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더는 하카계 출신으로, 신해혁명, 호국전쟁에 참여하고 윈난 육군 강무당에서 군사학을 공부한 중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다. 1922년 독일 유학 중 공산당에 가입, 난창 봉기를 지도하며 홍군을 이끌었다.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서 인민해방군 총사령관을 역임하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기여했으며, 1955년 원수 칭호를 받았다.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어려움을 겪었으나, 1973년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복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 국민주의자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중국 국민주의자 - 왕징웨이
왕징웨이는 청나라 말기 혁명 운동에 참여했던 중국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였으나, 중일 전쟁 시기 일본과 협력하여 친일 정부를 수립, 매국노라는 비판을 받으며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쓰촨 대학 동문 - 천원칭
천원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위 공산당 관리이자 법률 전문가로, 국가안전부장과 중앙정법위원회 서기를 역임하며 시진핑 주석의 반부패 운동을 주도하고 중국 내부 안보 강화에 힘쓰고 있다. - 쓰촨 대학 동문 - 바진
중국의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바진은 5·4운동의 영향으로 아나키즘 사상에 심취하여 사회 비판적인 작품을 발표했으며, 대표작인 '격류 3부작'과 '애정 3부작'을 통해 봉건적 가족 제도와 부조리를 비판했고, 문화대혁명 기간 탄압 이후 복권되어 수상록을 통해 문화대혁명을 반성하고 현대문학관 및 문혁 박물관 건립을 제창하는 등 사회 활동을 펼치며 중국 문학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주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존칭 | 원수 |
이름 | 주더 |
원어 이름 | 朱德 |
원어 이름 (언어) | zh |
로마자 표기 | Zhu De |
한어 병음 | Zhū Dé |
웨이드-자일스 | Chu Teh |
국제음성기호 | tʂú tĕ |
자 (이름) | 위제 |
자 (번체) | 朱玉階 |
자 (간체) | 朱玉阶 |
자 (로마자 표기) | Zhū Yùjiē |
자 (한어 병음) | Zhū Yùjiē |
자 (국제음성기호) | tʂú ŷ.tɕjé |
출생일 | 1886년 12월 1일 |
출생지 | 청나라 쓰촨성 이룽 현 |
사망일 | 1976년 7월 6일 |
사망지 | 중국 베이징 시 |
소속 정당 | 중국 공산당 (1925–1976) |
배우자 | 샤오쥐팡 (1912–1916, 사망) 천위전 (1916–1935, 사망) 우루오란 (1928–1929, 사망) 캉커칭 (1929–사망) |
자녀 | 주치 주민 |
모교 | 윈난 육군 강무당 |
별칭 | 주 총사령관 홍군의 아버지 |
소속 | 중국 공산당 중화인민공화국 |
군 종류 | 육군 팔로군 중국 공농홍군 국민혁명군 운남 군벌 |
복무 기간 | 1927–1976 |
최종 계급 |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대장 (국민혁명군, 중화민국) |
주요 전투 | 북벌 국공 내전 반공 포위전 장정 중일 전쟁 백단대전 |
정치 경력 | |
직책 | 제2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 |
임기 시작 | 1959년 4월 28일 |
임기 종료 | 1976년 7월 6일 |
이전 | 류사오치 |
계승 | 쑹칭링 (대행) |
직책 | 제1대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 |
임기 시작 | 1954년 9월 27일 |
임기 종료 | 1959년 4월 27일 |
주석 | 마오쩌둥 |
계승 | 쑹칭링 및 둥비우 |
직책 | 중국공산당 부주석 |
임기 시작 | 1956년 9월 28일 |
임기 종료 | 1966년 8월 1일 |
주석 | 마오쩌둥 |
직책 |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 |
임기 시작 | 1949년 11월 9일 |
임기 종료 | 1955년 3월 31일 |
이전 | 리웨이한 |
계승 | 둥비우 |
직책 | 중국 인민해방군 총사령관 |
임기 시작 | 1946년 11월 28일 |
임기 종료 | 1954년 9월 27일 |
이전 | 신설 |
이후 | 폐지 |
참고 | |
![]() |
2. 생애
하카계 출신으로 쓰촨성 이룽현의 가난한 소작농 가정에서 태어났다. 숙부의 도움으로 사숙에서 공부하고 슈차이(秀才)에 합격했으나, 근대 교육을 받고자 청두의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잠시 교사로 일했다. 이후 군인의 길을 선택하여 윈난성의 윈난강무당에 입학했으며, 재학 중 쑨원의 동맹회에 가입했다.
1911년 신해혁명과 1915년 호국전쟁에 참여하며 군 경력을 쌓았고, 젊은 나이에 군벌군의 소장까지 올랐다. 그러나 군벌 생활에 회의를 느끼고 1921년 군을 떠나 상하이에서 공산주의 사상을 접했다. 1922년 독일로 유학하여 사회주의 이론을 공부했고, 그곳에서 저우언라이를 만나 그의 도움으로 1925년경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공식 당 역사에서는 1922년 입당 신청 시점을 기준으로 하기도 한다.)
