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경주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경주시는 기원전 57년 신라 건국 이후 992년간 수도였던 도시로, 서라벌로 불렸다. 삼국시대 신라의 수도였으며, 통일신라 시대에는 정치와 문화의 중심지였다. 고려 시대에는 경주로 개칭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경주부로 불렸다. 1895년 경주군으로 개칭되었고, 1955년 경주읍이 시로 승격되었으며, 1995년 경주시와 경주군이 통합되었다. 현재는 경상북도에 속하며, 4읍, 8면, 11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산업은 농업과 관광이며, 많은 문화재와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경주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경주 역사유적지구와 석굴암, 불국사를 비롯하여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벚꽃 마라톤 등 다양한 축제와 행사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주시 - 경주신문
    경주신문은 1989년 창간된 경주 지역 주간 신문으로, 시민 참여 확대와 지역사회 공헌 활동을 통해 시민 저널리즘을 장려하고 있다.
  • 경주시 - 문천회맹
    문천회맹은 임진왜란 초기 영남 지역 의병장들이 경주부윤 윤인함과 판관 박의장을 중심으로 경주 문천에 모여 왜군에 대한 결사항전을 다짐한 회합으로, 영남 의병들의 조직적인 항쟁에 영향을 미쳤다.
  • 경상북도의 도시 - 상주시
    상주시는 경상북도 서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사벌국에서 유래하여 신라, 고려, 조선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농업 기반 경제, 풍부한 문화유적, 뛰어난 교통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고, 현재 인구 감소에 대응하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경상북도의 도시 - 구미시
    구미시는 경상북도 중서부에 위치하며,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급속한 산업화를 이루어 대한민국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자원을 보유한 인구 약 40만 명의 도시이다.
  • 경주시의 행정 구역 - 내남면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내남면은 1906년 경주군 내남면으로 시작하여 1995년 경주시 내남면으로 확정되었으며, 경주 남산을 포함하고 반구대로 등의 도로가 지나간다.
  • 경주시의 행정 구역 - 건천읍
    경주시 건천읍은 11개 법정리로 이루어진 읍으로, 경부고속선과 동해선이 지나고 주요 도로와 나들목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며, 고분군과 단석산 등 문화재와 관광 명소가 있다.
경주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경주시
로마자 표기Gyeongju-si
한글 표기경주시
한자 표기慶州市
옛 이름서라벌
위치대한민국 경상북도 남동쪽 끝
지역영남 지방
면적1324.39 km²
인구245,365 명 (2024년 9월 기준)
인구 밀도212 명/km²
방언경상도 방언
설립57 BC
행정 구역4 읍, 8 면, 11 동, 305 리
시장주낙영
시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시목소나무
시화개나리
시조까치
마스코트관이와 금이
경주시 휘장
경주시 휘장
경주시 기
경주시 기
경주 랜드마크 사진 콜라주
위쪽 왼쪽: 동궁과 월지; 위쪽 오른쪽: 성덕대왕신종; 중간 왼쪽: 석굴암; 중간 오른쪽: 불국사; 아래쪽 왼쪽: 양동마을; 아래쪽 오른쪽: 첨성대.
시간대
시간대한국 표준시 (UTC+9)
지리
서울과의 거리약 370 km
해안까지의 거리약 55 km
교통
지역 번호+82-54
문화유산
유네스코 세계유산경주 역사 유적 지구
세계문화유산양동마을
관광
인기 관광지인사동에 필적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경주시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웹사이트경주시 일본어 웹사이트
기타
이전 명칭금성

2. 역사

경주는 상고시대 진한 12국 중 사로국이었다. 기원전 57년 신라 건국 후 56왕 992년간 왕조를 이어왔으며, 서라벌[234] 또는 계림이라 불렸다.

삼국시대에는 신라의 수도였으며, 고려 태조 18년인 935년 경주로 칭했다. 이후 987년에는 동경(東京)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1012년 다시 경주로 되었다가, 1308년 계림부로 개칭하였다.

조선 때는 경주부로 불렸으며, 1895년 고종의 대대적인 행정 개편으로 경주군으로 개칭되었다. 1955년 9월 1일 경주군 경주읍과 내동면 등이 경주시로 승격되고, 경주군은 월성군(月城郡)으로 개칭되었다. 1989년 1월 1일 월성군을 경주군으로 개칭하였다. 1995년 1월 1일 경주시와 경주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형태의 경주시가 설치되었다. 2021년 4월 1일 양북면을 문무대왕면으로 개칭하였다.

20세기 초에는 수세기 동안 거의 손상되지 않고 남아 있던 무덤 내부를 중심으로 많은 고고학 발굴이 이루어졌다.[43] 발굴된 유물을 전시하기 위해 현재의 경주국립박물관의 전신인 박물관이 1915년에 개관했다.[44]

경주는 일제 강점기 후반 동해남부선중앙선이 개통되면서 철도 교차점으로 부상했다.[45][46] 해방 이후에는 한국 전쟁 발발에도 불구하고 경주의 대부분은 전투에서 피해를 입지 않고 남한의 통제하에 있었다.

1970년대 한국은 상당한 산업 개발을 경험했는데, 인근 포항의 포스코 제철소가 1973년에 가동을 시작했고, 같은 해 울산에 화학 제조 단지가 등장하면서[53] 경주 제조업 부문의 성장을 뒷받침했다.[22]

경주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895년23부제에 의해 경주부가 경주군으로 개편됨.(16면)
1896년13도제에 의해 경상북도 경주군으로 개편됨.
1906년외남면을 울산군에, 동해면을 장흥군에, 신광면과 기계면을 흥해군에, 죽장면을 청하군에, 북안면을 영천군에 각각 이관함.
1914년 4월 1일군면병합에 의해, 장흥군 내남면·양남면이 경주군에 편입되고, 그중 내남면은 양북면으로 개칭됨. (12면)[219]
1917년 10월 1일부내면이 경주면으로 개칭됨.(12면)
1931년 4월 1일경주면이 경주읍으로 승격됨.[221] (1읍 11면)
1937년 7월 1일양북면 감포리 외 8리를 감포읍으로 분리함.[222] (2읍 11면)
1949년 5월 20일강서면이 안강읍으로 개칭·승격됨.[223] (3읍 10면)
1955년 9월 1일경주시의 설치에 따라, 경주군을 월성군으로 개칭함.[224] (2읍 9면)
1973년 7월 1일서면의 일부가 건천읍으로 분리, 천북면의 일부가 안강읍에 편입.[225] (3읍 9면)
1975년 10월 1일내남면, 천북면, 양북면, 외동면의 일부가 경주시에 편입.[226] (3읍 9면)
1980년 12월 1일외동면이 외동읍으로 승격.[227] (4읍 8면)
1987년 1월 1일견곡면의 일부가 경주시에, 양북면의 일부가 양남면에 편입.[228] (4읍 8면)
1989년 1월 1일월성군이 경주군으로 개칭.[228] (4읍 8면)
1995년 1월 1일경주군이 경주시와 합병하여 경주시가 발족하고, 경주군은 소멸.[229]


2. 1. 신라 시대

기원전 57년 박혁거세 거서간이 이 곳에 금성(金城)을 쌓고 나라 이름을 서라벌이라고 하였다.[235] 기원전 32년에는 이곳에 궁실이 지어졌다.[236] 삼국시대에는 신라의 수도였으며 금성/서라벌(徐羅伐) 또는 계림이라고 불렸다. 신라 시대에 이 지역에는 다수의 지진이 발생한 기록이 있다.

황룡사지에 있었던 황룡사의 복원 모형.


경주는 기원 초기 삼한 시대에 사로국으로서 비한국의 기록에 처음 등장한다.[26] 한국 기록에는, 아마도 신라의 왕조 실록을 바탕으로, 사로국이 기원전 57년 경주 지역의 여섯 개 작은 마을이 박혁거세의 지휘 아래 통합되면서 건국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왕국이 확장되면서 이름을 신라로 바꾸었다.[25] 신라 시대에 이 도시는 "서라벌"(이 지명은 나중에 서울과 같이 한국어로 "수도"를 의미하는 단어로 발전한다),[26] "계림"(닭 숲이라는 뜻), 또는 "금성"(금의 도시 또는 금속 즉 난공불락의 요새라는 뜻)으로 불렸다.[27]

한반도 통일 이후인 668년 이후 경주는 한국 정치와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29] 이 도시는 신라 궁궐과 왕국의 엘리트 계층 대부분의 거주지였다. 경주의 번영은 전설이 되었고, 9세기의 책인 ''도로와 왕국의 책''에 따르면 페르시아까지 알려졌다.[30] 역사서인 ''삼국유사''는 전성기 시대 경주의 인구를 17만 8936호라고 기록하고 있는데,[27] 이는 총인구가 거의 백만 명에 달했음을 시사한다.[31][32][33] 경주에서 가장 유명한 유적지 중 많은 수가 10세기 초 고려(918~1392)에 의해 멸망하기 전까지의 통일 신라 시대의 것이다.[26][25]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재위 927~935)의 초상화. 태조에게 항복한 후 경주는 수도의 지위를 잃었다.

2. 2. 고려 시대



935년 고려 태조 18년에 경주로 칭했다.[34] 940년 고려 건국자 태조는 이 도시의 이름을 "경주"로 바꾸었는데,[34] 이는 문자 그대로 "축하할 만한 지역"을 의미한다.[35] 987년에는 동경(東京)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현종 3년인 1012년에 다시 경주로 되었다.[34][36] 경주는 영남도의 중심지가 되었으며,[26] 영남 중부 동부 지역의 대부분을 포함한 광대한 지역을 관할했지만,[26] 13세기에 이 지역은 크게 축소되었다.[34] 1308년(충렬왕 34) 계림부로 개칭하였다.

