주의에서 증가하는 더 광범위한 군사화 언어의 일부로 본다.[35]
5. 한국 사회에 대한 기여와 과제
크루(Cru)는 복음주의 재정 책임 협의회의 창립 멤버이다.[36] 1970년대 후반까지 캠퍼스 크루세이드는 직원들의 급여를 위해 가족, 친구, 교회에 기금을 약정하도록 요청하여 수입의 대부분을 모금했다. 이후 국내 및 해외 복음화 프로젝트 규모가 커지면서 월리스 E. 존슨, 로이 로저스, 넬슨 벙커 헌트와 같은 부유한 보수 성향의 기부자들로부터 자금을 요청하게 되었다.
캠퍼스 크루세이드는 여러 매체에서 재정 및 효율성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연도 | 매체 | 평가 내용 | 비고 |
---|---|---|---|
2007 | 포브스 | 미국 상위 200개 자선 단체 중 자금 모금 효율성 107위 | 기금의 93%는 직접 프로그램에 사용, 7%는 간접 경비[37] |
2008 | 채리티 크로니클 | "채리티 크로니클 400"에서 개인 기금 모금액 23위 | 연간 기부금 5.14억달러[38] |
2012 | 포브스 | 미국 가장 큰 자선 단체 목록에서 19위 | 총 수입 5.19억달러, 최고 연봉 164,206달러 (2011 회계 연도)[39] |
2020 | 포브스 | 미국 상위 100대 자선 단체 중 25위[40] |
5. 1. 긍정적 측면
한국CCC는 국민 1인당 GNP가 78달러였던 1958년, 김준곤 목사에 의해 시작되었다.[36] 한국 전쟁 이후 폐허가 된 한국 사회에서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 재건 운동에 기여하였다. 1960년대에는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전주 등 주요 도시에서 캠퍼스 전도 사역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며 대학생 선교를 통해 수많은 젊은이들에게 복음을 전파하고, 한국 교회의 부흥에 기여하였다.[44]CCC는 전도, 육성, 훈련, 파송을 목적으로 1974년 EXPLO '74, '80 세계 복음화 대성회, '95 세계선교대회 등을 개최하여 한국 교회의 제자화 운동과 영적 부흥에 기여했으며, 세계 각국에 선교의 불을 지피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CCC는 4영리를 통한 개인 전도와 제자화 사역뿐만 아니라 음악, 스포츠, 매스컴, 의료 봉사, 직장인 선교, 교수 사역, 어머니 성경 공부, 새생명훈련원(NLTC) 운영, 무료 급식, 내복 나누기 운동, 문서 출판, 헌혈 운동, 호스피스, 노인 복지관 운영, 북한 젖염소 보내기 운동 등 다양한 사회 봉사 활동을 통해 사회적 약자를 돕고 사회 통합에 기여하였다.[36]
5. 2. 과제
대학생 선교회(CCC)는 과거 독재 정권과의 관계, 특히 1972년 계엄령을 선포하고 독재 권력을 잡은 박정희 대통령을 지지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왔다. 빌 브라이트는 엑스플로 '74 컨퍼런스가 박정희 정권의 종교 자유 보존을 보여준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독재 정권을 옹호했다는 비판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과거사에 대한 명확한 입장 표명과 반성이 필요하다는 과제가 남아있다.또한, 사회 변화에 발맞춰 신학적 입장을 재검토해야 한다. 특히, 성령의 현상에 대한 중단주의 입장은 오순절주의 및 카리스마 운동과의 관계에서 논쟁의 여지가 있다. 소수자 인권 문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참여 역시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운영 방식에 있어서는 투명성을 높이고, 다양한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민주적인 의사 결정 구조를 확립해야 한다. 재정적인 부분에서도 복음주의 재정 책임 협의회의 창립 멤버[36]로서 투명한 운영을 지속해야 하며, 기부금 사용 내역 공개 등을 통해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
참조
[1]
서적
Ecumenism Means You, Too: Ordinary Christians and the Quest for Christian Unity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0-03-15
[2]
웹사이트
Steve Sellers as New President for Cru/Campus Crusade for Christ International
http://www.christian[...]
2020-09-14
[3]
뉴스
Campus Crusade for Christ to Leave Southland Headquarters for Florida
https://www.latimes.[...]
1989-09-07
[4]
웹사이트
Cru Names New President
https://www.cru.org/[...]
2024-06-05
[5]
뉴스
Campus Crusade for Christ Is Renamed
https://www.nytimes.[...]
2011-07-20
[6]
웹인용
1951–1959
https://www.cru.org/[...]
Cru
2018-07-05
[7]
웹사이트
FindLaw's California Court of Appeal case and opinions.
https://caselaw.find[...]
