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해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해외는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해외 부문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한 81명의 명단을 포함한다. 위원회는 중국 지역 73명, 일본 지역 8명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했으며, 2명은 기각되었다. 기각된 인물은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에서 1명,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심의에서 2명이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문헌 자료를 통해 친일반민족행위가 입증된 해외 인사를 대상으로 조사 대상자를 선정하고, 이의 신청 절차를 거쳐 친일반민족행위자를 결정했다.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 결과, 83명이 조사 대상자로 선정되었고 1명이 기각되었다. 이후 위원회는 조사 대상자 83명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여 81명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하고, 2명을 기각하였다.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에 대한 이의 신청은 1건이 접수되었으나 기각되어 최종적으로 81명이 해외 부문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되었다.
다음은 대한민국 정부에서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중 해외 분야 인사 81명에 대한 목록이다.
2. 선정 및 심의 과정
2. 1. 조사 대상자 선정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현존하는 문헌 자료를 통해 구체적인 친일반민족행위가 입증된 해외 인사 84명(중국 지역 74명(중국 지역 경찰 10명, 중국 지역 단체 52명, 만주국 관리 12명), 일본 지역 10명)에 대한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를 진행했다.
심의 결과 83명(중국 지역 74명(중국 지역 경찰 10명, 중국 지역 단체 52명, 만주국 관리 12명), 일본 지역 9명)이 조사 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1명(일본 지역 1명)은 기각되었다. 조사 대상자 선정에 대한 이의 신청은 3건(중국 지역 2건(중국 지역 단체 1건, 만주국 관리 1건), 일본 지역 1건)이 접수되었으나 모두 기각(선정 유지)되었다.
2. 2. 이의 신청 (조사 대상자 선정)
친일반민족행위 조사 대상자 선정에 대한 이의 신청은 총 3건(중국 지역 분야 2건(중국 지역 단체 분야 1건, 만주국 관리 분야 1건), 일본 지역 분야 1건)이 접수되었으나, 심의 결과 모두 기각(선정 유지)되었다.
2. 3.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심의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현존하는 문헌 자료를 통해 구체적인 친일반민족행위가 입증된 해외 부문 인사 84명(중국 지역 분야 인사 74명(중국 지역 경찰 인사 10명, 중국 지역 단체 인사 52명, 만주국 관리 분야 인사 12명), 일본 지역 분야 인사 10명)에 대한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를 진행했다.
심의 결과, 83명(중국 지역 분야 인사 74명(중국 지역 경찰 인사 10명, 중국 지역 단체 인사 52명, 만주국 관리 분야 인사 12명), 일본 지역 분야 인사 9명)이 해외 부문 조사 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1명(일본 지역 분야 인사 1명)이 기각되었다.
조사 대상자 선정에 대한 이의 신청은 3건(중국 지역 분야 2건(중국 지역 단체 분야 1건, 만주국 관리 분야 1건), 일본 지역 분야 1건)이 접수되었으나, 모두 기각(선정 유지)되었다.
위원회는 조사 대상자로 지정된 83명에 대한 조사를 진행, 친일반민족행위에 관한 결정을 심의했다. 그 결과, 81명(중국 지역 분야 인사 73명(중국 지역 경찰 인사 10명, 중국 지역 단체 인사 51명, 만주국 관리 분야 인사 12명), 일본 지역 분야 인사 8명)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되었으며, 2명(중국 지역 분야 인사 1명(중국 지역 단체 분야 인사 1명), 일본 지역 분야 인사 1명)이 기각되었다.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에 대한 이의 신청은 1건(중국 지역 분야 1건(만주국 관리 분야 1건)) 접수되었으나, 기각(선정 유지)되었다. 최종 심의 결과, 81명이 해외 부문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되었다.
2. 4. 이의 신청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에 대한 이의 신청 1건(중국 지역 분야, 만주국 관리 분야 1건)을 접수했으나, 심의 결과 기각(선정 유지)했다.
