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질병관리청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질병관리청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질병관리청의 수장으로서 각 행정기관의 소관 사무를 통할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질병관리청장은 방역, 검역 등 감염병 관련 사무 및 각종 질병에 대한 조사, 시험, 연구를 관장한다. 역대 기관장으로는 중앙보건소장, 국립보건원장,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장을 거쳐 2020년 질병관리청 승격 이후 초대 청장 정은경, 2대 청장 백경란, 3대 청장 지영미가 재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질병관리청장 - 지영미
지영미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런던 대학교에서 의학미생물학 석사 및 바이러스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연구센터장, 대한감염학회 회장,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소장, WHO 서태평양지역본부 지역조정관, WHO 코로나19 긴급위원회 위원, 예방접종전략자문위원회(SAGE)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2022년 12월부터 질병관리청장으로 재임 중인 대한민국의 의학자이자 공무원이다. - 대한민국의 질병관리청장 - 정은경
정은경은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공무원으로, 질병관리청장을 역임하며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대한민국 방역을 이끌어 《타임》지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되는 등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 대한민국 질병관리청 - 국립보건연구원
국립보건연구원은 질병관리청 산하 보건복지부 소속 연구기관으로, 주요 질병 원인 규명 및 치료 기술 개발, 보건의료 정책 수립 지원, 연구개발 인력 양성을 목표로 감염병연구센터, 생명의과학센터, 유전체센터 등 다양한 연구 조직을 운영한다. - 대한민국 질병관리청 - 국립목포병원
국립목포병원은 1962년 목포아동결핵병원으로 개원하여 결핵 환자 진료 및 연구, 교육, 홍보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질병관리청 산하의 국립병원이다. - 대한민국의 차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은 국민을 대표하여 법률 제정과 국정 심의를 수행하며 4년 임기에 만 18세 이상에게 선거권이 주어지고,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을 가지는 동시에 청렴, 국익 우선, 품위 유지의 의무를 지닌다. - 대한민국의 차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검찰총장을 보좌하며, 검찰총장의 부재 시 직무를 대행하며, 정권의 성격과 검찰 개혁 추진 상황에 따라 그 역할과 위상이 변화해왔다.
대한민국의 질병관리청장 | |
---|---|
기본 정보 | |
직책 | 질병관리청장 |
국가 | 대한민국 |
![]() | |
현직 | 지영미 |
취임일 | 2022년 12월 17일 |
초대 | 정은경 |
성립 | 2020년 |
웹사이트 | 질병관리청 공식 웹사이트 |
2. 임명
대통령이 질병관리청장을 임명한다.
질병관리청은 각 행정기관의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보건복지부 장관 소속으로, 방역·검역 등 감염병에 관한 사무 및 각종 질병에 관한 조사·시험·연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질병관리청의 전신은 중앙보건소, 국립보건원, 질병관리본부 등 시대에 따라 명칭과 조직 구조가 변화해 왔다.
3. 역할
4. 역대 기관장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제1공화국 초대 이용승(李容昇) 1949년 7월~1954년 11월 2대 이종학(李鍾鶴) 1954년 11월~1956년 6월 3대 백행인(白行寅) 1956년 6월~1957년 2월 4대 이종학(李鍾鶴) 1957년 2월~1960년 1월 5대 이병학(李炳學) 1960년 1월~1960년 10월 재임 중 중앙보건원으로 개편 제2공화국 6대 윤유선(尹裕善) 1960년 10월~1963년 12월
국립보건원은 1963년 중앙보건소가 확대 개편되면서 설립되었으며, 국가 보건의료 연구 및 기술 개발의 중심 역할을 수행했다.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제3공화국 초대 윤유선 1963년 12월 27일~1964년 2월 29일 2대 김수명 1964년 3월 9일~1965년 5월 3일 3대 윤유선 1965년 5월 3일~1966년 12월 28일 4대 홍문화 1966년 12월 28일~1969년 5월 1일 재임 중 국립보건연구원으로 개편 5대 허용(許鎔) 1969년 5월 1일~1974년 3월 4일 제4공화국 6대 한관섭 1974년 3월 4일~1978년 3월 29일 7대 신양식 1978년 3월 29일~1982년 6월 27일 재임 중 국립보건원으로 개편 제5공화국 8대 지달현 1982년 6월 28일~1987년 10월 6일 9대 백승복 1987년 10월 26일~1989년 3월 8일 노태우 정부 10대 이성우(李晟雨) 1989년 3월 8일~1993년 4월 1일 김영삼 정부 11대 유원하 1993년 4월 6일~1993년 10월 26일 12대 이강추 1993년 10월 26일~1995년 12월 11일 13대 조병륜 1996년 1월 31일~1999년 5월 14일 김대중 정부 14대 이준상(李駿商) 1999년 6월 14일~2001년 12월 3일 노무현 정부 15대 김문식 2002년 3월 13일~2004년 1월 18일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4년 1월, 국립보건원이 확대 개편되면서 질병관리본부가 신설되었다.정부 대수 이름 임기 노무현 정부 초대 김문식 2004년 1월 19일~2004년 3월 12일 2대 오대규 2004년 3월 17일~2007년 4월 9일 3대 이종구 2007년 4월 10일~2011년 5월 31일 이명박 정부 4대 전병율 2011년 6월 1일~2013년 6월 3일 박근혜 정부 5대 양병국 2013년 9월 30일~2016년 1월 15일 6대 정기석 2016년 2월 2일~2017년 7월 25일 문재인 정부 7대 정은경 2017년 7월 26일~2020년 9월 11일
문재인 정부는 2020년 9월 12일 질병관리본부를 질병관리청으로 승격시켰다.정부 대수 이름 임기 문재인 정부 초대 정은경 2020년 9월 12일 ~ 2022년 5월 17일 윤석열 정부 2대 백경란 2022년 5월 17일 ~ 2022년 12월 16일 3대 지영미 2022년 12월 17일 ~
4. 1. 중앙보건소장 (1949~1963)
제1공화국 시기인 1949년 7월부터 1954년 11월까지 이용승(李容昇)이 초대 중앙보건소장을 역임하였다. 이후 1954년 11월부터 1956년 6월까지 이종학(李鍾鶴)이 2대 소장을, 1956년 6월부터 1957년 2월까지 백행인(白行寅)이 3대 소장을 역임하였다. 이종학(李鍾鶴)은 1957년 2월부터 1960년 1월까지 다시 4대 소장을 맡았다.