2020-03-06
[8]
웹인용
1960–1969
https://www.cru.org/[...]
Cru
2018-06-27
[9]
웹인용
Behind the little yellow booklet: The evolution of the Four Spiritual Laws
https://p2c.com/stud[...]
Power to Change Ministries
2018-06-27
[10]
웹인용
1960–1969
https://www.cru.org/[...]
Cru
2018-07-05
[11]
웹인용
What really happened at Explo '72
https://www.cru.org/[...]
Cru
2015-10-15
[12]
웹인용
1970–1979
https://www.cru.org/[...]
Cru
2018-07-05
[13]
웹인용
1990–1999
https://www.cru.org/[...]
Cru
2018-07-08
[14]
웹인용
2000 – Present
https://www.cru.org/[...]
Cru
2018-07-08
[15]
간행물
Bright Unto the End
https://www.christia[...]
2001-10-01
[16]
웹사이트
CRU/Campus Crusade for Christ Names New President – Ministry Watch
https://ministrywatc[...]
2021-06-30
[17]
웹사이트
Cru Divided Over Emphasis on Race
https://www.christia[...]
2021-06-03
[18]
웹사이트
Superbowl Breakfast
https://www.superbow[...]
2021-06-30
[19]
웹사이트
Bart Starr Award
http://www.superbowl[...]
[20]
웹사이트
History of FamilyLife
http://www.familylif[...]
[21]
웹사이트
FamilyLife Today®
https://www.familyli[...]
2021-06-30
[22]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familyli[...]
2021-06-30
[23]
웹사이트
Inner City {{!}} Cru
https://www.cru.org/[...]
2021-06-30
[24]
웹사이트
Poverty and America's Children
http://www.huffingto[...]
2011-04-08
[25]
웹인용
Fact Sheet: JESUS Film Project
https://demoss.com/n[...]
DeMoss
2018-06-27
[26]
서적
Come help change the world
https://archive.org/[...]
Fleming H. Revell Co
1970
[27]
서적
Jesus, the Gospels, and cinematic imagination : a handbook to Jesus on DVD
https://www.worldcat[...]
Presbyterian Publishing Corp
2007
[28]
웹인용
The Jesus Film (1979)
https://www.imdb.com[...]
IMDb
2018-06-27
[29]
뉴스
Putting Jesus in Every Mailbox
https://www.nytimes.[...]
2005-08-16
[30]
뉴스
The Passion's Precedent: The Most-Watched Film Ever?
https://www.nytimes.[...]
2004-02-08
[31]
웹인용
About Us
https://www.josh.org[...]
Josh McDowell Ministry
2018-07-08
[32]
웹인용
GAiN USA
http://www.gainusa.o[...]
2005-06-16
[33]
웹사이트
'I was barred from applying for president of UMiami''s evangelical organization, Cru, because I''m gay'
https://thetab.com/u[...]
2017-02-27
[34]
웹사이트
When religious beliefs and discrimination collide
http://www.thesandsp[...]
2018-09-19
[35]
논문
The militarization of prayer in America: White and Native American spiritual warfare
https://www.tandfonl[...]
2016-01-02
[36]
웹사이트
Campus Crusade for Christ Inc.
http://www.ecfa.org/[...]
Evangelical Council for Financial Accountability
2018-07-05
[37]
뉴스
Forbes: The 200 Largest U.S. Charities
https://www.forbes.c[...]
2007-11-21
[38]
웹사이트
The Chronicle of Philanthropy, October 30, 2008, page 10
http://philanthropy.[...]
2014-11-21
[39]
웹사이트
The Largest U.S. Charities For 2012
https://www.forbes.c[...]
2021-06-30
[40]
웹사이트
Cru
https://www.forbes.c[...]
2021-06-30
[41]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www.agape.org[...]
Agapé
2018-06-27
[42]
웹사이트
Who we are
https://p2c.com/ourh[...]
Power to Change
2021-06-30
[43]
웹사이트
Statement of Faith
https://p2c.com/know[...]
2021-06-30
[44]
웹사이트
Explo '74: 'Christianizing' Korea
https://www.christia[...]
1974-09-13
[45]
웹사이트
お問い合わせ
http://www.japanccc.[...]
日本キャンパス・クルセード・フォー・クライスト
2017-08-16
[46]
웹사이트
私たちについて
http://www.japanccc.[...]
日本キャンパス・クルセード・フォー・クライスト
2017-08-16
[47]
웹사이트
CAMPUS CRUSADE FOR CHRIST TO BECOME: Cru
http://www.ccci.org/[...]
[48]
뉴스
CCC、「Cru(くる)」に名称変更 「クルセード(十字軍)」外す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