2. 3. 조선 시대

935년 고려 태조 18년에 경주로 칭했다. 이후 987년에는 동경(東京)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1012년 다시 경주로 되었다가, 1308년 계림부로 개칭하였다.[34][36] 경주는 영남도의 중심지가 되었다.[26]

조선 때는 경주부로 불렸으며, 1895년 고종의 대대적인 행정 개편으로 경주군으로 개칭되었다.[34] 조선 왕조 아래에서 경주는 더 이상 국가적으로 중요하지 않았지만, 지역적 영향력의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26] 1601년 도읍의 지위를 상실했다.[37]

수세기 동안 이 도시는 수많은 공격을 받았다. 13세기에는 몽골군이 황룡사의 9층 목탑을 파괴했다.[26][38] 임진왜란 동안 경주 지역은 격렬한 전장이 되었고,[26] 일본군은 불국사의 목조 건축물을 불태웠다.[39][40] 조선 초기에는 주자학의 급진적인 자들이 남산의 불상들을 크게 파손하여 팔과 머리를 잘라냈다.[41]

2. 4. 근현대

경주는 일제 강점기 후반 동해남부선중앙선이 개통되면서 철도 교차점으로 부상했다.[45][46] 1945년 해방 이후 한국은 혼란에 빠졌고, 해외 귀환자가 많아 현재 동천동에 그들을 위한 마을이 건설되었다.[47] 경주 지역은 산악 지대의 게릴라전 활동으로 악명이 높았다.[48]

1950년 한국 전쟁 발발에도 불구하고 경주의 대부분은 전투에서 피해를 입지 않고 남한의 통제하에 있었다. 그러나 1950년 말 잠시 동안 북한군이 낙동강 방어선을 남쪽으로 밀어붙이면서 도시 일부가 최전선에 위치하기도 했다.[49]

1970년대 한국은 상당한 산업 개발을 경험했는데, 인근 포항의 포스코 제철소가 1973년에 가동을 시작했고,[52] 같은 해 울산에 화학 제조 단지가 등장하면서[53] 경주 제조업 부문의 성장을 뒷받침했다.[22]

1955년 9월 1일 경주군 경주읍과 내동면 등이 경주시로 승격되고, 경주군은 월성군(月城郡)으로 개칭되었다. 1989년 1월 1일 월성군은 경주군으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다. 1995년 1월 1일 경주시와 경주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형태의 경주시가 설치되었다. 2021년 4월 1일 양북면을 문무대왕면으로 개칭하였다.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895년23부제에 의해 경주부가 경주군으로 개편됨.(16면)
1896년13도제에 의해 경상북도 경주군으로 개편됨.
1906년외남면을 울산군에, 동해면을 장흥군에, 신광면과 기계면을 흥해군에, 죽장면을 청하군에, 북안면을 영천군에 각각 이관함.
1914년 4월 1일군면병합에 의해, 장흥군 내남면·양남면이 경주군에 편입되고, 그중 내남면은 양북면으로 개칭됨. (12면)[219]
1917년 10월 1일부내면이 경주면으로 개칭됨.(12면)
1931년 4월 1일경주면이 경주읍으로 승격됨.[221] (1읍 11면)
1937년 7월 1일양북면 감포리 외 8리를 감포읍으로 분리함.[222] (2읍 11면)
1949년 5월 20일강서면이 안강읍으로 개칭·승격됨.[223] (3읍 10면)
1955년 9월 1일경주시의 설치에 따라, 경주군을 월성군으로 개칭함.[224] (2읍 9면)
1973년 7월 1일서면의 일부가 건천읍으로 분리, 천북면의 일부가 안강읍에 편입.[225] (3읍 9면)
1975년 10월 1일내남면, 천북면, 양북면, 외동면의 일부가 경주시에 편입.[226] (3읍 9면)
1980년 12월 1일외동면이 외동읍으로 승격.[227] (4읍 8면)
1987년 1월 1일견곡면의 일부가 경주시에, 양북면의 일부가 양남면에 편입.[228] (4읍 8면)
1989년 1월 1일월성군이 경주군으로 개칭.[228] (4읍 8면)
1995년 1월 1일경주군이 경주시와 합병하여 경주시가 발족하고, 경주군은 소멸.[229]


3. 지리

경주시는 서울특별시에서 약 370km 떨어져 있으며[238], 경상북도의 예전 도청 소재지인 대구광역시에서는 동쪽으로 약 55km 떨어져있다.[239] 부산에서는 북쪽으로 약 50km 떨어져 있다.[4]

경주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구분위치좌표비고
극동감포읍 오류리동경 129도 31분
극서산내면 신원리동경 128도 58분
극남산내면 대현리북위 35도 39분
극북강동면 단구리북위 36도 04분



경주는 경상북도 남동쪽 끝에 위치하며, 남쪽으로는 울산광역시와 접하고 있다. 도 내에서는 북쪽으로 포항시, 남서쪽으로 청도군, 북서쪽으로 영천시와 인접해 있다.[3] 동쪽은 바다와 접해있다.[3]

3. 1. 지형

경상북도 남동쪽 끝에 위치하며, 남쪽으로 울산광역시와 접하고 있다. 북쪽은 포항시, 남서쪽은 청도군, 북서쪽은 영천시와 닿아 있으며, 동쪽은 동해에 접한다. 태백산맥 하단부에 위치한 침식 분지 지형으로, 형산강지구대에 속하며 해발 100m 이하 저지대와 100~200m 구릉성 산지가 대부분이다. 서쪽에는 단석산계, 동쪽에는 동대산계가 있어 해안, 평원, 산악지방으로 구분된다.[237] 중앙 평원지방에는 형산강이 포항시 방향으로 흐르며, 그 주위로 충적평야인 형산강평야가 좁고 길게 펼쳐져 있는데, 이곳에 경주 시가지가 있다.

비교적 낮은 산맥들이 곳곳에 펼쳐져 있으며, 서쪽 가장자리를 따라 자리잡은 태백산맥이 높은 편이다. 경주에서 가장 높은 산은 문복산(해발 )이며 청도군과의 경계이다. 경주시 서쪽이자 태백산맥 동쪽 봉우리들은 주사산맥에 속하고, 동쪽 산들은 동대산맥과 기타 작은 산맥들에 속한다. 시가지를 중심으로 서쪽에 구미산, 남서쪽으로 단석산, 남쪽으로 남산(금오산), 동쪽으로는 토함산(높이 ) 등의 산이 있으며, 비교적 작은 산으로 소금강산, 명활산, 낭산 등이 있다.

하천의 방향은 산맥에 따라 나타난다. 동쪽의 동대산맥에서는 동해로 흐르는 작은 하천과 서쪽으로 흐르는 하천으로 나뉘며, 시 중앙부에서는 형산강으로 유입되어 포항시 영일만으로 흘러간다. 남부지역 하천은 태화강으로 향하여 울산만으로 빠져나가며, 태백산맥 너머 서부지역에는 낙동강으로 흘러가는 동창천이 있다.

북쪽의 포항과 남쪽의 울산을 사이로 의 해안선이 있다. 큰 이나 은 없으며 해안은 하천에 의해 조금씩 만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큰 항구는 없으나 어업 등을 위한 12개의 소규모 항구가 있다.

가을 산자락 울창한 숲으로 둘러싸인 목조 사당의 먼 풍경.


경주의 대부분은 경상분지에 위치하지만, 양북면의 어일리와 범곡리, 그리고 천북면 일부 지역과 같이 일부 지역은 포항분지에 속한다. 경상분지 지역은 주로 화강암반암을 중심으로 한 여러 퇴적암층을 관통하는 불국사 관입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 포항분지 지역은 신생대 제3기에 형성된 지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성암, 수성암, 반암, 사암, 그리고 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55]

지역을 남에서 북으로 관통하는 하천이 대부분을 배수한다. 가장 높은 산의 절반이 남쪽 경계에 있으며, 다른 산들은 대부분 서쪽, 특히 북서쪽에 밀집되어 있다.
경주의 주요 산맥과 배수 패턴. 높이의 산은 녹색, 이상의 산은 보라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회색으로 표시된 나머지 세 곳은 미만이다.


경주의 배수 패턴은 이러한 산맥의 형태에 따라 형성되었다.[8] 동대산맥은 동쪽의 좁은 구릉 지역과 서쪽의 다양한 내부 하천 시스템을 구분한다. 도시 내부의 대부분은 울산에서 북쪽으로 흘러 포항항에서 바다와 만나는 작은 형산강에 의해 배수된다. 형산강의 주요 지류에는 경주 분지에서 합류하는 북천과 남천이 있다.[8]

3. 2. 기후

경주는 온난 습윤 기후의 한랭한 변형으로 쾨펜 기후 분류는 ''Cfa''이다. 해안에 위치하여 경주는 한국 내륙 지역보다 기후가 다소 온화하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경주의 기후는 한국 남부의 전형적인 기후이다. 덥고 습한 여름과 서늘한 겨울이 있으며, 6월 말부터 8월 초까지는 몬순 계절이 있다. 한국 동해안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가을 태풍이 드물지 않다. 연평균 강우량은 1091mm이다.[240]

경주의 역사적인 시가지는 경주 분지의 형산강 기슭에 위치해 있다. 이 저지대는 기록된 역사를 통틀어 태풍으로 인해 반복적인 홍수 피해를 입었다. 평균적으로 연대기는 1세기부터 시작하여 27.9년마다 한 번씩 대규모 홍수가 발생했다고 기록하고 있다.[241] 20세기 후반에 도입된 현대적인 홍수 방지 시스템으로 인해 홍수 발생이 크게 감소하였다. 마지막 대규모 홍수는 1991년 태풍 글래디스로 인해 덕동호 저수지가 넘치면서 발생하였다.[242]

경주 (2011–2020년 평균, 극값 2010년–현재)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C)16.824.226.632.536.236.539.739.835.131.529.419.339.8
평균 최고 기온 (°C)5.98.414.419.725.727.730.631.426.221.615.37.719.6
평균 기온 (°C)0.32.37.412.718.421.925.425.920.514.88.71.913.4
평균 최저 기온 (°C)-4.7-3.11.06.011.717.021.421.916.29.33.0-3.28.0
최저 기온 (°C)-14.7-13.4-6.6-3.01.910.214.914.07.0-0.6-6.6-11.7-14.7
강수량 (mm)32.230.859.796.155.3100.6190.1191.9194.1108.237.824.41121.2
평균 강수일 (0.1 mm 이상)5.16.87.69.87.79.612.813.712.26.76.85.4(자료 없음)
상대 습도 (%)52.656.758.360.363.572.678.479.881.375.167.556.366.9
일조 시간 (시간)197.2179.1226.7218.8240.0182.1162.9180.9147.5178.5161.8186.22261.7

[70][71]

3. 3. 재해

경주는 경상분지에 위치하지만, 일부 지역은 포항분지에 속한다. 경상분지 지역은 화강암반암 중심의 퇴적암층을 관통하는 불국사 관입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항분지 지역은 신생대 제3기 지층으로 화성암, 수성암, 반암, 사암, 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55] 이러한 지질학적 특성 때문에 경주에는 여러 단층이 발달해 있다.

