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실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숭실대학교는 1897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윌리엄 베어드가 평양에 설립한 숭실학당에서 시작된 대한민국 사립 기독교 대학교이다.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거부 등 민족 교육에 앞장섰으며, 1954년 서울로 재건되었다. 현재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진리와 봉사'를 교육 이념으로 삼고 있으며, IT, 경제, 경영, 사회복지 분야에 강점을 보인다. 숭실대학교는 학부, 대학원, 부속 시설을 운영하며, 49개국 212개 대학과 교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숭실대학교 - 윌리엄 M. 베어드
윌리엄 M. 베어드는 미국의 북장로교 선교사로 1891년 한국에 건너와 선교 활동을 했으며, 1897년 평양에서 숭실학당을 설립하고 1906년 한국 최초의 근대 대학으로 발전시켰다. - 숭실대학교 - 정문경
다뉴세문경은 청동기 시대에 제작된 청동거울로, 뒷면에 꼭지가 있고 기하학적 문양이 새겨져 있으며, 제사장의 권력을 상징하는 도구로 여겨졌으나 삼한시대에 한경으로 대체되며 쇠퇴했다. - 서울 동작구의 학교 -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는 1916년 중앙유치원으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성장, 발전해 온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서울 동작구의 학교 - 총신대학교
총신대학교는 1901년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폐교 후 재건, 1975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개혁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사립대학교이다. - 1897년 설립 - 교토 대학
교토 대학은 1869년 설립된 샤미큐쿠를 기원으로 1897년 교토제국대학으로 발족하여 1947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자유로운 학풍을 중시하며 11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일본 교토부의 국립 대학이다. - 1897년 설립 - 대한제국
대한제국은 고종이 황제 즉위와 함께 선포한 황제 국가로, 광무개혁을 통해 근대화를 추진하고 자주적인 국가를 지향했으나, 일본의 영향력 강화로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으로 멸망했으며, 국호는 대한민국으로 이어져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숭실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대학 이름 | 숭실대학교 |
영문 이름 | Soongsil University |
한자 이름 | 崇實大學校 |
설립일 | 1897년 10월 10일 |
개교일 | 1897년 10월 10일 |
학교 종류 | 사립 종합대학 |
건학 이념 | 진리와 봉사 |
표어 | 역사로 미래를 여는 대학 |
설립자 | 윌리엄 M. 베어드 |
종교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
학교법인 | 숭실대학교 |
총장 | 장범식 (15대) |
위치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 |
캠퍼스 | 도시 |
교지 면적 | 124,448m² (2011년 3월) |
교사 면적 | 198,415m² (2011년 3월) |
마스코트 | 백마 |
웹사이트 | 숭실대학교 영문 홈페이지 |
조직 | |
학부 | 9개 대학 |
대학원 | 8개 대학원 |
학부생 | 19,486명(2022년) |
대학원생 | 3,026명(2022년) |
교원 수 | 전임교원: 510명(2022년) 기타교원: 938명(2022년) |
학문 교류 | |
학문 제휴 | SFPU OCUC |
학부 | |
대학원 |
2. 역사
1897년 미국인 선교사 윌리엄 베어드(William M. Baird)가 평양에 '''숭실학당'''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1906년 대한제국에서 4년제 대학인 '''연합숭실대학'''이 발족하였으나,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숭실전문학교'''로 개칭되었다.
1938년 3월, 신사 참배 강요에 항거하여 자진 폐교하였다. 1945년 광복 이후 재건이 논의되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인해 지연되었다. 1953년 서울 영락교회에서 숭실대학 재건이 시작되어, 1954년 숭실대학교가 재건되었다. 1957년 현재의 서울시 동작구 상도동에 부지를 확보하였다.
1971년, 대전대학(현재의 한남대학교와는 다름)과 통합하여 '''숭전대학교'''로 개칭하고, 같은 해 12월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 1983년 다시 두 학교는 분리되었고, 1987년 숭실대학교의 명칭으로 자리 잡았다.[9]
2011년 4월 현재, 학부 과정에 9개 단과대학, 29개 학과, 10개 학부, 일반대학원에 40개 학과(석사·박사 과정 설치 36개 학과 + 석사 과정 설치 4개 학과), 특수대학원에 6개 대학원 41개 학과(전공)를 개설하고 있다. 교원 수는 전임교원 454명을 포함하여 1,053명이며, 재학생 수는 학부 20,258명, 일반대학원 1,759명, 특수대학원 1,248명이다. 2007년 개교 110주년을 맞이하였다.
2. 1. 숭실학당과 숭실전문학교 (1897~1938)
1897년 10월 10일,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윌리엄 베어드(William M. Baird)가 평안남도 평양부 신양동(현 평양직할시 중구역 보통문동)[13]에 숭실학당을 설립하였다. 1900년에 정규 과정의 중등교육을 실시하였고, 1906년 학당 내 대학부를 설치하면서 '''합성숭실대학'''으로 출범하였다.[14][15]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조선총독부는 1932년 《조선교육대관》에서 "숭실대학은 대정 원년(1912) 조선총독의 인가를 얻으니 조선에서 대학의 명칭은 이것을 효시로 한다."라고 언급했고, 《동아일보》는 1936년 6월 3일 자에서 "숭실대학이라 하면…조선 최초의 대학이니…"라고 보도하여, 숭실학당이 대학부를 최초로 설치했음을 밝혔다.[16]1912년 11월 25일, 조선총독부 학무국이 학교 인가를 했으나, 1925년 일제의 이른바 문화 통치에 따라 숭실학당은 전문학교로 격하되었다. 1938년 3월 4일, '''숭실전문학교'''는 일본 제국의 억압적인 통치와 강제적인 신사참배에 반대하여 자진 폐교하였다.[17] 이는 신사참배와 친일 행위를 했던 당시의 다른 대학들과 비교할 때, 민족을 위한 학교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숭실대학교는 일제강점기 학생운동에서 평양 지역 항일운동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며, 105인 사건, 국민회 사건, 3·1 운동, 광주학생운동, 신사참배 거부운동 등에서 민족정신을 발휘하였다. 또한, 서북지방 인재 양성의 산실 역할을 담당했다.
