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루그 베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루그 베그는 티무르 제국의 통치자이자 천문학자, 수학자이다. 그는 티무르의 손자이자 샤 루흐의 아들로, 1409년부터 1449년까지 사마르칸트를 중심으로 마와라안나흐르 지역을 통치했다. 울루그 베그는 천문학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1428년 사마르칸트 교외에 천문대를 건설하고, 1437년경에는 프톨레마이오스와 티코 브라헤 사이에서 가장 위대한 항성 목록으로 여겨지는 '술타니 지지'를 편찬했다. 또한,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를 측정하고, 삼각함수표를 작성하는 등 수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다. 1449년 아들 압둘 라티프에게 살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세기 천문학자 - 레기오몬타누스
레기오몬타누스는 15세기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 빈 대학교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하고 이탈리아에서 연구하며 《알마게스트》 요약, 《삼각형에 대하여》 저술, 뉘른베르크 과학 출판 인쇄소 설립, 천문 관측 및 역법 개혁 기여, 천문표 제작 등으로 탐험가들에게 활용되었다. - 15세기 천문학자 - 요하네스 쇠너
요하네스 쇠너는 독일의 사제이자 천문학자, 지도 제작자로서, 1515년 최초의 인쇄된 육지 지구본과 1517년 최초의 인쇄된 천구의를 제작하고 코페르니쿠스와 교류하였다. - 티무르 왕조의 군주 - 피르 무함마드 이븐 자한기르
피르 무함마드 이븐 자한기르는 티무르 제국의 왕족이자 티무르의 손자로, 티무르의 인도 침공에 참여해 무르탄을 점령했으나, 티무르 사후 할릴 술탄과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 후 암살당했다. - 티무르 왕조의 군주 - 샤 루흐
샤 루흐는 티무르 제국의 지배자로서 이슬람 율법을 중시하고 문화 예술을 후원했으며, 명나라와 외교 관계를 개선하다가 1447년에 사망했다. - 15세기 수학자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자 수학자로, 수학적이고 기하학적인 구성과 심리 표현이 특징이며, 《참십자가의 역사》, 《그리스도의 세례》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수학적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세기 수학자 - 레기오몬타누스
레기오몬타누스는 15세기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 빈 대학교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하고 이탈리아에서 연구하며 《알마게스트》 요약, 《삼각형에 대하여》 저술, 뉘른베르크 과학 출판 인쇄소 설립, 천문 관측 및 역법 개혁 기여, 천문표 제작 등으로 탐험가들에게 활용되었다.
울루그 베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미르자 무함마드 타라가이 빈 샤루흐 울루그 베크 |
별칭 | 울루그 베그 (‘위대한 통치자’) |
![]() | |
통치 | |
칭호 | 미르자, 술탄 |
재위 | 티무르 왕조: 1447년 3월 13일 – 1449년 10월 27일 |
이전 통치자 | 샤 루흐 |
다음 통치자 | 압달-라티프 미르자 |
개인 정보 | |
출생 | 1394년 3월 22일 |
출생지 | 솔타니예, 티무르 제국 (현재 잔잔 주, 이란) |
사망 | 1449년 10월 27일 (55세) |
사망지 | 사마르칸트, 티무르 제국 (현재 사마르칸트 주, 우즈베키스탄) |
사망 원인 | 알 수 없음 |
매장지 | 구르에 아미르 사마르칸트의 티무르 영묘 |
직업 | 천문학자, 수학자, 정치 지도자, 군주 |
종교 | 이슬람교 |
가족 | |
왕조 | 티무르 왕조 |
아버지 | 샤 루흐 |
어머니 | 가우하르 샤드 |
배우자 | 아카 베기 베굼 술탄 바디 알-물크 베굼 아키 술탄 하니카 후슨 니가르 하니카 슈쿠르 비 하니카 루카이야 술탄 아가 미흐르 술탄 아가 사아다트 바흐트 아가 다울라트 술탄 아가 바흐티 비 아가 다울라트 바흐트 아가 술타님 아가 술탄 말리크 아가 |
자녀 | 압달-라티프 미르자 |
기타 정보 | |
서명 | 알 수 없음 |
2. 어린 시절
울루그 베그는 정복자 테무르의 손자이자 샤 루흐의 맏아들로, 페르시아의 술타니야에서 태어났다.[9] 그의 어머니는 투르크계 귀족인 가우하르샤드였다.[10][11] 유년 시절에는 할아버지 티무르의 원정을 따라 중동과 인도를 떠돌았다.[9] 1404년 티무르에 의해 사촌 에케 베굼과의 결혼이 정해졌고, 같은 해 여름 사마르칸드 교외 목초지에서 2개월에 걸친 대규모 결혼식이 열렸다.[43]
울루그 베그는 1394년 술탄니야에서 샤 루흐와 가우하르 샤드 아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명은 무함마드 타라가이였으나, 티무르의 뜻에 따라 "위대한 지휘관"을 뜻하는 "울루그 베그"로 개명되었다.[36] 티무르는 자신의 페르시아어 칭호인 "아미리 카비르", "아미리 보졸르그"와 같은 의미를 가진 이름을 손자에게 붙여 큰 기대를 걸었다고 여겨진다.[36] 유년 시절 울루그 베그는 티무르의 첫 번째 정실인 사라이 뮬크 밑에서 양육되었다.[43]
티무르 사후, 샤 루흐가 티무르 제국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면서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드에 정착했다.[9] 1409년, 샤 루흐가 수도를 헤라트로 옮기자 16세였던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드의 총독이 되었다.[9] 1411년, 마 와라 알나흐르(트란스옥시아나) 전역의 지배자가 되었다.[9]
티무르의 중국 원정에 참전했고,[39] 티무르 사후 내전에서는 샤 루흐의 부하 샤 마릭과 함께 발흐 근교의 안두후드와 셰르한의 통치를 명령받았다.[44] 13세 때 호라산 지방 일부와 카스피해 남해안의 마잔다란 총독에 임명되었다.[39]
1419년 킵차크 칸국(조치 울루스)의 왕족 바락(조치 가문)이 울루그 베그에게 지원을 요청했고, 울루그 베그는 바락에게 원조를 제공했다.[46] 또한, 울루그 베그는 와이스와의 내분에서 패한 모굴리스탄 칸국의 쉴르 무함마드에게 원조를 제공했고, 바락과 쉴르 무함마드는 각자의 나라에서 군주 지위에 올랐다.[47] 울루그 베그는 두 사람을 통한 간접 지배를 계획했지만, 1426년 바락은 시르다리야 강 중류 지역의 티무르 제국 영토를 점령하여 적대시했고, 쉴르 무함마드 역시 울루그 베크에게 복종할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47]