3. 3. 1. 지진

경주시의 지질과 양산 단층, 울산 단층, 연일구조선, 와읍 분지


경주시에는 양산 단층울산 단층, 연일구조선이 교차하며 수많은 단층이 발달한다. 삼국시대에도 경주에서는 여러 차례 지진이 발생했다.

2016년 9월 12일 오후 8시 32분 경주시 남남서쪽 8km 지역에서 리히터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은 1978년 대한민국 지진 관측 이래 역대 가장 강력한 지진이었다. 진원지인 경주시에 큰 피해를 줬으며, 경상도는 물론 서울, 제주도, 일본 후쿠오카 등에서도 진동을 느낄 수 있었다고 한다. 2017년 포항 지진과 함께 대한민국이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 지진이었다.

4. 정치·행정

경주시의 행정부는 시장과 부시장이 이끌며, 시장은 직선제로 선출되고 부시장은 임명된다.[72] 경주시의회는 2009년 기준 21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79][80] 현재의 시의회는 1991년 기존 경주시의회와 월성군의회가 합쳐져서 만들어졌다. 경주의 대부분 하위 행정구역은 시의회에서 한 명의 대표를 선출하지만, 인구가 많은 안강읍은 두 명의 대표를 선출하고, 두 명의 대표는 두 개 동으로 구성된 통합 지역을 대표한다. 시의원들은 2006년에 마지막으로 선출되었지만, 최근 보궐선거를 통해 선출된 소수의 시의원들이 있다.

중앙 행정부는 시의회 위원회, 5개 부서(기획문화국, 자치행정국, 산업환경국, 건설도시국, 국민기업위원회, 총 29개 하위 부서), 2개 보조 기관(보건의료센터, 농업기술센터, 총 4개 하위 부서), 감사실(감사관), 6개 사업소로 구성된다. 또한 23개의 지방 행정 하위 부서가 있고, 각 하위 부서는 소규모 행정 직원을 둔 지방 사무소를 가지고 있다.[81] 2008년 12월 기준으로 시청 직원은 1,462명이었다.[82]

4. 1. 경주시장

현직 경주시장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당선된 주낙영이다.

낮고 아이보리색 건물 앞 주차장과 차들이 보입니다.
경주시청 (동천동)


경주시 행정부는 시장과 부시장이 이끈다. 다른 대한민국의 도시 및 군과 마찬가지로 시장은 직선제로 선출되고 부시장은 임명된다.[72] 2019년 기준으로 시장은 2018년 6월 13일 지방 선거에서 당선된 주낙영이다.[73][74] 그는 직선제로 선출된 경주시의 다섯 번째 시장이며, 현재 형태의 경주시를 이끈 여섯 번째 시장이자 1955년 이후 31번째 시장이다.[75] 영남 지역 대부분의 정부 수장들처럼 그는 보수적인 자유한국당 당원이다.[76][77][78]

4. 2. 국회의원

현직 국회의원은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김석기 의원이다.[72]

4. 3. 도의원

중부·성건·용강·황성배진석국민의힘경주시 제2선거구
감포·외동·양북·양남
동천·불국·보덕박차양국민의힘경주시 제3선거구
안강·현곡·강동·천북최병준국민의힘경주시 제4선거구
건천·내남·산내·서
황오·황남·월성·선도박승직국민의힘


5. 행정 구역

경주시의 행정 구역 면적은 1,324.41km2로, 경상북도에서 안동시에 이어 두 번째로 넓은 기초자치단체이다. 도시 지역인 시내 행정동(洞) 면적은 221.3km2이다. 행정 구역은 4, 8, 11행정동으로 구성되며, 그 아래 186법정리·, 301행정리, 332통, 3,200반으로 나뉜다. 시청 소재지는 동천동이다.[238]

경주시의 극동은 감포읍 오류리(동경 129도 31분), 극서는 산내면 신원리(동경 128도 58분), 극남은 산내면 대현리(북위 35도 39분), 극북은 강동면 단구리(북위 36도 04분)이다.[239]

구분위치좌표비고
극동감포읍 오류리동경 129도 31분
극서산내면 신원리동경 128도 58분
극남산내면 대현리북위 35도 39분
극북강동면 단구리북위 36도 04분



이름한자면적세대인구행정지도
감포읍甘浦邑44.83km23,1646,157
안강읍安康邑138.67km212,68229,695
건천읍乾川邑90.46km25,16310,808
외동읍外東邑109.76km28,11816,823
문무대왕면文武大王面120.06km21,9613,994
양남면陽南面84.95km23,2856,904
내남면內南面122.03km22,5215,205
산내면山內面143.03km21,8903,307
서면西面52.13km21,8853,671
현곡면見谷面55.78km25,77616,282
강동면江東面81.48km23,5547,268
천북면川北面58.21km22,4115,426
중부동中部洞0.93km23,1496,370
황오동皇吾洞1.33km24,0308,283
성건동城乾洞6.44km28,57417,758
황남동皇南洞22.16km23,4076,690
선도동仙桃洞28.02km25,81315,388
월성동月城洞31.37km23,1196,768
용강동龍江洞5.06km26,60818,716
황성동皇城洞3.84km29,89128,965
동천동東川洞5.26km210,31626,733
불국동佛國洞37.26km24,2499,042
보덕동普德洞80.96km21,0592,111
경주시慶州市1324.41km2112,625262,364



※ 2015년 2월 기준

경주시는 23개의 행정 구역(4읍 8면 11동)으로 나뉜다.[83][84] 동(洞)은 시 중심부를 구성하고, 읍(邑)은 비교적 큰 마을, 면(面)은 주로 시골 지역에 해당한다.[62][85]

경주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행정동·읍·면법정동·법정리
선도동서악동, 광명동, 충효동, 효현동
성건동성건동, 석장동
황성동황성동
용강동용강동
보덕동천군동, 신평동, 북군동, 손곡동, 덕동, 황룡동, 암곡동
불국동진현동, 마동, 하동, 평동, 남산동, 시래동, 구정동, 조양동, 사동
황남동황남동, 사정동, 탑동, 배동, 율동
중부동서부동, 동부동, 북부동, 노서동, 노동동
황오동황오동, 성동동
동천동동천동
월성동인왕동, 교동, 동방동, 도지동, 남산동, 평동, 구황동, 배반동
감포읍감포리, 나정리, 노동리, 전본리, 오류리, 전동리, 전촌리, 팔조리, 호동리
안강읍갑산리, 강교리, 검단리, 근계리, 노당리, 대동리, 두류리, 사방리, 산내리, 안강리, 양월리, 옥산리, 육통리, 청령리, 하곡리
건천읍건천리, 금척리, 대곡리, 묘량리, 방내리, 송선리, 신평리, 용명리, 조전리, 천포리, 화천리
외동읍개곡리, 과릉리, 구어리, 냉천리, 녹동리, 말방리, 모화리, 문산리, 방어리, 북토리, 석계리, 신계리, 연안리, 입실리, 제내리, 죽동리, 활성리
내남면노곡리, 덕천리, 망성리, 명계리, 박달리, 부지리, 비지리, 상신리, 안심리, 용장리, 월산리, 이조리, 화곡리
산내면감산리, 내일리, 내칠리, 대현리, 신원리, 외칠리, 우로리, 의곡리, 일부리
서면도리, 도계리, 사라리, 서오리, 심곡리, 아화리, 운대리, 천촌리
현곡면가정리, 금장리, 남사리, 내대리, 나원리, 무곡리, 상구리, 소현리, 오류리, 하구리
강동면국당리, 다산리, 단구리, 모서리, 안계리, 양동리, 오금리, 망성리, 유금리, 인동리, 호명리
천북면갈곡리, 덕산리, 동산리, 모월리, 물천리, 성지리, 신당리, 오예리, 화산리
양남면하서리, 환서리, 수렴리, 신서리, 서동리, 상계리, 신내리, 기주리, 석촌리, 석읍리, 효동리, 상로리, 나산리, 나월리, 읍천리
문무대왕면어일리, 와읍리, 용동리, 권이리, 호암리, 안동리, 장항리, 범곡리, 이십천리, 송천리, 죽전리, 두산리, 용당리, 구길리, 봉길리


6. 인구

신라시대 경주의 인구는 삼국유사에 따르면 "신라의 전성기에 도읍(경주)에는 178,936호가 있었다."(新羅全盛之時 京中十七萬 八千九百三十六戶)라고 하여 90만 명에서 120만 명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는 당대 아바스 칼리파국바그다드, 당나라장안과 함께 당시 아시아 3대 도시에 속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인구 25만 명으로 추산되는 발해의 상경용천부의 5배 이상으로 삼한을 통일한 신라의 국력을 상징한다.

1945년 광복 이후, 1950년 한국전쟁 당시 경주군의 인구는 22만 2천 명이었고, 1955년 승격 당시 경주시·월성군의 인구는 22만 9천 명이었다. 1960년대1970년대 이후 울산공업단지와 포항제철의 발달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전출자가 많아져 일시적으로 인구 증가율이 감소했다.

이후 인구는 증감을 반복하며 장기적으로는 감소 추세에 있다. 2020년 기준으로는 25만 3천여 명으로, 경상북도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다.



