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즈뇨프곶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즈뇨프 곶은 유라시아 대륙의 최동단 곶으로, 베링 해협을 사이에 두고 미국 알래스카 주의 프린스 오브 웨일스 곶과 마주보고 있다. 1648년 세묜 데즈뇨프가 처음 발견했으며, 1898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곶 주변은 툰드라 지형으로, 겨울에는 영하 40도까지 내려가는 혹독한 기후를 보인다. 과거에는 포경 및 모피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바다코끼리, 물개, 고래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곶 - 로팟카곶
    로팟카곶은 알류샨 열도의 최남단에 위치하며, 알류샨 저기압과 오야시오 해류의 영향으로 춥고 습한 기후를 보이는 러시아와 일본 간 국경 분쟁 지역이자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격전지였다.
  • 러시아의 곶 - 코리츠키곶
    코리츠키 곶은 쿠릴 열도 이투루프 섬 최북단에 위치하며, 아이누어로 "카모이왓카"라고 불리는 일본 정부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영토의 최북단이자, 1800년 곤도 주조가 표주를 세운 곳으로, 현재는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는 영토 분쟁 지역이다.
  • 축치 자치구의 지형 - 베링 해협
    베링 해협은 러시아와 미국 사이에 위치하며, 좁은 폭이 약 82km, 수심이 90m 정도이고, 국제 날짜 변경선이 지나가며, 과거 육교로 존재했고, 비투스 베링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횡단 시도와 다양한 건설 구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 축치 자치구의 지형 - 베링해
    베링해는 북태평양의 큰 주변해로 북극해, 알래스카, 알류샨 열도, 캄차카 반도 등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넓은 면적과 다양한 해저 지형, 풍부한 해양 생물을 보유하고, 빙하기에는 육지 다리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중요한 어장이지만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 베링 해협 - 오야시오 해류
    오야시오 해류는 캄차카 해류와 오호츠크해 해수의 혼합으로 형성되어 쿠릴 열도를 따라 남하하는 저온, 고염분의 한류로, 쿠로시오 해류와의 만남을 통해 풍부한 어장을 형성하고 주변 지역의 기후에도 영향을 미친다.
  • 베링 해협 - 베링 육교
    베링 육교는 과거 시베리아와 알래스카를 연결했던 육지였으며, 해수면 저하로 인해 형성되어 동식물과 인류의 이동 통로 역할을 했다.
데즈뇨프곶
지리 정보
위치러시아 추코트카 자치구
수역축치해
해발고도741m
지역러시아 극동
개요
종류
다른 이름러시아어: мыс Дежнёва (미스 데즈뇨바)
에스키모-알류트어: Tugnehalha (투그네할하)
설명아시아 대륙의 최동단
역사
이름 유래세묜 데즈뇨프의 이름에서 유래
추가 정보
거리울렌 마을에서 약 82km 떨어져 있음

2. 지리

1898년, 이 곶은 공식적으로 데즈뇨프 곶으로 개명되었으며, 제임스 쿡 선장의 "동쪽 곶"이라는 이름을 대체했다. 이 곶은 1648년 최초로 이곳을 돈 기록이 있는 유럽인인 세묜 데즈뇨프를 기려 명명되었다. 해안에는 데즈뇨프의 거대한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이 곶은 높고 바위가 많은 곶의 동쪽 끝이며, 북쪽의 우엘렌에서 남쪽의 페'에크 곶까지 약 20km 떨어져 있다. 늪과 얕은 호수로 뒤덮인 낮은 지협으로 본토와 연결되어 있다. 그 낮은 지대의 고도가 매우 낮아서 남쪽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곶이 섬처럼 보인다. 1909년 미국 수로국 간행물 ''아시아 항해사''는 이 곶의 높이를 768m로, 2000년 미국 해안 측량국 지도에는 가장 높은 봉우리를 804m로 표시하고 있다. 과 낮은 지협은 함께 반도를 형성한다. 잘 정비된 길이 선사 시대와 역사 시대에 곶 뒤의 지협을 가로질렀으며, 겨울에는 썰매가 지나다녔고, 해협을 건너는 것을 피하기 위해 여름에는 운반로로 사용되었다. 이 경로는 언어학자 마이클 크라우스의 분석에 따르면,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가 곶에 있는 나우칸 마을에서 사용되는 나우칸 유픽어 방언에 의해 끊기지 않고 해안을 따라 계속 이어질 정도로 중요했다.