3. 해외 분야 친일반민족행위자 목록 (81명)
이름 한자 직책 비고 김재필 金梓弼 경찰 김창영 金昌永 경찰 김학성 金學聲 경찰 안창호 安昌鎬 경찰 이경재 李庚在 경찰 이오익 李五翼 경찰 최기남 崔基南 경찰 최창락 崔昌洛 경찰 현시달 玄時達 경찰 홍순봉 洪淳鳳 경찰 강현묵 姜鉉默 단체 김경재 金璟載 단체 김경환 金景煥 단체 김동렬 金東烈 단체 김동만 金東晩 단체 김동한 金東漢 단체 김명여 金鳴汝 단체 김송렬 金松烈 단체 김여백 金汝伯 단체 김영수 金榮秀 단체 김용국 金用國 단체 김유영 金裕泳 단체 김은성 金殷盛 단체 김응두 金應斗 단체 김희영 金羲榮 단체 박봉순 朴逢舜 단체 박승벽 朴承璧 단체 박원식 朴元植 단체 박준병 朴準秉 단체 백형린 白衡璘 단체 손정룡 孫定龍 단체 손지환 孫枝煥 단체 손창식 孫昌植 단체 양정묵 梁正默 단체 엄주익 嚴柱翊 단체 원용국 元容國 단체 유중희 柳重熙 단체 이갑녕 李甲寧 단체 이경빈 李京彬 단체 이동성 李東成 단체 이성재 李性在 단체 이완구 李完求 단체 이인수 李寅秀 단체 이정근 李貞根 단체 이해수 李海秀 단체 이희덕 李熙悳 단체 임한룡 林漢龍 단체 장우근 張宇根 단체 장지량 張之亮 단체 조원환 曺元煥 단체 주림 朱林 단체 최무 崔武 단체 최윤주 崔允周 단체 최정규 崔晶圭 단체 탁춘봉 卓春峰 단체 한영휘 韓英輝 단체 허기락 許基洛 단체 허기열 許基烈 단체 허록 許鹿 단체 허진성 許鎭星 단체 황의명 黃義明 단체 김사용 金司鏞 만주국 관리 김태호 金泰昊 만주국 관리 박석윤 朴錫胤 만주국 관리 신기석 申基碩 만주국 관리 유홍순 劉鴻洵 만주국 관리 윤명선 尹明善 만주국 관리 윤상필 尹相弼 만주국 관리 이범익 李範益 만주국 관리 장규원 張逵源 만주국 관리 진양근 陳洋根 만주국 관리 진학문 秦學文 만주국 관리 최창현 崔昌鉉 만주국 관리 권혁주 만주국 관료, 친일단체 협화회 간부 김인엽 일본 유학생, 친일단체 조선인유학생학우회 간부 박춘금 일본 중의원 의원, 친일단체 조선임전보국단 간부 이기동 일본 관료, 친일단체 대동일진회 간부 이동화 일본 유학생, 친일단체 흑룡회 회원 이선홍 일본 관료, 친일단체 녹기연맹 간부 임용길 일본 유학생, 친일단체 조선인유학생학우회 간부 홍준표 일본 유학생, 친일단체 유문회 간부
3. 1. 중국 지역 (73명)
만주보민회를 비롯한 친일 단체에서 활동하면서 독립운동을 방해하고 일제에 협력한 인사들과, 만주국 관료로서 일제의 식민 통치에 적극적으로 협력한 인사들이 이 지역 명단에 포함되었다.
이름 | 한자 | 직책 | 비고 |
---|---|---|---|
김재필 | 金梓弼 | 경찰 | |
김창영 | 金昌永 | 경찰 | |
김학성 | 金學聲 | 경찰 | |
안창호 | 安昌鎬 | 경찰 | |
이경재 | 李庚在 | 경찰 | |
이오익 | 李五翼 | 경찰 | |
최기남 | 崔基南 | 경찰 | |
최창락 | 崔昌洛 | 경찰 | |
현시달 | 玄時達 | 경찰 | |
홍순봉 | 洪淳鳳 | 경찰 | |
강현묵 | 姜鉉默 | 단체 | |
김경재 | 金璟載 | 단체 | |
김경환 | 金景煥 | 단체 | |
김동렬 | 金東烈 | 단체 | |
김동만 | 金東晩 | 단체 | |
김동한 | 金東漢 | 단체 | |
김명여 | 金鳴汝 | 단체 | |
김송렬 | 金松烈 | 단체 | |
김여백 | 金汝伯 | 단체 | |
김영수 | 金榮秀 | 단체 | |
김용국 | 金用國 | 단체 | |
김유영 | 金裕泳 | 단체 | |
김은성 | 金殷盛 | 단체 | |
김응두 | 金應斗 | 단체 | |
김희영 | 金羲榮 | 단체 | |
박봉순 | 朴逢舜 | 단체 | |
박승벽 | 朴承璧 | 단체 | |
박원식 | 朴元植 | 단체 | |
