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인천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29개국, 여자 11개국이 참가하여 남자부와 여자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남자 축구에서는 대한민국이 금메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은메달, 이라크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여자 축구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금메달, 일본이 은메달, 대한민국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 경기는 대한민국 인천 등에서 개최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결승에서 일본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대한민국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에 관한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 아시안 게임 축구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대한민국 5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고 쿠웨이트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축구 - 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경기는 아시아 국가 U-23 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이란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한 대회이다.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대회 개요
종목축구
대회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픽토그램
축구 픽토그램
개최 장소인천문학경기장
와~ 스타디움
인천축구전용경기장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
고양종합운동장
화성종합경기타운
기간2014년 9월 14일 – 2014년 10월 2일
참가 선수770명
참가 국가30개국
이전 대회2010년
다음 대회2018년
남자 축구
금메달대한민국
은메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메달이라크
여자 축구
금메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은메달일본
동메달대한민국
남자 축구 상세 정보
참가 팀 수29개 팀
우승 팀대한민국 U-23
우승 횟수4회
준우승 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U-23
3위 팀이라크 U-23
4위 팀태국 U-23
여자 축구 상세 정보
참가 팀 수11개 팀
우승 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우승 횟수3회
준우승 팀일본
3위 팀대한민국
4위 팀베트남

2. 경기장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경기는 인천인천문학경기장(관람석 50,256석), 인천 축구 전용 경기장(관람석 20,300석), 남동 럭비 경기장(관람석 5,078석), 안산의 안산 와~ 스타디움(관람석 35,000석), 고양고양종합운동장(관람석 41,311석), 화성화성종합경기타운(관람석 35,270석)에서 개최되었다.

3. 대회 일정

일15일
월16일
화17일
수18일
목19일
금20일
토21일
일22일
월23일
화24일
수25일
목26일
금27일
토28일
일29일
월30일
화1일
수2일
목남자PPPPPPRR¼½F여자PPPPPPPPP¼½F


4. 참가국 및 조 편성

2014년 8월 21일에 남자 및 여자 대회의 조 편성을 결정하기 위한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 팀들은 2010년 아시안 게임에서의 최종 순위를 기준으로 시드를 배정받았다.[2]

남자 종목에는 전 대회보다 5개 팀이 늘어난 29개 팀이 참가했다. A조부터 H조까지 8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 1, 2위 16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각 조의 순위는 승점 순으로 결정되며, 승점이 같을 경우 해당 팀 간의 경기 결과, 골득실차 순으로 순위를 결정했다. 킥오프 시간은 현지 시간(UTC+9) 기준이다.

A조는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라오스로 구성되었다. B조는 홍콩, 방글라데시,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C조는 싱가포르, 타지키스탄, 오만, 팔레스타인으로 구성되었다. D조는 이라크, 네팔, 일본, 쿠웨이트가 속했다.

E조는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태국, 몰디브, F조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파키스탄으로 구성되었다. G조는 요르단, 아랍에미리트, 인도, H조는 베트남, 이란, 키르기스스탄으로 구성되었다.

여자부에는 총 11개국이 참가하였다. A조에는 대한민국, 태국, 인도, 몰디브가 편성되었다. B조에는 일본, 중국, 요르단, 중화 타이베이가 편성되었다. C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홍콩이 편성되었다.

4. 1. 남자 축구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종목에는 전 대회보다 5개 팀이 늘어난 29개 팀이 참가했다. A조부터 H조까지 8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 1, 2위 16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각 조의 순위는 승점 순으로 결정되며, 승점이 같을 경우 해당 팀 간의 경기 결과, 골득실차 순으로 순위를 결정했다. 킥오프 시간은 현지 시간(UTC+9) 기준이다.

A조는 , , , 로 구성되었다. B조는 , , , , C조는 , , , 로 구성되었다. D조는 , , , 가 속했다.

E조는 , , , , F조는 , , 로 구성되었다. G조는 , , , H조는 , , 로 구성되었다.