2. 2. 해방과 재건 (1945~1971)
1945년 광복 이후 숭실의 재건이 논의되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인해 지연되었다. 1953년 영락교회가 숭실대학재건기성회와 숭실대학재단이사회를 조직하고 문교부에 '숭실대학 설립인가'를 요청했다.[17] 1954년 설립이 허가되면서 자진 폐교 16년 만에 서울에서 숭실대학교로 재건되었다.[17] 숭실대학은 영락교회의 임시건물을 임시 캠퍼스로 사용하다가 1957년 상도캠퍼스로 이전하였다.[17] 1967년 한국기독교박물관을 개관하고, 1969년 대한민국 최초로 컴퓨터 교육을 실시하여 IT 교육의 선구자 역할을 하였다.[17]2. 3. 대학 통합과 분리 (1971~1987)
1971년 대전대학(현재의 한남대학교)과 통합하여 ''''숭전대학교'''''(崇田大學校, '''숭'''실대학 + 대'''전'''대학)로 교명이 바뀌었고,[3] 그 해 12월에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 그 후 두 개의 대학으로 독립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 아래 1982년 10월 재단이사회에서 두 대학의 분리를 정식으로 결의하여 문교부에 승인 요청을 하였으며,[9] 1983년 3월 새 학기를 맞아 정식으로 분리 운용하게 된다.[9]2. 4. 교명 환원 이후 (1987~현재)
1987년, 개교 90주년을 계기로 교명을 '''숭전대학교'''에서 '''숭실대학교'''로 환원했다.[18] 1997년에는 개교 100주년을 맞이하였다.2005년부터는 '캠퍼스 마스터플랜'을 추진하여 형남공학관, 조만식기념관, 웨스트민스터홀, 레지던스홀, 학생회관, 전산센터, 교육문화복지센터 등 교육 환경을 개선하였다.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중심 대학으로 선정되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갈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3. 교육 이념
기독교 정신에 바탕을 둔 '''진리와 봉사'''를 교육이념으로 한다.[12]
4. 학문 단위
숭실대학교는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법과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제통상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IT대학, 베어드학부대학, 금융학부 등 다양한 단과대학을 운영하고 있다.[24] 각 대학에는 아래와 같은 학과들이 소속되어 있다.
대학 | 학과 |
---|---|
인문대학 | 기독교학과,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불어불문학과, 중국어중문학과, 일본어일본학과, 철학과, 사학과, 평생교육학과, 문예창작학과, 생활체육학과 |
자연과학대학 |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의생명정보학부 |
법과대학 | 법학과, 국제법무학과 |
사회과학대학 | 사회복지학부, 행정학부, 정치외교학과, 정보사회학과, 언론홍보학과 |
경제통상대학 | 경제학과, 국제통상학과 |
경영대학 | 경영학부, 벤처중소기업학과, 회계학과 |
공과대학 | 화학공학과, 유기신소재·섬유공학과, 전기공학부, 기계공학과,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건축학부 |
IT대학 | 컴퓨터학부, 전자정보공학부(구 정보통신전자공학부), 글로벌미디어학부, 소프트웨어학부(2015년 신설, 컴퓨터학부에서 분리), 스마트시스템소프트웨어학과(2015년 신설, 정보통신전자공학부에서 분리), 미디어경영학과(2015년 신설, 글로벌미디어학부에서 분리) |
베어드학부대학 | (교양특성화대학) |
금융학부 |
4. 1. 학부
2013년 3월 현재 9개 단과대학, 32개 학과, 10개 학부를 운영하고 있다.[24]- 채플(CHAPEL)
: 개신교 계통 대학교로서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채플을 실시하고 있다. 교양필수로 6학기를 수강해야 졸업할 수 있다(편입생은 2학기). 학년과 계열에 따라 자동으로 수강 채플이 결정되지만, 개인의 선택에 따라 다른 시간의 공통 채플을 수강할 수 있다. 2010년 9월부터는 문화채플 위주의 '비기독교인 채플'과 기독교인들의 예배를 위한 '기독교인 채플'이 개설되었다.
- 교양필수
: 교양필수 수강학점은 14학점이다.(2010년학년도 기준) 현대인과 성서 I, 현대인과 성서 II, 섬김의 리더십, 컴퓨터 활용 I(엑셀), 컴퓨터 활용 II(파워포인트), 영어회화 I, 영어회화 II, 읽기와 쓰기, Prectical Reading & Writing 등 9개의 과목이 있다. 다만 '현대인과 성서 I'과 '현대인과 성서 II', '섬김의 리더십' 등의 기독교 과목은 개인별 교양필수 수강학점(14학점)을 충족할 수 있도록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다.