1425년 2월 울루그 베그는 모굴리스탄 원정을 실시하여 같은 해 5월 모굴 군에게 승리를 거두었다.[48] 원정군은 천산산맥의 유르두즈 초원(바인부르크 초원)에 도달한 후 귀국했다.[48] 1427년 울루그 베그는 샤 루흐가 파견한 원군과 함께 북방의 우즈베크족 토벌에 나섰으나 패배했다.[49] 샤 루흐는 원정 실패에 매우 실망하여 한때 울루그 베크로부터 사마르칸트 통치권을 박탈하려고 생각했다고 전해진다.[49] 우즈베크 원정 실패 이후, 울루그 베크는 대외 정책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다.[50]
3. 통치자로서의 울루그 베그
1404년 티무르는 울루그 베그와 그의 사촌 에케 베굼의 결혼을 정했다. 같은 해 여름 사마르칸트 교외 목초지에서 2개월에 걸친 대규모 결혼식이 열렸다.[43] 울루그 베그는 티무르의 중국 원정에 참전했고,[39] 티무르 사후 내전에서는 샤 루흐의 부하 샤 마릭과 함께 발흐 근교의 안두후드와 셰르한의 통치를 명령받았다.[44] 13세 때 호라산 지방 일부와 카스피해 남해안의 마잔다란 총독에 임명되었고, 1409년 샤 루흐가 사마르칸트를 점령하자 사마르칸트 총독에 임명되었다.[39] 이로써 울루그 베그를 통치자로 하는 지방 정권이 사마르칸트에 성립되어 약 40년간 통치했다.[45]
바실리 바르톨드는 샤 루흐와 울루그 베그가 공동으로 트란스옥시아나를 지배했다고 묘사했으나, 최근 많은 학자들은 이에 의문을 제기한다. 샤 루흐는 티무르 가문의 여러 왕자들에게 트란스옥시아나 남부의 지배권을 주는 방식으로 울루그 베그의 지배권을 제한했다.[82] 샤 루흐 치세 초기에 카슈가르 지방이 모굴리스탄 칸국의 통제하에 들어갔고, 샤 루흐는 울루그 베그에게 이 지역 탈환을 종용했다. 울루그 베그는 몇 차례 원정에서 모굴리스탄에 깊이 진군했으나, 1414년에 결국 카슈가르 지역을 탈환했다. 이후 샤 루흐와 울루그 베그는 모굴리스탄 칸국의 복잡한 정치에 염증을 느끼며 개입을 꺼렸다.[82]
1419년 킵차크 칸국의 왕족 바락이 울루그 베그에게 지원을 요청했고, 울루그 베그는 바락에게 원조를 제공했다.[46] 또한, 울루그 베그는 와이스와의 내분에서 패한 모굴리스탄 칸국의 쉴르 무함마드에게 원조를 제공했고, 바락과 쉴르 무함마드는 각자의 나라에서 군주 지위에 올랐다. 울루그 베그는 두 사람을 통한 간접 지배를 계획했지만, 1426년 바락은 시르다리야 강 중류 지역의 티무르 제국 영토를 점령하여 적대시했고, 쉴르 무함마드 역시 울루그 베그에게 복종하지 않았다.[47]
1425년 샤 루흐는 울루그 베그에게 모굴리스탄 원정을 명령했다. 울루그 베그는 차가타이 가문의 시르 무함마드에게 승리했다. 두글라트 가문의 수장이자 칸 옹립자인 동시에 카쉬가르와 야르칸드를 지배하던 후다이다드는 무슬림으로서의 신앙심 때문에 울루그 베그에게 협조했는데, 이식쿨 동북방의 차린 강 너머에서 그에게 합류했다.[83] 울루그 베그는 이 원정에서 이리 강 상류지방에서 거대한 경옥 2개를 사마르칸드로 가져와 티무르의 묘석으로 사용했다.[84] 같은 해 5월 울루그 베그는 모굴 군에게 승리하고 천산산맥의 유르두즈 초원에 도달한 후 귀국했다.[48] 1427년 울루그 베그는 샤 루흐가 파견한 원군과 함께 북방의 우즈베크인 토벌에 나섰으나 패배했다. 샤 루흐는 원정 실패에 매우 실망하여 울루그 베그로부터 사마르칸트 통치권을 박탈하려고 생각했다고 전해진다.[49] 우즈베크 원정 실패 이후, 울루그 베그는 대외 정책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다.[50]
울루그 베그는 괴뢰 칸을 사마르칸드에 상징적인 군주로 모셨다고 하여 투르크·몽골적 전통에 깊이 매료된 군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은 울루그 베그의 시대로부터 긴 시간이 흐른 뒤에 쓰여진 미르자 무함마드 하이다르 두글라트의 《라시드의 역사》에 최초로 등장하며, 울루그 베그 당대의 사료에는 관련 기록이 없다.[85] 아버지 샤흐 루흐와 달리, 울루그 베그는 투르크-몽골 전통에 따른 통치를 지향했다.[58] 칭기즈 칸의 후손을 꼭두각시 칸으로 세우고,[40][50] 꼭두각시 칸의 이름으로 명령을 내렸다.[41] 칭기즈 칸의 피를 이어받지 않은 울루그 베그는 칭기즈 칸 가문의 공주들과의 결혼으로 혈통을 강화했는데, 이는 외조부 티무르의 영향으로 생각된다.[59] 울루그 베그는 티무르와 마찬가지로 '큐레겐(사위)'이라는 칭호를 사용했고, 발행된 화폐에는 울루그 베그와 티무르의 이름, 그리고 큐레겐이라는 칭호가 새겨져 있었다.[59]
울루그 베그의 통치 아래 마드라사 등의 공공 시설이 많이 건설되었고, 이러한 시설에는 토지가 와크프로 기증되었으며, 와크프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시설의 유지 및 관리가 이루어졌다.[62] 울루그 베그의 건축물 중에는 후세에 붕괴된 것도 있지만, 사마르칸트와 부하라에는 그가 세운 마드라사가 남아있다(울루그 베그 마드라사, 부하라 울루그 베그 마드라사)[37]. 또한, 티무르 시대에 건설이 시작된 구리 아미르 묘는 울루그 베그 시대에 완공되었다.[57] 울루그 베그에 의해 사마르칸트의 티무르 묘에는 비취로 된 세노타프(모의 묘비)가 안치되었고, 세노타프에는 전설적인 몽골의 왕비 아랑고아로 거슬러 올라가는 그의 가계가 새겨져 있었다.[60] 세노타프의 재료가 된 연옥은 1425년 모굴리스탄 원정 때 카시에서 가져온 것이다.[61]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트 총독 시대부터 중국 명나라에 여러 차례 사절을 파견했다.[37] 1439년 울루그 베그가 선물한 명마는 명나라 영종제의 마음에 들었고, 영종제는 그 말의 모습을 그리게 하고 길조의 이름을 지었다.[37] 1449년 울루그 베그가 파견한 사절이 명나라 궁정을 방문했는데, 이 해에 울루그 베그가 살해되었기 때문에 이것이 그가 파견한 마지막 사절이 되었고, 영종제는 토목의 변에서 오이라트의 포로가 되었다.[37] 울루그 베그가 사마르칸트에 세운 회화관은 중국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벽화로 장식되어 있었다.[39]
1447년 샤 루흐가 죽은 후 각지에서 왕족들의 반란이 발생했고, 울루그 베그의 어머니 가우하르 샤드는 손자인 알라 우드다울라를 옹립했다. 울루그 베그는 알라 우드다울라에게 붙잡힌 장남 아브둘 라티프를 해방시키기 위해 그와 화약을 맺었다.[51] 약정에 따라 아브둘 라티프는 석방되었지만 다른 조건은 이행되지 않았고, 울루그 베그와 알라 우드다울라의 전쟁은 재개되었다.[51] 1448년 울루그 베그는 알라 우드다울라를 물리치고 마슈하드를 점령했고, 아브둘 라티프는 헤라트 점령에 성공했다. 그러나 울루그 베그의 원정 중 사마르칸트가 우즈베크의 습격을 받아 도시는 파괴와 약탈의 피해를 입었다. 울루그 베크는 샤 루흐가 본거지로 삼았던 헤라트에서 사마르칸트로 수도 기능을 이전하려고 생각하고, 샤 루흐의 시신을 사마르칸트의 구리 아미르 묘로 옮겨 귀국했다.[52]