1926년 귀국 후, 1927년 제1차 국공합작 결렬 시 난창 봉기를 지도했다.[63] 봉기 실패 후, 1928년 징강산에서 마오쩌둥과 합류하여 중국 공농 홍군 제4군을 창설하고 군장이 되었다. 마오쩌둥과 함께 '주마오군'(朱毛軍)으로 불리며 게릴라 전술을 발전시켰고, 장시 소비에트 건설과 방어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34년 시작된 대장정에 참여하여 장궈타오와 함께 별동대를 이끌었으며, 1936년 중앙 홍군과 합류했다.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후 팔로군 총사령관에 임명되어 항일 전쟁을 지휘했고, 국공 내전 시기에는 중국 인민해방군 총사령관으로서 공산당의 승리를 이끌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중앙인민정부 부주석,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 인민해방군 총사령관 등 요직을 맡았다. 1954년 국가 부주석 겸 국방위원회 부주석에 임명되었고,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칭호를 받으며 10대 원수 중 수석이 되었다. 1956년에는 당 중앙위원회 부주석 및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어 최고 지도부의 일원이 되었으나, 정치적으로 두드러진 지도력을 발휘하지는 못했다는 평가도 있다.[64]
1959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대군벌"로 비판받으며 1966년 당 부주석 직에서 해임되고 정치국 상무위원 서열이 강등되는 등 정치적 시련을 겪었으나, 1973년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복귀했다. 1975년 국가주석제가 폐지되면서 전인대 상무위원장으로서 국가 원수 격의 지위를 가졌다. 1976년 7월 6일 베이징에서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주더는 마오쩌둥과 함께 중국 공산당 혁명의 상징적인 인물로, 특히 군사 분야에서의 공로가 크다. 마오쩌둥과의 긴밀한 관계는 "주마오"(朱毛)라는 별칭으로 상징되며, 혁명 과정 내내 변치 않는 동지애를 유지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연도 | 주요 활동 |
---|---|
1886년 | 12월 1일 쓰촨성 이룽현 출생 |
1909년 | 윈난 육군 강무당 입학, 중국동맹회 가입 |
1911년 | 신해혁명 참가 |
1915년 | 호국전쟁 참가 |
1922년 | 독일 유학 시작 |
1925년 | 중국 공산당 입당 (저우언라이 주선) |
1927년 | 난창 봉기 지도 |
1928년 | 마오쩌둥과 합류, 중국 공농 홍군 제4군 군장 취임 |
1934년 | 대장정 시작 |
1937년 | 팔로군 총사령관 취임 |
1946년 | 중국 인민해방군 총사령관 취임 |
1949년 |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 부주석 취임 |
1954년 | 국가 부주석 취임 |
1955년 |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서훈 (수석) |
1956년 | 당 중앙위원회 부주석 취임 |
1959년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취임 |
1966년 | 문화대혁명 중 당 부주석 해임 및 서열 강등 |
1973년 | 정치국 상무위원 복귀 |
1976년 | 7월 6일 베이징에서 사망 |
2. 1. 초기 생애 (1886년 ~ 1922년)

주더는 1886년 12월 1일, 쓰촨성 난충시 이룽현의 가난한 하카계 소작농 가정에서 태어났다.[1][2] 그의 가족은 원래 후난성과 광둥성에서 쓰촨성으로 이주해 정착했다.[1][2] 가난했지만, 친척(부유한 삼촌이자 백부)의 지원 덕분에[5] 1892년부터 지역 사숙(私塾, 조선 시대의 서당과 유사)에서 유교 경전을 공부할 수 있었고, 과거 예비시험인 슈차이(秀才, 조선의 생원과 유사)에 합격하기도 했다.
