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덕동저수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동저수지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저수지이다. 1972년 수립된 경주지구 관광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으며, 불국사 주변 농경지에 농업용수, 경주시의 생활용수 및 관광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1975년 2월 착공하여 2년 10개월 만에 축조되었으며, 흙댐 형식으로 제방 길이는 169m, 높이는 50m이다. 총 저수량은 32,700천m3이며, 생활용수, 농업용수, 관광용수로 연간 31,320천 m3의 용수를 공급한다. 북천의 취수원으로 이용되면서 유량이 줄었으며, 댐 건설로 덕동면이 수몰되어 고선사지 삼층석탑 등 문화재가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이전되었다.

2. 시설

덕동댐은 1972년에 수립된 경주지구 관광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주요 목적은 불국사 주변 농경지에 대한 농업용수 공급과 경주시의 생활용수 및 관광용수를 포함한 다목적 용수 공급이다.[1]

덕동댐 용수 공급 현황
구분용량
총 저수량3,270만m3
농업용수1,475만m3
생활용수3만m3/일
관광용수1,018만m3


2. 1. 여수로

의 길이가 169m로 비교적 짧아 댐 본체에 여수로를 설치하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저수지 안쪽에 나팔형(모닝글로리형)으로 여수로를 만들어 홍수 시 물을 안전하게 내보내도록 설계되었다. 물이 넘칠 때 소용돌이치며 물이 빨려 들어가는 모습이 특징적이다. 완성 후 넓은 호수 위에 드러난 독특한 나팔 모양의 여수로는 그 자체로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어, 주변을 지나는 관광객들의 시선을 끌었다.[1] 이는 1972년 수립된 경주 관광종합개발계획과도 연관이 있다.

3. 재원

1974년 1월 IBRD와의 차관협정에 따라 총사업비 49.16억 중 26%에 해당하는 12.8억의 외자가 투입되었다. 이 사업은 관개 개선 794ha와 경지정리 346ha 등 총 1140ha를 개발 대상으로 하는 중규모 사업이었다. 덕동댐은 1975년 2월에 착공하여 2년 10개월 만에 축조를 완료하였는데, 이는 매우 이례적인 단기간 공사로 평가받는다.

4. 저수지 규모

wikitext

항목내용
유역면적[1]5170ha
저수량[1]32700000m3
유효저수량[1]27902000m3
관개면적1069ha
일일 취수35000ton


5. 시설 제원


  • 댐 형식 : 흙댐 (중심코어형 필댐)[1]
  • 제방[1] : 길이 169m, 높이 50m
  • 물넘이 : 모닝글로리, 길이 256m[1], 월류 수심 2.2m

덕동저수지의 모닝글로리 여수로

  • 비상여수로: 개거식 측수형, 길이 190m, 폭 15m[1]
  • 설계강우: 493mm/일(200년 빈도), 786mm/일(PMP 강우)

6. 수질

평균적인 덕동저수지의 수질은 다음과 같다.

7. 용수 공급

덕동댐은 1972년에 수립된 경주지구 관광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주요 목적은 불국사 주변 농경지에 대한 농업용수 공급과 경주시의 생활용수 및 관광용수를 포함한 다목적 용수 공급이었다.[1] 당시 계획된 총 저수량은 3270.0000000000005만m3였으며, 이 중 농업용수로 1475만m3, 생활용수로 3만 m³/일, 관광용수로 1018만m3를 공급할 예정이었다.[1]

현재 덕동저수지의 주요 용수 공급 현황은 다음과 같다.[1]

구분세부 내용공급량
생활용수수혜 지구경주시 구 시가지, 불국동, 외동읍
수혜 인구10만 명
공급량4만 8천 m³/일 (연간 1752만m3)
농업용수관개 면적20km2
공급량연간 940만m3
관광용수공급처보문호수, 유람선, 물레방아
공급량연간 440.00000000000006만m3
연간 총 공급량3132만m3


8. 준공 이후

덕동저수지가 취수원으로 이용되면서 북천의 유량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또한, 저수지 건설로 인해 덕동면 전체가 물에 잠기면서 많은 주민들이 삶의 터전을 잃고 다른 곳으로 이주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경주시 암곡동 1020-2번지 일원에 있던 고선사 절터 역시 수몰되었다. 이에 따라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과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귀부), 그리고 절 건물의 흔적(건물지 유구) 등이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져 현재 박물관 야외 공간에 전시되어 있다.

참조

[1] 문서 현지 안내문
[2] 문서 공식 명칭은 아산호이며 경기권에서 평택호라고 부르나 두가지 명칭을 혼용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