- 교양선택
: 교양선택 수강학점은 20학점 이상에서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다. 교양선택 영역은 12개 영역(문학과 예술, 역사와 철학, 정보와 기술, 봉사의 리더십, 창의성과 의사소통능력, 세계의 언어, 세계의 문화와 국제관계, 인간과 사회, 정치와 경제, 자연과학과 수리, 생활과 건강, 학문과 진로탐색)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5개 영역에 해당되는 강의를 선택하여 수강하면 된다. 2010년학년도부터는 융합형 인재 육성을 위해 수강 방식이 바뀌었는데, 이때 학생들은 핵심교양, 융합교양, 실용교양을 구분하여 수강해야 한다.
분야 | 구분 | 영역 | 이수방법 |
---|---|---|---|
아래의 내용은 2010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됨 | |||
핵심교양 | 글로벌 창의인재 | 봉사의 리더십, 창의성과 의사소통능력, 세계의 언어, 세계의 문화와 국제관계 | 각 영역별 1강좌 이상 수강 |
융합교양 | 인문과학 | 문학과 예술, 역사와 철학 | 자연계열 학생은 1강좌 이상 수강 |
사회과학 | 인간과 사회, 정치와 경제 | ||
자연과학 | 자연과학과 수리, 정보와 기술 | 인문계열 학생은 1강좌 이상 수강 | |
실용교양 | 생활문화 | 생활과 건강, 학문과 진로탐색 |
- 전공기초 및 선택
: 전공기초는 대체로 15~18학점 이상, 전공선택은 전공기초를 포함해서 54학점 이상, 복수(연계)전공은 36학점 이상, 부전공은 21학점 이상 수강하면 된다.[24]
숭실대학교는 서울 중심부에 위치한 사립 기독교 대학교이다. 경영학과, 국제무역학과와 같은 경쟁이 치열한 학과에 입학하려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상위 5~7% 이내의 성적을 거둬야 한다. 숭실대학교의 IT, 경제, 경영, 사회복지 학과는 특히 강점으로 여겨진다. 경영대학은 공인회계사(CPA) 출신 졸업생 수가 10위 안에 들 정도로 많다. 한국에서 IT 분야를 개척한 숭실대학교의 컴퓨터공학과는 현재 서울대학교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 구글, LG와 같은 대기업 IT 회사에 취업할 수 있는 졸업생들에게 훨씬 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는 한국에서 사회복지 교육의 선도적인 기관으로 높은 평판을 가지고 있으며, 수십 년 동안 사회복지 교육 평가에서 변함없이 높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앙일보의 순위에 따르면, 꾸준히 상위 20위권 대학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4]
- 인문대학
- * 기독교학과
- * 국어국문학과
- * 영어영문학과
- * 독어독문학과
- * 불어불문학과
- * 중국어중문학과
- * 일본어일본학과
- * 철학과
- * 사학과
- * 평생교육학과
- * 문예창작학과
- * 생활체육학과
- 자연과학대학
- * 수학과
- * 물리학과
- * 화학과
- *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 * 의생명정보학부
- 법과대학
- * 법학과
- * 국제법무학과
- 사회과학대학
- * 사회복지학부
- * 행정학부
- * 정치외교학과
- * 정보사회학과
- * 언론홍보학과
- 경제통상대학
- * 경제학과
- * 국제통상학과
- 경영대학
- * 경영학부
- * 벤처중소기업학과
- * 회계학과
- 공과대학
- * 화학공학과
- * 유기신소재·섬유공학과
- * 전기공학부
- * 기계공학과
- *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 * 건축학부
- IT대학 (정보공학대학)
- * 컴퓨터학부
- * 전자정보공학부 (구 정보통신전자공학부)
- * 글로벌미디어학부
- * 소프트웨어학부 (2015년 신설, 컴퓨터학부에서 분리)
- * 스마트시스템소프트웨어학과 (2015년 신설, 정보통신전자공학부에서 분리)
- * 미디어경영학과 (2015년 신설, 글로벌미디어학부에서 분리)
- 베어드학부대학 (교양특성화대학)
- 금융학부
4. 2. 대학원
숭실대학교는 일반대학원 1개(인문사회 23개, 자연과학공학 17개, 학과간 협동과정 4개 학과)와 특수대학원 7개를 운영하고 있다.[24]- 일반대학원
- 인문사회계열
-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문학박사): 국어학, 고전문학, 현대문학 전공
- 영어영문학과 (문학석사·문학박사): 영국문학, 미국문학, 영어학, 번역학 전공
- 독어독문학과 (문학석사·문학박사): 독문학, 독어학 전공
- 불어불문학과 (문학석사·문학박사): 불문학, 불어학 전공
- 중국어중문학과 (문학석사·문학박사): 중국문학, 중국어학, 한중번역학, 한중비교언어문학 전공
- 일본어일본학과 (문학석사): 일본어학, 일본문학·문화, 일본경제·경영 전공
- 철학과 (문학석사·문학박사): 서양철학(윤리학·미학 포함), 동양철학 전공
- 사학과 (문학석사·문학박사): 고고·미술사,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 전공
- 평생교육학과 (평생교육학석사·평생교육학박사): 평생교육학 전공
- 생활체육학과 (체육학석사·체육학박사): 생활체육학 전공
- 문예창작학과 (문학석사·문학박사): 문예창작학 전공
- 기독교학과 (문학석사·기독교학박사): 기독교신학, 기독교철학, 기독교역사학, 기독교문화학, 성서학, 기독교사회학, 기독교윤리학, 기독교상담윤리학 전공
- 법학과 (법학석사·법학박사): 기초법, 헌법, 행정법, 형법, 형사소송법, 국제법, 노동법, 민사소송법, 민법, 상법, 미국법 전공
- 경제학과 (경제학석사·경제학박사): 금융 및 거시경제학, 재정 및 공공경제, 비교경제 및 정치경제학, 노동경제학, 계량경제학, 응용미시경제학 전공