그러나 근대 교육을 갈망하여 1906년 청두로 가서 청두고등사범학당(현재 쓰촨대학)에 입학, 체육 교육을 공부하고 1908년에 졸업했다.[2] 이후 잠시 고향 이룽의 초등학교에서 체육 교사로 일했으나, 전통적인 교육 방식 대신 현대 과학과 정치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다가 해고당했다.[2]
정국의 불안정한 상황 속에서 군인의 길을 걷기로 결심하고, 1909년 윈난성 쿤밍에 있는 윈난강무당(군사학교)에 입학하여 군사학을 공부했다.[6] 재학 중 쑨원이 이끄는 혁명 조직인 동맹회에 비밀리에 가입했다.[7]
1911년 7월 학교를 졸업하고 잠시 교관으로 활동하다가,[9] 같은 해 10월 신해혁명이 발발하자 혁명군에 가담했다. 그는 윈난강무당 시절 스승이었던 차이 어 장군 휘하 부대에 합류하여 쓰촨성의 청나라 군대를 공격하는 전투에 참여했다.[8][10] 이후 1915년에는 위안스카이의 제정 복고 시도에 반대하는 호국전쟁에 차이어 군대의 연대장으로 참전했다.[10]
호국전쟁 이후 젊은 나이에 여단장(소장 계급 해당)까지 승진하며 군벌로서 경력을 쌓았으나,[10] 1916년 정신적 지주였던 차이어와 첫 번째 부인이 사망한 후 한동안 방황했다. 다른 군벌 지도자들처럼 아편에 심각하게 중독되었고 여러 명의 부인을 거느리는 등 호화로운 생활을 하기도 했다.[11] 그의 부대는 1920년 쓰촨에서 티베트 국경 지역으로 밀려났고, 이후 잠시 윈난성 정부의 공안 위원으로 활동했다.[12]
하지만 군 생활 중 목격한 농민들의 참혹한 현실과 혁명의 방향에 대한 고민 끝에, 1921년 군벌 생활에 회의를 느끼고 큰 결단을 내렸다. 스스로 아편 중독을 극복하고 재산을 정리했으며, 안정적인 군벌군을 떠나 새로운 길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1922년 초, 상하이로 가서 아편 중독을 완전히 치료받는 한편,[11] 쑨원과 중국 공산당의 주요 지도자였던 천두슈를 만났다. 주더는 천두슈에게 중국 공산당 입당을 요청했으나, 천두슈는 그의 군벌 경력을 문제 삼아 이를 거절했다.[13] 이 일을 계기로 주더는 유럽으로 유학을 떠나 더 깊이 있는 공부를 하기로 결심하게 된다.[12]
2. 2. 공산당 입당과 초기 활동 (1922년 ~ 1937년)

1921년 중국 국민당 군을 떠난 주더는 1922년 초 상하이에서 쑨원을 만나 독자적인 군대 조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후 중국 공산당 입당을 신청했으나, 리다자오는 그의 군 경력 때문에 망설이며 입당을 보류했다.[13] 실의에 빠진 주더는 같은 해 말, 동반자 허즈화와 함께 독일 베를린으로 건너가 사회주의 이론을 공부했다. 그는 1925년까지 독일에 머물며 한때 괴팅겐 대학교에서 공부했고,[14] 이곳에서 저우언라이를 만났다. 독일 유학 중 노동 운동에 참여했으며, 여러 학생 시위에 참여한 혐의로 두 차례 체포된 후 결국 독일에서 추방되었다.[15] 1925년 저우언라이의 주선으로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16] (중국 공산당 공식 역사에서는 1922년 리다자오에게 입당 신청을 했을 때 당원이 된 것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독일에서 추방된 후, 주더는 1925년 소련으로 가서 모스크바의 동방 노동자 공산대학에서 군사학과 마르크스주의를 공부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군벌 타도와 게릴라전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1926년 7월 중국으로 돌아와 쓰촨 군벌 양썬에게 북벌 지지를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4] 이후 제1차 국공합작 하에서 난창의 국민당군 지휘를 맡게 되었다.
1927년 제1차 국공 합작이 붕괴되자, 국민당은 주더에게 난창 봉기를 진압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주더는 오히려 저우언라이, 류보청 등과 봉기를 계획하고 자신의 부대를 이끌고 봉기에 가담했다.[14][17] 봉기는 실패로 돌아갔고, 주더는 국민당군에게 쫓기는 신세가 되었다. 그는 왕카이라는 가명으로 군벌 판스성에게 의탁하여 남은 병력의 피난처를 마련했다.[18]

1928년 초, 주더는 천이와 린뱌오의 도움을 받아 판스성으로부터 벗어나 1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후난성 남부를 거쳐 마오쩌둥이 있는 징강산의 공산당 해방구로 향했다.[19] 4월, 주더의 부대는 마오쩌둥의 부대와 합류하여 중국 공농 홍군 제4군(홍사군)을 결성했다. 주더는 군사령관, 마오쩌둥은 당 대표를 맡았다.[22] 이들은 홍군을 조직하고 "적이 진격하면 나는 퇴각하고, 적이 휴식하면 나는 교란하고, 적이 지치면 나는 공격하고, 적이 퇴각하면 나는 진격한다"는 16자결로 대표되는 게릴라 전술을 사용하여 국민당 토벌군을 격파하며 해방구를 넓혀나갔다. 주더와 마오의 긴밀한 협력 관계 때문에 홍군은 '주마오군'(朱毛軍)으로 불리기도 했으며,[24][25] 주더의 뛰어난 군사 지휘 능력은 그에게 큰 명성을 안겨주었고, 심지어 축지법을 쓰는 초능력자라는 전설까지 생겨났다.[23]
1929년, 장제스 군대의 압박으로 주더와 마오쩌둥은 징강산을 떠나 장시성 루이진으로 이동하여 장시-푸젠 소비에트를 건설했다.[26] 1930년부터 1932년까지 국민당의 네 차례에 걸친 대규모 토벌 작전을 성공적으로 분쇄하고 해방구를 계속 확장하여, 인구 300만 명 규모의 장시 소비에트를 세웠다. 주더는 1931년 루이진의 홍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7]
그러나 1934년, 제5차 토벌 작전에서 독일 군사고문단의 도움을 받은 국민당군의 진지전에 밀려 홍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29] 결국 장시 소비에트를 포기하고 1934년 10월, 장정이라는 대규모 전략 이동을 시작하게 되었다.[30] 장정 기간 동안 주더는 장궈타오와 함께 홍군 제1방면군(중앙홍군)과 별도로 제2, 제4방면군을 지휘했다. 장궈타오와의 노선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64] 주더는 부대를 이끌고 험난한 쓰촨성과 윈난성을 거쳐 1936년 10월 간쑤성에서 마오쩌둥이 이끄는 중앙 홍군과 합류하는 데 성공했다.