4. 2. 여자 축구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여자부에는 총 11개국이 참가하였다. A조에는 대한민국 , 태국, 인도, 몰디브가 편성되었다. B조에는 일본, 중국, 요르단, 중화 타이베이가 편성되었다. C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홍콩이 편성되었다.

5. 남자 축구 결과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종목에는 전 대회보다 5개 팀이 늘어난 29개 팀이 참가했다. A조부터 H조까지 8개 조로 나누어 조별 리그를 진행하였으며, 각 조 1, 2위 16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각 조의 순위는 승점, 해당 팀 간 경기 결과, 골득실차 순으로 결정되었다. 킥오프 시간은 현지 시간 기준이다.

A조대한민국한국어 · 사우디아라비아ar · 말레이시아ms · 라오스lo
B조홍콩중국어 · 방글라데시bn · 아프가니스탄ps · 우즈베키스탄uz
C조싱가포르중국어 · 타지키스탄tg · 오만ar · 팔레스타인ar
D조이라크ar · 네팔ne · 일본일본어 · 쿠웨이트ar
E조동티모르pt · 인도네시아id · 태국th · 몰디브디베히어
F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 · 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 파키스탄ur
G조요르단ar · 아랍에미리트ar · 인도hi
H조베트남vi · 이란fa · 키르기스스탄ky


5. 1. 조별 예선 결과

5. 1. 1. A조

순위승점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득실차
1대한민국9330060+6
2사우디아라비아6320161+5
3말레이시아3310246-2
4라오스0300309-9



2014년9월 14일 14:00에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 라오스의 경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3-0으로 승리했다.

2014년 9월 14일 17:00,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말레이시아의 경기에서는 임창우, 김신욱, 김승대의 득점에 힘입어 대한민국이 3-0으로 승리했다.

2014년 9월 17일 17:00, 안산 와~ 스타디움에서 열린 말레이시아와 라오스의 경기에서는 말레이시아가 4-0으로 승리하였다.

2014년 9월 17일 20:00, 안산 와~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에서는 김승대가 결승골을 기록하며 대한민국이 1-0으로 승리했다.

2014년 9월 21일 17:00,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말레이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3-0으로 승리했다.

2014년 9월 21일 17:00,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라오스와 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이종호와 김승대의 득점으로 대한민국이 2-0으로 승리했다.

5. 1. 2. B조 ~ H조

'''B조'''


순위승점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득실차
1우즈베키스탄7321091+8
2홍콩7321053+2
3방글라데시3310225-3
4아프가니스탄0300318-7



'''C조'''


순위승점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득실차
1팔레스타인6320153+2
2타지키스탄6320132+1
3싱가포르43111550
4오만1301236-3



'''D조'''


순위승점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득실차
1이라크93300101+9
2일본6320194+5
3쿠웨이트3310267-1
4네팔03003013-13



'''E조'''


순위승점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득실차
1태국93300110+11
2인도네시아63201116+5
3몰디브3310238-5
4동티모르03003213-11



'''F조'''


순위승점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득실차
1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6220050+5
2중국3210113-2
3파키스탄0200203-3



'''G조'''


순위승점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득실차
1요르단6220030+3
2아랍에미리트3210151+4
3인도0200207-7



'''H조'''


순위승점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골득실
1베트남6220051+4
2키르기스스탄1201112-1
3이란1201125-3

5. 2. 16강 ~ 결승

2014년 아시안 게임 축구 16강전은 9월 25일과 26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9월 25일에는 대한민국홍콩을 3-0으로, 일본팔레스타인을 4-0으로, 태국중국을 2-0으로, 요르단키르기스스탄을 연장전 끝에 2-0으로 꺾었다. 9월 26일에는 이라크타지키스탄을 4-2로, 아랍에미리트베트남을 3-1로, 사우디아라비아우즈베키스탄을 3-2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인도네시아를 4-1로 이겼다.

8강전은 9월 28일에 열렸다. 대한민국일본에 1-0으로 승리했고, 태국요르단을 2-0으로, 이라크사우디아라비아를 3-0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아랍에미리트를 1-0으로 꺾었다.