울루그 베그는 점성술에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점으로 자신의 아들에게 살해당하는 결과가 나온 후 아브둘 라티프를 멀리하려고 하며, 차남 아브둘 아지즈를 후계자로 삼으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53] 헤라트가 투르크멘인의 습격을 받아 파괴되었을 때, 발흐에 주둔하고 있던 아브둘 라티프는 울루그 베그에게 반란을 일으켰다.[51] 1449년 가을 아브둘 라티프의 군대는 사마르칸트에 접근했고, 울루그 베그는 아브둘 아지즈와 함께 이를 저지하려 했으나 패배했다.[37] 울루그 베그는 아브둘 라티프에게 하즈를 청하여 허락받았지만, 사마르칸트를 떠난 후 아브둘 라티프가 파견한 암살자에 의해 55세의 나이로 살해되었다.[37][52] 1941년 울루그 베크의 묘에서 그의 두개골이 발견되었다.[39]
울루그 베그는 37년 동안 마웨라안나흐르 지역을 통치하며 평화로운 시대를 이끌었다.[39] 원칙적으로 헤라트의 샤흐 루흐의 지시에 따랐지만, 샤흐 루흐의 지시에는 나타나지 않는 독자적인 정책도 시행했다.[54] 그러나 울루그 베그가 시행한 정책의 세부 내용은 불분명한 점이 많다.[40][55] 울루그 베그 시대에는 새로운 화폐가 주조되고 상업 발전이 촉진되었다.[40] 울루그 베그 시대의 사마르칸트에는 티무르 시대와 마찬가지로 자유롭고 향락적인 분위기가 흘렀으며,[56] 미와 삶의 즐거움을 좋아하는 성격과 학술적 업적 때문에 르네상스적인 군주로도 비유된다.[57]
3. 1. 사마르칸드의 통치자
울루그 베그는 1394년 술탄니야에서 샤 루흐와 가우하르 샤드 아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명은 무함마드 타라가이였으나, 티무르의 뜻에 따라 "위대한 지휘관"을 뜻하는 "울루그 베그"로 개명되었다.[36] 티무르는 자신의 페르시아어 칭호인 "아미리 카비르", "아미리 보졸르그"와 같은 의미를 가진 이름을 손자에게 붙여 큰 기대를 걸었다고 여겨진다.[36] 유년 시절 울루그 베그는 티무르의 첫 번째 정실인 사라이 뮬크 밑에서 양육되었다.[43]
1404년 티무르는 울루그 베그와 그의 사촌 에케 베굼의 결혼을 정했다. 같은 해 여름 사마르칸트 교외 목초지에서 2개월에 걸친 대규모 결혼식이 열렸다.[43] 울루그 베그는 티무르의 중국 원정에 참전했고,[39] 티무르 사후 내전에서는 샤 루흐의 부하 샤 마릭과 함께 발흐 근교의 안두후드와 셰르한의 통치를 명령받았다.[44] 13세 때 호라산 지방 일부와 카스피해 남해안의 마잔다란 총독에 임명되었고, 1409년 샤 루흐가 사마르칸트를 점령하자 사마르칸트 총독에 임명되었다.[39] 이로써 울루그 베그를 통치자로 하는 지방 정권이 사마르칸트에 성립되어 약 40년간 통치했다.[45]
바실리 바르톨드는 샤 루흐와 울루그 베그가 공동으로 트란스옥시아나를 지배했다고 묘사했으나, 최근 많은 학자들은 이에 의문을 제기한다. 샤 루흐는 티무르 가문의 여러 왕자들에게 트란스옥시아나 남부의 지배권을 주는 방식으로 울루그 베그의 지배권을 제한했다.[82] 샤 루흐 치세 초기에 카슈가르 지방이 모굴리스탄 칸국의 통제하에 들어갔고, 샤 루흐는 울루그 베그에게 이 지역 탈환을 종용했다. 울루그 베그는 몇 차례 원정에서 모굴리스탄에 깊이 진군했으나, 1414년에 결국 카슈가르 지역을 탈환했다. 이후 샤 루흐와 울루그 베그는 모굴리스탄 칸국의 복잡한 정치에 염증을 느끼며 개입을 꺼렸다.[82]
1419년 킵차크 칸국의 왕족 바락이 울루그 베그에게 지원을 요청했고, 울루그 베그는 바락에게 원조를 제공했다.[46] 또한, 울루그 베그는 와이스와의 내분에서 패한 모굴리스탄 칸국의 쉴르 무함마드에게 원조를 제공했고, 바락과 쉴르 무함마드는 각자의 나라에서 군주 지위에 올랐다. 울루그 베그는 두 사람을 통한 간접 지배를 계획했지만, 1426년 바락은 시르다리야 강 중류 지역의 티무르 제국 영토를 점령하여 적대시했고, 쉴르 무함마드 역시 울루그 베그에게 복종하지 않았다.[47]
1425년 샤 루흐는 울루그 베그에게 모굴리스탄 원정을 명령했다. 울루그 베그는 차가타이 가문의 시르 무함마드에게 승리했다. 두글라트 가문의 수장이자 칸 옹립자인 동시에 카쉬가르와 야르칸드를 지배하던 후다이다드는 무슬림으로서의 신앙심 때문에 울루그 베그에게 협조했는데, 이식쿨 동북방의 차린 강 너머에서 그에게 합류했다.[83] 울루그 베그는 이 원정에서 이리 강 상류지방에서 거대한 경옥 2개를 사마르칸드로 가져와 티무르의 묘석으로 사용했다.[84] 같은 해 5월 울루그 베그는 모굴 군에게 승리하고 천산산맥의 유르두즈 초원에 도달한 후 귀국했다.[48] 1427년 울루그 베그는 샤 루흐가 파견한 원군과 함께 북방의 우즈베크인 토벌에 나섰으나 패배했다. 샤 루흐는 원정 실패에 매우 실망하여 울루그 베그로부터 사마르칸트 통치권을 박탈하려고 생각했다고 전해진다.[49] 우즈베크 원정 실패 이후, 울루그 베그는 대외 정책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다.[50]
울루그 베그는 괴뢰 칸을 사마르칸드에 상징적인 군주로 모셨다고 하여 투르크·몽골적 전통에 깊이 매료된 군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은 울루그 베그의 시대로부터 긴 시간이 흐른 뒤에 쓰여진 미르자 무함마드 하이다르 두글라트의 《라시드의 역사》에 최초로 등장하며, 울루그 베그 당대의 사료에는 관련 기록이 없다.[85] 아버지 샤흐 루흐와 달리, 울루그 베그는 투르크-몽골 전통에 따른 통치를 지향했다.[58] 칭기즈 칸의 후손을 꼭두각시 칸으로 세우고,[40][50] 꼭두각시 칸의 이름으로 명령을 내렸다.[41] 칭기즈 칸의 피를 이어받지 않은 울루그 베그는 칭기즈 칸 가문의 공주들과의 결혼으로 혈통을 강화했는데, 이는 외조부 티무르의 영향으로 생각된다.[59] 울루그 베그는 티무르와 마찬가지로 '큐레겐'(사위)이라는 칭호를 사용했고, 발행된 화폐에는 울루그 베그와 티무르의 이름, 그리고 큐레겐이라는 칭호가 새겨져 있었다.[59]
