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훙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훙원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문화대혁명 시기 상하이 노동자 출신으로 급부상하여 중국 공산당 부주석까지 올랐다. 만주국에서 태어나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이후 상하이 면화 제17공장에서 일했다. 문화대혁명 기간 중 상하이 노동자 혁명 조반 총사령부를 조직하고 상하이 공사를 결성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키웠다. 1973년 당 부주석에 올랐으나, 덩샤오핑의 부총리 취임을 반대하며 마오쩌둥의 신임을 잃었다. 마오쩌둥 사망 후 4인방으로 지목되어 체포되었고, 1981년 무기징역을 선고받아 복역 중 199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인방 - 야오원위안
    야오원위안은 중국의 문학 평론가이자 정치인으로 문화대혁명을 주도한 4인방 중 한 명이며, 희곡 비판을 통해 문화대혁명의 도화선을 만들고 권력을 행사하다 마오쩌둥 사후 체포되어 징역형을 살고 석방 후 사망했다.
  • 사인방 - 장춘차오
    장춘차오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자 작가, 이론가로, 문화대혁명 시기 4인방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권력의 핵심에 있었으나 마오쩌둥 사후 체포되어 수감되었고 가석방 후 사망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조남기
    조남기는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태어나 중국으로 이주하여 중국인민해방군에서 활동한 군인 겸 정치인으로, 6.25 전쟁 참전, 중국 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장,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을 지낸 소수민족 출신 유일한 상장이다.
  • 중국의 마르크스주의자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중국의 마르크스주의자 - 시진핑
    시진핑은 2012년부터 중국 최고지도자로, 반부패 운동 추진, '중국몽' 제시, 국가주석 임기 제한 철폐 및 '시진핑 사상' 당헌 명기 등을 통해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왕훙원
기본 정보
본명왕훙원
한자 표기王洪文
로마자 표기Wang Hongwen
출생일1935년 12월 6일
출생지만주국 신징 (현재의 중국지린성창춘시)
사망일1992년 8월 3일
사망지베이징 시
국적중화인민공화국
배우자추이진디
자녀2남 1녀
정치 경력
소속 정당중국 공산당 (1953년–1976년)
직책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주석
임기 시작1973년 8월 30일
임기 종료1976년 10월 6일
주석마오쩌둥
화궈펑
직책상하이 노동자혁명조반 총사령부 총사령관
임기 시작1966년 11월 6일
임기 종료1967년 2월 24일
주석류사오치
총리저우언라이
군사 경력
복무1950년-1956년
소속군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계급중위
참전한국 전쟁
기타
가족조부: 왕즈제
백부: 왕샤오쯔
형제자매: 남동생 3명, 누이동생 1명
학력소학교 중퇴
발음완 홍원
왕훙원 (1973년)

2. 생애

왕훙원은 1935년 일본 제국이 세운 괴뢰 국가인 만주국의 신징(현재의 지린성 창춘시)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어린 시절 부유한 집에서 돼지를 키웠다. 1951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통신병으로 복무했고, 1956년 제대 후 상하이 면화 17 공장의 보위과 간부가 되었다.

1966년 문화대혁명 시기 상하이에서 조반파(造反派) 조직을 결성하고 총사령관에 오르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1967년 상하이 시 혁명위원회 부주임, 상하이 면화 제17공장 혁명위원회 주임을 역임했다. 1969년1973년 중국공산당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73년에는 중앙정치국 위원, 중앙위원회 부주석에 올라 마오쩌둥, 저우언라이에 이어 당내 서열 3위가 되었다. 장칭 등 사인방과 함께 문화대혁명을 이끌었으나, 1976년 마오쩌둥 사망 직후 화궈펑 주석에 의해 체포되었다.

1977년 당에서 영구 제명되고 모든 직함을 박탈당했으며, 1981년 중화인민공화국 최고인민법원 특별법원에서 무기징역형을 선고받았다. 1992년 8월 3일 옥중에서 간암으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1935년 일본 제국이 세운 괴뢰 국가인 만주국의 수도였던 신징(현재의 지린성 창춘시)에서 태어났다. 5남매 가운데 맏아들로, 가난한 집안 사정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부유한 집에 들어가 돼지를 키웠고, 정규 교육은 3개월 남짓 사숙에서 배운 것이 전부였다.[7]

1951년 4월, 한국 전쟁에 파병된 중국인민지원군에 입대하여 압록강을 건너 제27군 제80사단에 배속되었다. 호위병과 통신병으로 복무했으며, 1952년 부대가 장쑤성 우시로 배치되면서 중국으로 돌아왔다. 1956년 제대한 후 상하이 면화 17 공장의 보위과 간부가 되었다.[7]

2. 2. 정치 활동

1966년 11월 6일 상하이에서 문화대혁명을 지지하는 조반파(造反派)를 조직하고, "상하이 노동자 혁명 조반 총사령부"(上海工人革命造反总司令部)라 칭하며 총사령관에 올랐다. 이후 이 직책을 통해 장춘차오를 만나 홍위병 집단에 참여하게 되었다. 1967년 1월 상하이 공사를 조직했고, 대담한 반란 지도자로서 전국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1967년 2월 24일 상하이 시의 혁명위원회 부주임이 되었고, 4월에는 상하이 면화 제17공장의 혁명위원회 주임이 되었다. 1968년 1월, 상하이시 방직국의 혁명위원회의 제1소집인에 올랐다.