데즈뇨프 곶에서 예멘바브엘만데브 해협 해안까지의 최단 거리는 약 10,855km이며, 이는 아시아에서 가장 긴 육상 거리이다.

베링 해협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은 알래스카 주의 프린스 오브 웨일스 곶으로, 두 곶 사이의 거리는 82km이다. 중간에 그보즈데프 제도(영어명: 다이오미드 제도)(미국령의 리틀 다이오미드 섬(러시아어명: 크루젠슈테른 섬)과 러시아령의 라트마노프 섬(영어명: 빅 다이오미드 섬))이 떠 있다.

사람이 정착하여 사는 취락 중 가장 가까운 곳은 북서쪽으로 약 12킬로미터 떨어진 마을 우엘렌이다.

유라시아 대륙의 최서단은 포르투갈에 위치한 로카 곶, 아시아의 최서단은 터키의 아나톨리아 서단에 위치한 바바 곶이다.

3. 기후

연중 공기가 건조하고 춥다. 겨울은 매우 추워서 기온이 -40도, 여름에도 8도로 매우 저온인 지역이다.

4. 역사

1937년 미국 해안 경비대 지도에 나타난 데즈뇨프 곶(당시에는 동쪽 곶으로 불림)의 상세 지도. 툰칸, 우엘렌(우겔렌), 나우칸(누오칸), 엔미타힌, 데즈네보(데즈뇨프 항구) 마을이 표시되어 있다. 이 지도에서 곶의 모양은 다소 왜곡되어 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사이에 미국 등 여러 나라와 무역을 했으며, 포경과 모피 등의 상업이 번성했다.

데즈뇨프곶 반도(또는 당시 일반적으로 불리던 동쪽 곶)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미국(및 기타) 포경선과 해안의 토착 유픽 및 축치인 사이의 무역 중심지였다.[4] 초창기에는 선박들이 북극해 연안에서 생산된 모피를 거래하기 위해 우엘렌에 기항했다. 이후 우엘렌과 데스네보(케니스쿤/Кэныскунckt, 카니스카크/Канискакess)에 무역소가 세워졌다. 당시 자료에서 동쪽 곶에서 정박하거나 거래했다는 언급은 이 두 곳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때로는 닻을 내릴 만한 좋은 곳이 없어 무역이 덜했던 곶 남동쪽 해안의 유픽 마을 나우칸을 의미하기도 한다. 당시 자료에는 엠마-타운이라는 마을에 대한 언급도 있다. 이 이름은 근처 유픽 마을 엔미타힌(엔미타힌/Энмытагнckt, "절벽의 끝")에서 유래했을 수 있지만, 무역상들이 있던 케니스쿤, 또는 두 마을을 함께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곶 자체에 있던 4개의 역사적인 마을 중 현재까지 사람이 거주하는 곳은 우엘렌뿐이다. 나우칸은 1958년에 철수되었고 주민 대부분은 축치 자치구의 세인트 로렌스 만 근처 누냐모로 이주했으며, 케니스쿤은 이보다 조금 앞서 우엘렌과 합병되었다.

1778년, 영국의 제임스 쿡은 이스트 케이프(East Cape)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1879년 스웨덴의 극지 탐험가 아돌프 에릭 노르덴셸드는 발견자의 이름으로 부를 것을 제안했다. 발견 250주년 전날 그 제안이 받아들여져 러시아 지리학회에 의해 1898년 정식으로 '''데즈뇨프 곶'''이 되었다. 이름은 1648년에 곶을 발견한 세묜 데즈뇨프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요제프 바우어의 ''내 발이 닿는 곳까지(1955)''에서 데즈네프 곶은 1949년 독일군 포로 클레멘스 포렐(본명: 코르넬리우스 로스트)이 탈출한 굴라그 납광산 수용소로 묘사된다. 그러나 이후의 연구에서 이 책의 정확성에 심각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예를 들어, 탈출이 묘사된 당시에는 데즈뇨프 곶 굴라그 수용소 납광산이 존재하지 않았다.