울루그 베그의 통치 아래 마드라사 등의 공공 시설이 많이 건설되었고, 이러한 시설에는 토지가 와크프로 기증되었으며, 와크프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시설의 유지 및 관리가 이루어졌다.[62] 울루그 베그의 건축물 중에는 후세에 붕괴된 것도 있지만, 사마르칸트와 부하라에는 그가 세운 마드라사가 남아있다(울루그 베그 마드라사, 부하라 울루그 베그 마드라사)[37]. 또한, 티무르 시대에 건설이 시작된 구리 아미르 묘는 울루그 베그 시대에 완공되었다.[57] 울루그 베그에 의해 사마르칸트의 티무르 묘에는 비취로 된 세노타프(모의 묘비)가 안치되었고, 세노타프에는 전설적인 몽골의 왕비 아랑고아로 거슬러 올라가는 그의 가계가 새겨져 있었다.[60] 세노타프의 재료가 된 연옥은 1425년 모굴리스탄 원정 때 카시에서 가져온 것이다.[61]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트 총독 시대부터 중국 명나라에 여러 차례 사절을 파견했다.[37] 1439년 울루그 베그가 선물한 명마는 명나라 영종제의 마음에 들었고, 영종제는 그 말의 모습을 그리게 하고 길조의 이름을 지었다.[37] 1449년 울루그 베그가 파견한 사절이 명나라 궁정을 방문했는데, 이 해에 울루그 베그가 살해되었기 때문에 이것이 그가 파견한 마지막 사절이 되었고, 영종제는 토목의 변에서 오이라트의 포로가 되었다.[37] 울루그 베그가 사마르칸트에 세운 회화관은 중국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벽화로 장식되어 있었다.[39]
1447년 샤 루흐가 죽은 후 각지에서 왕족들의 반란이 발생했고, 울루그 베그의 어머니 가우하르 샤드는 손자인 알라 우드다울라를 옹립했다. 울루그 베그는 알라 우드다울라에게 붙잡힌 장남 아브둘 라티프를 해방시키기 위해 그와 화약을 맺었다.[51] 약정에 따라 아브둘 라티프는 석방되었지만 다른 조건은 이행되지 않았고, 울루그 베그와 알라 우드다울라의 전쟁은 재개되었다.[51] 1448년 울루그 베그는 알라 우드다울라를 물리치고 마슈하드를 점령했고, 아브둘 라티프는 헤라트 점령에 성공했다. 그러나 울루그 베그의 원정 중 사마르칸트가 우즈베크의 습격을 받아 도시는 파괴와 약탈의 피해를 입었다. 울루그 베크는 샤 루흐가 본거지로 삼았던 헤라트에서 사마르칸트로 수도 기능을 이전하려고 생각하고, 샤 루흐의 시신을 사마르칸트의 구리 아미르 묘로 옮겨 귀국했다.[52]
울루그 베그는 점성술에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점으로 자신의 아들에게 살해당하는 결과가 나온 후 아브둘 라티프를 멀리하려고 하며, 차남 아브둘 아지즈를 후계자로 삼으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53] 헤라트가 투르크멘족의 습격을 받아 파괴되었을 때, 발흐에 주둔하고 있던 아브둘 라티프는 울루그 베그에게 반란을 일으켰다.[51] 1449년 가을 아브둘 라티프의 군대는 사마르칸트에 접근했고, 울루그 베그는 아브둘 아지즈와 함께 이를 저지하려 했으나 패배했다.[37] 울루그 베그는 아브둘 라티프에게 하즈를 청하여 허락받았지만, 사마르칸트를 떠난 후 아브둘 라티프가 파견한 암살자에 의해 55세의 나이로 살해되었다.[37][52] 1941년 울루그 베크의 묘에서 그의 두개골이 발견되었다.[39]
울루그 베그는 37년 동안 마웨라안나흐르 지역을 통치하며 평화로운 시대를 이끌었다.[39] 원칙적으로 헤라트의 샤흐 루흐의 지시에 따랐지만, 샤흐 루흐의 지시에는 나타나지 않는 독자적인 정책도 시행했다.[54] 그러나 울루그 베그가 시행한 정책의 세부 내용은 불분명한 점이 많다.[40][55] 울루그 베그 시대에는 새로운 화폐가 주조되고 상업 발전이 촉진되었다.[40] 울루그 베그 시대의 사마르칸트에는 티무르 시대와 마찬가지로 자유롭고 향락적인 분위기가 흘렀으며,[56] 미와 삶의 즐거움을 좋아하는 성격과 학술적 업적 때문에 르네상스적인 군주로도 비유된다.[57]
3. 2. 대외 관계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트 총독이 된 후 명나라 영락제와 외교 관계를 증진시켰다.[19] 1416년, 명나라 사신 진성과 여안은 영락제를 대신하여 울루그 베그에게 비단과 은으로 만든 직물을 선물했다.[19] 1419년, 티무르 왕조는 술탄 샤와 무함마드 바크시를 명나라 궁정으로 파견했다.[20] 울루그 베그의 사절들은 베이징에서 샤 루크, 바이숭구르 왕자 및 다른 티무르 왕조 관리들을 대표하는 기야스 알딘 나카시와 다른 사절들을 만났지만, 서로 다른 숙소에 머물렀다.[21]
1439년, 정통제는 화가에게 울루그 베그가 보낸 흰 발굽과 이마에 흰 털이 있는 검은 말 그림을 그리도록 명령했다.[23] 6년 후, 명나라 황제는 사마르칸드로부터 받은 모든 "조공"에 대한 감사를 표하기 위해 울루그 베그에게 편지를 보냈다.[23]
울루그 베그는 37년 동안 마웨라안나흐르 지역을 통치하며 평화로운 시대를 이끌었다.[39] 그는 원칙적으로 헤라트의 샤흐 루흐의 지시에 따랐지만, 독자적인 정책도 시행했다.[54] 울루그 베그 시대에는 새로운 화폐가 주조되고 상업 발전이 촉진되었다.[40]
이슬람 전통에 기반한 통치를 펼친 아버지 샤흐 루흐와 달리, 울루그 베그는 투르크-몽골 전통에 따른 통치를 지향했다.[58] 그는 칭기즈칸의 후손을 꼭두각시 칸으로 세우고,[40][50] 그 이름으로 명령을 내렸다.[41] 울루그 베그는 티무르와 마찬가지로 '큐레겐'(kuregen, 사위)이라는 칭호를 사용했고, 그가 발행한 화폐에는 울루그 베그와 티무르의 이름, 그리고 큐레겐이라는 칭호가 새겨져 있었다.[59]
울루그 베그는 마드라사(madrasa, 이슬람 신학교) 등의 공공 시설을 많이 건설했고, 이러한 시설에는 토지가 와크프(waqf, 종교적 기부 재산)로 기증되었다.[62] 울루그 베그의 건축물 중에는 후세에 붕괴된 것도 있지만, 사마르칸트와 부하라에는 그가 세운 마드라사가 남아 있다(울루그 베그 마드라사, 부하라 울루그 베그 마드라사)[37].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트 총독 시대부터 중국의 명나라(Ming)에 여러 차례 사절을 파견했다.[37] 1439년에 울루그 베그가 선물한 명마는 명나라 영종제(Yingzong)의 마음에 들었고, 영종제는 그 말의 모습을 그리게 하고 길조의 이름을 지었다.[37] 1449년에 울루그 베그가 파견한 사절이 명나라 궁정을 방문했는데, 이 해에 울루그 베그가 살해되었기 때문에 이것이 그가 파견한 마지막 사절이 되었고, 영종제는 토목의 변(Tumu Crisis)에서 오이라트(Oirats)의 포로가 되었다.[37]
3. 3. 티무르 제국의 마지막 통일 군주
1447년 3월 2일 샤 루흐가 죽자 울루그 베그가 그 지위를 계승했다.[86] 그는 자신이 발행하는 동전에 할아버지 티무르의 이름을 덧붙였다.[85] 아버지 샤 루흐와 달리, 울루그 베그는 투르크-몽골 전통에 따른 통치를 지향했다.[58] 칭기즈 칸의 후손을 꼭두각시 칸으로 세우고,[40][50] 그 이름으로 명령을 내렸다.[41] 칭기즈 칸 가문의 공주들과의 결혼으로 혈통을 강화했는데, 이는 외조부 티무르의 영향으로 보인다.[59] 티무르와 마찬가지로 '큐레겐(사위)'이라는 칭호를 사용했고, 발행한 화폐에는 자신과 티무르의 이름, 그리고 큐레겐이라는 칭호가 새겨져 있었다.[59]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트의 티무르 묘에 연옥으로 된 세노타프(모의 묘비)를 안치하고, 전설적인 몽골 왕비 아랑고아로 거슬러 올라가는 가계를 새겨넣었다.[60] 이 연옥은 1425년 모굴리스탄 원정 때 카시에서 가져온 것으로, 과거 티무르가 사마르칸트로 가져오려다 실패했던 것이다.[61]