- 경영학과 (경영학석사·경영학박사): 인사조직, 재무관리, 마케팅, OMIS 전공
- 무역학과 (국제통상학석사·국제통상학박사): 국제경제학, 국제경영학 및 국제상무론 전공
- 회계학과 (경영학석사·경영학박사): 재무회계, 세무회계, 관리회계, 회계정보시스템 전공
- 벤처중소기업학과 (경영학석사·경영학박사): 기업가정신 및 창업, 중소·벤처금융 전공
-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석사·사회복지학박사):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행정 전공
- 행정학과 (행정학석사·행정학박사): 행정학, 정책학 전공
- 정치외교학과 (정치학석사·정치학박사): 통일·북한학, 한국정치, 비교정치, 국제정치, 정치이론·정치사상 전공
- 정보사회학과 (사회학석사): 정보사회학 전공
- 언론홍보학과 (언론학석사): 신문방송, 광고홍보 전공
- 자연과학계열
- 수학과 (이학석사·이학박사): 수학 전공
- 물리학과 (이학석사·이학박사): 응집물질물리, 입자 및 천체입자물리, 플라즈마물리 전공
- 화학과 (이학석사·이학박사): 물리화학, 유기화학, 무기화학, 분석화학, 생화학 전공
-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이학석사·이학박사): 통계학, 보험수리 전공
- 생명정보학과 (이학석사·이학박사): 생명과학, 생명정보학 전공
- 공학계열
- 화학공학과 (공학석사·공학박사): 환경 및 화학공학, 뷰티공학 전공
- 유기신소재·섬유공학과 (공학석사·공학박사): 유기신소재·섬유공학 전공
- 전자공학과 (공학석사·공학박사): 통신 및 신호처리, 소자 및 집적회로, 초고주파 및 광파, 컴퓨터·자동화 및 네트워크 전공
- 전기공학과 (공학석사·공학박사): 에너지 및 산업전자, 전기전자재료 및 대전력, 제어계측 및 시스템 전공
- 기계공학과 (공학석사·공학박사): 열 및 유체, 재료·설계 및 생산, 동역학 및 제어 전공
- 컴퓨터학과 (공학석사·공학박사): 컴퓨터구조, 컴퓨터통신, 시스템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공학, 인공지능 전공
- 산업·정보시스템학과 (공학석사·공학박사): 산업시스템공학(생산시스템공학·품질 및 경영공학), 정보시스템공학(MIIS·e-비즈니스·소프트웨어공학·네트워크시스템), 공통분야(HCI) 전공
- 건축학과 (공학석사·공학박사): 건축·도시설계 및 계획, 건축구조 및 재료·시공 전공
- 정보통신공학과 (공학석사·공학박사): 통신 및 신호처리, 소자 및 집적회로, 초고주파 및 광파, 컴퓨터·자동화 및 네트워크 전공
- 미디어학과 (공학석사·공학박사): 미디어공학, 콘텐츠공학, 미디어아트 전공
- 실내디자인학과 (공학석사·공학박사): 실내디자인·조형·공간환경디자인 전공
- 디지털방송학과 (공학석사·공학박사): 디지털방송 전공
- 학·연·산협동과정
- 화학과+한국화학연구원
- 학과간협동과정
- IT정책경영학과정 (공학석사·공학박사; 법+경영+컴퓨터학과 협동): IT정책학, IT서비스경영학 전공
- 문화콘텐츠학과정 (문화콘텐츠학석사·문화콘텐츠학박사; 문예창작+미디어학과 협동): 문화콘텐츠학 전공
- 특수대학원
- 중소기업대학원
- 중소기업경영지도학과 (경영학석사)
- 창업전략학과 (경영학석사)
- 벤처경영학과 (경영학석사)
- 프랜차이즈학과 (경영학석사)
- 뷰티산업학과 (공학석사)
- 정보과학대학원
- 소프트웨어공학과 (공학석사)
- 지식경영학과 (공학석사)
- 정보통신융합학과 (공학석사)
- 미디어방송학과 (공학석사)
- 정보보안학과 (공학석사)
- 금융IT공학과 (공학석사)
-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전공 (사회복지학석사)
- 노인복지전공 (사회복지학석사)
- 아동청소년복지전공 (사회복지학석사)
- 상담복지전공 (사회복지학석사)
- 가족치료전공 (사회복지학석사)
- 정신보건복지전공 (사회복지학석사)
- 장애인복지전공 (사회복지학석사)
-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리더십전공 (교육학석사)
- 유아교육전공 (교육학석사)
- 국어교육전공 (교육학석사)
- 영어교육전공 (교육학석사)
- 수학교육전공 (교육학석사)
- 교육공학전공 (교육학석사)
- 평생교육·HRD전공 (교육학석사)
- 조기영어교육전공 (교육학석사)
- 한국어교육전공 (교육학석사)
- 기독교학대학원
- 기독교신학과 (문학석사)
- 목회상담학과 (상담학석사)
- 기독교사회학과 (문학석사)
- 기독교문화학과 (문학석사)
- 기독교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석사)
- 경영대학원
- 국제통상학과 (국제통상학석사)
- 중국지역통상학과 (국제통상학석사)
- 프로젝트경영학과 (경영학석사)
- 프라이빗뱅킹학과 (경영학석사)
- 전문경영학과 (경영학석사)
- 회계세무학과 (경영학석사)
- 서비스경영학과 (경영학석사)
- 노사관계학과 (경영학석사)
- 외식경영학과 (경영학석사)
5. 캠퍼스
자연과학대학
경제통상대학
(건축학부)
공과대학
(생활체육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베어드학부대학
사회과학대학
소프트웨어 특성화 대학원
학생복지위원회

숭실대학교는 IT, 경제, 경영, 사회복지 학과가 특히 강하며,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꾸준히 상위 20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4]
5. 1. 중앙도서관
1954년 5월 10일 상도동 캠퍼스에서 정식 개관했다. 정식 개관 이전에는 영락교회의 부속건물을 이용하는 등 열악한 환경이었으나, 미국의 장로교회와 재미 교우회의 도움으로 4000여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석조건물을 신축했다.[19] 1967년 10월 10일 개교 70주년을 맞아 독립건물로서의 도서관을 준공했다.1994년 도서관 자동화 시스템 '오아시스(Oasis)'를 도입했다.