4. 1. 주요 역사적 사건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데즈뇨프 곶(당시 동쪽 곶)은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포경선과 해안의 토착 유픽, 축치인 사이의 무역 중심지였다.[4] 초기에는 선박들이 북극해 연안에서 생산된 모피를 거래하기 위해 우엘렌에 기항했다.[4] 이후 우엘렌과 데즈네보(축치어: 케니스쿤, 유픽어: 카니스카크)에 무역소가 세워졌다.[4] 당시 자료에서 동쪽 곶에서 정박하거나 거래했다는 언급은 이 두 곳 중 하나, 또는 곶 남동쪽 해안의 유픽 마을 나우칸을 의미할 수 있다.[4] 엠마-타운이라는 마을도 언급되는데, 이는 근처 유픽 마을 엔미타힌(축치어로 "절벽의 끝")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4] 곶 자체에 있던 역사적인 마을 중 현재까지 사람이 거주하는 곳은 우엘렌뿐이다.[4]

1778년 영국의 제임스 쿡은 이스트 케이프(East Cape)라는 이름으로 불렀다.[4] 1879년 스웨덴의 극지 탐험가 아돌프 에릭 노르덴셸드는 발견자인 세묜 데즈뇨프의 이름을 따서 부를 것을 제안했다.[4] 1898년 러시아 지리학회는 이 제안을 받아들여 정식으로 데즈뇨프 곶으로 명명했다. 이는 데즈뇨프의 곶 발견 250주년 전날이었다.[4]

요제프 바우어의 ''내 발이 닿는 곳까지(1955)''에서 데즈뇨프 곶은 1949년 독일군 포로 클레멘스 포렐(본명: 코르넬리우스 로스트)이 탈출한 굴라그 납광산 수용소로 묘사된다.[4]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 이 책의 정확성에 심각한 의문이 제기되었다.[4] 예를 들어, 탈출이 묘사된 당시에는 데즈뇨프 곶 굴라그 수용소 납광산이 존재하지 않았다.[4]

4. 2. 과거 정착지



데즈뇨프곶 반도(또는 당시 일반적으로 불리던 동쪽 곶)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미국(및 기타) 포경선과 해안의 토착 유픽 및 축치인 사이의 무역 중심지였다.[4] 초창기에는 선박들이 북극해 연안에서 생산된 모피를 거래하기 위해 우엘렌에 기항했다. 이후 우엘렌과 데스네보(축치어: 케니스쿤, 유픽어: 카니스카크)에 무역소가 세워졌다. 당시 자료에서 동쪽 곶에서 정박하거나 거래했다는 언급은 이 두 곳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때로는 닻을 내릴 만한 좋은 곳이 없어 무역이 덜했던 곶 남동쪽 해안의 유픽 마을 나우칸을 의미하기도 한다. 당시 자료에는 엠마-타운이라는 마을에 대한 언급도 있다. 이 이름은 근처 유픽 마을 엔미타힌(축치어로 "절벽의 끝")에서 유래했을 수 있지만, 무역상들이 있던 케니스쿤, 또는 두 마을을 함께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곶 자체에 있던 4개의 역사적인 마을 중 현재까지 사람이 거주하는 곳은 우엘렌뿐이다. 나우칸은 1958년에 철수되었고 주민 대부분은 축치 자치구의 세인트 로렌스 만 근처 누냐모로 이주했으며, 케니스쿤은 이보다 조금 앞서 우엘렌과 합병되었다.

요제프 바우어의 ''내 발이 닿는 곳까지(1955)에서 데즈네프 곶은 1949년 독일군 포로 클레멘스 포렐(본명: 코르넬리우스 로스트)이 탈출한 굴라그 납광산 수용소로 묘사된다. 그러나 이후의 연구에서 이 책의 정확성에 심각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예를 들어, 탈출이 묘사된 당시에는 데즈뇨프 곶 굴라그 수용소 납광산이 존재하지 않았다.

5. 생태

이 지역에서는 바다코끼리, 물개, 혹등고래, 범고래를 볼 수 있다.

6. 현대

7.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Toponymic Dictionary of the North-East of the USSR Magad. Prince Publishing House 1989
[2] 백과사전 Cape Dezhnyov http://bse.sci-lib.c[...] Great Soviet Encyclopedia
[3] 웹사이트 As far as your feet will cary you - A global hit - Fiction and Truth (A four-tape-interview as the basis for the novel) http://www.br-online[...] Bayerischer Rundfunk 2010-03-23
[4] 서적 地球の果ての歩き方 一度は行きたい世界の「端っこ」を景観&雑学とともに解説 株式会社地球の歩き方 2022-03-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