1449년에 발흐에서 반란을 일으킨 아들 압둘 라티프에 의해 감금되었고, 1449년 10월 27일에 처형되었다.[86] 소련의 조사에서 울루그 베그의 유골은 머리와 몸통이 따로 있었던 것이 발견되어 그의 비극적인 최후가 실증되었다.[87] 울루그 베그는 점성술에 강한 관심을 가졌는데, 점괘에서 아들에게 살해당한다는 결과를 얻고 아들을 멀리했다고 전해진다.[53] 그의 죽음으로 티무르 가문의 내전기가 다시 도래하였다.[88]
4. 학문적 업적
울루그 베그는 중세 이슬람 세계의 위대한 천문학자 중 한 명이었다.[89] 10대 시절, 울루그 베그는 제국의 옛 수도였던 사마르칸트를 지적 활동 중심지로 바꾸었다. 1417년부터 1420년까지 사마르칸드의 레기스탄 광장에 마드라사를 건설하고, 무슬림 천문학자들과 수학자들을 초빙했다. 이 마드라사에는 알리 쿠쉬치와 같은 유명한 학자들이 있었다.
1428년, 그는 사마르칸트 교외에 3층 규모의 천문대를 건설했다.[89] 망원경이 없던 시절, 울루그 베그는 '파크리' 사분의와 같은 당대 최신의 관측 기구를 사용하여 천체 관측을 했다. 울루그 베그가 건설한 천문대는 이슬람 세계 전역에서 가장 크고 유명한 천문대였다.[3]
울루그 베그는 기야스 앗딘 알 카시 등 학자 집단을 이끌고 천문 관측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 1437년[50]/1441년경[40] ''술타니 지지''(울루그 베그의 천문표)를 편찬했다.[64] 이 천문표는 프톨레마이오스와 티코 브라헤 사이에서 가장 위대한 항성 목록으로 여겨진다.[15][16] 그는 이전 아라비아 항성 목록에서 발견한 오류들을 수정하고, 992개의 고정된 별의 위치를 재결정했다.[15] 이 목록은 1665년 토마스 하이드에 의해 유럽에서 처음 출판되었다.[68]
1437년, 울루그 베그는 항성년의 길이를 365.2570370...d (365d 6h 10m 8s)로 계산했다(오차 +58초).[17] 이후 태양년의 더 정확한 값을 365d 5h 49m 15s로 측정했는데(오차 +25초), 이는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추정치보다 더 정확했다.[17] 울루그 베그는 또한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를 23°30'17"로 결정했다.[17]
울루그 베그는 스스로도 천문학 분야에서 저술을 남겼다.[90] 〈울루그 베그의 천문표〉는 당대 세계에서 가장 정확하다는 평을 받아 라틴어로 번역되어 유럽에서도 사용되었다.[89]
울루그 베그는 《코란》의 거의 대부분을 외우고 있었고, 아랍어를 쓸 줄 알았으며, 법학, 논리학, 문장학, 운율학에도 정통했다. 그는 마드라사에서 수학 관련 토론에 참여하기도 했고, 뛰어난 계산 능력으로 특정 시각 태양의 경도를 암산할 수 있었다고 한다.[92]
4. 1. 천문학
울루그 베그는 중세 이슬람 세계의 위대한 천문학자 중 한 명이었다.[89] 10대 시절, 울루그 베그는 제국의 옛 수도를 지적 활동 중심지로 바꾸었다. 1417년부터 1420년까지 사마르칸드의 레기스탄 광장에 마드라사를 건설하고, 무슬림 천문학자들과 수학자들을 초빙했다. 이 마드라사에는 알리 쿠쉬치와 같은 유명한 학자들이 있었다.울루그 베그는 어린 시절 마라가 천문대를 방문하며 천문학에 흥미를 느꼈다.[6] 1428년, 그는 사마르칸트 교외에 3층 규모의 천문대를 건설했다.[89] 이 천문대는 티코 브라헤의 우라니보르크나 타키 앗딘의 콘스탄티노플 천문대와 유사한 대규모 시설이었다.[13] 망원경이 없던 시절, 울루그 베그는 '파크리' 사분의와 같은 당대 최신의 관측 기구를 사용하여 천체 관측을 했다. 파크리 사분의는 반지름이 약 36 미터였고, 광학적 분해능은 180"(각초)였다.[13] 이 기구를 통해 별의 통과 고도와 적위를 측정했다.[13] 울루그 베그가 건설한 천문대는 이슬람 세계 전역에서 가장 크고 유명한 천문대였다.[3]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트 천문대의 기구들을 이용하여 1018개의 별로 구성된 항성 목록을 작성했다.[14] 그는 알 수피의 자료를 활용하고, 프톨레마이오스의 데이터와는 별개로 새로운 분석을 기반으로 항성 목록을 만들었다.[14] 그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업적과 데이터에 여러 오류가 있음을 발견했다.[2]
울루그 베그는 학자 집단을 이끌고 천문 관측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 1437년[50]/1441년경[40] ''술타니 지지''(울루그 베그의 천문표)를 편찬했다.[64] 이 천문표는 994개의 별을 기록했으며, 프톨레마이오스와 티코 브라헤 사이에서 가장 위대한 항성 목록으로 여겨진다.[15][16] 그는 이전 아라비아 항성 목록에서 발견한 오류들을 수정하고, 992개의 고정된 별의 위치를 재결정했다.[15] 또한, 압드 알 라흐만 알 수피의 항성 목록에서 사마르칸트에서 관측할 수 없었던 27개의 별을 추가했다.[15] 이 목록은 1665년 토마스 하이드에 의해 유럽에서 처음 출판되었다.[68]
1437년, 울루그 베그는 항성년의 길이를 365.2570370...d (365d 6h 10m 8s)로 계산했다(오차 +58초).[17] 그는 50m 높이의 녹색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이후 태양년의 더 정확한 값을 365d 5h 49m 15s로 측정했는데(오차 +25초), 이는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추정치보다 더 정확했다.[17] 울루그 베그는 또한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를 23°30'17"로 결정했다.[17]
울루그 베그는 스스로도 천문학, 역사, 문학 등 여러 분야에서 저술을 남겼다.[90] 그는 역사가로서 《사한국사(四汗國史)》를 남겼다고 하며,[91] 〈울루그 베그의 천문표〉는 당대 세계에서 가장 정확하다는 평을 받아 라틴어로 번역되어 유럽에서도 사용되었다.[89]
울루그 베그는 《코란》의 거의 대부분을 외우고 있었고, 아랍어를 쓸 줄 알았으며, 법학, 논리학, 문장학, 운율학에도 정통했다. 그는 마드라사에서 수학 관련 토론에 참여하기도 했고, 뛰어난 계산 능력으로 특정 시각 태양의 경도를 암산할 수 있었다고 한다.[92]
|thumb|AH 852년(1448-9년)에 제작된 울루그 베그의 주화. 헤라트 주조소.]]