연도총인구
1970년280,106명
1975년287,833명
1980년289,234명
1985년274,803명
1990년267,491명
1995년273,968명
2000년275,842명
2005년267,872명
2010년256,150명
2015년259,773명
2020년253,502명



2020년 말 기준 인구는 253,502명, 121,505세대이며 면적은 1324.41km2이다. 신라 왕국이 가장 번성했을 때 경주는 약 100만 명의 인구를 가졌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2008년 경주시 인구의 4배에 달하는 수치이다.[3][32] 최근 경주는 전국적인 인구 고령화와 가구 규모 감소 현상을 보인다. 2008년 경주시의 가구 수는 105,009가구로 2003년보다 많았지만, 평균 가구 규모는 2.8명으로 감소하여 인구는 감소했다.[86]

대부분의 한국 중소도시와 마찬가지로 경주는 최근 몇 년 동안 인구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02년부터 2008년까지 경주시는 16,557명의 인구 감소를 경험했는데,[87] 이는 주로 취업을 위해 한국의 대도시로 이주하는 근로자들 때문이다. 2007년에는 매년 약 1,975명이 경주를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다.[88] 같은 기간 동안 출생아 수는 사망자 수보다 약 450명 더 많았지만, 이주로 인한 감소분을 상쇄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다.[89]

경주에는 소규모이지만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인구가 있다. 2007년 경주에는 4,671명의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었는데, 이는 전체 인구의 1.73%에 해당하며 2003년의 두 배가 넘는 수치이다. 이러한 증가는 주로 다른 아시아 국가 출신 이민자들에 의한 것으로, 그 많은 수가 자동차 부품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인구가 증가한 국가로는 필리핀, 중국, 타이완, 인도네시아, 베트남이 있다. 반면 일본, 미국, 캐나다 출신 거주자 수는 2003년에서 2007년 사이에 크게 감소했다.[90]

7. 경제

경주는 생산 취업 인구 중 농업 인구와 서비스 부문에 종사하는 인구가 많은데, 이는 농업 도시로서의 성격과 관광지로서의 지위가 높은 것을 보여 주고 있다. 경지 면적은 전체 면적의 약 19%로 적으나, 도시 근교 농업과 축산업이 발달했다. 특히 촉성 재배(참외·토마토)는 전국적으로 유명하며, 서울을 비롯하여 주요 도시에 많은 양을 공급한다.

관광 도시이기 때문에, 자연히 서비스업의 비중도 높다. 외지인을 상대하는 관광업으로 얻는 수입이 지역 경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256][257]

형산강이 합류하는 경주 분지에 자리잡은 경상북도 남부 지역의 문화재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였다. 공업보다는 농업과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은 도시며, 공업 지역은 주로 시 외곽의 울산광역시 혹은 포항시 경계와 가까운 쪽에 있다.

경지 면적 25,763.1㏊ 중에서 17,659㏊, 8,104㏊로서 논이 훨씬 많다. 주요 농산물··채소·사과··· 등이다.

갈탄의 매장이 있고 고령토·불석·규조토를 비롯 납석 광선도 생산한다. 이 지방 특산물인 법주는 외국인에게도 잘 알려져 있고, 제면·유기:특산물, 공업에 있어서도 가내 수공업으로 유기·창호지·무명·베·죽제품 등과 수산 가공업으로 한천·통조림 등이 있다. 용강공단에는 약 67개 공장이 입주해 있다. 월성군(현:경주시)에서 생산되는 창호지는 경주지로 알려져 있다.

경주의 명물 황남빵


황남빵·교동법주-감포-멸치젓·감포미역·안강찰토마토·산내더덕·감포전복·신라토기·모조금관·기마인물토기·은잔·두산명주·서라벌향수·넥타이 등이 유명하다.

관광업이 지역 경제의 핵심이기 때문에, 경주의 경제 구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서비스 분야다. 경주에서 가장 오래된 재래시장은 경주공설시장(중앙시장)과 옛 경주역 건너편의 성동시장 등이 시내 한복판에 있다. 그 외의 건천, 감포, 안강, 불국사 등지에도 시장이 존재한다. 2001년 11월에 경주 최초의 대형 할인마트인 홈플러스 경주점이 용강동에 열렸다.

시중은행 가운데 경주시에 지점 · 출장소를 둔 은행은 신한은행 (경주·경주법원·동국대 WISE캠퍼스)· SC제일은행 · 하나은행 · 우리은행 · KB국민은행 (경주) · 중소기업은행 · iM뱅크 (경주·경주시청·황성·용강)이 있다. 농협NH농협은행 경주시지부(노동동)와 단위농협 9개(경주, 산내, 동경주, 불국사, 신경주, 양남, 외동, 천북, 현곡)가 있다. 수협수협은행이 없고 단위수협인 경주시수협만 있으며, 1개 지점(감포)과 2개 지소(경주 · 황성)가 있다.

동국대학교 경주병원


경주시에는 인구에 비하여 많은 병·의원이 밀집해 있으며 종합병원 2개소(경주동산병원, 동국대학교 경주병원)가 있다.

경주시의 의료시설 현황 (2009년)
구분종합병원병원한방병원요양병원의원치과의원한의원합계
건수2개소13개소1개소9개소114개소46개소60개소245개소
병상수526명1,877명101명850명377명0명0명3,731명
의료인력 : 의사 420명, 약사 128명, 간호사 515명, 의료기사 266명
자료 : 꿈과 희망이 있는 도시 경주 - 경주시정 2010[258]



감포항


경주의 경제는 다양하다.[22][23] 관광이 경제에 중요하지만, 대부분의 주민들은 다른 분야에서 일한다. 숙박업 종사자 약 13,500명에 비해 제조업 분야에 27,000명 이상이 고용되어 있다.

제조업 부문은 인근 도시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경주와 울산, 포항, 대구를 연결하는 교통망을 활용한다.[22][24][150] 울산과 대구와 마찬가지로 자동차 부품 산업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50] 경주에 설립된 1,221개의 사업체 중 거의 3분의 1이 자동차 부품 제조에 관여하고 있다.[151]

어업은 특히 도시 북동쪽의 감포읍과 같은 해안 도시에서 이루어지며, 도시에는 436척의 등록 어선이 있다.[63] 경주의 어업은 상대적으로 불편한 운송 조건과 부대 시설 부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쇠퇴하고 있다.[23] 주로 꽁치, 멸치, 가오리가 어획되며 소량의 전복미역 양식이 이루어진다. 지역 특산품으로는 ''멸치젓'', 전복, 미역, 오징어가 있다.[152]

경주의 논


농업은 특히 경주의 외곽 지역에서 여전히 중요하다. 2006년 경주 통계 연보에 따르면, 논은 169.57km2의 면적을 차지하며, 이는 총 경작 면적 243.59km2의 70%에 해당한다. 나머지 74.02km2는 다른 작물과 농가가 차지하고 있다. 작물 생산은 형산강 근처의 비옥한 강 유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주요 작물은 쌀, 보리, 콩, 옥수수이다. 배추와 같은 채소와 과일도 중요한 작물이다. 사과는 주로 건천읍, 강동면과 천북면 지역에서 생산되며 는 건천읍과 안강읍에서 재배된다. 경주는 국내 소고기와 버섯 생산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건천읍에서 수확한 양송이버섯은 통조림으로 가공되어 수출된다.[22] 그러나 경작 면적과 농업에 종사하는 가구 수는 감소하고 있다.[23]

경주에는 46개의 활성 광산과 채석장이 있으며, 소량의 채석 활동이 이루어진다. 대부분은 카올린, 형석활석[153] 채취에 종사하며, 카올린은 수출된다.[154]

성동시장의 과일 가게


신라의 수도로서 경주에서는 일찍부터 상업과 무역이 발달했다. ''삼국사기''에는 소지왕 재위 시절인 490년 3월에 ''경도시''(수도 지역 시장)가 설립되었고, 지증왕 재위 시절인 509년에는 ''동시''(동쪽 시장)가 설립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1830년대 경주에는 5일마다 열리는 시장이 다섯 개 있었는데, 1920년대 후반까지 매우 활발하게 운영되었다. 규모가 커서 ''경주 부내장''(경주 마을 시장)은 ''대구 부내장''과 함께 영남 지역의 두 대표 시장 중 하나로 불렸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 중앙선대구선 그리고 포항과 일본 북서부를 잇는 노선이 개설되면서 교통이 발달하여 인구가 증가하고 상업이 발전했다. 1960년대 이후 도시가 번영하면서 전통적인 정기 시장은 점차 상설 시장으로 변모했다. 정기 시장에서는 농산물과 수산물, 공산품, 생활필수품, 산나물, 약초, 가축 등이 주로 거래되었다. 2006년 현재 경주에는 상설시장 8개, 정기시장 9개, 경주백화점이 있었다. 전통적인 정기 시장은 쇠퇴하여 요즘에는 명목상의 의미만 남았다.[22][23]

고도라는 역사적 배경에서 관광업, 경주법주(慶州法酒)에서 보이는 식품산업, 최근에는 IT산업 등 입지 기업은 다채롭다. 동해에 면한 해안에는 월성원자력발전소도 존재한다.

8. 관광

경주는 한국의 대표적인 관광 도시 중 하나로,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유적지가 많아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에게도 인기가 높다. 도시 전역에 걸쳐 수많은 고대 유적과 문화재가 산재해 있어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경주시는 회의, 축제, 리조트 등 관광 관련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다.[155]

보문관광단지


첨성대


천마총


임해전지(안압지)


포석정


분황사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경주국립공원에는 왕릉, 첨성대[156], 안압지[155], 계림[157] 등 다양한 신라 유적이 있으며, 국립경주박물관에는 경주와 주변 지역에서 발굴된 국보급 유물이 다수 전시되어 있다.[155]

국보 제30호 분황사


불교는 신라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석굴암불국사는 199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된 최초의 한국 유적이다.[155][158] 황룡사 터와 남산 등지에서도 다양한 불교 유적을 찾아볼 수 있다.[155]

경주는 다양한 축제와 행사를 통해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1962년부터 매년 10월에 열리는 신라문화제는 신라의 역사와 문화를 기리는 대표적인 축제이다.[159][160][161] 이 외에도 벚꽃 마라톤,[162] 한국 전통주 및 떡 축제,[16] 추모식[135]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2006년 기준으로 경주에는 힐튼호텔, 경주 조선호텔 등 15개의 호텔과 276개의 숙박 시설, 2,817개의 음식점이 있었다.[23]

최근에는 황리단길이 새로운 관광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황리단길에는 식당, 카페, 기념품 가게 등이 밀집해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인기를 얻고 있다.[163]

경주는 관광업 외에도 식품산업(경주법주)과 IT산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하고 있으며, 동해 해안에는 월성원자력발전소가 있다.