2004년 11월 숙명여자대학교 및 중앙대학교와 도서 대출 협정을 체결하였다.
2007년 3월 학술정보센터 소속에서 중앙도서관(정보지원처 중앙도서관)으로 변경되었다.
2010년 현재, 795,271권의 장서를 보유 중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종류 | 권수 |
---|---|
동양서 | 517,207권 |
서양서 | 186,804권 |
고서 | 1,040권 |
비도서 | 7,371권 |
학위논문 | 82,849권 |
전년도에 비해 36,170권이 증가했다.[20]
열람실은 자유열람실로 운영된다. 8개의 열람실(총 1,879석)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열람실에서부터 제6열람실, 대학원열람실, 박사열람실이 있다.[21] 이외에 법학관 건물 내에 법학열람실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자료실은 자연과학도서실, 사회과학도서실(이상 3층), 인문과학도서실(4층), 참고도서실, 미디어룸(이상 5층), 정기간행물실(6층)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내부 좌석은 841석이다.[21]
2010학년도부터 학부생의 소양 증진을 목표로 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http://cafe.naver.com/ssureadingclub 독서후기클럽]'을 개설했다. 분야별 교수들의 지도 아래 학부생들이 세미나에 참여한다.[22] 이 프로그램으로 '숭실대학교 중앙도서관'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진행한 '2010년 대학도서관 평가'에서 교육·연구 지원서비스 분야 최우수 도서관으로 선정되었다.[23]
6. 학생 생활
숭실대학교의 학생회는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산하에 동아리연합회, 총여학생회, 학생복지위원회, 졸업준비위원회, 외국인학생회 및 각 단과대학생회를 두고 있다.[25] 2010년 학칙 개정을 통해 외국인 학생회가 새로 설립되었다.[26]
총학생회는 전대협, 한총련을 거쳐 한대련에 이르기까지 학생운동에 참여했다. 1997년 한총련에서 탈퇴한 후, 2006년 한대련에 가입했으나 2012년 다시 탈퇴했다.
역대 총학생회장단은 다음과 같다.
연도 | 기수 | 선거본부명 | 총·부학생회장 |
---|---|---|---|
1992년 | 32대 | 새날 | 이정원(정치외교학과) 박석호(영어영문학과) |
1993년 | 33대 | 강철 | 배건욱(전자공학과) 윤지열(사학) |
1994년 | 34대 | 청년 | 오승직(경제과) 한은구(사학과) |
1995년 | 35대 | 내일을 여는 | 김인수(전산과) 최샘(사회사업과) |
1996년 | 36대 | 희망창조 | 갈원광(전산과) 박문성(회계학과) |
1997년 | 37대 | 젊은 | 이재현(경영학과) 박지용(정치외교학과) |
1998년 | 38대 | 정문이전 | 이학조(전산과) 이동현(화학과) |
1999년 | 39대 | 민주주의 직접행동 | 박재경(경영학과) 김용욱(건축학과) |
2000년 | 40대 | 당신의 행동에 내일을 건다 | 박중원(경영학부) 김혜정(컴퓨터학부) |
2001년 | 41대 | 만인에 대한 만인의 책임감 | 김영수(산업공학과) 김응수(전기과) |
2002년 | 42대 | 빛나는 청춘 | 기홍석(사학과) 오재진(벤처중소기업학과) |
2003년 | 43대 | 푸른우리 청년질주 | 박제홍(경제학과) 김창주(화학공학과) |
2004년 | 44대 | yourSSU.com 표현하는 즐거움 당신의 총학생회 | 윤지민(컴퓨터학부) 김선우(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
2005년 | 45대 | 젊은 그대! 미래를 쏘다 | 강주영(실내건축학과) 오미혜(영문학과) |
2006년 | 46대 | 발상의 전환 | 권혁신(국제통상학과) 임승호(건축학부) |
2007년 | 47대 | 해피투게더 | 최정민(국어국문학과) 서성균(경제학과) |
2008년 | 48대 | 111% Upgrade[27] | 용리브가(사회복지학과) 이상미(영어영문학과) |
2009년 | 49대 | Yes, we can![28] | 배유진(불어불문학과) 여선웅(행정학부) |
2010년 | 50대 | 희망PLAN[29] | 유재준(정치외교학과) 김현민(정보통신전자공학부) |
2011년 | 51대 | U:US | 박길용(사회복지학부) 강혜진(벤처중소기업학과) |
2012년 | 52대 | With You | 이민형(컴퓨터학부) 이향림(법학과) |
2013년 | 53대 | Upgrade S | 백종하(국어국문학과) 노형석(정보통신전자공학부) |
2014년 | 54대 | Let's 숭실 | 김주영(기계공학과) 윤홍준(수학과) |
2015년 | 55대 | 믿음으로 EXCHANGE! | 윤홍준(수학과) 조해리(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
2016년 | 56대 | 함께가요 SSUMATE | 김진아(정치외교학과) 김호근(기계공학과) |
2017년 | 57대 | 당신을 위한 VALUE UP! | 이서호(경제학과) 이지은(영화예술전공) |
2018년 | 58대 | 당신이 주인공, SSU're U | 송진태(벤처중소기업학과) 김예지(전기공학부) |
2019년 | 59대 | 당신과 함께 변화를 쏘다 슈팅스타 | 우제원(기독교학과) 강결희(소프트웨어학부) |
교내 언론 기관으로는 교내 신문인 '''숭대시보''', 영자 신문인 '''The Soongsil Times'''(1982년 창간), 교내 방송국인 '''SSBS'''(1971년 개국), 인터넷 방송국 '''SSIZEN.NET'''이 있다. '''숭실 교지편집위원회'''는 1915년 창간된 숭실학보를 잇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대학교지이다.
