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덩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덩화는 중국의 군인으로, 1910년에 태어나 1980년에 사망했다. 그는 1927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중국공농홍군에서 복무했으며, 대장정에 참여했다.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서 활약했으며, 한국 전쟁에 중국인민지원군 부사령관으로 참전하여 전반적인 전략과 전술을 주도했다. 펑더화이 귀국 후 사령관 겸 정치위원을 역임하며 휴전 협정을 이끌었다. 이후 선양 군구 사령관,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으나 펑더화이의 측근으로 해임되기도 했다. 문화 대혁명 이후 복권되어 군 계급을 되찾고 중국 과학원 부원장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왕훙원
    왕훙원은 문화대혁명 시기 4인방으로 부상하여 중국공산당 부주석까지 올랐으나 마오쩌둥 사후 체포되어 몰락한 정치인으로, 급격한 권력 상승과 몰락은 권력 남용과 개인숭배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후난성 출신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후난성 출신 - 우씽
    중국의 남성 음악가 우씽은 2018년 가족과 함께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데뷔, 2020년 "명일지자 슈퍼밴드"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인 후 은하계악단으로 데뷔하여 활동 중이며, 캐나다 요크 대학교 미디어 전공을 중단하고 음악에 전념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 훙쉐즈
    훙쉐즈는 중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 초기부터 홍군, 국공 내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며, 이후 중국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장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했다.
덩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덩화
덩화 (1955년)
이름덩화
원어 이름邓华
원어 이름 (언어)zh
개인 정보
출생일1910년 4월 28일
사망일1980년 7월 3일
출생지첸저우, 후난성, 청나라
사망지상하이, 중국
군사 정보
소속중국인민해방군
최종 계급상장
지휘선양 군구
주요 전투국공 내전
제2차 중일 전쟁
한국 전쟁
훈장팔일훈장 (1급)
독립자유훈장 (1급)
해방훈장 (1급)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덩화는 1910년 4월 28일 후난성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둬화이다. 중국 공산당 중앙당교 졸업생이기도 하다. 룽위안커우 전투에서는 불과 2명의 피해만 내는 등 군사 전술적인 재능이 뛰어났으며, 개국 상장 기념관에서 영웅으로 칭송받고 있다.[1]

2. 1. 중국 공산당 입당과 초기 활동

덩화는 1927년 3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2] 1928년 주더와 천이가 이끈 샹난 봉기에 참여하여 중국 홍군 제7사단에서 장교로 복무했으며,[2] 중국공농홍군에서 선전 중대장 등을 역임했다.[1]

2. 2. [[대장정]]과 [[항일군정대학]]

대장정에 참여하여 북부 산시성에 도착한 후, 홍군 학교(항일군정대학)에서 공부했다. 이후 홍군 제2사단 정치부 주임과 홍군 제1사단 정치위원을 역임했다.

2. 3.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

중일 전쟁 기간 동안, 덩화는 제1사단의 정치위원과 제5사단장을 역임했다.[1] 국공 내전에서 그는 처음에 동북 부사령관으로 복무했으며, 나중에 광둥성하이난섬을 점령하는 데 활약했다.[1] 1941년, 제4야전군 제15병단 사령관이 되었다.[2]

3. [[한국 전쟁]] 참전

1950년 덩화는 중국인민지원군 제1부사령관 겸 정치위원이 되어 펑더화이 원수를 보좌했다.[2] 1951년 7월 6·25전쟁 정전 회담에 중국 측 책임자로 참가했다.[3] 한국휴전협정 체결 이후 1955년부터 1959년까지 선양 군구 사령관을 역임했다.

