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이오미드 제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오미드 제도는 베링 해협의 중앙에 위치한 라트마노프 섬(러시아령)과 리틀 다이오미드 섬(미국령)으로 구성된 제도이다. 두 섬 사이의 거리는 3.8km이며, 미러 국경과 날짜 변경선이 지나간다. 날짜 변경선으로 인해 라트마노프 섬은 '내일 섬', 리틀 다이오미드 섬은 '어제 섬'으로 불리기도 한다. 과거 냉전 시대에는 미국과 소련의 국경을 이루었으며, 겨울에는 두 섬 사이의 바다가 얼어 걸어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동은 금지되어 있다. 이 섬들은 그리스의 성 디오미데스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며,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툰드라 기후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축치해의 섬 - 라트마노프섬
    라트마노프섬은 러시아 최동단이자 디오미드 제도의 큰 섬으로, 베링 해협에 위치하며 과거 이누피아크족이 거주했으나 현재는 러시아 기상 관측소와 국경 경비대가 주둔하고 냉전 시대 미국과의 경계 지역이었다.
  • 축치해의 섬 - 리틀다이오미드섬
    리틀다이오미드섬은 알래스카 본토에서 서쪽으로 약 25km 떨어진 베링 해협의 섬으로, 국제 날짜 변경선과 가까워 "어제의 섬"이라고도 불리며, 화강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조류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디오미드 마을이 위치해 있고, 냉전 시대 미국과 러시아의 국경선 상징이었으나 현재는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 축치 자치구의 섬 - 라트마노프섬
    라트마노프섬은 러시아 최동단이자 디오미드 제도의 큰 섬으로, 베링 해협에 위치하며 과거 이누피아크족이 거주했으나 현재는 러시아 기상 관측소와 국경 경비대가 주둔하고 냉전 시대 미국과의 경계 지역이었다.
  • 축치 자치구의 섬 - 브란겔섬
    브란겔섬은 동시베리아해와 축치해를 구분하는 러시아령 북극 섬으로, 7,600km²의 면적에 해안 평원, 산맥, 북쪽 해안 평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극곰과 털매머드 등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이고 2004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러시아-미국 국경 - 베링 해협
    베링 해협은 러시아와 미국 사이에 위치하며, 좁은 폭이 약 82km, 수심이 90m 정도이고, 국제 날짜 변경선이 지나가며, 과거 육교로 존재했고, 비투스 베링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횡단 시도와 다양한 건설 구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 러시아-미국 국경 - 베링해
    베링해는 북태평양의 큰 주변해로 북극해, 알래스카, 알류샨 열도, 캄차카 반도 등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넓은 면적과 다양한 해저 지형, 풍부한 해양 생물을 보유하고, 빙하기에는 육지 다리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중요한 어장이지만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다이오미드 제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베링 해협 위성 사진, 중앙에 다이오미드 제도가 위치함
베링 해협 위성 사진, 중앙에 다이오미드 제도가 위치함
기본 정보
현지 이름러시아어: острова Диомида (오스트로바 디오미다)
이누이트어: Iŋaluk (이냘루크)
위치베링 해협
총 섬 수2
면적35 km²
최대 고도494 m
구성라트마노프 섬
리틀 다이오미드 섬
소속 국가러시아
미국
시간대알래스카 시간: UTC-9 (표준시) / UTC-8 (일광 절약시)
캄차카 시간: UTC+12
인구 정보
인구라트마노프 섬: 0명 (2023년 1월)
리틀 다이오미드 섬: 77명 (2023년 1월)
지리
거리두 섬 사이: 약 3.8 km (2.4 마일)
기타 정보
관련 정보다이오미드 제도 (영화)

2. 지리

다이오미드 제도는 베링 해협의 거의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라트마노프 섬(러시아령)과 리틀 다이오미드 섬(미국령)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섬 사이의 가장 가까운 거리는 약 3.8km이다.[4]

두 섬 사이에는 미국러시아의 국경과 날짜 변경선이 지나고 있으며, 서경 168도 58분 37초의 경선을 기준으로 한다. 이 날짜 변경선 때문에 라트마노프 섬은 리틀 다이오미드 섬보다 일반적으로 하루 빠르다. 그래서 라트마노프 섬은 '내일 섬', 리틀 다이오미드 섬은 '어제 섬'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9.3킬로미터 남동쪽에 있는 페어웨이 록은 일반적으로 다이오미드 제도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는다.

2. 1. 라트마노프 섬 (빅 다이오미드 섬)

'''라트마노프 섬'''(Остров Ратмановаru)은 러시아령 (추코트 자치구)이다. '''빅 다이오미드 섬'''(Big Diomede Island영어), '''이마클리크 섬'''(Imaqłiqik)이라고도 불린다.

미국러시아의 국경과 날짜 변경선이 두 섬의 중간 지점인 서경 168도 58분 37초의 경선을 지나간다. 일반적으로 라트마노프 섬은 리틀 다이오미드 섬보다 하루 앞서 있다. 더 정확하게는 라트마노프 섬은 UTC+12, 리틀 다이오미드 섬은 UTC-9(하계는 UTC-8)으로, 시차는 21시간(하계는 20시간)이다.[13] 이 때문에 라트마노프 섬은 '''내일 섬'''(Tomorrow Island영어)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라트마노프 섬은 러시아의 최동단이다.