1969년 4월 중국공산당 제9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에 선출되었다. 린뱌오(林彪) 사건 이후 왕훙원은 상하이 지역에서 사건 조사를 담당하게 되었고, 마오쩌둥(毛澤東)에게 직접 보고하였다. 1973년 8월, 중공 제10차 당대회에서도 중앙위원에 선출되었으며, 서열은 마오쩌둥저우언라이 다음이어서 광범위하게 주목을 받았다. 또한 제10차 당대회의 제1차 전체회의에서 중앙 정치국 위원이 되었고, 중앙정치국 상위, 중앙위원회 부주석에 올라 린뱌오 몰락 이후, 장칭 등의 사인방과 함께 문화대혁명을 이끌었다.

1973년 제10차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에서 38세의 나이로 중국공산당 부주석 2위, 그리고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3위에 올랐다. 당시 주석인 마오쩌둥(毛澤東)과 총리인 저우언라이(周恩來) 다음이었다. 혁명 이후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가장 젊은 위원 중 한 명이었으며, 37세의 나이에 상무위원회에 합류하였다. 그는 21세기 초에 취임한 뤄간(羅干)(2002년부터 2007년까지 상무위원회에서 활동, 1935년생) 등과 같은 나이였으며, 이는 왕훙원이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양성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1974년 마오쩌둥은 왕훙원을 4인방으로 비판하면서 그를 배제하기 시작했다. 대신 더 온건한 인물인 화궈펑(華國鋒)이 저우언라이의 후계자로 선택되었다. 1974년부터 1976년 초까지 마오쩌둥은 덩샤오핑(鄧小平)에게 많은 권력을 이양하여 당, 국무원, 군대의 일상 업무를 관할할 수 있도록 하였고, 왕훙원은 이러한 조치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였다.

마오쩌둥 사후인 1976년 10월 6일, 화궈펑 주석의 명령으로 사인방의 다른 멤버들과 함께 체포되어 조사를 받았다. 1977년 7월 중국공산당 제10차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는 "장칭, 장춘차오, 야오원위안, 왕훙원 반당집단에 대한 결의"를 통과시켜, 왕훙원을 당에서 영구제명하고, 당내 모든 직함을 박탈하였다. 1981년 1월 중화인민공화국 최고인민법원 특별법원은 피고인 왕훙원에게 무기징역형을 선고하는 한편 그의 정치적 권리를 영구 박탈하였다.[7]

2. 3. 몰락과 죽음

1976년 10월 6일, 화궈펑 주석의 명령으로 이른바 4인방의 다른 멤버들과 함께 체포되어 조사를 받았다.[1][2][3] 체포 당시 왕훙원은 자신을 체포하려던 요원 두 명을 죽였고, 제압당하기 전에 자신도 부상을 입었다.[4]

1977년 7월 중국공산당 제10차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는 "장칭, 장춘차오, 야오원위안, 왕훙원 반당집단에 대한 결의"를 통과시켜, 왕훙원을 당에서 영구 제명하고, 당내 모든 직함을 박탈하였다. 1981년 1월 중화인민공화국 최고인민법원 특별법원은 피고인 왕훙원에게 무기징역형을 선고하는 한편 그의 정치적 권리를 영구 박탈하였다.[7]

그 후 그는 계속 감옥에서 복역하다가 1992년 8월 3일 옥중에서 간암으로 사망했다.[5]

참조

[1]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on Trial: Mao and the Gang of Fou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3-07
[2] 뉴스 揭秘四人帮被抓过程:王洪文大吼猛扑叶剑英 http://news.sina.com[...] Haiwai Net 2015-01-09
[3] 뉴스 "四人帮"被捕:江青很平静 王洪文反抗最激烈 https://news.ifeng.c[...] 2009-11-05
[4] 서적 China Without Mao: the Search for a New Order Oxford University Press
[5] 뉴스 Last member of China's Gang of Four dies at 74 https://www.theguard[...] 2006-01-07
[6] 학술지 中国対外貿易機構の変遷(V-1) https://hue.repo.nii[...] 広島経済大学経済学会 2024-03-19
[7] 뉴스 Last member of China's Gang of Four dies at 74 https://www.theguard[...] 2006-01-07
[8] 웹인용 왕홍문, 「반등」 주도 https://www.joongang[...] 2023-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