4. 2. 수학
이슬람 수학에서, 울루그 베그는 적어도 소수점 아래 8자리까지 정확한 삼각함수표를 작성했는데, 여기에는 사인과 탄젠트 값이 포함되어 있다.[18]울루그 베그는 기야스 앗딘 알 카시 등 학자 집단을 이끌고 1420년경에 완공된 울루그 베그 천문대에서 천문 관측을 실시했다.[63] 1437년[50]/1441년경[40]에 울루그 베그 일행의 관측 결과는 천문표로 정리되어, 기존에 사용되던 나시르 앗딘 앗 투시의 천문표를 대체하게 되었다.[64] 천문표에는 1,018개의 항성이 기록되어 있으며, 그중 약 900개의 별 기록은 실제 관측에 근거하고 있다. 사마르칸트에서 관측이 어려운 별에 대해서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 기록을 수정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65] 소수와 원주율을 사용한 별 관측 계산은 당시 유럽 세계의 연구 수준을 능가했다.[64]
울루그 베그 등이 작성한 천문표는 정확도가 높아 요하네스 케플러가 등장할 때까지 중요시되었다.[67] 17세기 옥스퍼드의 천문학자 John Greaves는 5종류의 사본을 사용하여 울루그 베그의 천문표 연구를 시도했지만, 그의 죽음으로 연구는 완성되지 못했다.[68] 1665년에는 토마스 하이드에 의해 유럽에서 처음으로 울루그 베그의 천문표가 출판되었다.[68]
5. 문화적 유산
울루그 베그는 10대에 제국의 옛 수도를 제국의 지적 활동 중심지로 바꾸었다. 1417년부터 1420년까지 사마르칸드의 레기스탄 광장에 마드라사를 건설하고, 무슬림 천문학자들과 수학자들을 초빙하여 연구하게 하였다. 이 마드라사는 현재까지 남아있다. 울루그 베그의 가장 유명한 식객은 알리 쿠쉬치였다.[89]
울루그 베그는 사마르칸드 교외에 3층짜리 천문대를 지어 당대 최신의 관측 기구를 사용, 매일 천체 관측을 하였다. 이 천문대의 유적 일부는 ‘울루그 베그의 천문대’라는 이름으로 오늘날에도 남아있으며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89]
울루그 베그는 천문학, 역사,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술을 남겼다.[90] 역사가로서 《사한국사(四汗國史)》를 저술했고,[91] 여러 학자들과 함께 제작한 〈울루그 베그의 천문표〉(〈귀레겐 천문표〉)는 당대 세계에서 가장 정확하다는 평가를 받아 라틴어로 번역되어 유럽에서도 사용되었다.[89]
울루그 베그는 《코란》의 거의 대부분을 외우고, 아랍어를 구사했으며, 법학, 논리학, 문장학, 운율학에도 정통했다. 수학 및 천문학적 자질도 뛰어나 마드라사에서 벌어지는 수학 관련 토론에 참여하기도 했다. 계산 능력 또한 뛰어나 말 위에서 특정 시각 태양의 경도를 분 단위로 암산할 수 있었다고 한다.[92] 당대 사람들은 옥좌에 있는 학자 울루그 베그를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비유하기도 하였다.[90]
달의 울루그 베그(크레이터)는 1830년 달 지도를 제작한 독일 천문학자 요한 하인리히 폰 맬들러가 그의 이름을 따 명명했다.[29][30] 1977년 8월 21일 나우치니에서 N. 체르니흐가 발견한 소행성 2439 울루그베크는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2021년에는 공룡 울루그베그사우루스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31]
소련 인류학자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게라시모프는 울루크 베그의 얼굴을 복원했다. 그의 할아버지 티무르와 마찬가지로 울루크 베그는 약간의 유럽인 특징을 가진 몽골로이드 계열에 가깝다.[32][33] 그의 아버지 샤 루흐는 뚜렷한 몽골로이드 특징 없이 주로 코카소이드 특징을 지녔다.[34][35]
6. 죽음과 유산
1447년, 아버지 샤 루크의 죽음 소식을 접한 울루그 베그는 발흐로 갔다. 거기서 그는 형제 바이숭구르의 아들 알라 알-다울라 미르자가 헤라트에서 티무르 제국의 통치권을 주장했다는 소식을 들었다.[13] 울루그 베그는 알라 알-다울라를 공격하여 무르가브에서 전투를 벌여 승리하고 헤라트를 점령, 1448년에 그곳 주민들을 학살했다. 그러나 알라 알-다울라의 형제 아불-카심 바부르 미르자가 그를 도우러 와 울루그 베그를 패배시켰다.[13]
울루그 베그는 발흐로 후퇴했는데, 그곳 총독이자 그의 장남인 압달-라티프 미르자가 그에게 반란을 일으켰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다른 내전이 발생했고,[13] 압달-라티프는 아무 다리아 강 기슭에서 아버지의 군대와 맞서기 위해 병력을 모았다. 그러나 울루그 베그는 도시에서 혼란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전투가 일어나기 전에 사마르칸드로 후퇴해야 했다. 압달-라티프는 곧 사마르칸드에 도착했고 울루그 베그는 자발적으로 아들에게 항복했다. 압달-라티프는 아버지를 감금에서 풀어주고 메카로 순례를 갈 수 있도록 허락했지만, 1449년 그와 그의 형제 압달-아지즈를 암살했다.[24][25][26]
결국 울루그 베그의 명성은 그의 조카인 압달라 미르자에 의해 회복되었고, 그는 울루그 베그의 유해를 사마르칸드의 구르-에-아미르에 있는 티무르의 발치에 안치했다.[27] 그곳에서 그의 유해는 1941년 소련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견되었다.[27]
달에 있는 울루그 베그(크레이터)는 1830년 달 지도를 제작한 독일 천문학자 요한 하인리히 폰 맬들러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29][30] 1977년 8월 21일 나우치니에서 N. 체르니흐가 발견한 소행성대의 소행성 2439 울루그베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21년에는 공룡 울루그베그사우루스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1]
소련 인류학자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게라시모프는 울루그 베그의 얼굴을 복원했다. 그의 할아버지 티무르와 마찬가지로 울루그 베그는 약간의 유럽인 특징을 가진 몽골로이드 계열에 가깝다.[32][33] 그의 아버지 샤 루크는 뚜렷한 몽골로이드 특징 없이 주로 코카소이드 특징을 지녔다.[34][35]
1449년 가을, 아브둘 라티프의 군대는 사마르칸트에 접근했고, 울루그 베크는 아브둘 아지즈와 함께 이를 저지하려 했으나 패배했다.[37] 울루그 베크는 아브둘 라티프에게 하즈를 청하여 허락받았지만, 사마르칸트를 떠난 후 아브둘 라티프가 파견한 암살자에 의해 55세의 나이로 살해되었다.[37][52] 1941년 울루그 베크의 묘에서 그의 두개골이 발견되었다.[39]
7. 가족
울루그 베그는 13명의 부인이 있었다.