8. 1. 문화재

경주시는 대한민국의 주요 관광지로, 도시 곳곳이 유적지나 고대 유물들로 채워진 거리 박물관이다. 가는 곳마다 그 옛날 문화의 정수를 담은 사찰, 석불 등 많은 사적지와 유물이 곳곳에 산재해 있어 찬란했던 그 때의 문화와 예술 그리고 왕조의 영화를 더듬을 수 있다. 신라 천년의 고도를 자랑하는 경주시는 최근 국제회의나 엑스포 축제를 성공리에 개최하여 역사적으로 유명한 이미지뿐만 아니라 국제적 위상까지 성공적으로 끌어올렸다.

문화재 보유율은 전국의 5.5%, 경상북도의 30%로 총 396점이다. 국가지정문화재는 국보 30점, 보물 76점, 사적 72점, 중요민속자료 16점, 기타 6점이며, 도지정 유형문화재 28점, 무형문화재 1점, 기념물 17점, 민속자료 4점이 있다. 그 외 문화재자료 39점, 비지정문화재 107점으로 방대한 양의 문화재가 있다.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불국사석굴암을 등재했고, 2000년에는 남산지구, 월성지구, 대릉원지구, 황룡사 지구와 함께 경주역사유적지구로 등재되었다. 1998년 경주세계문화엑스포를 시작해, 1998, 2000, 2003, 2007 등 매년 4차례씩 열었다. 다만 유네스코가 1979년 경주를 세계 10대 유적지로 선정했다는 것은, 당시 일부 언론에서 오보를 낸 것이 백과사전에까지 등재되며 사실인 것처럼 전해지고 있으나, 이는 진실이 아니다.[244]

경주에는 국보 67점, 보물 92점, 사적 76점, 천연기념물 3점, 중요민속자료 30점 등이 있다. 신라 문화유산과 조선시대 건축물에 관심 있는 방문객들에게 한국에서 가장 중요한 목적지 중 하나다. 이 도시에는 31개의 국보가 있으며, 경주국립박물관에는 16,333점의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92] 유적과 사적지는 크게 고분과 그 유물, 불교 유적과 유물, 성곽과 궁궐터, 고대 건축물 등 네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선사시대 유적, 특히 무문토기는 경주 중심부, 천북면 모아리와 오야리 마을, 외동읍 죽동리 마을에서 발굴되었다. 고인돌은 강동면과 모아리 등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강동면 안계리 마을, 외동읍 죽동리와 입실리 마을, 조양동 지역 묘지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유물은 기원전 1세기부터 3세기까지의 삼한 시대를 보여준다.[93]

경주 중심부에는 35개 왕릉과 155개 고분이 있으며, 시 외곽에는 421개 고분이 있다.[94] 신라 고분은 경주 중심부(노서동, 노동동, 황남동, 황오동, 인왕동)에 주로 있다. 경주 서쪽 서악동에는 무열왕릉, 충효동에는 고분, 김유신 묘가 있다. 선덕여왕, 신문왕, 효공왕, 신무왕릉은 남산 기슭에, 헌강왕, 정강왕, 경명왕, 경애왕릉은 남산 산비탈에 있다. 남산 주변과 금강산 서쪽에서도 고분들이 발견되었다. 금관총, 서봉총, 천마총, 98호분 북쪽과 남쪽에서 발굴된 유물들은 신라 문화의 좋은 예시다.[93]
주요 문화재
박물관

금관총에서 발굴된 금관. 대한민국 국보 제87호.


성덕대왕신종


경주시 캐릭터 관이와 금이


국립경주박물관


불국사


다보탑


석굴암 절터


문무왕릉


대릉원

8. 2. 행사

(매주 금요일 저녁)시민의 날 행사매년 6월 8일시민화합한마당경주버섯축제매년 9월중경주버섯 홍보, 버섯 소비 촉진신라문화제매년 10월초개막제, 길놀이, 줄다라기 등경주 국제 마라톤매년 10월중 일요일국제 마라톤 도시 홍보



사정동에 있는 서라벌문화회관은 시내에서 유일한 예술 공연을 위한 공연장이었다. 그러나 무대 규모나 관람객 수 면에서 규모가 작아 공연 유치 및 관람객 수에 한계가 있어서 경주시에서는 새 공연장을 열기로 하고, 2010년 11월 6일 시내 북쪽의 황성동경주예술의전당을 개장했다.[254]

9. 교통

경주에는 한국철도공사의 두 개 지선이 교차하며, 주요 도로와 고속도로가 연결되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또한, 시내버스와 고속/시외버스 노선도 잘 갖춰져 있다.

경부고속도로동해고속도로가 경주를 통과하며, 건천 나들목, 경주 나들목, 남경주 나들목, 동경주 나들목을 통해 진출입할 수 있다.[23] 새만금포항고속도로강동면을 지나가지만, 나들목은 없다. 영천상주고속도로 개통으로 수도권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일반국도로는 국도 제4호선, 국도 제7호선(AH6),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5호선 등이 있다.[206][207][208][209][210][211][212]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도 경주를 지난다.[205]

주요 간선도로로는 건포산업로, 외현로, 동해대로(AH6), 반구대로, 서라벌대로 등이 있다.

경주는 인기 있는 관광지이기 때문에 한국의 주요 도시에서 대부분 직행 버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213] 경주고속터미널에서는 서울, 부산, 대구 등 주요 도시로 가는 고속버스를 탈 수 있다. 경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경상북도 각지와 경상남도, 동서울 등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9. 1. 철도

경주시는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두 개의 지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있다. 중앙선은 서울에서 경주까지 이어지며, 동대구역에서 시작하는 대구선 열차를 운행한다.[23] 경주에서 중앙선은 부산과 영덕군을 잇는 동해선과 연결된다.[23]

고속철도는 경주 시내를 직접 통과하지 않지만, KTX 경부고속선은 경주 시내 서쪽 건천읍에 있는 경주역에 정차한다.[214][215] 2010년 11월 1일 경부고속선 2단계 전용선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283]

성동동에 있었던 기존 구 경주역은 문화재와 인접한 지역으로 철로가 지나갔기 때문에, 유네스코의 권고로 중앙선과 동해선을 이설하면서 신 경주역으로 통합했다. 이에 따라 기존 성동동 경주역은 2021년 12월 28일에 폐역됐으며, 철도교통 체계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모량역도 이전하여 경부고속선(건천연결선), 동해선, 중앙선의 신호장으로 개편했다. 성동동 옛 경주역 시내버스 정류장은 "경주성동시장"으로 정류장명을 변경했다.

건천역이 폐역과 함께 아화역과 통합되고, 구 서경주역을 나원역과 통합한 후 폐역하면서 나원역이 서경주역으로 역명을 바꿨다.

한국 전통 지붕을 가진 1층 건물의 정면
경주역


2010년 11월 1일에 경부고속선 동대구역 - 부산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기존 경주역보다 남서쪽 9km 지점에 경주역(2023년 2월 6일 신경주역에서 역명 변경)이 신설되었다. 이 역에는 경유 열차의 약 절반이 정차하며, 가장 빠른 경우 서울역까지 2시간 10분, 수서역까지 1시간 55분, 부산역까지 28분이 소요된다.

시내 일반 열차 노선은 모두 무궁화호로 운행된다. 경주역에서 서울특별시로 가는 직통 열차는 중앙선 경유 청량리역행(1일 2회 왕복, 그 중 1회 왕복은 야간열차)뿐이며, 약 5시간 30분이 소요된다. 그 외에 영동선에 직통하는 정동진역행도 있다. 동해선 열차는 동대구역 - 경주역 - 부전역(부산광역시) 구간 운행이 중심이다.

9. 2. 도로



그 외에는 새만금포항고속도로강동면을 통과하지만, 면 내에 나들목은 없다. 경주시를 직접 지나가는 고속도로는 아니지만, 영천상주고속도로가 개통하면서 수도권으로 가는 거리가 대폭 단축됐다.

노선구간
국도 제4호선(영천시 북안면) ← 서면 - 건천읍 - 경주시 - 외동읍 - 문무대왕면 - 감포읍
국도 제7호선(AH6)(울산광역시 북구) ← 외동읍[285] - 경주시 - 천북면 - 강동면 → (포항시 연일읍)
국도 제14호선(울주군 범서읍) ← 외동읍 - 문무대왕면 → (포항시 오천읍)
국도 제20호선(청도군 운문면) ← 산내면 - 건천읍 - 현곡면 - 안강읍 - 천북면 - 강동면 → (포항시 연일읍)
국도 제28호선(영천시 고경면) ← 안강읍 - 강동면 → (포항시 연일읍)
국도 제31호선(울산광역시 북구) ← 양남면 - 문무대왕면 - 감포읍 → (포항시 장기면)
국도 제31호선(포항시 연일읍) ← 강동면 → (포항시 기계면)
국도 제35호선(영천시 북안면) ← 서면 - 건천읍 - 경주시 - 내남면 → (울주군 두서면)

9. 3. 버스

경주시의 시내버스는 85개의 노선, 169대의 차량을 운행하고 있다.[230] 시내버스는 좌석버스와 일반버스 두 종류가 있다. 그 외에도 울산시내버스가 외동읍 모화리까지, 포항시내버스가 감포읍, 안강읍, 강동면까지, 영천시내버스가 서면 아화리까지 운행한다.

경주는 한국의 주요 도시에서 대부분 직행 버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213]

10. 교육

경주에는 여러 도서관과 교육 기관이 있다. 조선시대부터 경주향교, 서악서원, 옥산서원 등이 이 지역에 자리 잡고 있었다. 1907년에는 공립 경주보통학교[259][260]가 개교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경주공립고등보통학교[261]가 설립되었다.

