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동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동읍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의 읍이다. 신라 시대에는 모화군이었으며, 이후 임관군, 외동면을 거쳐 1980년 외동읍으로 승격되었다. 동쪽으로 양남면, 서쪽으로 내남면, 남쪽으로 울산광역시 북구와 울주군 범서읍, 북쪽으로 경주시 불국동과 문무대왕면에 접한다. 주요 시설로는 경주경찰서 외동지구대, 외동역 등이 있으며, 초등학교 6개교, 중학교 1개교, 고등학교 1개교가 있다. 동해선 외동역이 위치해 있으나 여객 열차는 정차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주시의 행정 구역 - 내남면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내남면은 1906년 경주군 내남면으로 시작하여 1995년 경주시 내남면으로 확정되었으며, 경주 남산을 포함하고 반구대로 등의 도로가 지나간다. - 경주시의 행정 구역 - 건천읍
경주시 건천읍은 11개 법정리로 이루어진 읍으로, 경부고속선과 동해선이 지나고 주요 도로와 나들목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며, 고분군과 단석산 등 문화재와 관광 명소가 있다. - 1980년 설치 - 동작구
동작구는 서울특별시 중남부 한강 남쪽에 위치한 자치구로, 조선 시대 한강 무역 중심지였으며 관악구에서 분리 신설되었고, 현재 다양한 문화유산, 교육기관, 노량진 학원가, 수산시장 등의 특징과 함께 여러 자매도시와 교류하며 다양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1980년 설치 - 제천시
제천시는 충청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도농복합시로, 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한말 의병 운동의 거점, 풍부한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3차 산업이 발달했으나 최근 인구 감소 문제에 직면해 있다. - 경상북도의 읍·면 - 풍기읍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풍기읍은 고려 문종의 태를 묻은 것에서 유래한 풍기군의 중심지로, 풍기인삼과 온천, 희방사 등의 명소, 그리고 다양한 교육 및 교통 시설을 갖춘 읍이다. - 경상북도의 읍·면 - 내남면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내남면은 1906년 경주군 내남면으로 시작하여 1995년 경주시 내남면으로 확정되었으며, 경주 남산을 포함하고 반구대로 등의 도로가 지나간다.
외동읍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유형 | 읍 |
이름 (한글) | 외동읍 |
이름 (한자) | 外東邑 |
이름 (로마자 표기) | Oedong-eup |
이름 (매큔-라이샤워 표기) | Oedong-ŭp |
국가 | 대한민국 |
하위 행정 구역 | 31개 행정리 (17개 법정리), 200개 반 |
방언 | 경상도 방언 |
행정 | |
관할 기관 | 경주시 |
읍장 | (정보 없음) |
면적 | |
전체 면적 | 110.34 km²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06년) | 17539명 |
인구 밀도 | 159명/km² |
세대 (2020년 12월 31일) | 10,934세대 |
인구 (2022년 3월) | 22208명 |
교육 기관 | |
위치 및 연락처 | |
읍사무소 주소 | 경주시 외동읍 읍청사로 25 |
홈페이지 | 경주시 외동읍 행정복지센터 |
지도 정보 | |
![]() |
2. 역사
신라 시대에는 모화군(毛火郡)이었다. 757년 모화군은 임관군으로, 굴아화현은 하곡현으로, 율포현은 동진현으로 개칭되었다.[3] 940년 임관군은 현으로 격하되어 경주시의 속현이 되었다가 완전히 폐지되어 경주의 일부가 되었다. 조선시대에 경주에 면이 설치되면서 동면(東面)이 되었고, 이후 내방면(內方面)과 외방면(外方面)으로 분리되었다가[3] 내동면(內東面), 외동면(外東面)으로 개칭하면서[4] '''외동면'''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부터 1995년 1월 1일까지의 자세한 사항은 하위 목차를 참고.