기숙사로는 '''글로벌브레인홀(제1생활관)'''과 2010년 완공된 '''레지던스홀(제2생활관)'''이 있다.
6. 1. 학생 자치
숭실대학교의 학생회는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산하에 동아리연합회, 총여학생회, 학생복지위원회, 졸업준비위원회, 외국인학생회 및 각 단과대학생회를 두고 있다.[25] 이 중 외국인 학생회는 2010년 학칙 개정을 통해 새로 설립되었다.[26]숭실대학교 총학생회는 전대협, 한총련으로 이어지는 학생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였으며, 1997년 학내투표를 거쳐 한총련 탈퇴를 결의하고 경찰서에 탈퇴서를 제출하였다. 이후 2006년 46대 총학생회에서 한대련 가입을 추진하여 성사되었다. 2002년 42대 총학생회로 시작된 자주적 총학생회는 2012년 51대 총학생회(2004년 제외)를 마지막으로 10년간의 학생운동을 완료하였다. 2012년 비운동권 총학생회는 한대련 탈퇴를 추진하여 성사하였다.
연도 | 기수 | 선거본부명 | 총·부학생회장 |
---|---|---|---|
1992년 | 32대 | 새날 | 이정원(정치외교학과) 박석호(영어영문학과) |
1993년 | 33대 | 강철 | 배건욱(전자공학과) 윤지열(사학) |
1994년 | 34대 | 청년 | 오승직(경제과) 한은구(사학과) |
1995년 | 35대 | 내일을 여는 | 김인수(전산과) 최샘(사회사업과) |
1996년 | 36대 | 희망창조 | 갈원광(전산과) 박문성(회계학과) |
1997년 | 37대 | 젊은 | 이재현(경영학과) 박지용(정치외교학과) |
1998년 | 38대 | 정문이전 | 이학조(전산과) 이동현(화학과) |
1999년 | 39대 | 민주주의 직접행동 | 박재경(경영학과) 김용욱(건축학과) |
2000년 | 40대 | 당신의 행동에 내일을 건다 | 박중원(경영학부) 김혜정(컴퓨터학부) |
2001년 | 41대 | 만인에 대한 만인의 책임감 | 김영수(산업공학과) 김응수(전기과) |
2002년 | 42대 | 빛나는 청춘 | 기홍석(사학과) 오재진(벤처중소기업학과) |
2003년 | 43대 | 푸른우리 청년질주 | 박제홍(경제학과) 김창주(화학공학과) |
2004년 | 44대 | yourSSU.com 표현하는 즐거움 당신의 총학생회 | 윤지민(컴퓨터학부) 김선우(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
2005년 | 45대 | 젊은 그대! 미래를 쏘다 | 강주영(실내건축학과) 오미혜(영문학과) |
2006년 | 46대 | 발상의 전환 | 권혁신(국제통상학과) 임승호(건축학부) |
2007년 | 47대 | 해피투게더 | 최정민(국어국문학과) 서성균(경제학과) |
2008년 | 48대 | 111% Upgrade[27] | 용리브가(사회복지학과) 이상미(영어영문학과) |
2009년 | 49대 | Yes, we can![28] | 배유진(불어불문학과) 여선웅(행정학부) |
2010년 | 50대 | 희망PLAN[29] | 유재준(정치외교학과) 김현민(정보통신전자공학부) |
2011년 | 51대 | U:US | 박길용(사회복지학부) 강혜진(벤처중소기업학과) |
2012년 | 52대 | With You | 이민형(컴퓨터학부) 이향림(법학과) |
2013년 | 53대 | Upgrade S | 백종하(국어국문학과) 노형석(정보통신전자공학부) |
2014년 | 54대 | Let's 숭실 | 김주영(기계공학과) 윤홍준(수학과) |
2015년 | 55대 | 믿음으로 EXCHANGE! | 윤홍준(수학과) 조해리(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
2016년 | 56대 | 함께가요 SSUMATE | 김진아(정치외교학과) 김호근(기계공학과) |
2017년 | 57대 | 당신을 위한 VALUE UP! | 이서호(경제학과) 이지은(영화예술전공) |
2018년 | 58대 | 당신이 주인공, SSU're U | 송진태(벤처중소기업학과) 김예지(전기공학부) |
2019년 | 59대 | 당신과 함께 변화를 쏘다 슈팅스타 | 우제원(기독교학과) 강결희(소프트웨어학부) |
6. 2. 언론
- '''숭대시보''' : 교내 신문이다.
- '''The Soongsil Times''' : 1982년 12월 'The Soongjun Times(숭전타임스)'라는 이름으로 창간되었고, 1987년 3월 현재의 이름으로 바뀐 영자 신문이다.