1979년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262]가 경주 최초의 대학교로 설립되었고, 1981년에는 학교법인 원석학원이 경주실업전문대학[263]을 개교했다. 2000년대 들어 인구 증가와 함께 학교 수가 늘어났지만, 2009년 이후 학생 수 감소로 일부 초등학교 분교장 등이 폐교되기도 했다.[264]

경주에는 47개의 초등학교, 20개의 중학교, 11개의 특성화 고등학교를 포함하여 20개의 고등학교, 3개의 대학교 및 대학원, 그리고 1983년 설립된 특수학교 경희학교가 있다. 유치원은 총 64곳이다.[265]

경주시의 학생 · 교직원 현황 (2008년)[266]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일반계 고등학교전문계 고등학교전문대학대학교대학원기타학교합계
2,959명18,051명10,137명5,063명5,012명3,137명19,930명1,740명146명66,175명
227명1156명672명399명434명111명987명45명63명4,094명



경주는 신라 시대 화랑도 교육 전통과 관련이 깊다. 화랑도는 불교와 애국심을 바탕으로 학문과 무술을 연마했다. 김유신 등 많은 신라 장군들이 화랑 출신이었다. 이 제도는 고려 시대에 쇠퇴하여 조선 시대에 해체되었으나, 20세기 후반 한국 무술의 한 형태로 부활했다.[178][179]

경주향교 건물


국학통일신라 시대인 682년에 설립된 국립 교육기관으로,[180] 유교 경전을 가르쳤다. 고려조선 시대에는 향교가, 후기 조선 시대에는 서원이 설립되었다.[181]

경주의 교육 제도는 다른 지역과 같으며, 모든 기관은 경상북도 교육청 경주 지사의 감독을 받는다.[182] 정신 지체 학생들을 위한 학교도 있다.[92]

밤에 본 경주 동국대학교 캠퍼스


경주에는 4개의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92] 서라벌대학교는 기술대학이며,[183][184] 동국대학교위덕대학교는 불교 기관이다.[185][186][187][188] 경주대학교는 관광에 중점을 둔다.[189]

'''사립'''

경주시에는 다음과 같은 도서관들이 있다.

경주시립도서관 본관

11. 스포츠

2008년 10월 10일 경주시민운동장에서 열린 제28회 경주시민체육대회


리그명팀명창단 연도홈 경기장
내셔널리그경주 한국수력원자력2003년경주시민운동장



2007년을 기준으로 경주시는 공공체육시설로 종합경기장 2개, 실내체육관 2개, 테니스장 2개, 수영장 1곳 등을 갖추고 있었다.[267][268] 황성동 황성공원은 1022350m2의 면적에 각종 공공체육시설을 구비하고 있는데,[269][270] 과거 이곳은 신라 시대 때 풍수사상에 따라 인공적으로 조성된 숲인 독산에서 유래하며, 화랑들의 훈련장이자 각종 놀이가 행해진 여가 활동장이었다. 진평왕을 비롯한 왕들의 사냥터로 이용되기도 하였다.[271][272] 1975년 도시근린공원으로 지정된 황성공원에는 종합경기장인 경주시민운동장, 축구장 7개와 풋살구장 1개로 구성된 축구공원, 실내체육관, 국궁장인 호림정, 1500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는 씨름장 등이 있다.[273] 게이트볼장과 인라인스케이트 연습장도 갖추고 있으며, 산책로와 자전거 도로도 조성되어 있다.[274]

경주시민운동장은 1982년에 개장하였으며,[267] 약 2만 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다.[269] 2005년 5월에는 ‘제4회 여성부장관기 전국여성 축구대회’가 열리기도 하였다.[275] 매년 10월 중순에는 동아경주마라톤대회가 경주시민운동장에서 개최된다.[274] 화랑대기 전국 초등학교 축구대회는 매년 8월 초중순에 열리고, 코오롱 구간 마라톤 대회는 매년 3월 말에 열린다.

경주시는 대한민국 여자 필드 하키 실업팀 중 하나인 경주시청 하키 팀의 연고지로, 안강읍 안강운동장 하키장에서 훈련하고 있다.[276][277] 1984년에 창설된 경주시청 여자하키팀은 경주시 체육청소년과에서 관리하며,[278][279] 창단 이후 약 10년간 성적 부진으로 해체 위기를 겪기도 했으나, 점차 성적이 개선되어 2000년도에는 종별선수권 대회와 전국체전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2002년에는 1번의 우승과 3번의 준우승을 기록했고,[278] 2008년에는 제51회 전국종별하키선수권대회에서 우승, 전국춘계남여하키대회와 협회장기 전국하키대회에서 각각 3위를 차지하였다.[280]

경주시는 매년 경주국제마라톤과 경주 벚꽃 마라톤, 두 개의 마라톤 대회를 개최한다. 10월에 열리는 경주국제마라톤은 정상급 선수들이 참가하며, 4월에 열리는 경주 벚꽃 마라톤은 아마추어 펀런 참가자들이 주로 참여한다. 벚꽃 마라톤은 1992년부터 개최되어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147]

12. 자매 도시

경주시의 자매결연 및 우호교류 도시는 다음과 같다.[286]

도시국가자매결연 시기
익산시대한민국1998년 1월 20일
나라시일본1970년 4월 15일
오바마시일본1977년 2월 13일
폼페이이탈리아1985년 10월 14일
베르사유프랑스1987년 4월 15일
시안시중화인민공화국1994년 11월 18일
후에시베트남2007년 9월 7일
니트라슬로바키아2014년 8월 21일
우사시일본2023년 10월 13일
츠저우시중화인민공화국2023년 9월 21일
부여군대한민국2008년 11월 20일
중랑구대한민국2019년 11월 18일
닛코시일본2009년 11월 11일
양저우 시중화인민공화국2008년 11월 24일
자오쭤 시중화인민공화국2009년 11월 5일
사마르칸트우즈베키스탄2013년 8월 2일
이스파한이란2013년 8월 20일
이창 시중화인민공화국2013년 10월 16일
청더시중화인민공화국2015년 10월 20일
아레키파페루2015년 11월 5일
가발라아제르바이잔2017년 3월 15일
룩소르이집트2019년 3월 14일
난핑시중화인민공화국2021년 7월 13일
트레비치체코2023년 8월 18일


13. 출신 인물

경주는 역사를 통틀어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해왔다.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는 전성기 시대 문화의 중심지였다.[32] 신라 시대 경주 주민 중 저명한 인물로는 설총최치원[95][96][97]과 같은 학자, 김유신[98]과 같은 장군 등 왕국의 주요 인물 대부분이 포함된다. 이 도시는 후대 왕조에서도 전통 한국 사상에 계속해서 기여했다. 최치원의 친척들인 최언위와 최항은 초기 고려의 구조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4][99][100] 조선 시대에 경주는 경상도의 다른 지역과 함께 보수적인 사림 파벌의 온상이 되었다. 이 파벌의 저명한 경주 출신 인물로는 15세기 지식인 이언적이 있으며, 그는 1572년부터 옥산서원에 배향되었다.[101][102][103] 현대에는 김동니와 박목월과 같은 작가들이 경주의 문화를 대중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고,[42][104][105] 영남대학교 재단을 설립한 부유한 사업가 최준도 경주 출신이다.[106]