2. 1. 신라 시대
신라 시대에는 모화군(毛火郡)이었다. 모화군은 신라의 수도 서라벌의 남쪽 관문이자 현재의 울산광역시의 두 현(굴아화현, 율포현)을 관할하는 고을이었다. 757년에 모화군은 임관군으로, 굴아화현은 하곡현으로, 율포현은 동진현으로 개칭되었다.[3]2. 2. 고려, 조선 시대
757년 모화군이 임관군으로 개칭되었다. 신라 멸망 후 940년 임관군은 현으로 격하되어 경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완전히 폐지되어 경주의 일부가 되었다.[3] 조선시대에 경주에 면이 설치되면서 동면(東面)이 되었고, 이후 내방면(內方面)과 외방면(外方面)으로 분리되었다가[3] 내동면(內東面), 외동면(外東面)으로 개칭하면서[4] '''외동면'''이 되었다.2. 3. 일제강점기 및 광복 이후
- 1914년 4월 1일 반자동 일부가 울산군 범서면 척과리에 편입되고 17개리로 개편하였다.[3]
- 1955년 9월 1일 경주군 일부에 경주시가 설치되면서 월성군 외동면이 되었다.[3]
- 1975년 10월 1일 신계리 일부가 경주시 불국동에 편입되었다.[3]
- 1980년 12월 1일 외동면이 '''외동읍'''으로 승격하였다.[3]
- 1989년 1월 1일 월성군이 경주군으로 개칭하면서 경주군 외동읍이 되었다.[3]
- 1995년 1월 1일 경주시·경주군 통합으로 경주시 외동읍이 되었다.[3]
3. 지리
동쪽으로 양남면, 서쪽으로 내남면, 남쪽으로는 울산광역시 북구와 울주군 범서읍에 접하고, 북쪽으로는 경주시 불국동과 문무대왕면이 접하고 있다.
4. 행정 구역
법정리 | 한자명 | 행정리 | 비고 |
---|---|---|---|
개곡리 | 開谷里 | 개곡1리, 개곡2리 | |
괘릉리 | 掛陵里 | 괘릉리 | |
구어리 | 九魚里 | 구어1리, 구어2리 | |
냉천리 | 冷川里 | 냉천1리, 냉천2리 | |
녹동리 | 碌洞里 | 녹동리 | |
말방리 | 末方里 | 말방1리, 말방2리 | |
모화리 | 毛火里 | 모화1리, 모화2리, 모화3리, 모화4리, 모화5리 | |
문산리 | 汶山里 | 문산1리, 문산2리 | |
방어리 | 方於里 | 방어리 | |
북토리 | 北吐里 | 북토리 | |
석계리 | 石溪里 | 석계1리, 석계2리 | |
신계리 | 薪溪里 | 신계리 | |
연안리 | 淵安里 | 연안1리, 연안2리 | |
입실리 | 入室里 | 입실1리, 입실2리, 입실3리, 입실4리 | 읍 행정복지센터 소재지 |
제내리 | 提內里 | 제내1리, 제내2리 | |
죽동리 | 竹東里 | 죽동리 | |
활성리 | 活城里 | 활성리 |
5. 주요 시설
6. 교육
학교명 | 유형 |
---|---|
입실초등학교 | 초등학교 |
석계초등학교 | 초등학교 |
석계초등학교 병설유치원 | 유치원 |
연안초등학교 | 초등학교 |
영지초등학교 | 초등학교 |
괘릉초등학교 | 초등학교 |
모화초등학교 | 초등학교 |
모화초등학교 병설유치원 | 유치원 |
외동중학교 | 중학교 |
태화고등학교 | 고등학교 |
7. 교통
동해고속도로 울산~포항 구간이 건설되어 외동읍 죽동리에 남경주 나들목이 개설되었다.
국도 제7호선(산업로)이 경주시내와 울산광역시 북구로 연결되며, 국도 제14호선은 양북면과 울주군 범서읍으로, 지방도 제904호선은 양남면과 내남면으로 연결된다.