박준병 | 朴準秉 | 단체 | |
백형린 | 白衡璘 | 단체 | |
손정룡 | 孫定龍 | 단체 | |
손지환 | 孫枝煥 | 단체 | |
손창식 | 孫昌植 | 단체 | |
양정묵 | 梁正默 | 단체 | |
엄주익 | 嚴柱翊 | 단체 | |
원용국 | 元容國 | 단체 | |
유중희 | 柳重熙 | 단체 | |
이갑녕 | 李甲寧 | 단체 | |
이경빈 | 李京彬 | 단체 | |
이동성 | 李東成 | 단체 | |
이성재 | 李性在 | 단체 | |
이완구 | 李完求 | 단체 | |
이인수 | 李寅秀 | 단체 | |
이정근 | 李貞根 | 단체 | |
이해수 | 李海秀 | 단체 | |
이희덕 | 李熙悳 | 단체 | |
임한룡 | 林漢龍 | 단체 | |
장우근 | 張宇根 | 단체 | |
장지량 | 張之亮 | 단체 | |
조원환 | 曺元煥 | 단체 | |
주림 | 朱林 | 단체 | |
최무 | 崔武 | 단체 | |
최윤주 | 崔允周 | 단체 | |
최정규 | 崔晶圭 | 단체 | |
탁춘봉 | 卓春峰 | 단체 | |
한영휘 | 韓英輝 | 단체 | |
허기락 | 許基洛 | 단체 | |
허기열 | 許基烈 | 단체 | |
허록 | 許鹿 | 단체 | |
허진성 | 許鎭星 | 단체 | |
황의명 | 黃義明 | 단체 | |
김사용 | 金司鏞 | 만주국 관리 | |
김태호 | 金泰昊 | 만주국 관리 | |
박석윤 | 朴錫胤 | 만주국 관리 | |
신기석 | 申基碩 | 만주국 관리 | |
유홍순 | 劉鴻洵 | 만주국 관리 | |
윤명선 | 尹明善 | 만주국 관리 | |
윤상필 | 尹相弼 | 만주국 관리 | |
이범익 | 李範益 | 만주국 관리 | |
장규원 | 張逵源 | 만주국 관리 | |
진양근 | 陳洋根 | 만주국 관리 | |
진학문 | 秦學文 | 만주국 관리 | |
최창현 | 崔昌鉉 | 만주국 관리 |
3. 1. 1. 중국 지역 경찰 (10명)
3. 1. 2. 중국 지역 단체 (51명)
만주보민회 등 친일 단체에서 활동하며 독립운동을 방해하고 일제에 협력한 인사들이다.이름 | 한자 | 비고 |
---|---|---|
강현묵 | 姜鉉默 | |
김경재 | 金璟載 | |
김경환 | 金景煥 | |
김동렬 | 金東烈 | |
김동만 | 金東晩 | |
김동한 | 金東漢 | |
김명여 | 金鳴汝 | |
김송렬 | 金松烈 | |
김여백 | 金汝伯 | |
김영수 | 金榮秀 | |
김용국 | 金用國 | |
김유영 | 金裕泳 | |
김은성 | 金殷盛 | |
김응두 | 金應斗 | |
김희영 | 金羲榮 | |
박봉순 | 朴逢舜 | |
박승벽 | 朴承璧 | |
박원식 | 朴元植 | |
박준병 | 朴準秉 | |
백형린 | 白衡璘 | |
손정룡 | 孫定龍 | |
손지환 | 孫枝煥 | |
손창식 | 孫昌植 | |
양정묵 | 梁正默 | |
엄주익 | 嚴柱翊 | |
원용국 | 元容國 | |
유중희 | 柳重熙 | |
이갑녕 | 李甲寧 | |
이경빈 | 李京彬 | |
이동성 | 李東成 | |
이성재 | 李性在 | |
이완구 | 李完求 | |
이인수 | 李寅秀 | |
이정근 | 李貞根 | |
이해수 | 李海秀 | |
이희덕 | 李熙悳 | |
임한룡 | 林漢龍 | |
장우근 | 張宇根 | |
장지량 | 張之亮 | |
조원환 | 曺元煥 | |
주림 | 朱林 | |
최무 | 崔武 | |
최윤주 | 崔允周 | |
최정규 | 崔晶圭 | |
탁춘봉 | 卓春峰 | |
한영휘 | 韓英輝 | |
허기락 | 許基洛 | |
허기열 | 許基烈 | |
허록 | 許鹿 | |
허진성 | 許鎭星 | |
황의명 | 黃義明 |
3. 1. 3. 만주국 관리 (12명)
만주국 관료로서 일제의 식민 통치에 적극적으로 협력한 인사들은 다음과 같다.