제1공화국과 제2공화국 시기에는 이병학(李炳學)이 1960년 1월부터 1960년 10월까지 5대 소장을 역임하였으며, 재임 중 중앙보건원으로 개편되었다. 제2공화국 시기인 1960년 10월부터 1963년 12월까지는 윤유선(尹裕善)이 6대 소장을 역임하였다.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제1공화국 | 초대 | 이용승(李容昇) | 1949년 7월~1954년 11월 | |
2대 | 이종학(李鍾鶴) | 1954년 11월~1956년 6월 | ||
3대 | 백행인(白行寅) | 1956년 6월~1957년 2월 | ||
4대 | 이종학(李鍾鶴) | 1957년 2월~1960년 1월 | ||
5대 | 이병학(李炳學) | 1960년 1월~1960년 10월 | 재임 중 중앙보건원으로 개편 | |
제2공화국 | ||||
6대 | 윤유선(尹裕善) | 1960년 10월~1963년 12월 |
4. 2. 국립보건원장 (1963~2004)
국립보건원은 1963년 중앙보건소가 확대 개편되면서 설립되었으며, 국가 보건의료 연구 및 기술 개발의 중심 역할을 수행했다. 역대 국립보건원장은 다음과 같다.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제3공화국 | 초대 | 윤유선 | 1963년 12월 27일~1964년 2월 29일 | |
2대 | 김수명 | 1964년 3월 9일~1965년 5월 3일 | ||
3대 | 윤유선 | 1965년 5월 3일~1966년 12월 28일 | ||
4대 | 홍문화 | 1966년 12월 28일~1969년 5월 1일 | 재임 중 국립보건연구원으로 개편 | |
5대 | 허용(許鎔) | 1969년 5월 1일~1974년 3월 4일 | ||
제4공화국 | ||||
6대 | 한관섭 | 1974년 3월 4일~1978년 3월 29일 | ||
7대 | 신양식 | 1978년 3월 29일~1982년 6월 27일 | 재임 중 국립보건원으로 개편 | |
제5공화국 | ||||
8대 | 지달현 | 1982년 6월 28일~1987년 10월 6일 | ||
9대 | 백승복 | 1987년 10월 26일~1989년 3월 8일 | ||
노태우 정부 | ||||
10대 | 이성우(李晟雨) | 1989년 3월 8일~1993년 4월 1일 | ||
김영삼 정부 | 11대 | 유원하 | 1993년 4월 6일~1993년 10월 26일 | |
12대 | 이강추 | 1993년 10월 26일~1995년 12월 11일 | ||
13대 | 조병륜 | 1996년 1월 31일~1999년 5월 14일 | ||
김대중 정부 | ||||
14대 | 이준상(李駿商) | 1999년 6월 14일~2001년 12월 3일 | ||
노무현 정부 | 15대 | 김문식 | 2002년 3월 13일~2004년 1월 18일 |
4. 3.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장 (2004~2020)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4년 1월 19일, 국립보건원이 확대 개편되면서 김문식 초대 본부장이 임명되었으나, 2004년 3월 12일 물러났다. 이후 오대규 본부장이 2004년 3월 17일부터 2007년 4월 9일까지 재임하였다. 3대 이종구 본부장은 2007년 4월 10일부터 이명박 정부 때인 2011년 5월 31일까지 재임하였다.이명박 정부의 전병율 본부장은 2011년 6월 1일부터 2013년 6월 3일까지 재임하였다.
박근혜 정부에서는 양병국 본부장이 2013년 9월 30일부터 2016년 1월 15일까지 재임하였고, 2016년 2월 2일 정기석 본부장 취임과 함께 질병관리본부장은 차관급으로 격상되었다. 정기석 본부장은 2017년 7월 25일까지 재임하였다.
문재인 정부의 정은경 본부장은 2017년 7월 26일부터 2020년 9월 11일까지 재임하였다.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
노무현 정부 | 초대 | 김문식 | 2004년 1월 19일~2004년 3월 12일 |
2대 | 오대규 | 2004년 3월 17일~2007년 4월 9일 | |
3대 | 이종구 | 2007년 4월 10일~2011년 5월 31일 | |
이명박 정부 | |||
4대 | 전병율 | 2011년 6월 1일~2013년 6월 3일 | |
박근혜 정부 | 5대 | 양병국 | 2013년 9월 30일~2016년 1월 15일 |
6대 | 정기석 | 2016년 2월 2일~2017년 7월 25일 | |
문재인 정부 | 7대 | 정은경 | 2017년 7월 26일~2020년 9월 11일 |
4. 4. 질병관리청장 (2020~)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
문재인 정부 | 초대 | 정은경 | 2020년 9월 12일 ~ 2022년 5월 17일 |
윤석열 정부 | 2대 | 백경란 | 2022년 5월 17일 ~ 2022년 12월 16일 |
3대 | 지영미 | 2022년 12월 17일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