일부 한국 가문들은 그 기원을 경주, 특히 신라의 지배 엘리트 계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예를 들어, 경주 김씨는 후대 신라의 통치자들로부터 계승되었다는 주장을 한다.[107] 경주 박씨한국어와 월성 석씨한국어는 신라 초기 지배 가문으로 그 조상을 거슬러 올라간다. 이 세 왕족들은 현대까지 경주의 역사 유적을 보존하는 데 강력한 역할을 했다.[108] 경주 최씨와 경주 이씨한국어 또한 신라 엘리트 계층으로 그 조상을 거슬러 올라간다. 경주 이씨의 저명한 인물로는 고려 시대 학자 이해현과 조선 시대 학자 이황이항복이 있다. 경주 이씨 출신의 현대 저명 인물로는 삼성그룹 창업주인 이병철이 있다.[109] 그러나 모든 경주 가문이 신라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경주 병씨는 조선 초기에 조성된 가문이다.[110][111]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gyeongju mayor https://www.gyeongju[...] 2024-01-01
[3] 웹사이트 Gyeongju-si http://100.nate.com/[...] Nate (web portal)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2
[4] 뉴스 S. Korean, US presidents to meet before APEC summit http://news.xinhuane[...] Xinhua News 2005-10-18
[5] 웹사이트 Population Gyeongju http://population.ci[...]
[6] 서적 The Expatriate Handbook: Seoul, Korea https://books.google[...] Hollym 2018-04-24
[7] 웹사이트 Kyŏngju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09-15
[8] 웹사이트 Natural environment of Gyeongju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5
[9] 서적 A History of the World in 100 Objects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1-10-06
[10] 서적 Arts of Korea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1] 학술지 The Legacy of Kyongju https://books.google[...] 1989-04-01
[12] 서적 After Pusan https://books.google[...] Faber & Faber 2013-01-17
[13] 웹사이트 Gyeongju, Korea's treasure house http://www.korea.net[...]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14] 서적 Korea's pottery heritage https://books.google[...] Seoul International Pub. House
[15] 서적
[16] 뉴스 Spring into Korea's Cultural Festivals http://www.etravelbl[...] Travel Blackboard 2005-03-04
[17] 웹사이트 Korea, Republic of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0-08-22
[18] 웹사이트 Gyeongju Yangdong Folk Village (UNESCO World Heritage) http://www.visitkore[...]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0-08-23
[19] 뉴스 Insa-dong Rivals Jeju as Most Popular Tourist Spot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09-05-05
[20] 학술지 Urban-Rural Integration Conflicts After 1994's Reform in Korea http://kocer.re.kr/f[...]
[21] 웹사이트 A Study on Analysis of Mode Choice Characteristics and Travel Pattern in Urban-Rural Integrated City http://168.126.177.5[...]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8-06-01
[22] 웹사이트 Industry and Transportation of Gyeongju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9-15
[23] 웹사이트 Industry and transport of Gyeongju http://100.nate.com/[...] Nate / Britannica 2009-08-07
[24] 서적
[25] 웹사이트 Silla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5
[26] 웹사이트 History of Gyeongju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5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Gyeongju: The Capital of Golden Sill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2-17
[31] 웹사이트 Exhibition Hall 1, History of Korean People http://www.nfm.go.kr[...] National Museum of Korea 2009-08-06
[32] 서적
[33] 방송 Where was the royal palace of Silla? http://www.kbs.co.kr[...]
[34] 서적
[35] 웹사이트 Gyeongju http://handic.nate.c[...] Nate Hanja Dictionary 2009-09-15
[36] 서적
[37] 서적 Michelin Green Guide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Michelin Travel & Lifestyle 2018-04-24
[38] 서적
[39] 서적
[40] 뉴스 My brilliant Korea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9-09-15
[41] 서적 Kookmin University
[42] 웹사이트 Gyeongju's storyteller, Kim Dong-ni http://world.kbs.co.[...] KBS (Korea) 2009-09-15
[43] 뉴스 Ancient Silla armor comes to light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09-09-15
[44] 웹사이트 Gyeongju National Museum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5
[45] 웹사이트 Donaghae Nambu Line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6
[46] 웹사이트 Donaghae Nambu Line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6
[47] 서적 Silla: Korea's Golden Kingdom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48] 서적
[49] 서적
[50] 논문 Economic Change and Regional Development Disparities in the 1990s in Korea http://www.ekoreajou[...] 2009-09-08
[51] 논문 The Evolution of Regional Economic Disparities in Korea http://www.ekoreajou[...] 2009-09-08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웹사이트 경주시 Gyeongju-si 慶州市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8-08
[56] 웹사이트 Munbok Mountain (Munboksan)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5
[57] 웹사이트 Gyeongju Busanseong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5
[58] 웹사이트 Toham Mountain (Tohamsan)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5
[59] 웹사이트 양북면 Yangbuk-myeon 陽北面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8-05
[60] 웹사이트 Taehwa River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5
[61] 웹사이트 Hyeongsan River Rift Valley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5
[62] 웹사이트 Statistical yearbook of Gyeongju 2008 : 2. Land and weather http://gyeongju.go.k[...] Gyeongju City 2009-07-13
[63] 웹사이트 Agriculture, Livestock industry, and Fisheries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website 2009-07-07
[64] 웹사이트 Greeting http://coast.kcg.go.[...] The National Maritime Police 2009-08-05
[65] 웹사이트 Main Operations http://coast.kcg.go.[...] The National Maritime Police 2009-08-05
[66] 웹사이트 Introduction of the police http://ulsan.kcg.go.[...] Ulsan Coast Guard, Korea 2009-08-05
[67] 웹사이트 Location and geography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website 2009-07-13
[68] 서적
[69] 서적
[70]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71]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72] 뉴스 http://www.hani.co.k[...] The Hankyoreh 2009-05-22
[73] 뉴스 Asia News Agency http://www.anewsa.co[...] anewsa.com 2010-07-01
[74] 뉴스 http://www.srbsm.co.[...] Seorabeol Sinmun 2010-06-07
[75] 웹사이트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Cyber Mayor room
[76] 뉴스 South Korea by-elections to test Lee's government http://www.channelne[...] Channel News Asia 2009-04-29
[77] 뉴스 http://www.chosun.co[...] The Chosun Ilbo 2006-05-15
[78] 뉴스 http://www.pressian.[...] 2005-04-07
[79] 웹사이트 Set-up of the Countcil/Organization of the Council http://kjcl.council.[...] Gyeongju City Council
[80] 뉴스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2009-07-27
[81] 웹사이트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2009-05-12
[82] 웹사이트 http://ebook.gyeongj[...] Gyeongju City
[83] 웹사이트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84] 웹사이트 http://news.gyeongju[...] Gyeongju Sibo
[85] 웹사이트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2007-12-31
[86] 웹사이트 2013 Statistical Report Gyeongju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87] 웹사이트 http://gyeongju.go.k[...] Gyeongju City
[88] 웹사이트 11. Internal Migration http://gyeongju.go.k[...] Gyeongju City
[89] 웹사이트 10. Vital Statistics http://gyeongju.go.k[...] Gyeongju City
[90] 웹사이트 Registered Foreigners by Major Nationality http://gyeongju.go.k[...] Gyeongju City
[91] 논문 http://www.korean.go[...]
[92]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Britannica
[93]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94] 웹사이트 http://www.gbtour.ne[...] Gyeongbuk-do province
[95] 서적
[96] 논문 Choi, chi-won's learning and activity in Tang China http://www.dbpia.co.[...] Academy of Korean Studies
[97]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98] 논문 An American Martial Arts Odyssey in Korea https://books.google[...] Active Interest Media, Inc. 2000-06-00
[99] 서적
[100]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Britannica
[101] 뉴스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102] 뉴스 http://100.nate.com/[...] Nate / Britannica
[103] 웹사이트 Angang area http://gyeongju.knps[...] Korea National Park
[104] 서적
[105]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106] 뉴스 http://www.segye.com[...] Segye Ilbo 2009-12-29
[107] 뉴스 Kim at large http://joongangdaily[...] JoongAngDaily 2006-02-12
[108] 서적 1982
[109] 뉴스 http://www.ilyosisa.[...] Ilyo Sisa 2004-07-29
[110] 뉴스 http://www.hankyung.[...] The Korea Economic Daily 2007-05-07
[111] 뉴스 http://news.hankooki[...] Hankook Ilbo 2006-01-26
[112] 서적 2007
[113] 서적 2003
[114] 서적 Handbook of Korea
[114] 웹사이트 World Heritage Committee twenty-fourth session https://whc.unesco.o[...] 2005-07-09
[115] 웹사이트 North Culture Vicinity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116]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117] 웹사이트 Regional Flavors in Seoul : Top 3 Restaurants of Gyeongsang-do & Gangwon-do Food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08-03-10
[118] 웹사이트 Korean Food Culture Series - Part 7: Local Foods http://www.visitkore[...]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08-02-05
[119] 간행물 http://www.daegubank[...] Daegu Bank 2002-08-30
[120] 간행물 http://san.chosun.co[...] 2008-11
[121] 뉴스 http://www.taxtimes.[...] Sejeong Sinmun 2002-03-07
[122] 웹사이트 Gyeongju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123] 뉴스 http://www.idaegu.co[...] Daegu Ilbo 2007-01-26
[124] 웹사이트 Liquor of Gyo-dong in Gyeongju (Local brewing) http://eguide.gj.go.[...] Gyeongju U-Tourism
[125] 웹사이트 Drinks of the Ancients http://skynews.co.kr[...] SkyNews
[126] 뉴스 http://www.munhwa.co[...] The Chosun Ilbo 2004-02-04
[127] 간행물 Analysis of Current Use of Local Food of Adults in Gyeongju Classified by Age http://kmbase.medric[...]
[128] 웹사이트 Travel Highlights http://www.visitkore[...] Korea Tourism Organization
[129] 뉴스 (Gourmet spot) Grandma's Haejangguk house in Yangjae-dong http://english.donga[...] The Dong-A Ilbo 2001-01-26
[130] 뉴스 http://www.munhwa.co[...] Munhwa Ilbo 2007-04-04
[131] 뉴스 http://idaegu.com/in[...] Daegu Ilbo 2005-04-07
[132] 뉴스 http://idaegu.com/in[...] 2005-07-01
[133] 뉴스 http://www.segye.com[...] Segye Ilbo 2009-02-05
[134] 웹사이트 XVI.Education and Culture >21. Sports facilities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135] 웹사이트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136] 웹사이트 http://www.tour.go.k[...]
[137] 뉴스 http://www.dailian.c[...] Dailian 2009-01-16
[138] 웹사이트 http://guide.gyeongj[...] Gyeongju U-Tourism