2. 3. 중일전쟁과 국공내전 시기 (1937년 ~ 1949년)
1937년 시안사건을 계기로 제2차 국공합작이 성립되고 항일 공동 전선이 형성되자, 홍군은 국민 혁명군 제8로군으로 개편되었다. 주더는 국민정부로부터 상장(대장) 계급을 받고 팔로군 총사령관에 임명되어[35] 각지에서 항일 작전을 지휘했다.1940년, 주더는 펑더화이와 함께 100여 개 연대를 동원한 대규모 공세인 백단대전을 계획하고 조직했다.[36] 이 작전은 일본군에게 큰 타격을 주었으나, 일본군이 이에 대한 보복으로 잔혹한 삼광작전(三光作戰, 모두 죽이고, 모두 불태우고, 모두 약탈하는 정책)을 벌이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초기에는 이 공세를 지지했던 마오쩌둥은 훗날 삼광작전을 유발한 주요 원인으로 백단대전을 지목하며 루산 회의에서 펑더화이를 비판하는 근거로 삼았다.[37]
1945년 일본 제국이 패망하자 국민당과의 국공 내전이 다시 발발했다. 팔로군은 인민해방군으로 개칭되었고, 주더는 계속해서 총사령관직을 맡았다. 그는 수적으로 우세했던 국민당군을 상대로 군을 지휘하여 여러 전투에서 승리했으며, 결국 국민당군을 타이완으로 몰아내는 데 크게 기여했다.
2. 4.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49년 ~ 1976년)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자, 주더는 중국 인민해방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38] 중앙인민정부 부주석 겸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 또한 1949년 11월부터 1955년 5월까지 초대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를 역임했다.[39]1954년 9월, 헌법 제정에 따라 국가 기구가 재편되면서 국가부주석 겸 국방위원회 부주석에 취임했다.[40] 인민해방군 총사령 직은 이때 폐지되었다. 1955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계급을 수여받아 10대 원수 중 수석이 되었다.[41]
1956년 제8기 당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제8기 1중전회)에서는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및 당 중앙위원회 부주석에 선출되어 마오쩌둥, 류사오치, 저우언라이 등과 함께 당 최고 지도부의 일원이 되었다.[64]
1959년 루산 회의에서 펑더화이를 비판하는 대신 온건하게 대하려 했으나, 이는 마오쩌둥을 만족시키지 못했다.[42] 회의 이후 주더는 펑더화이에 대한 충성심 때문에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에서 해임되었고,[35] 같은 해 4월 국가부주석 임기가 만료된 후에는 류사오치의 후임으로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로써 그는 군직 일선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1966년 문화대혁명이 시작되자, 그해 8월 제8기 11중전회에서 당 부주석 직에서 해임되었고, 정치국 상무위원 서열도 4위에서 9위로 강등되었다. 비록 상무위원 직은 유지했지만, 다음 해에는 린뱌오, 장칭 등 문혁 주도 세력에 의해 "대군벌"로 비판받았다. 그러나 저우언라이의 도움으로 체포되는 것은 면할 수 있었다. 1969년 제9기 1중전회에서는 정치국 위원으로 더욱 강등되었고, 같은 해 10월 린뱌오가 중-소 국경 분쟁을 빌미로 내린 소위 '1호 명령'에 따라 광둥성으로 이송되었다.[43][44][45]

린뱌오가 사망한 후인 1973년, 주더는 다시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복귀했다.[46] 1975년 1월, 국가주석 제도가 폐지되면서 전인대 상무위원장인 주더가 국가 원수 격의 지위를 갖게 되었다.
주더는 1976년 7월 6일, 베이징에서 향년 91세로 사망했다.[47] 그의 사망은 저우언라이가 사망한 지 6개월 후였으며, 마오쩌둥이 사망하기 불과 2개월 전이었다.[48][49] 3일 후 화장되었고 며칠 뒤 장례식이 거행되었다.[50][51]
3. 개인사
하카계 출신으로, 쓰촨성 난충시 이룽현의 가난한 소작농 가정에서 태어났다.[63] 숙부 주세린의 도움으로 5살 때부터 사숙(私塾)에서 유교 경전을 공부했고, 슈차이(秀才)에 합격하였다. 그러나 근대 교육을 원하여 1906년 청두로 가 청두고등사범학당(현재 쓰촨대학)에서 체육을 공부하고 잠시 체육 교사로 일했다. 또한 이 시기 비밀결사인 게라오회에도 가입했다.