4강전은 9월 30일에 개최되었다. 대한민국태국을 2-0으로 이겼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크를 연장전 끝에 1-0으로 승리했다.

결승전은 10월 2일에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렸다.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경기에서 연장 후반 추가시간에 터진 임창우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라크태국과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1-0으로 승리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6. 여자 축구 결과

전 대회에서 4개 팀이 늘어, 11개 팀을 A조부터 C조까지 3개 조로 나누어, 결선 토너먼트에는 각 조 1위·2위 및 3위의 성적 상위 2개 팀의 8개 팀이 진출한다. 조 3위 팀의 성적을 비교할 때, 조 4위 팀과의 경기 결과는 제외한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제외 대상 경기
B중화 타이베이0200207-7요르단 (2-2)
C홍콩02002010-10없음
A인도02002020-20몰디브 (15-0)



;A조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대한민국93300280+28
태국63201205+15
인도331021520-5
몰디브00003038-38



2014년 9월 14일 14:00,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인도와 몰디브의 경기에서 인도가 15-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20:00,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태국의 경기에서 정설빈, 박희영, 유영아, 전가을, 최유리의 연속골로 대한민국이 5-0으로 승리하였다.

2014년 9월 17일 14:00,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태국과 몰디브의 경기가 열렸고, 태국이 10-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20:00,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대한민국과 인도의 경기가 열렸다. 전가을유영아가 각각 3골, 박희영이 1골, 정설빈이 2골을 넣어 대한민국이 10-0 대승을 거두었다.

2014년 9월 21일 17:00,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태국과 인도의 경기가 열렸고, 태국이 10-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17:00, 인천 문학 경기장에서는 몰디브와 대한민국의 경기가 열렸다. 정설빈의 선제골, 아미나투 레자의 자책골, 이소담의 페널티킥 골, 송수란, 박희영, 신담영, 전가을, 권하늘(2골), 유영아(2골), 조소현, 최유리의 연속골에 힘입어 대한민국이 13-0으로 크게 이겼다.

;B조

B조에서는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 타이베이, 요르단이 경기를 펼쳤다. 2014년 9월 15일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요르단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으며, 요르단은 알 나발과 주바라가 득점했고, 중화 타이베이는 린 야한과 왕 샹후이가 득점했다. 같은 날 열린 일본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으며, 김숙희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2014년 9월 18일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는 4-0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승리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한펑, 양 리, 장 루이, 마 쥔이 득점했다. 같은 날 열린 일본과 요르단의 경기는 12-0으로 일본이 대승을 거두었다. 일본은 카와스미 나호미(2골), 스게사와 유이카(3골), 사카구치 미호(3골), 키라 치카(2골), 미야마 아야가 득점했고, 요르단의 아부 카셰프가 자책골을 기록했다.

2014년 9월 22일 인천 문학 경기장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일본의 경기는 3-0으로 일본이 승리했다. 일본은 사카구치 미호, 키라 치카, 카와스미 나호미가 득점했다. 같은 날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과 요르단의 경기는 5-0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승리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양 리(4골)와 리 동나가 득점했으며, 김숙희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일본73210150+15
중화인민공화국7321090+9
중화 타이베이1301229-7
요르단13012219-17



;C조

C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홍콩이 경기를 펼쳤다. 2014년 9월 16일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베트남의 경기는 5-0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승리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김연미(2골), 김은주, 리은경, 정유리가 득점했으며, 리줸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2014년 9월 20일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홍콩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는 5-0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승리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위종심, 리은경(2골), 허은별, 라은심이 득점했다.

2014년 9월 23일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베트남과 홍콩의 경기는 5-0으로 베트남이 승리했으며, 카지야마 후사코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승점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62200100+10
베트남32110550
홍콩02002010-10



2014년 9월 26일에 열린 8강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안산 와~ 스타디움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을 상대로 허은별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고양종합운동장에서는 타이베트남에 1-2로 패배했다.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는 일본홍콩을 9-0으로 크게 이겼으며, 인천문학경기장에서는 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를 1-0으로 이겼다.