구분 | 도로 이름 |
---|---|
로 | 산업로 (국도 제7호선), 관문로 (국도 제14호선), 내외로 (지방도 제904호선), 문구로, 불국로, 시동로, 영불로, 영지로, 외남로 (지방도 제904호선·국도 제14호선), 입실로 (지방도 제904호선·국도 제14호선), 읍청사로 |
길 | 개곡공단길, 개곡말방길, 개곡말방안길, 개곡안길, 계동1길, 계동2길, 괘릉길, 구매두림길, 구어1길, 구어2길, 구어공단1길, 구어공단길, 구어들밑길, 남방길, 냉천거산길, 냉천공단길, 냉천제내공단길, 냉천지초길, 냉천찬내길, 녹동원길, 당고개길, 대성안길, 덕방지길, 독골길, 둔전남길, 둔전북길, 말방길, 명주길 (국도 제14호선), 모화공단길, 모화남1길, 모화남2길, 모화남3길, 모화문산길, 모화북1길, 모화북2길, 모화북3길, 모화북4길, 문산공단길, 문산공단안길, 물탕골길, 밤갓길, 방어북토길, 방지길, 별미길, 볕골길, 본동길, 북토안길, 상석길, 석계고천길, 석계산업단지길, 석계상동길, 석계시래길, 석계양하길, 석계중리길, 석계평리길, 성저길, 송계길, 순금1길, 순금2길, 순금3길, 순금4길, 순지길, 신계길, 신계상신길, 신계입실길, 신계하신길, 신계하신안길, 신기앞길, 아기봉길, 앞등길, 어령길, 어범골길, 연안1길, 연안2길, 연안개곡1길, 연안개곡2길, 영지안길, 영호길, 외동농공단지길, 우박길, 원동1길, 원동2길, 원동3길, 입실시장길, 전곡길, 제내1공단길, 제내2공단길, 제내길, 제내못안길, 제내사일길, 제내한밭길, 죽동길, 죽동앞길, 중방길, 진티5길, 진현신계길, 활성길, 모화산단길 |
7. 1. 도로
동해고속도로 울산~포항 구간이 건설되어 죽동리에 남경주 나들목이 개설되었다.국도 제7호선(산업로)이 경주시내와 울산광역시 북구로 연결되며, 국도 제14호선이 양북면과 울주군 범서읍으로, 지방도 제904호선이 양남면과 내남면으로 연결된다.
구분 | 도로 이름 |
---|---|
로 | 산업로 (국도 제7호선), 관문로 (국도 제14호선), 내외로 (지방도 제904호선), 문구로, 불국로, 시동로, 영불로, 영지로, 외남로 (지방도 제904호선·국도 제14호선), 입실로 (지방도 제904호선·국도 제14호선), 읍청사로 |
길 | 개곡공단길, 개곡말방길, 개곡말방안길, 개곡안길, 계동1길, 계동2길, 괘릉길, 구매두림길, 구어1길, 구어2길, 구어공단1길, 구어공단길, 구어들밑길, 남방길, 냉천거산길, 냉천공단길, 냉천제내공단길, 냉천지초길, 냉천찬내길, 녹동원길, 당고개길, 대성안길, 덕방지길, 독골길, 둔전남길, 둔전북길, 말방길, 명주길 (국도 제14호선), 모화공단길, 모화남1길, 모화남2길, 모화남3길, 모화문산길, 모화북1길, 모화북2길, 모화북3길, 모화북4길, 문산공단길, 문산공단안길, 물탕골길, 밤갓길, 방어북토길, 방지길, 별미길, 볕골길, 본동길, 북토안길, 상석길, 석계고천길, 석계산업단지길, 석계상동길, 석계시래길, 석계양하길, 석계중리길, 석계평리길, 성저길, 송계길, 순금1길, 순금2길, 순금3길, 순금4길, 순지길, 신계길, 신계상신길, 신계입실길, 신계하신길, 신계하신안길, 신기앞길, 아기봉길, 앞등길, 어령길, 어범골길, 연안1길, 연안2길, 연안개곡1길, 연안개곡2길, 영지안길, 영호길, 외동농공단지길, 우박길, 원동1길, 원동2길, 원동3길, 입실시장길, 전곡길, 제내1공단길, 제내2공단길, 제내길, 제내못안길, 제내사일길, 제내한밭길, 죽동길, 죽동앞길, 중방길, 진티5길, 진현신계길, 활성길, 모화산단길 |
7. 2. 철도
동해선 외동역이 있지만 여객열차가 서는 역은 없다. 옛날의 모화역, 입실역, 죽동역은 폐지되었다.8. 주거
외동읍에는 아파트 위주의 주거 시설이 들어서 있다. SG 신성건설에서 건설한 경주 외동 미소지움이 2018년 6월에 입주했다.[1]
8. 1. 아파트
- SG 신성건설 경주 외동 미소지움 : 2018년 6월 입주.[1]
참조
[1]
웹사이트
외동읍 Oedong-eup 外東邑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8-17
[2]
웹사이트
ko:교육기관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2009-08-17
[3]
문서
호구총수
1789
[4]
문서
경주읍지
18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