1909년, 윈난성의 군사학교인 윈난 육군 강무당에 입학하여 군인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재학 중 쑨원이 이끄는 중국동맹회(후일 국민당)에 가입했고, 다음 해 신군 소위로 임관했다. 1911년 신해혁명이 발발하자 차이 어 장군 휘하에서 혁명에 참여했으며, 1915년 위안스카이의 제정 시도에 반대하는 호국전쟁에도 참가했다. 젊은 나이에 차이어 군벌군의 소장까지 진급했지만, 당시 다른 군벌 지도자들처럼 아편에 중독되고 여러 여성을 거느리며 호화로운 생활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후견인이었던 차이어가 사망하고, 농민들의 참혹한 생활을 목격한 후 변화를 결심했다. 1921년 아편을 끊고 재산을 정리했으며, 군벌군을 떠나 상하이로 가서 공산주의를 공부했다. 그는 쑨원과 공산당 지도자 천두슈를 만났다. 쑨원에게는 군벌과의 공조로는 혁명 성공이 불가능하며 독자적인 군대 조직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천두슈에게 공산당 입당을 요청했으나, 군벌 경력을 이유로 거절당했다.
1922년 실의에 빠져 독일 괴팅겐으로 유학하여 역사와 철학, 사회주의 이론을 공부했다. 그해 독일에서 저우언라이를 만났고, 그의 도움으로 1923년 공산당 입당이 허가되었다. (중국 공산당 공식 기록상으로는 1922년 리다자오에게 입당을 신청했을 때 당원이 된 것으로 간주한다.) 독일 유학 중 노동 운동에 두 차례 참가했으며, 두 번째 운동에서 체포되어 1925년 독일에서 추방되었다. 이후 소련으로 건너가 모스크바 중산대학에서 군사학을 공부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당시 군벌이 할거하던 중국의 상황을 분석하며, 지방 이권을 보호하는 자본주의와 군벌을 지지하는 쁘띠 부르주아를 낳는 사유재산제를 제한하는 사회주의 혁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군벌 타도와 게릴라전이 필수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가 제출한 게릴라전에 관한 보고서는 매우 치밀했다고 전해진다.
1927년 8월 1일, 난창 봉기를 지도했으나 봉기는 실패했다.[63] 이후 공산당의 군사 조직인 홍군의 주요 지도자로 부상하여 1928년 홍군 제4군 군장이 되었다. 이 무렵 징강산에서 마오쩌둥과 합류하여 "적이 진격하면 나는 퇴각하고, 적이 휴식하면 나는 교란하고, 적이 지치면 나는 공격하고, 적이 퇴각하면 나는 진격한다" (소위 십육자결)는 게릴라 전술을 기반으로 하는 팔로군의 기본 전략을 수립했다.
대장정 시기에는 장궈타오와 함께 별동대를 이끌었으나, 장궈타오가 북진에 반대하며 지휘권을 장악하려 하자 그와 행동을 함께할 수밖에 없었다. 1936년 10월 간쑤성에서 당 중앙과 다시 합류했다.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고 제2차 국공 합작이 이루어지자, 국민정부로부터 국민혁명군 상장(대장) 계급을 받고 팔로군 총사령에 임명되었다. 이후 국공 내전에서는 중국 인민해방군 총사령을 맡아 공산당의 승리를 이끌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중앙인민정부 부주석 겸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 선출되었고, 인민해방군 총사령 직은 유지했다. 1954년 헌법 제정으로 국가 기구가 개편되면서 국가 부주석 겸 국방위원회 부주석에 취임했고, 인민해방군 총사령 직은 폐지되었다. 1955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계급을 수여받아 10명의 원수 중 수석이 되었다. 1959년 마오쩌둥이 국가주석직에서 물러나고 류사오치가 후임 주석이 되자, 주더는 류사오치의 후임으로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에 선출되었다.
당내에서는 1945년 중앙정치국 위원 및 중앙서기처 서기로 선출되었고, 1956년 제8기 1중전회에서는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및 당 중앙위원회 부주석에 올라 마오쩌둥, 류사오치, 저우언라이 등과 함께 최고 지도부의 일원이 되었다. 그러나 다른 지도자들에 비해 정치적으로 두드러진 활동을 보이지는 않았다.[64]
문화대혁명이 시작되면서 시련을 겪었다. 1966년 8월, 제8기 11중전회에서 당 부주석 직에서 해임되었고, 전인대 상무위원장과 정치국 상무위원 직은 유지했으나 서열이 4위에서 9위로 강등되었다. 이듬해에는 린뱌오, 장칭 등 문혁 주도 세력에게 "대군벌"로 비판받았으며, 1969년의 제9기 1중전회에서 정치국 위원으로 강등되었다. 린뱌오가 사망한 후인 1973년,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복귀했다.
1975년 국가주석제가 폐지되면서 전인대 상무위원장으로서 국가 원수 격의 지위를 가졌다. 1976년 7월 6일, 베이징에서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주더는 마오쩌둥과 같은 농촌 출신으로 서로 깊이 신뢰하는 관계였으며, "마오-주" 또는 "주-마오"로 함께 불릴 만큼 가까웠다. 정치적 격변기에도 마오쩌둥과 매우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장시성의 징강산 혁명 박물관에는 마오쩌둥과 나란히 선 그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과거 인민폐 100위안 지폐에는 마오쩌둥, 류사오치, 저우언라이와 함께 그의 초상이 그려지기도 했다.