[139] 웹사이트 http://culture.gyeon[...] Gyeongju City
[140] 뉴스 http://idaegu.com/in[...] Daegu Ilbo 2006-04-10
[141] 웹사이트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9-16
[142] 뉴스 http://news.kukinews[...] Kookmin Ilbo 2009-09-16
[143] 뉴스 http://www.srbsm.co.[...] Seorabeol Sinmun 2009-09-16
[144] 뉴스 http://pohang.kbs.co[...] Korea Broadcasting System|KBS Pohang 2009-09-16
[145] 뉴스 http://www.srbsm.co.[...] Seorabeol Sinmun 2009-09-16
[146] 뉴스 http://idaegu.com/in[...] Daegul Ilbo 2009-09-16
[147] 뉴스 http://news.donga.co[...] The Dong-A Ilbo 2009-09-16
[148] 뉴스 http://idaegu.com/in[...] Daegu Ilbo 2009-09-16
[149] 웹사이트 3. Number of Establishments and workers, by Industry http://www.gyeongju.[...] 2009-09-08
[150] 뉴스 http://www.chosun.co[...] The Chosun Ilbo 2006-02-01
[151] 웹사이트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website 2009-08-02
[152]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9-16
[153] 웹사이트 7. Mining and manufacturing; Statistical yearbook of Gyeongju 2008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2009-08-20
[154] 웹사이트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8-20
[155]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6
[156] 웹사이트 Gyeongju Cheomseongdae http://www.heritage.[...] Korean National Heritage Online 2009-08-06
[157]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Britannica 2009-08-06
[158] 서적 Robinson et al. 2007
[159] 웹사이트 Baekje Cultural Festival: Celebrating the Glories of an Ancient Kingdom http://english.visit[...] Seoul magazine /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09-09-16
[160] 서적 Oppenheim
[161]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6
[162] 뉴스 'Info Plus: Marathon Prep' http://www.arirang.c[...] Arirang TV 2009-09-16
[163] 뉴스 http://news20.busan.[...]
[164] 서적 Oppenheim 2008
[165] 웹사이트 http://mediasis.kpf.[...] MediaSIS; Media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2009-09-16
[166] 웹사이트 http://www.bjynews.c[...] Right Local Media Solidarity (바른지역언론연대, Baereun Jigyeok Eollon Yeondae) 2009-09-16
[167] 웹사이트 http://register.itfi[...] 2009-09-16
[168] 뉴스 http://www.elenews.c[...] Electronics News (전자신문) 2009-09-16
[169] 뉴스 http://www.igynews.c[...] Gwangyeok News 2009-09-16
[170] 웹사이트 http://www.srbsm.co.[...] Seorabeol Sinmun 2009-09-16
[171] 웹사이트 About http://www.srbsm.co.[...] Seorabeol Sinmun 2009-09-16
[172] 웹사이트 http://www.cine21.co[...] Cine21 2009-09-16
[173] 웹사이트 http://www.cine21.co[...] Cine21 2009-09-16
[174] 뉴스 http://www.cine21.co[...] Yonhap / Cine 21 2009-09-16
[175] 웹사이트 http://kr.gugi.yahoo[...] Yahoo! Korea / Cine 21 2009-09-16
[176] 뉴스 http://www.segyetime[...] Segye Ilbo 2009-09-16
[177] 뉴스 http://www.segye.com[...] Segye Ilbo 2009-09-16
[178] 서적 Britannica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Encyclopædia Britannica 2006
[179] 웹사이트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9-16
[180] 웹사이트 'Gyeongju Hyanggyo (a local school annexed to the Confucian shrine)' http://eguide.gj.go.[...] Gyeongju City-Transportation System 2009-08-02
[181]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6
[182] 웹사이트 http://www.kbgjed.go[...] 2005-07-22
[183] 웹사이트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8-31
[184] 뉴스 http://www.dailian.c[...] Dailian 2009-08-06
[185]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6
[186]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6
[187] 뉴스 http://www.manbulshi[...] Manbul Sinmun 2009-08-06
[188] 뉴스 http://www.manbulshi[...] Manbul Sinmun 2009-08-06
[189]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6
[190] 웹사이트 Statistical yearbook of Gyeongju 2008 : 12. Health and Social Security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2009-08-06
[191] 뉴스 http://news.hankooki[...] Hankook Ilbo 2009-08-06
[192] 간행물 http://www.buddhistn[...] 2009-08-06
[193]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6
[194] 뉴스 http://www.idaegu.co[...] Daegu Ilbo 2009-08-06
[195] 웹사이트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2009-08-06
[196] 뉴스 http://info.waternow[...] Ministry of Environment of South Korea 2009-08-06
[197] 뉴스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Agency 2009-08-06
[198]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8-06
[199] 웹사이트 KHNP Fact Sheet http://www.candu.org[...] CANDU Owners Group 2009-08-31
[200] 뉴스 ATS wins South Korea nuclear deal https://www.thestar.[...] 2009-08-06
[201] 웹사이트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http://eng.knef.or.k[...] Korea Neclear Energy Foundation 2009-08-06
[202] 뉴스 TALKING DEALS; Help for Canada's Nuclear Industry https://www.nytimes.[...] 2009-08-06
[203] 보고서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in Korea http://www.nuke.hun.[...] Haceteppe University,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204] 보고서 FNCA consolidated Report: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in Korea http://www.fnca.mext[...] FNCA
[205] 뉴스 http://www.kmrnews.c[...] KMR News 2009-08-10
[206] 웹사이트 Route 4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8-10
[207] 웹사이트 Route 7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8-10
[208] 웹사이트 Route 14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8-10
[209] 웹사이트 Route 20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8-10
[210] 웹사이트 Route 28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8-10
[211] 웹사이트 Route 31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8-10
[212] 웹사이트 Route 35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8-10
[213] 웹사이트 Official Express Bus Website https://www.kobus.co[...] Kobus
[214] 뉴스 http://www.kookje.co[...] The Kookje Daily News 2009-08-06
[215] 뉴스 http://www.idaegu.co[...] 2009-08-06
[216] 웹사이트 Sister Cities https://www.gyeongju[...] Gyeongju 2020-04-13
[21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18] 법률 市条例第301号 1998-11-14
[219]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220] 기타 西面は内西面から改称
[221]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03号 1930-12-29
[222] 법률 朝鮮総督府令第80号 1937-06-28
[223] 법률 大統領令第99号 읍설치에관한건 1949-05-07
[224] 법률 法律第370号 慶州市設置に関する法律 1955-08-13
[225] 법률 大統領令第6543号 邑設置に関する規定 1973-03-12
[226] 법률 大統領令第7817号
[227] 법률 大統領令第10050号 京畿道始興郡儀旺邑等35個邑設置に関する規定 1980-10-21
[228] 법률 法律第4050号 烏山市等の12市及び泰安郡の設置と郡名変更に関する法律 1988-12-31
[229] 법률 法律第4774号 京畿道南楊州市等33個都農複合形態の設置などに関する法律 1994-08-03
[230] 웹사이트 https://www.pusannav[...]
[231] 웹인용 2023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32] 웹인용 2022년 6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33] 웹사이트 경주시청 홈페이지 http://www.gyeongju.[...]
[234] 서적 삼국사기 권제1 혁거세 거서간 條 삼국사기
[235] 서적 삼국사기 권제1 혁거세 거서간 條 삼국사기
[236] 서적 삼국사기 권제1 혁거세 거서간 條 삼국사기
[237] 저널 2008년도 경주시 통계연보 : 2.토지 및 기후 http://gyeongju.go.k[...] 2009-05-18
[238] 웹인용 Saving face for Australia http://www.brisbanet[...] Brisbane Times 2009-08-29
[239] 백과사전 Kyongju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09-08-27
[240] 웹인용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website 2009-07-13
[241] 서적 p. 6 2002
[242] 서적 p. 5 2002
[243] 보고서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244] 뉴스 경주 '세계 10대유적지' 사실무근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4-12-29
[245] 뉴스 "선덕여왕"뜨자 촬영지도 떴다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46] 웹사이트 경주 시민의날 기념 타임캡슐 매설 http://www.imaeil.co[...] 2009-06-29
[247] 뉴스 한중일 외교 15일 경주서 천안함 대응방안 논의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0-05-14
[248] 뉴스 하회ㆍ양동마을 세계유산 등재 확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8-01
[249] 뉴스 경주, 올해 경주관광활성화 원년으로 http://www.srbsm.co.[...] 서라벌신문
[250] 웹사이트 Regional Flavors in Seoul : Top 3 Restaurants of Gyeongsang-do & Gangwon-do Food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08-03-10
[251] 웹사이트 Korean Food Culture Series - Part 7: Local Foods http://www.visitkore[...]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08-02-05
[252] 논문 http://www.daegubank[...] Daegu Bank 2002-08-30
[253] 뉴스 이하석이 만난 경주 팔우정 해장국 https://www.yeongnam[...] 영남일보 2012-07-23
[254] 뉴스 '2010 경북 건축문화 대상' 경주예술의전당 6일 개관 https://n.news.naver[...] 매일신문
[255] 웹사이트 경주영어마을 홈페이지 http://www.gev.ac.kr[...] 2010-01-17
[256] 뉴스 경주 최대 중앙시장 개장 100년 기념 축제 https://news.naver.c[...]
[257] 뉴스 삼성테스코, 홈플러스 11번째 경주점 오픈 https://news.naver.c[...]
[258] 간행물 꿈과 희망이 있는 도시 경주 - 경주시정 2010 / 54페이지 보건·위생 http://ebook.gyeongj[...]
[259] 웹사이트 계림초등학교 학교 및 연혁 현황 http://www.gyerim.es[...]
[260] 웹사이트 http://www.gjnews.co[...]
[261] 웹사이트 경주중·고등학교 연혁 세부보기 http://www.kyongju.h[...]
[262] 웹사이트 1970년대 동국대학교 연혁 http://web.dongguk.a[...]
[263] 웹사이트 서라벌대학 연혁 http://home.sorabol.[...]
[264] 뉴스 소규모학교 15곳 통폐합 http://www.kyongbuk.[...] 경북일보
[265] 웹사이트 2008년도 경주시 통계연보 "14.교육 및 문화" http://www.gyeongju.[...] 2009-09-15
[266] 웹사이트 제55회 경주 통계연보(2015) http://www.gyeongju.[...]
[267] 웹사이트 ⅩⅥ.교육 및 문화 >21. 체육시설 http://www.gyeongju.[...] 경주시청
[268] 웹사이트 문화 http://www.gyeongju.[...] 경주시청
[269] 웹사이트 황성공원 (隍城公園 , Hwangseong park) 상세정보 http://www.tour.go.k[...] 2012-05-06
[270] 뉴스 황성공원 사유지 매입, 시민공간 변모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9-01-16
[271] 웹사이트 황성공원 http://guide.gyeongj[...] 경주문화관광
[272] 웹사이트 황성공원 http://culture.gyeon[...] 경주시청
[273] 뉴스 '안락한 휴식처 거듭날게요' http://idaegu.com/in[...] 대구일보 2006-04-10
[274] 백과사전 황성공원 隍城公園 http://www.encyber.c[...] 두산백과사전
[275] 뉴스 전국여성 축구대회 http://idaegu.com/in[...] 대구일보 2005-04-26
[276] 뉴스 (아테네를 향해 뛰는 사람들 (12―끝) 여자하키) 연휴는 사치…‘金’독기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04-01-20
[277] 뉴스 경주시청 이선옥 선수 세계하키 올스타 선정 http://www.srbsm.co.[...] 서라벌 신문 2008-12-06
[278] 뉴스 8월28일-수요화제 경주 하키팀 http://pohang.kbs.co[...] 포항 KBS 2002-08-28
[279] 뉴스 경주시청 하키팀의 열악한 현실 ‘충격’ http://www.srbsm.co.[...] 서라벌신문 2009-07-19
[280] 뉴스 경주시청 여자하키팀 우승 http://idaegu.com/in[...] 대구일보 2008-08-03
[281]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282] 텍스트
[283] 뉴스 울산∼서울 KTX 열차 첫 출발..좌석 매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1-01
[284] 뉴스 경주IC~버스터미널 잇는 강변로, 27년 만에 ‘완전 개통’ https://n.news.naver[...] 매일신문
[285] 텍스트
[286] 웹사이트 경주시청 홈페이지 http://www.gyeongju.[...] 2002-05-29 # 추정 날짜. 원본 텍스트의 date 값을 해석하여 변환했습니다. 정확한 날짜 형식이 아닌 경우 추정값으로 변환됩니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