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779년은 당나라 대력 14년, 신라 혜공왕 15년 등에 해당하며, 주요 사건으로 신라 서라벌 대지진, 아스트라한 약탈, 마우레가토의 아스투리아스 왕국 왕 즉위 등이 있었다. 이 해에 당나라 덕종이 즉위하고, 샤를마뉴는 작센 전쟁을 지속했으며, 벤싱턴 전투에서 머시아의 오파가 웨섹스를 격파했다. 주요 사망 인물로는 당나라 대종, 후지와라노 모모카와 등이 있고, 탄생 인물로는 아고바르, 이브라힘 이븐 알 마흐디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779년 | |
---|---|
연도별 정보 | |
주요 사건 | '이 해에 일어난 주요 사건에 대한 정보는 제공된 문서에 없습니다.' |
출생 | '이 해에 태어난 사람에 대한 정보는 제공된 문서에 없습니다.' |
사망 | '이 해에 사망한 사람에 대한 정보는 제공된 문서에 없습니다.' |
2. 연호
3. 기년
4. 사건
- 아스트라한이 하자르에게 약탈당했다.
- 스페인의 아스투리아스 왕국에서 마우레가토가 왕위에 올랐다.
- 카롤루스 대제가 작센족을 상대로 작센 전쟁을 계속하였다.
- 당나라 양주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4. 1. 한국
음력 3월, 신라 서라벌에서 대지진이 일어났다. 백성들의 가옥이 쓰러지고 1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다.[1]4. 2. 중국
6월 12일 - 중국에서, 덕종(본명 ''이괄'')이 아버지 대종의 뒤를 이어 당나라의 황제가 되었다.
4. 3. 일본
4. 4. 유럽
- 작센 전쟁: 샤를마뉴는 프랑크 군대를 뒤렌에 집결시켜, 현대 베젤 마을에서 라인강을 건너 보홀트 근처(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에서 작센족을 격파했다. 비두킨트를 제외한 모든 주요 베스트팔렌 지도자들이 사로잡혔다. 샤를마뉴는 베저강, 오커강, 오레강을 건너 동(東)작센 지역으로 진군하여, 현지 지도자들이 프랑크 왕국 통치에 복종하고 인질을 넘겨주었다. 비두킨트는 북부 구 작센에 남아 게릴라전에 의존했다.[1]
- 벤싱턴 전투: 머시아의 왕 오파는 경쟁자인 웨섹스의 키네울프를 옥스퍼드셔의 벤슨에서 벌어진 벤싱턴 전투에서 격파했다. 그는 버크셔를 장악하고, 아마도 런던도 장악했을 것이다. ''앵글로색슨 연대기''에 따르면 오파는 "'잉글랜드 전체의 왕'"이 되었다. 샤를마뉴는 그에게 "가장 사랑하는 형제"라고 편지를 썼지만, 오파가 샤를마뉴의 아들 중 한 명과 그의 딸 중 한 명의 결혼을 허락하지 않자, 샤를마뉴는 영국 항구를 영국 무역상에게 폐쇄하겠다고 위협했다.
5. 탄생
6. 사망
- 6월 10일 - 대종, 당나라 황제 (727년 출생)
- 8월 28일 - 후지와라노 모모카와, 일본 정치가 (732년 출생)
- 12월 17일 - 슈투름, 풀다의 수도원장
- 에델레드 1세, 동앵글리아의 왕 (추정 날짜)
- 제라르 1세, 프랑크족 백작
- 발푸르가, 앵글로색슨 수녀원장 (또는 777년)
- 2월 26일 - 사에키노 미노, 나라 시대의 귀족 (* 생년 미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