연도 | 주요 경력 및 사건 |
---|---|
1886년 12월 1일 | 쓰촨 성 이룽에서 출생 |
1892년 | 사숙 입학 |
1906년 | 쓰촨성 난충 현 고급 소학당 입학 |
1907년 | 쓰촨 고등 학당 부속 체육 학당 편입 |
1908년 | 쓰촨성 이룽 현립 학당 체육 교관 및 서무계 |
1909년 | 윈난 육군 강무당 보병과 입학 |
1910년 | 신군 소위 임관 |
1911년 | 신해 혁명 참가 |
1915년 | 호국 전쟁 참가 |
1916년 | 군장으로 승진 |
1917년 | 여단장으로 승진 |
1922년 | 중국 공산당 입당 (실제 입당 허가는 1923년, 공식 기록상 1922년) |
1922년 - 1926년 | 독일, 소련 유학 |
1927년 8월 | 난창 봉기 참가 |
1928년 1월 | 샹난 봉기 참가 |
1928년 | 중국 공농 홍군 제4군 군장 취임 |
1931년 - 1935년 |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 중앙 혁명 군사 위원회 주석 |
1935년 - 1937년 |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 중앙 혁명 군사 위원회 부주석 |
1937년 | 팔로군 총사령 취임 |
1937년 - 1945년 | 중국 공산당 중앙 혁명 군사 위원회 부주석 |
1945년 - 1949년 |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 위원회 부주석 |
1946년 - 1954년 | 중국 인민 해방군 총사령 |
1949년 - 1954년 | 중화 인민 공화국 중앙 인민 정부 위원회 부주석 겸 인민 혁명 군사 위원회 부주석 |
1954년 - 1959년 | 중화 인민 공화국 부주석 겸 국방위원회 부주석 |
1954년 - 1969년 |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 위원회 위원 (1959년부터 상무위원) |
1955년 | 중화 인민 공화국 원수 (수석) |
1956년 - 1966년 |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주석 |
1959년 - 1976년 | 전국 인민 대표 대회 상무 위원회 위원장 |
1976년 7월 6일 | 베이징에서 사망 |
4. 평가
주더는 중국 공산당의 주요 혁명가이자 군사 지도자로서, 마오쩌둥과 함께 홍군 창설과 발전을 이끌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63] 그는 군사적 능력과 혁명에 대한 공헌으로 높이 평가받으며, 건국 이후 국가 부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등 최고위직을 역임하며 국가 원로로서 존경받았다.
윈난 육군 강무당 졸업 후 초기 군벌 활동을 거쳐 독일과 소련 유학을 통해 공산주의 혁명가로 변모했으며, 난창 봉기를 주도하며 홍군 창설의 주역이 되었다. 마오쩌둥과의 긴밀한 협력('주마오 군')을 바탕으로 게릴라 전술을 발전시켜 대장정, 중일 전쟁, 국공 내전 등에서 군사적 승리를 이끌었다. 특히 팔로군과 인민해방군 총사령관으로서 그의 역할은 결정적이었다.
그러나 그가 주도한 백단대전이 일본군의 잔혹한 삼광작전을 유발하여 민간인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과, 문화대혁명 시기 정치적 시련을 겪는 등[64] 논란의 여지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마오쩌둥과의 굳건한 관계를 유지하며 중국 공산당 내 군부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4. 1. 긍정적 평가
주더는 중국 공산당의 중요한 군사 지도자로서, 홍군 창설과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63] 하카계 쓰촨성의 가난한 소작농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숙부의 도움으로 교육을 받고 군인의 길을 걸었다. 1909년 윈난 육군 강무당에 입학하여 군 경력을 시작했고, 쑨원이 이끄는 중국동맹회에 가입하며 혁명 활동에 발을 들였다. 1911년 신해혁명과 1915년 위안스카이 제정 반대 호국전쟁에 참여하며 군 경력을 쌓았다.젊은 나이에 군벌군의 소장까지 올랐으나, 당시 다른 군벌 지도자들처럼 아편에 중독되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후견인 차이어(蔡锷)의 사망과 농민들의 참상을 목격한 후, 1921년 스스로 아편을 끊고 재산을 정리하며 군벌 생활을 청산하는 결단을 보였다. 상하이로 이주하여 공산주의를 접하고 쑨원, 천두슈 등 지도자들을 만났다. 1922년 독일 유학길에 올라 역사와 철학, 사회주의 이론을 공부했으며, 소련에서는 군사학, 특히 게릴라 전술을 깊이 연구했다. 그의 게릴라전에 관한 보고서는 매우 치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23년 저우언라이의 도움으로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1927년 제1차 국공합작 붕괴 후, 난창 봉기 진압 명령을 거부하고 오히려 봉기를 주도하며 국민당과 결별했다.[63] 봉기는 실패했지만, 이는 주더가 홍군의 주요 지도자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1928년 마오쩌둥이 있는 징강 산의 해방구에 합류하여 홍군 제4군 군장이 되었고, 마오쩌둥과 함께 홍군을 이끌었다. 