- 아카 베기 베굼(Aka Begi Begum): 무함마드 술탄 미르자(Muhammad Sultan Mirza)의 아들 자항기르 미르자와 칸 술탄 카니카(Khan Sultan Khanika)의 딸. 하비바 술탄(Habiba Sultan), 칸자다 베굼(Khanzada Begum)으로 알려진 딸과 또 다른 칸자다 베굼(Khanzada Begum)의 어머니.
- 술탄 바디 알-물크 베굼(Sultan Badi al-mulk Begum): 칼릴 술탄(Khalil Sultan)의 아들 미란 샤(Miran Shah)와 샤드 말릭 아가(Shad Malik Agha)의 딸.
- 아키 술탄 카니카(Aqi Sultan Khanika): 술탄 마흐무드 칸 오게다이(Mahmud Khan Ogeday)의 딸.
- 후스니 니가르 카니카(Husn Nigar Khanika): 샴스-이-자한 칸 차가타이(Shams-i-Jahan Khan Chaghatay)의 딸.
- 슈크르 비카 카니카(Shukr Bīka Khanika): 골든 호드(Golden Horde)의 다르위시(Darwīsh) 칸의 딸.
- 루카이야 술탄 아가(Rukaiya Sultan Agha): 아랄트(Arlat) 출신 여성. 압달-라티프 미르자(Abdal-Latif Mirza), 악 바시 베굼(Ak Bash Begum), 술탄 벡트 베굼(Sultan Bakht Begum)의 어머니.
- 미르 술탄 아가(Mihr Sultan Agha): 투칼 빈 사르부카(Tukal bin Sarbuka)의 딸.
- 사아다트 벡트 아가(Sa'adat Bakht Agha): 바얀 쿠칼타시(Bayan Kukaltash)의 딸. 쿳툴그 투르칸 아가(Qutlugh Turkhan Agha)의 어머니.
- 다울라트 술탄 아가(Daulat Sultan Agha): 카완드 사이드(Khawand Sa'id)의 딸.
- 벡티 비 아가(Bakhti Bi Agha): 아카 수피 우즈벡(Aka Sufi Uzbek)의 딸.
- 다울라트 벡트 아가(Daulat Bakht Agha): 셰이크 무함마드 바를라스(Sheikh Muhammad Barlas)의 딸.
- 술타님 아가(Sultanim Agha): 압둘 하미드 미르자(Abdul Hamid Mirza)와 압둘 자브라르 미르자(Abdul Jabrar Mirza)의 어머니.
- 술탄 말릭 아가(Sultan Malik Agha): 나시르 알-딘(Nasir-al-Din)의 딸. 우바이둘라 미르자(Ubaydullah Mirza), 압둘라 미르자(Abdullah Mirza)와 또 다른 압둘라 미르자(Abdullah Mirza)의 어머니.[77]
7. 1. 부인
울루그 베그(Ulugh Beg)는 13명의 부인이 있었다.[78][79]- 아카 베기 베굼(Aka Begi Begum): 무함마드 술탄 미르자(Muhammad Sultan Mirza)의 아들 자항기르 미르자와 칸 술탄 카니카(Khan Sultan Khanika)의 딸. 하비바 술탄(Habiba Sultan), 칸자다 베굼(Khanzada Begum)으로 알려진 딸과 또 다른 칸자다 베굼(Khanzada Begum)의 어머니.[78]
- 술탄 바디 알-물크 베굼(Sultan Badi al-mulk Begum): 칼릴 술탄(Khalil Sultan)의 아들 미란 샤(Miran Shah)와 샤드 말릭 아가(Shad Malik Agha)의 딸.[78]
- 아키 술탄 카니카(Aqi Sultan Khanika): 술탄 마흐무드 칸 오게다이(Mahmud Khan Ogeday)의 딸.[78]
- 후스니 니가르 카니카(Husn Nigar Khanika): 샴스-이-자한 칸 차가타이(Shams-i-Jahan Khan Chaghatay)의 딸.[78]
- 슈크르 비카 카니카(Shukr Bīka Khanika): 골든 호드(Golden Horde)의 다르위시(Darwīsh) 칸의 딸.[78]
- 루카이야 술탄 아가(Rukaiya Sultan Agha): 아랄트(Arlat) 출신 여성. 압달-라티프 미르자(Abdal-Latif Mirza), 악 바시 베굼(Ak Bash Begum), 술탄 벡트 베굼(Sultan Bakht Begum)의 어머니.[78]
- 미르 술탄 아가(Mihr Sultan Agha): 투칼 빈 사르부카(Tukal bin Sarbuka)의 딸.[78]
- 사아다트 벡트 아가(Sa'adat Bakht Agha): 바얀 쿠칼타시(Bayan Kukaltash)의 딸. 쿳툴그 투르칸 아가(Qutlugh Turkhan Agha)의 어머니.[78]
- 다울라트 술탄 아가(Daulat Sultan Agha): 카완드 사이드(Khawand Sa'id)의 딸.[78]
- 벡티 비 아가(Bakhti Bi Agha): 아카 수피 우즈벡(Aka Sufi Uzbek)의 딸.[78]
- 다울라트 벡트 아가(Daulat Bakht Agha): 셰이크 무함마드 바를라스(Sheikh Muhammad Barlas)의 딸.[78]
- 술타님 아가(Sultanim Agha): 압둘 하미드 미르자(Abdul Hamid Mirza)와 압둘 자브라르 미르자(Abdul Jabrar Mirza)의 어머니.[78]
- 술탄 말릭 아가(Sultan Malik Agha): 나시르 알-딘(Nasir-al-Din)의 딸. 우바이둘라 미르자(Ubaydullah Mirza), 압둘라 미르자(Abdullah Mirza)와 또 다른 압둘라 미르자(Abdullah Mirza)의 어머니.[78]
- 미히르 술탄[78]
- 다우라트 바흐트 하툰[78]
- 다우라트 술탄 하툰[78]
- 바히티 비 하툰[78]
- 사아다트 바흐트 하툰[78]
- 우르탄 말릭[78]
- 살타눔[78]
- 하탄 하툰[78]
- 루카이야 하툰 알라트[78]
이 외에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후비가 2명 있었다.[79]
7. 2. 자녀
- 압둘라티프
- 압둘 아지즈
- 압둘 사마드
- 압둘 자바르
- 압둘라프
- 압드 알라흐만
- 압둘 말릭
- 압둘 자크
- 하비베 술탄 한자다 베김
- 술탄 바히트
- 악 바슈
- 꾸뜰루그 탈칸 아가
- 술탄 바디 알 무르크
- 타가이 탈칸
- 한자다 아가
- 아카 베김
- 타가이 샤
- 라비아 술탄 베김 - 우즈베크 지도자 압둘 카이르의 아내[80]
참조
[1]
서적
Science in Islamic civilisatio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a: "Science institutions in Islamic civilisation", &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Turkish and Islamic world"
https://books.google[...]