- '''SSBS''' : 1971년 개국한 교내 방송국으로, 교내 음성 방송을 담당한다.
- '''SSIZEN.NET''' : 인터넷 방송국이다.
- '''숭실 교지편집위원회''' : 1915년 9월 10일 숭실학보로 창간되었으며, 현존하는 대학교지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자랑한다. 그 해의 전반적인 사회 이슈나, 교내 이야기, 행사 소식 등을 담아 학생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며 1년에 한 번 발간된다.
6. 3. 기숙사
기존에 활용되어 온 '''글로벌브레인홀(제1생활관)'''과 2010년 3월에 완공된 '''레지던스홀(제2생활관)'''이 있다.7. 국제 교류
2013년 3월 7일 기준 숭실대학교는 49개국 212개 대학교와 교류·친선 관계를 맺고 있다.[4] 자세한 내용은 숭실대학교 홈페이지 또는 국제교류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륙 | 국가 | 대학교 수 |
---|---|---|
아시아 | 중화인민공화국 (25개), 일본 (11개), 인도 (9개), 베트남 (8개), 중화민국 (8개), 필리핀 (5개), 몽골 (4개), 카자흐스탄 (3개), 캄보디아 (3개), 타이 (3개), 말레이시아 (2개), 아제르바이잔 (2개), 우즈베키스탄 (2개), 인도네시아 (2개), 네팔 (1개), 라오스 (1개), 차이니스 홍콩 (1개) | 90개 |
유럽 | 스페인 (8개), 독일 (8개), 프랑스 (5개), 러시아 (4개), 폴란드 (4개), 네덜란드 (4개), 이탈리아 (3개), 튀르키예 (2개), 체코 (2개), 라트비아 (2개), 핀란드 (2개), 영국 (2개), 리투아니아 (1개), 덴마크 (1개), 에스토니아 (1개), 우크라이나 (1개), 루마니아 (1개), 스웨덴 (1개), 아일랜드 (1개) | 53개 |
북아메리카 | 미국 (44개), 캐나다 (3개), 멕시코 (3개) | 50개 |
남아메리카 | 브라질 (5개), 에콰도르 (2개), 아르헨티나 (1개), 페루 (1개), 콜롬비아 (1개) | 10개 |
아프리카 | 르완다 (1개), 탄자니아 (1개), 우간다 (1개) | 3개 |
오세아니아 | 오스트레일리아 (5개), 뉴질랜드 (1개) | 6개 |
숭실대학교는 "비전 2020" 계획의 일환으로 외국인 유학생 비율을 크게 늘리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재학하고 있다.[5]
외국인 유학생들은 숭실대학교 국제 학생회(SISO, Soongsil International Student Organization)의 지원을 받는다. SISO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교 생활 전반을 지원하는 학생 단체이다.[6] SISO 회원으로 활동하는 숭실대학교 학생들은 엄격한 심사 과정을 거쳐 선발된다.
8. 동문
숭실대학교는 100년이 넘는 역사 동안 각계각층에서 많은 저명한 동문들을 배출하였다.[17]
대표적인 인물로는 작가 황순원, 김동인, 애국가 작곡가 안익태, 시인 김현승, 독립운동가 손정도, 조만식, 임시 국무총리와 장관, 제1대 국회의원, 경희대 학장을 역임한 이윤영, 종교계의 노벨상을 수상한 한경직, 공기업 사장과 도지사, 농림부 장관, 숭실대 총장 등을 역임한 이효계, 현대백화점 사장 김영태 등이 있다.
근래에는 배우 박원상, 축구 선수 박주호, 해설위원 박문성 등이 숭실대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숭실대는 축구 명문 학교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K리그 선수와 J리거를 배출했다. 주요 선수로는 온병훈, 김병석, 대한민국 대표 한국영, 박기동, 박정혜, 박종진 등이 있다.[17]
9. 기타
숭실대학교는 매 학기 캠퍼스 주변에 새로운 캐치프레이즈를 선보인다. 2011학년도 봄 학기부터는 매 학년도, 매 학기 목표에 걸맞은 다양한 낱말을 활용하고 있다.[1]
'''최초로서의 자부심, 최고를 향한 자신감'''[1]
이전 캐치프레이즈는 다음과 같다.[1]
학기 | 캐치프레이즈 |
---|---|
2010학년도 겨울학기 | 2011 숭실다움, 새로운 출발 2011 숭실다움, 새로운 희망 |
2010학년도 가을학기 | 113th Anniversary 숭실다움, 최초의 이름의 세상을 움직이는 힘. 113th Celebration 숭실다움, 세상을 새롭게 합니다. |
2010학년도 여름학기 | 숭실다움, 세상을 새롭게 합니다. 21세기 글로벌 융합기술의 메카, 숭실융합기술원 출범. |
2010학년도 봄학기 | 학생이 만족하는 강한 대학, 모두가 함께하는 변화 |
2009학년도 겨울학기 | 2010 금융학부 신설, 글로벌 금융전문가 양성. 2010 숭실다움, 세상을 새롭게 합니다. |
2009학년도 가을학기 | 1897 최초로서의 자부심, 2009 최고를 향한 자신감 |
2009학년도 봄학기 | 숭실다움, 세상에는 숭실다움이 필요합니다. |
2008학년도 가을학기 | 태양이 뜨거운가, 숭실의 젊음이 뜨거운가 |
2008학년도 봄학기 | Soongsil University 111th since 1897 |
2007학년도 | 110th Global Brain Soongsil University |
2006학년도 | The First University in Korea, 109th Soongsil University |
9. 1. 운동부
숭실대학교는 축구를 비롯한 여러 종목의 운동부를 운영하고 있다. 숭실대학교 축구부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숭실학교 축구부는 1927년 일본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는 등[30] 초창기 한국 축구 발전에 공헌하였다.[31]축구 명문 학교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K리그 선수와 J리거를 배출했다. 주요 출신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9. 2. 캐치프레이즈