이들은 "적이 진격하면 나는 퇴각하고, 적이 휴식하면 나는 교란하고, 적이 지치면 나는 공격하고, 적이 퇴각하면 나는 진격한다"는 16자결로 대표되는 게릴라 전술을 확립하여 국민당 군의 토벌 작전을 여러 차례 격파하고 해방구를 넓혔다. 당시 홍군은 '주마오 군'으로 불렸으며, 주더의 신출귀몰한 용병술은 그가 축지법을 쓴다는 전설까지 낳았다. 그는 장시 소비에트 건설과 장정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37년 중일 전쟁 발발과 제2차 국공 합작 성립 후, 주더는 국민혁명군 상장 계급을 받고 홍군이 개편된 팔로군의 총사령관에 임명되어 항일 전선을 이끌었다. 1940년에는 백단대전을 계획하고 실행하여 일본군에 상당한 타격을 주었다. 비록 이로 인해 일본군이 잔혹한 '삼광작전'으로 보복하는 빌미를 제공하기도 했으나, 이는 주더의 항일 투쟁 의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1945년 일본 패망 후 시작된 국공 내전에서는 인민해방군 총사령관으로서 수적으로 우세했던 국민당 군대를 격파하고 공산당의 최종 승리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주더는 마오쩌둥과 마찬가지로 농촌 출신 배경을 공유하며 깊은 신뢰 관계를 맺었다. '마오-주' 또는 '주-마오'로 함께 불릴 정도로 두 사람은 긴밀했으며, 주더는 정치적 격변기에도 마오쩌둥과의 우정을 지켰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에는 중앙인민정부 부주석, 국가 부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10대 원수 중 수석),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등 최고위직을 역임하며 국가 원로로서 존경받았다. 그의 업적은 징강산 혁명 박물관에 마오쩌둥과 나란히 세워진 동상과 과거 인민폐 100위안 지폐 도안 등을 통해 기려지고 있다.
4. 2. 부정적 평가
1940년 주더가 입안하여 실행한 백단대전은 일본군에게 큰 타격을 입히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일본군의 잔혹한 보복 작전인 삼광작전(三光作戰: 모두 죽이고, 모두 불태우고, 모두 약탈하는 정책)을 유발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비판이 있다. 이 삼광작전으로 인해 게릴라 배후 지역의 수많은 중국 민간인이 학살당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는 점에서, 백단대전의 전략적 성과와는 별개로 민간인 희생을 초래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또한, 젊은 시절 군벌군에 속해 있을 당시, 비록 위안스카이의 제정 복고에 반대하는 호국전쟁에 참여하는 등 공적을 세우기도 했으나, 다른 군벌 지도자들과 마찬가지로 아편에 중독되고 여러 명의 여인을 거느리며 호화로운 생활을 누렸던 사실이 있다. 이후 스스로 마약을 끊고 재산을 정리하며 새로운 길을 모색했지만, 초기 경력의 이러한 방탕한 모습은 비판의 여지를 남긴다.
5. 기타
과거 인민폐 100위안 지폐에는 마오쩌둥, 류사오치, 저우언라이와 함께 주더의 초상이 그려져 있었다.
중국 장시성에 위치한 징강산 혁명 박물관은 중국 공산당의 혁명 성지로 여겨지는 곳이다. 이 박물관 안뜰에는 마오쩌둥과 주더의 동상이 나란히 세워져 있으며, 마오쩌둥의 글씨로 쓰인 "승리적 기점"이라는 석조물이 함께 있다.
주더는 마오쩌둥과 같은 농촌 출신으로, 서로 마음을 터놓고 지내는 사이(간담상조)였으며 깊은 우정을 나누었다. 당시 사람들은 이들을 "마오-주" 또는 "주-마오"라고 함께 불렀으며, 주더는 정치적으로 적이 많았던 마오쩌둥에게 변함없는 의리를 지켰다.
참조
[1]
웹사이트
朱德的祖籍家世
http://family.netor.[...]
[2]
웹사이트
朱德《母亲的回忆》英译
http://www.putclub.c[...]
2014-10-01
[3]
서적
The Great Road
[4]
서적
The Great Road
[5]
서적
Mao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2-10-02
[6]
서적
China's Revolution and the Quest for a Socialist Future
1804 Books
[7]
웹사이트
The Manchu Qing Dynasty (1644–1911), Internal Threats
http://www.countries[...]
2011-09-26
[8]
서적
Provincial Patriot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V26N2 - Personality Profile: Zhu De [Chu Teh]
http://www.mindef.go[...]
2014-02-20
[10]
서적
Zhu-De (Chu Teh)
University of Queensland Press
[11]
서적
Dictionary of Contemporary Chinese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2]
웹사이트
Zhu De and his Marriages
https://web.archive.[...]