겨울에는 두 섬 사이의 바다가 얼어붙어 미국과 러시아 사이를 걸어서 건너는 것이 "물리적으로는" 가능하다. 하지만 두 섬 사이의 이동은 금지되어 있다.[6] 베링 해협에 다리나 해저 터널을 설치하는 구상(베링 해협 횡단)에서는 이 제도들이 중간 지점으로 자주 언급된다.[5][14]

2. 2. 리틀 다이오미드 섬

미국 알래스카주에 속하는 '''리틀 다이오미드 섬'''(영어: Little Diomede Island)은 크루젠슈테른 섬(러시아어: Остров Крузенштерна) 또는 이날리크 섬(이누피아크어: Iŋaliq)이라고도 불린다. 섬의 서쪽에는 다이오미드 마을이 있으며, 이곳에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다.[4] 두 섬 사이는 가장 가까운 지점이 약 3.8km 떨어져 있다.[4]

겨울에는 얼음 다리가 보통 두 섬 사이를 덮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두 섬 사이를 걸어서 이동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하지만 두 섬 사이의 여행은 금지되어 있다.[6]

2. 3. 기타

베링 해협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다리나 터널(베링 해협 횡단)의 중간 기착지로 다이오미드 제도가 종종 언급된다.[5]

겨울에는 얼음 다리가 보통 두 섬 사이의 거리를 덮는다. 이 시기에는 두 섬 사이를 여행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지만,[6] 이론적으로는 미국과 러시아 사이를 걸어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어원

이 섬들은 그리스의 성 디오미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덴마크 출신 러시아 항해사 비투스 베링은 1728년 8월 16일(구력), 즉 신력 8월 27일에 다이오미드 제도를 발견했는데, 이는 러시아 정교회가 이 성인을 기념하는 날이었다.[3] 비투스 베링이 1728년 8월 16일(율리우스력) 이 제도를 재발견했을때, 이날은 러시아 정교회에서 성 디오메데스를 축복하는 날이었다.[15]

이 제도의 이름은 그리스의 성인 Diomedes of Tarsus|성 디오메데스영어에서 유래했다. 다이오미드는 디오메데스의 영어식 발음이다.

다른 이름인 그보즈데프 제도는 두 섬의 경도와 위도를 결정한 러시아 측지학자 Mikhail Gvozdev|미하일 그보즈데프영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역사

가파르고 바위가 많은 해안선에 지어진 40~50채의 대부분 작은 건물들로 이루어진 마을; 언덕 위쪽에 있는 일부 구조물은 말뚝 위에 지어졌습니다
2008년 8월 작은 다이오미드 섬


원래 이 섬들에는 에스키모의 유픽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1648년 러시아 탐험가 세묜 데즈뇨프가 유럽인 최초로 베링 해협에 도달했다. 그는 입술에 뼈로 만든 장식을 한 원주민이 사는 두 섬이 해협에 있다고 보고했지만, 이 섬들이 다이오미드 제도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1728년 8월 16일(율리우스력. 그레고리력으로는 8월 26일), 덴마크 항해사 비투스 베링이 러시아 탐험대를 이끌고 다이오미드 제도를 재발견했다. 1732년 러시아 측지학자 미하일 그보즈데프가 두 섬의 경위도를 결정했다.[7]

1867년 알래스카 매입을 확정지은 미러 조약 본문에서는 이 섬들이 양국 간의 국경선으로 사용된다고 명시했다. 국경은 "크루젠슈테른 섬 (또는 이나리크 섬) 및 라트마노프 섬과 같은 거리를 두고, 북극해로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무한히 북상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냉전 시대, 이 해협은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 사이의 국경이자 서방 국가와 동구권 국가 사이의 경계로, 철의 장막에 빗대어 "얼음 장막"으로 불렸다. 1987년 8월 7일 린 콕스가 두 섬 사이를 헤엄쳐 건너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소련 공산당 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에게 칭찬을 받았고, 이는 데탕트의 상징이 되었다.[8]

1995년 여름, 영국 배우이자 코미디언 마이클 페일린은 BBC 다큐멘터리 시리즈 Full Circle with Michael Palin|마이클 페일린의 태평양 일주영어의 일환으로 환태평양 18개국 순회 일주를 리틀다이오미드 섬에서 시작했다. 그는 8개월간의 여행 마지막에 다시 이 섬에 발을 들여놓을 예정이었지만, 거친 파도 때문에 상륙하지 못했다.

큰 다이오미드 섬은 전통적으로 국제 날짜 변경선 이전의 가장 동쪽 육지였으나, 1995년 국제 날짜 변경선이 키리바시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의미가 없어졌다.

1948년 소련 정부는 큰 다이오미드 섬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고 원주민들을 러시아 본토로 이주시켰다.[9] 현재 이 섬에는 군부대만 주둔하고 있다.[10] 작은 다이오미드 섬에는 이누피아트족이 거주하며, 섬 전체가 디오미드 시를 구성하지만, 섬 서쪽 마을 부지에 완전히 거주하고 있다.

