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구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구속(Octodon)은 1832년 에드워드 터너 베넷에 의해 처음 명명된 데구과의 속이다. 속명은 어금니와 앞어금니가 8자 모양을 하고 있다는 데서 유래했다. 데구속에는 브리지스데구, 데구, 달이빨데구, 태평양데구, 리카르도 오헤다데구 등 5종이 속하며, 칠레와 아르헨티나의 안데스 산맥에 주로 서식한다. 야행성과 주행성을 오가며 초식성으로, 굴을 파서 무리 생활을 한다. 몸길이는 200~390mm이며, 회색 또는 칙칙한 색의 털을 가지고 있다. 브리지스데구와 리카르도 오헤다데구는 취약종으로, 태평양데구는 위급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데구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Octodon |
명명자 | Bennett, 1823 |
종 | Octodon bridgesi Octodon degus Octodon lunatus Octodon pacificus Octodon ricardojeda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아목 | 호저아목 |
과 | 데구과 |
속 | 데구속 (Octodon) |
2. 분류
이 속은 1832년 영국의 동물학자 에드워드 터너 베넷(Edward Turner Bennett)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4]
2. 1. 하위 종
속명 Octodonla은 라틴어 octola(8)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이들의 치아, 어금니, 앞어금니가 숫자 8 모양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가리킨다.[5]데구속에는 다음과 같은 종들이 속한다.
종명 | 학명 | 서식지 |
---|---|---|
브리지스데구 | O. bridgesii | 칠레 중부, 아르헨티나 |
데구 또는 커먼데구 | O. degus | 칠레 중부 |
초승달데구 | O. lunatus | 칠레 중부 (야행성) |
태평양데구 또는 모카섬데구 | O. pacificus | 칠레 모카섬 (고유종) |
리카르도 오헤다데구 | O. ricardojeda | 아르헨티나, 칠레 서부 |
자연 상태에서 모든 종의 데구는 안데스 산맥에 서식하며, 대부분이 칠레 산맥에 고유종으로 서식한다. 소수의 ''O. ricardojeda'' 개체군은 인접한 아르헨티나의 네우켄 주에 서식한다. 이들은 해발 0~1800m 사이에서 발견된다.[4]
3. 분포
4. 생태
4. 1. 식성
데구는 주로 엽식성 초식동물이다. 먹는 것은 연간 식물 주기에 따라 달라진다. 식량이 부족할 때는 자신의 배설물을 먹는 식분증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맹장에서 미생물 발효를 통해 영양분을 보충하고 섬유질 소화를 돕기 위함이다.[6]
4. 2. 사회성
데구는 사회적인 동물로, 수컷과 암컷으로 구성된 크고 작은 무리가 함께 사는 일련의 터널로 이루어진 굴을 판다.[7]
5. 형태
데구속은 중간 크기의 데구속과에 속한다. 전체 몸길이는 200mm~390mm이며, 꼬리 길이는 81mm~170mm로 머리+몸통 길이의 70~80%를 차지한다. 털 색깔은 회색 또는 칙칙한 색에 주황색 하이라이트가 있으며, 배 부분은 크림색 노란색을 띤다. 꼬리는 약간 구부러져 있으며 몸통과 같은 색을 띠고, 검은색 털 뭉치로 끝나는데, 검은색의 정도는 종에 따라 다르다. 귀는 꽤 크고 머리에서 넓게 튀어나와 있지만, ''O. pacificus''에서는 예외이다. 뒷다리는 점프에 적합하며, 미끄럼을 방지하는 발바닥 패드가 있다. 앞다리에는 네 개의 발톱이 달린 손가락이 있으며, 발톱이 있는 잘 발달되지 않은 다섯 번째 손가락도 있다. 귀두는 각 측면에 5개 이상의 음경 가시로 특징지어진다.[2][4]
6. 보존 상태
브리지스데구(''Octodon bridgesii'')는 리까르도헤다데구(''Octodon ricardojeda'')와 같은 종으로 평가되기도 하며, IUCN 적색 목록에 의해 취약종으로 간주된다. 반면 태평양데구(''Octodon pacificus'')는 위급종으로 간주된다. 다른 두 종은 관심대상종으로 간주된다.[8]
참조
[1]
간행물
[2]
웹사이트
Wise Geek
http://www.wisegeek.[...]
[3]
웹사이트
University of Michigan
http://www.lsa.umich[...]
2012-07-20
[4]
Citation
Genus Octodon
https://www.research[...]
2015-03-15
[5]
Citation
"''Octodon degus''"
http://www.science.s[...]
1975-11-21
[6]
학술지
Daily Rhythms of Food Intake and Feces Reingestion in the Degu, an Herbivorous Chilean Rodent: Optimizing Digestion through Coprophagy
https://www.journals[...]
1999-01-01
[7]
Citation
Genus Octodon
https://www.research[...]
2015-03-15
[8]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www.iucnredl[...]
2021-10-18
[9]
간행물
[10]
웹사이트
Wise Geek
http://www.wisegeek.[...]
[11]
웹인용
University of Michigan
http://www.lsa.umich[...]
2012-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