숭실대학교에서는 매 학기 캠퍼스 주변에 새로운 캐치프레이즈를 선보인다. 2011학년도 봄 학기부터는 매 학년도, 매 학기 목표에 걸맞은 다양한 낱말을 활용하고 있다.[1]'''최초로서의 자부심, 최고를 향한 자신감'''[1]
학기 | 캐치프레이즈 |
---|---|
2010학년도 겨울학기 | 2011 숭실다움, 새로운 출발 2011 숭실다움, 새로운 희망 |
2010학년도 가을학기 | 113th Anniversary 숭실다움, 최초의 이름의 세상을 움직이는 힘. 113th Celebration 숭실다움, 세상을 새롭게 합니다. |
2010학년도 여름학기 | 숭실다움, 세상을 새롭게 합니다. 21세기 글로벌 융합기술의 메카, 숭실융합기술원 출범. |
2010학년도 봄학기 | 학생이 만족하는 강한 대학, 모두가 함께하는 변화 |
2009학년도 겨울학기 | 2010 금융학부 신설, 글로벌 금융전문가 양성. 2010 숭실다움, 세상을 새롭게 합니다. |
2009학년도 가을학기 | 1897 최초로서의 자부심, 2009 최고를 향한 자신감 |
2009학년도 봄학기 | 숭실다움, 세상에는 숭실다움이 필요합니다. |
2008학년도 가을학기 | 태양이 뜨거운가, 숭실의 젊음이 뜨거운가 |
2008학년도 봄학기 | Soongsil University 111th since 1897 |
2007학년도 | 110th Global Brain Soongsil University |
2006학년도 | The First University in Korea, 109th Soongsil University |
참조
[1]
서적
Higher Learning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1971
[2]
웹사이트
Overview of Soongsil History
https://web.archive.[...]
2008-09-15
[3]
웹사이트
Chronology of Soongsil History
http://ssu.dajim.co.[...]
2008-09-15
[4]
웹사이트
Soongsil University
https://www.topunive[...]
2022-07-27
[5]
웹사이트
Soongsil 2020 Scheme | 숭실대학교
http://pre.ssu.ac.kr[...]
[6]
웹사이트
Overview | 숭실대학교
http://pre.ssu.ac.kr[...]
[7]
서적
韓国近代大学の成立と展開
名古屋大学出版会
1995
[8]
웹사이트
大同工業専門学校の項(韓国語)
http://100.nate.com/[...]
[9]
웹사이트
韓南大学校
[10]
웹인용
학교 현황
https://web.archive.[...]
숭실대학교 홈페이지
2011-11-27
[11]
웹인용
숭실대학교 대학정보공시
https://academyinfo.[...]
2022
[12]
웹인용
교육이념 및 비전
https://web.archive.[...]
2013-04-09
[13]
뉴스
숭실대, `평양캠퍼스 복원' 대북접촉 착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0-06-09
[14]
뉴스
[기획] 개교 1백주년 맞는 숭실대 어윤배 총장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1997-10-05
[15]
뉴스
베어드의 교육이념, 민족운동의 본거지
http://www.ssunews.n[...]
숭대시보
2008-11-04
[16]
뉴스
숭실대, 성대, 연대, 고대… 국내 최고(最古) 대학은 어디?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6-10-10
[17]
웹인용
숭실대학교 숭실史
https://web.archive.[...]
2013-04-09
[18]
웹인용
숭실대학교 연혁 - 숭실대학교
https://web.archive.[...]
2013-04-09
[19]
웹사이트
숭실대학교 중앙도서관 연혁
http://oasis.ssu.ac.[...]
[20]
웹사이트
숭실대학교 중앙도서관 2010년 장서현황
http://oasis.ssu.ac.[...]
[21]
웹사이트
숭실대학교 중앙도서관 열람좌석현황
http://oasis.ssu.ac.[...]
[22]
뉴스
대학들 '창의력의 보고' 古典·名著읽기 열풍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9-24
[23]
뉴스
대학도서관 평가서 연세대 1위
https://news.naver.c[...]
연합통신
2010-12-01
[24]
웹인용
숭실대학교 대학요람
https://web.archive.[...]
2010-09-03
[25]
웹사이트
숭실대학교 총학생회 회칙
http://stu.ssu.ac.kr[...]
[26]
뉴스
외국인 학생회, 너무 성급하지 않나?
https://web.archive.[...]
숭대시보
2010-10-15
[27]
뉴스
2008학년도 학생회 선출돼
https://web.archive.[...]
숭대시보
2007-12-03
[28]
뉴스
총학ㆍ공대ㆍIT대ㆍ정통전 학생회장단 당선
https://web.archive.[...]
숭대시보
2009-03-30
[29]
뉴스
총학투표율 과반수넘어, 새 출범
https://web.archive.[...]
숭대시보
2009-11-30
[30]
뉴스
韓國(한국)축구의 揺籃(요람) 高校球界(고교구계) 어제·오늘·내일
https://newslibrary.[...]
1971-06-09
[31]
뉴스
축구熱風(열풍) 몰고올 大統領金盃(대통령금배) (2) 高校蹴球(고교축구) 어제 오늘
http://newslibrary.n[...]
1975-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