9월 29일에 열린 준결승전에서는 베트남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일본에 0-3으로 패배했고, 대한민국인천문학경기장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1-2로 패배했다.

10월 1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 대한민국베트남을 3-0으로 이기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날 인천 문학 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일본을 3-1로 이기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6. 1. 조별 예선 결과

전 대회에서 4개 팀이 늘어, 11개 팀을 A조부터 C조까지 3개 조로 나누어, 결선 토너먼트에는 각 조 1위·2위 및 3위의 성적 상위 2개 팀의 8개 팀이 진출한다. 조 3위 팀의 성적을 비교할 때, 조 4위 팀과의 경기 결과는 제외한다.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제외 대상 경기
B중화 타이베이0200207-7요르단 (2-2)
C홍콩02002010-10없음
A인도02002020-20몰디브 (15-0)



;A조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대한민국93300280+28
태국63201205+15
인도331021520-5
몰디브00003038-38



2014년 9월 14일 14:00,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인도와 몰디브의 경기에서 인도가 15-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20:00,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태국의 경기에서 정설빈, 박희영, 유영아, 전가을, 최유리의 연속골로 대한민국이 5-0으로 승리하였다.

2014년 9월 17일 14:00,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태국과 몰디브의 경기가 열렸고, 태국이 10-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20:00,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대한민국과 인도의 경기가 열렸다. 전가을유영아가 각각 3골, 박희영이 1골, 정설빈이 2골을 넣어 대한민국이 10-0 대승을 거두었다.

2014년 9월 21일 17:00,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태국과 인도의 경기가 열렸고, 태국이 10-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17:00, 인천 문학 경기장에서는 몰디브와 대한민국의 경기가 열렸다. 정설빈의 선제골, 아미나투 레자의 자책골, 이소담의 페널티킥 골, 송수란, 박희영, 신담영, 전가을, 권하늘(2골), 유영아(2골), 조소현, 최유리의 연속골에 힘입어 대한민국이 13-0으로 크게 이겼다.

;B조

B조에서는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 타이베이, 요르단이 경기를 펼쳤다. 2014년 9월 15일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요르단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으며, 요르단은 알 나발과 주바라가 득점했고, 중화 타이베이는 린 야한과 왕 샹후이가 득점했다. 같은 날 열린 일본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으며, 김숙희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2014년 9월 18일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는 4-0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승리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한펑, 양 리, 장 루이, 마 쥔이 득점했다. 같은 날 열린 일본과 요르단의 경기는 12-0으로 일본이 대승을 거두었다. 일본은 카와스미 나호미(2골), 스게사와 유이카(3골), 사카구치 미호(3골), 키라 치카(2골), 미야마 아야가 득점했고, 요르단의 아부 카셰프가 자책골을 기록했다.

2014년 9월 22일 인천 문학 경기장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일본의 경기는 3-0으로 일본이 승리했다. 일본은 사카구치 미호, 키라 치카, 카와스미 나호미가 득점했다. 같은 날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과 요르단의 경기는 5-0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승리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양 리(4골)와 리 동나가 득점했으며, 김숙희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일본73210150+15
중화인민공화국7321090+9
중화 타이베이1301229-7
요르단13012219-17



;C조

C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홍콩이 경기를 펼쳤다. 2014년 9월 16일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베트남의 경기는 5-0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승리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김연미(2골), 김은주, 리은경, 정유리가 득점했으며, 리줸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2014년 9월 20일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홍콩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는 5-0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승리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위종심, 리은경(2골), 허은별, 라은심이 득점했다.

2014년 9월 23일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베트남과 홍콩의 경기는 5-0으로 베트남이 승리했으며, 카지야마 후사코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승점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62200100+10
베트남32110550
홍콩02002010-10


6. 1. 1. A조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대한민국93300280+28
태국63201205+15
인도331021520-5
몰디브00003038-38



2014년 9월 14일 14:00,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인도와 몰디브의 경기에서 인도가 15-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2014년 9월 14일 20:00,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태국의 경기에서 정설빈, 박희영, 유영아, 전가을, 최유리의 연속골로 대한민국이 5-0으로 승리하였다.