[13]
서적
Zhu-De (Chu Teh)
University of Queensland Press
[14]
간행물
The Chinese High Command: A History of Communist Military Politics, 1927–1971
Praeger Publishers
[15]
서적
Dictionary of Contemporary Chinese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6]
웹사이트
The legacy of overseas study for China's early leaders: Zhu De
http://www.china.org[...]
[17]
웹사이트
Zhu De
https://www.chinadai[...]
2021-06-16
[18]
웹사이트
Zhu De
https://spartacus-ed[...]
2021-06-16
[19]
서적
Mao's Road to Power: From the Jinggangsha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
웹사이트
The Chinese Communist Party 1927–37 – The development of Maoism – Part Six
http://www.marxist.c[...]
2012-11-09
[21]
서적
Mao: The Real Story
Simon and Schuster
[22]
서적
China Since 1919: Revolution and Reform : a Sourcebook
Routledge
[23]
웹사이트
Zhu De Early History Profile
https://web.archive.[...]
[24]
서적
Origins of the Chinese Revolution, 1915–1949
Stanford Press
[25]
웹사이트
Zhu De Biography
http://chineseposter[...]
[26]
웹사이트
Ruijin Revolutionary Memorial
http://www.chinacult[...]
[27]
서적
Mao's Road to Power – Revolutionary Writings, 1912–1949
https://books.google[...]
M.E. Sharpe
[28]
서적
Dictionary of Contemporary Chinese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9]
서적
Mao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01-02
[30]
웹사이트
The Long March 1934 to 1935
http://www.historyle[...]
[31]
서적
Mao Zedong, Zhou Enlai and the Evolution of the Chinese Communist Leadership
https://books.google[...]
[32]
서적
New Fourth Army
https://books.google[...]
[33]
웹사이트
Battle of Baizhangguan Pass
http://www.republica[...]
[34]
웹사이트
CCTV Eyewitnesses to history: Yan'an
http://www.cctv.com/[...]
[35]
백과사전
Zhu De
http://www.britannic[...]
[36]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books.google[...]
2014-01-10
[37]
서적
Mao Zedong as Poet and Revolutionary Leader
https://books.google[...]
[38]
서적
Distant Water
https://books.google[...]
[39]
웹사이트
朱德:中央纪委第一任书记
http://dangshi.peopl[...]
2024-08-02
[40]
웹사이트
Zhu De Concurrent Positions
https://archive.toda[...]
[41]
웹사이트
Marshal of People's Liberation Army: Zhu De
http://www.chinadail[...]
[42]
서적
Dictionary of Contemporary Chinese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43]
웹사이트
共产党新闻网—资料中心—历次党代会
http://cpc.people.co[...]
[44]
서적
Mao and the Cultural Revolution (Volume 2)
https://books.google[...]
Enrich Professional Publishing Limited
2017
[45]
서적
Agrarian Radicalism in China, 1968-1981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46]
웹사이트
The Tenth National Congress (Aug. 1973)
http://www.china.org[...]
[47]
웹사이트
Zhu De Death
http://www.chinadail[...]
[48]
웹사이트
Three Chinese Leaders: Mao Zedong, Zhou Enlai, and Deng Xiaoping – Asia for Educators – Columbia University
http://afe.easia.col[...]
[49]
뉴스
BBC ON THIS DAY – 9 – 1976: Chairman Mao Zedong dies
http://news.bbc.co.u[...]
1976-09-09
[50]
서적
Encyclopedia of Cremation
https://books.google[...]
2010-10
[51]
웹사이트
Sauro Angelini Interview
http://politics.ntu.[...]
[52]
웹사이트
朱德与四位女性的感情经历
http://cpc.people.co[...]
2017-01-22
[53]
문서
Smedley, The Great Road
[54]
문서
Smedley, The Great Road
[55]
문서
Smedley, The Great Road
[56]
웹사이트
朱德与四位女性的感情经历(2)
http://cpc.people.co[...]
2017-01-22
[57]
문서
Smedley, The Great Road
[58]
서적
China's Reforms and Reformers
Praeger
[59]
웹사이트
Late Chinese marshal Zhu De's daughter dies at 83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17-01-22
[60]
웹사이트
中柬两国联合公报在京签字
https://rmrb.zhouenl[...]
2023-01-17
[61]
웹사이트
1961年6月15日人民日报 第1版
https://cn.govopenda[...]
2023-01-17
[62]
문서
『毛沢東秘録』下、375 - 376ページ。
[63]
문서
南昌蜂起が勃発したこの日は、中国人民解放軍の創立記念日となっている。
[64]
문서
『毛沢東秘録』下、376ページ。
[65]
문서
中国共産党中央軍事委員会は、中華人民共和国の建国の際、中華人民共和国中央軍事委員会|中央人民政府人民革命軍事委員会に統合され、1954年9月の国家機構の再編で中央人民政府人民革命軍事委員会が廃止されたことにより、再び設置された。なお、再結成された党中央軍事委員会は1959年9月まで副主席職を設置しなかった。そのため、朱徳は中央軍事委員会委員にのみ復帰し、1959年9月には中央軍事委員会常務委員に昇格したものの、中央軍事委員会副主席に復帰することはなかっ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