[2]
문서
Ulugh Beg
[3]
웹사이트
Samarkand: Ulugh Beg's Observatory
https://depts.washin[...]
[4]
웹사이트
Ulugh Beg and His Observatory
https://depts.washin[...]
2023-05-02
[5]
웹사이트
Ulugh Beg
https://mathshistory[...]
2023-05-02
[6]
웹사이트
The Legacy of Ulugh Beg Central Asian Monuments Edited by H. B. Paksoy CARRIE Books
http://vlib.iue.it/c[...]
2018-12-02
[7]
서적
The global built environment as a representation of realities
https://books.google[...]
[8]
웹사이트
Ulugh Beg
https://academic-eb-[...]
Britannica Academic
2018-12-04
[9]
웹사이트
Timur
http://search.eb.com[...]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10]
서적
Улугбек и его время (Ulug Beg and his time)
St Petersburg
1918
[11]
웹사이트
Ulug Beg – Biografiya
http://www.opklare.r[...]
2019-01-05
[12]
백과사전
Tīmūr Lang
Encyclopaedia of Islam
2006
[13]
서적
Central Asian Monuments
Isis Press
2006-06-27
[14]
웹사이트
The Star Catalogues of Ptolemaios and Ulugh Beg
https://www.aanda.or[...]
Astronomy & Astrophysics
[15]
웹사이트
The 28-Xiu constellations in East Asian calendars and analysis of their observation dates
https://www.scribd.c[...]
2017-10-29
[16]
서적
Reference Systems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20
[17]
서적
Prolégomènes des tables astronomiques d'OlougBeg: Traduction et commentaire
https://archive.org/[...]
Firmin Didot Frères
1853
[18]
웹사이트
Ulugh Beg (1393 - 1449)
http://mathshistory.[...]
2020-05-25
[19]
서적
Mediæval Researches from Eastern Asiatic Sources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ltd
1910
[20]
서적
'Report to Mirza Baysunghur on the Timurid Legation to the Ming Court at Peking' in A Century of Princes: Sources on Timurid History and Art
Aga Khan Program for Islamic Architecture
1989
[21]
서적
A Persian Embassy to China, Being an Extract from Zubdatu't Tawarikh of Hafiz Abru
1934
[22]
서적
Report to Mirza Baysunghur on the Timurid Legation to the Ming Court at Peking in A Century of Princes: Sources on Timurid History and Art
Aga Khan Program for Islamic Architecture
1989
[23]
서적
Mediæval Researches from Eastern Asiatic Sources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ltd
1910
[24]
웹사이트
ʿABD-AL-LAṬĪF MĪRZĀ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5]
서적
The history of Persia
[26]
서적
The "Ancient Supremacy": Bukhara, Afghanistan and the Battle for Balkh, 1731
1996
[27]
서적
Rediscovery of the civilization of Central Asia: integral study of silk roads, roads of dialogue, steppe route expedition in USSR
1991
[28]
이미지
English: Ulugh Beigh, on the moon
https://commons.wiki[...]
2015-12-02
[29]
이미지
English: Ulugh Beigh, on the moon
https://commons.wiki[...]
2015-12-02
[30]
웹사이트
Ulugh Beg
https://www.perthobs[...]
2024-10-29
[31]
웹사이트
Newly discovered dinosaur predated tyrannosaurs — and at the time was a bigger apex predator
https://www.cbc.ca/n[...]
2024-10-29
[32]
서적
Greater Iran: A 20th-century Odyssey
https://books.google[...]
Mazda
2019-01-05
[33]
서적
Ich suchte Gesichter
https://books.google[...]
J. B. Lippincott
2019-01-05
[34]
서적
Greater Iran: A 20th-century Odyssey
https://books.google[...]
Mazda
2005-03-22
[35]
서적
The Face Finder
https://books.google[...]
J. B. Lippincott
1971-03-22
[36]
서적
ティムール帝国
[37]
서적
世界伝記大事典 世界編
[38]
서적
アイハヌム 2008
[39]
서적
アジア歴史事典
[40]
서적
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
[41]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42]
서적
ティムール帝国
[43]
서적
ティムール帝国
[44]
서적
アイハヌム 2008
[45]
서적
ティムール帝国
[46]
서적
ティムール帝国
[47]
서적
ティムール帝国
[48]
서적
ティムール帝国
[49]
서적
アイハヌム 2008
[50]
서적
中央アジア史
[51]
서적
トゥルキスタン アジアの心臓部
原書房
[52]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53]
서적
アイハヌム 2008
[54]
서적
ティムール帝国
[55]
서적
ティムール帝国
[56]
서적
中央アジア史
[57]
서적
アイハヌム 2008
[58]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59]
서적
ティムール帝国
[60]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61]
서적
ティムール帝国
[62]
서적
ティムール帝国
[63]
웹사이트
天動説から地動説へ。中世の暗黒時代をつないだイスラムの天文学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2024-03-13
[64]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65]
서적
アラビア科学史序説
[66]
서적
アラビア科学史序説
[67]
서적
アラビア科学史序説
[68]
서적
アラビア科学史序説
[69]
서적
中央アジア史
[70]
서적
アイハヌム 2008
[71]
서적
아라비아 과학사 서설
[72]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73]
서적
티무르 제국
[74]
간행물
티무르의 제국
[75]
서적
티무르 제국
[76]
뉴스
신종 공룡 발견, 티라노사우루스 이전의 왕자 우즈베키스탄에서
https://www.sankei.c[...]
산케이 신문
2021-09-08
[77]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창원사
2009-05
[78]
서적
티무르 제국
[79]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80]
간행물
민족 사회의 형성
동봉사
1999-04
[81]
백과사전
Tīmūr Lang
2006
[82]
서적
Temür and the early Timurids to c. 14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83]
서적
유라시아 유목 제국사
사계절
1998
[84]
서적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민족사
1990
[85]
서적
Temür and the early Timurids to c. 14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86]
서적
유라시아 유목 제국사
사계절
1998
[87]
서적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민족사
1990
[88]
서적
유라시아 유목 제국사
사계절
1998
[89]
서적
티무르조 문화
책과함께
2009
[90]
서적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민족사
1990
[91]
서적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민족사
1990
[92]
서적
티무르조 문화
책과함께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