3. 1. 주요 역할과 전략

덩화는 한국 전쟁 시기 중국인민지원군 부사령관으로 전반적인 전략과 전술을 주도하였다.[2] 1951년 7월 열린 6·25전쟁 정전 회담에 중국인민지원군 부사령관 겸 부정치위원 자격으로 중국 측 책임자로 참가했다.[3]

1950년 덩화는 중국인민지원군의 제1부사령관이 되었으며, 펑더화이 원수의 주요 보좌관이었다. 1951년 7월, 덩화는 전쟁 중단을 위한 군사 협상에 참여했으며, 협상이 결렬된 후 제6차 작전 계획 변경을 제안했고, 이 제안은 마오쩌둥 주석에 의해 채택되었다. 미국 주도의 UN군이 "추계 공세"를 시작했을 때, 덩화는 지원군을 지휘하여 주요 승리를 거두었다. 펑더화이가 1952년 중국으로 귀국한 후, 덩화는 중국인민지원군의 사령관 겸 정치위원을 역임했으며, 1952년 가을 반격을 지휘하여 1953년 한국 휴전 협정 체결을 이끌었다.

3. 2. 펑더화이 귀국 이후

1952년 펑더화이중국으로 귀국한 후, 덩화는 중국인민지원군의 사령관 겸 정치위원을 역임했으며, 1952년 가을 반격을 지휘하여 1953년 한국 휴전 협정 체결을 이끌었다.[2] 당시 중공군 사령관이었던 펑더화이는 중공군 내에서 명망은 높았지만, 실제 야전 지휘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평가가 많아, 덩화가 실질적으로 중국인민지원군을 이끌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4. 한국전쟁 이후 활동

덩화는 1954년 4월 중국으로 돌아와 선양 군구 사령관을 지냈고, 1955년 상장으로 임명되었다.[1] 부총참모장, 군사과학원 부원장 등 군의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1] 1956년 9월에는 제8차 중국 공산당 전국 대표 대회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불가리아를 방문하는 공식 대표단의 일원이었다.[1]

4. 1. 군 경력

1954년 4월 중국으로 돌아와 1959년까지 선양 군구 사령관을 지냈다.[1] 1955년 상장으로 임명되었고,[1] 부총참모장, 군사과학원 부원장 등 군의 중추를 역임했다.[1]

4. 2. 정치 활동

1956년 9월, 제8차 중국 공산당 전국 대표 대회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1] 같은 해, 유고슬라비아불가리아를 방문하는 공식 중국 대표단의 일원이었다.[1]

5. 말년

덩화는 1980년 7월 3일 상하이에서 7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덩화를 "당과 인민에게 충성하며, 당의 올바른 노선을 고수"한 "우리 당의 훌륭한 당원이며, 뛰어난 군 지휘관이자 정치 활동가"였다고 평가했다.[1] 덩화는 룽위안커우 전투에서 불과 2명의 피해만 내는 등 군사 전술적 재능이 뛰어났으며, 개국 상장 기념관에서는 영웅으로 칭송받고 있다.[1]

5. 1. [[문화 대혁명]]과 복권

1959년 덩화는 펑더화이의 측근이라는 이유로 중국 인민해방군에서 해임되었다. 이후 1960년부터 1977년까지 쓰촨성에서 기계화 농업 국장을 역임했다. 문화 대혁명 초기에는 비판을 받았으나, 1968년에 혐의가 철회되었다. 1977년 문화 대혁명이 끝난 후 완전히 복권되어 군 계급을 되찾고 중국 과학원 부원장이 되었다.

5. 2. 사망과 평가

덩화는 1980년 7월 3일 상하이에서 7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덩화 동지는 당과 인민에게 충성하며, 당의 올바른 노선을 고수했다. 그는 우리 당의 훌륭한 당원이며, 뛰어난 군 지휘관이자 정치 활동가였다"라고 평가했다.[1] 덩화는 룽위안커우 전투에서 불과 2명의 피해만 내는 등, 군사 전술적인 재능이 뛰어났으며, 개국 상장 기념관에서는 영웅으로 칭송받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http://dangshi.peopl[...]
[2] 뉴스 6·25 때 중공군 ‘당나라 군대’가 아니었다 http://www.joongang.[...] 중앙선데이 2016-06-19
[3] 뉴스 北수석은 얼굴마담… 원용희가 실세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3-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