3. 2. 일본 지역 (8명)
일본에서 친일 단체 활동을 하거나, 일제에 협력한 인사들이다.이름 | 생몰년도 | 주요 경력 |
---|---|---|
권혁주 | 1911년 ~ 1997년 | 만주국 관료, 친일단체 협화회 간부 |
김인엽 | 1885년 ~ 1945년 | 일본 유학생, 친일단체 조선인유학생학우회 간부 |
박춘금 | 1891년 ~ 1973년 | 일본 중의원 의원, 친일단체 조선임전보국단 간부 |
이기동 | 1885년 ~ ? | 일본 관료, 친일단체 대동일진회 간부 |
이동화 | 1893년 ~ 1945년 | 일본 유학생, 친일단체 흑룡회 회원 |
이선홍 | 1895년 ~ ? | 일본 관료, 친일단체 녹기연맹 간부 |
임용길 | 1889년 ~ ? | 일본 유학생, 친일단체 조선인유학생학우회 간부 |
홍준표 | 1873년 ~ ? | 일본 유학생, 친일단체 유문회 간부 |
4. 심의 과정에서 기각된 인물
친일반민족행위가 명확하게 입증되지 않거나 증거가 부족하여 기각된 인물들이다.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 과정과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심의 과정에서 기각된 인물로 나뉜다.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 과정에서 기각된 인물은 일본 지역의 김영달(金英達) 1명이다. 김영달은 효고현 내선협회 이사로 활동했으나, 내선 융화를 내세운 직업 알선 등의 활동과 지방 의회 촌의원 활동만으로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심의 과정에서 기각된 인물은 2명이다. 중국 지역에서는 만주보민회 조사원으로 활동한 인물이 있으나, 활동 기간이 짧고 친일반민족행위를 입증할 근거가 부족하여 기각되었다. 일본 지역의 송경호(宋敬鎬)는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 및 위안소 경영에 대한 증언이 있었으나, 구체적인 증거 부족으로 기각되었다.
4. 1.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 과정에서 기각된 인물 (1명)
조사 대상자 선정 심의 과정에서 기각된 인물은 다음과 같다.지역 | 이름 | 주요 이력 | 기각 사유 |
---|---|---|---|
일본 | 김영달(金英達) | 효고현 내선협회 이사 | 내선 융화를 내세운 직업 알선 등의 활동을 친일반민족행위로 단정할 수 없다는 의견과 지방 의회 촌의원 활동만으로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할 수 없다는 의견이 제시됨 |
4. 1. 1. 일본 지역 (1명)
김영달(金英達)은 일본 효고현 내선협회 이사로 활동했으나, 내선 융화를 내세운 직업 알선 등의 활동을 친일반민족행위로 단정할 수 없다는 의견과 지방 의회 촌의원 활동만으로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할 수 없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4. 2.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심의 과정에서 기각된 인물 (2명)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심의 과정에서 기각된 인물은 다음과 같다.지역 | 내용 |
---|---|
중국 | 만주보민회 조사원으로 활동했으나 활동 기간이 짧고 친일반민족행위를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부족하여 기각되었다. |
일본 | 송경호(宋敬鎬)는 경상북도 경주군에서 조선인 부녀자들을 일본군 위안부로 강제 동원하고, 중국 무단장(목단강)과 인도네시아 팔렘방에서 위안소를 경영했다는 대한민국 출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이 있으나, 이를 입증할 수 있는 구체적인 증거가 부족하여 기각되었다. |
4. 2. 1. 중국 지역 (1명)
만주보민회 조사원으로 활동했으나 활동 기간이 짧고 친일반민족행위를 입증할 수 있는 근거가 부족하다.4. 2. 2. 일본 지역 (1명)
송경호(宋敬鎬)는 경상북도 경주군에서 조선인 부녀자들을 일본군 위안부로 강제 동원하고, 중국 무단장(목단강)과 인도네시아 팔렘방에서 위안소를 경영했다는 대한민국 출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이 있으나, 이를 입증할 수 있는 구체적인 증거는 부족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