2014년 9월 17일 14:00,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태국과 몰디브의 경기가 열렸고, 태국이 10-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2014년 9월 17일 20:00,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대한민국과 인도의 경기가 열렸다. 전가을유영아가 각각 3골, 박희영이 1골, 정설빈이 2골을 넣어 대한민국이 10-0 대승을 거두었다.

2014년 9월 21일 17:00,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태국과 인도의 경기가 열렸고, 태국이 10-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17:00, 인천 문학 경기장에서는 몰디브와 대한민국의 경기가 열렸다. 정설빈의 선제골, 아미나투 레자의 자책골, 이소담의 페널티킥 골, 송수란, 박희영, 신담영, 전가을, 권하늘(2골), 유영아(2골), 조소현, 최유리의 연속골에 힘입어 대한민국이 13-0으로 크게 이겼다.

6. 1. 2. B조, C조

B조에서는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 타이베이, 요르단이 경기를 펼쳤다. 2014년 9월 15일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요르단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으며, 요르단은 알 나발과 주바라가 득점했고, 중화 타이베이는 린 야한과 왕 샹후이가 득점했다. 같은 날 열린 일본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으며, 김숙희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2014년 9월 18일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는 4-0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승리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한펑, 양 리, 장 루이, 마 쥔이 득점했다. 같은 날 열린 일본과 요르단의 경기는 12-0으로 일본이 대승을 거두었다. 일본은 카와스미 나호미(2골), 스게사와 유이카(3골), 사카구치 미호(3골), 키라 치카(2골), 미야마 아야가 득점했고, 요르단의 아부 카셰프가 자책골을 기록했다.

2014년 9월 22일 인천 문학 경기장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일본의 경기는 3-0으로 일본이 승리했다. 일본은 사카구치 미호, 키라 치카, 카와스미 나호미가 득점했다. 같은 날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과 요르단의 경기는 5-0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승리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양 리(4골)와 리 동나가 득점했으며, 김숙희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일본73210150+15
중화인민공화국7321090+9
중화 타이베이1301229-7
요르단13012219-17



C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홍콩이 경기를 펼쳤다. 2014년 9월 16일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베트남의 경기는 5-0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승리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김연미(2골), 김은주, 리은경, 정유리가 득점했으며, 리줸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2014년 9월 20일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홍콩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는 5-0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승리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위종심, 리은경(2골), 허은별, 라은심이 득점했다.

2014년 9월 23일 남동 럭비 경기장에서 열린 베트남과 홍콩의 경기는 5-0으로 베트남이 승리했으며, 카지야마 후사코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승점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62200100+10
베트남32110550
홍콩02002010-10


6. 2. 8강 ~ 결승

2014년 9월 26일에 열린 8강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안산 와~ 스타디움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을 상대로 허은별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고양종합운동장에서는 타이이 베트남에 1-2로 패배했다. 화성종합경기타운에서는 일본홍콩을 9-0으로 크게 이겼으며, 인천문학경기장에서는 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를 1-0으로 이겼다.

9월 29일에 열린 준결승전에서는 베트남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일본에 0-3으로 패배했고, 대한민국인천문학경기장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1-2로 패배했다.

10월 1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 대한민국베트남을 3-0으로 이기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날 인천 문학 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일본을 3-1로 이기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7.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102
2대한민국1012
3일본0101
4이라크0011
합계2226



순위남자여자
1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일본
3이라크대한민국


8. 메달리스트

순위남자여자
1{{fbu{{fbw
2{{fbu{{fbw
3{{fbu{{fbw


9. 의의 및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Tournament schedule https://web.archive.[...] 2014-09-14
[2] 웹사이트 Press Release: Incheon Asian Games draw ceremony https://web.archive.[...] Olympic Council of Asia 2015-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