4. 1. 초기 역사



베링 해협에 처음 도달한 유럽인은 1648년 러시아 탐험가 세묜 데즈네프였다. 그는 원주민들이 뼈로 만든 입술 장식을 하고 있는 두 개의 섬을 보고했지만, 이것이 다이오미드 제도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덴마크 항해사 비투스 베링은 1728년 8월 16일(구력, 8월 26일 신력) 러시아 탐험대를 이끌던 중 다이오미드 제도를 재발견했는데, 이날은 러시아 정교회가 순교자 성 디오미드(그래서 섬 이름이 유래됨)를 기념하는 날이었다. 1732년, 러시아 측지학자 미하일 그보즈데프는 두 섬의 경도와 위도를 측정했다.[7]

1867년 미국과 러시아 간의 알래스카 매입을 최종 확정한 조약의 문구는 두 국가 간의 경계를 지정하기 위해 이 섬들을 사용했다. 즉, 국경은 "크루젠슈테른 섬, 즉 이그날루크 섬을 라트마노프 섬, 즉 누나르부크 섬에서 등거리로 분리하고 북쪽으로 무한히 뻗어나가 북극해에서 완전히 사라진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냉전 시대 동안 그 간격은 미국과 소련 사이의 국경을 이루었고, "얼음 장막"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1987년, 린 콕스는 한 섬에서 다른 섬으로 수영을 했고, 그녀의 업적에 대해 미하일 고르바초프로널드 레이건으로부터 축하를 받았다.[8]

1995년 여름, 영국의 텔레비전 배우이자 다큐멘터리 진행자인 마이클 페일린은 BBC 시리즈 ''풀 서클''의 일환으로 작은 다이오미드 섬에서 18개국을 포함하는 시계 반대 방향의 환태평양 일주를 시작했다. 그는 8개월간의 여정의 마지막에 다시 그 섬에 발을 디딜 생각이었지만, 거친 바다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없었다.

4. 2. 재발견



베링 해협에 처음 도달한 유럽인은 1648년 러시아 탐험가 세묜 데즈네프였다. 그는 원주민들이 뼈로 만든 입술 장식을 하고 있는 두 개의 섬을 보고했지만, 이것이 다이오미드 제도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덴마크 항해사 비투스 베링은 1728년 8월 16일(구력, 8월 26일 신력) 러시아 탐험대를 이끌던 중 다이오미드 제도를 재발견했는데, 이날은 러시아 정교회가 순교자 성 디오미드(그래서 섬 이름이 유래됨)를 기념하는 날이었다. 1732년, 러시아 측지학자 미하일 그보즈데프는 두 섬의 경도와 위도를 측정했다.[7]

1867년 미국과 러시아 간의 알래스카 매입을 최종 확정한 조약 문구는 두 국가 간의 경계를 지정하기 위해 이 섬들을 사용했다. 즉, 국경은 "크루젠슈테른 섬(이그날루크 섬)을 라트마노프 섬(누나르부크 섬)에서 등거리로 분리하고 북쪽으로 무한히 뻗어나가 북극해에서 완전히 사라진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4. 3. 미러 국경

1867년 미국과 러시아 간의 알래스카 매입을 최종 확정한 조약은 두 국가 간의 경계를 지정하기 위해 이 섬들을 사용했다. 조약에 따르면 국경은 "크루젠슈테른 섬(이그날루크 섬)과 라트마노프 섬(누나르부크 섬)에서 같은 거리에 있으며, 북쪽으로 무한히 뻗어 나가 북극해에서 완전히 사라진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냉전 시대에 이 해협은 미국과 소련 사이의 국경, 즉 서방 국가와 동구권 국가의 경계를 구성하여 철의 장막에 비유해 "얼음 장막"으로 불렸다. 1987년 8월 7일에는 린 콕스가 두 섬 사이를 헤엄쳐 건넜고, 당시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소련 공산당 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로부터 칭찬을 받으며 데탕트의 상징이 되었다.[8]

1995년 여름, 영국의 배우이자 코미디언인 마이클 페일린은 BBC의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시리즈 ''마이클 페일린의 태평양 일주''의 일환으로 18개국을 순회하는 환태평양 일주를 리틀다이오미드 섬에서 시작했다. 그는 8개월간의 여정 마지막에 다시 이 섬에 발을 들여놓을 예정이었지만, 거친 파도 때문에 상륙할 수 없었다.

4. 4. 냉전 시대

냉전 시대에 다이오미드 제도 사이의 해협은 미국과 소련 사이의 국경, 즉 서방 국가와 동구권 국가의 경계를 구성하여 철의 장막이나 죽의 장막에 비유되어 "얼음 장막"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987년 8월 7일에 린 콕스가 두 섬 사이를 헤엄쳐 당시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소련 공산당 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로부터 칭찬을 받았고, 데탕트의 상징이 되었다.[8]

1995년 여름, 영국의 배우이자 코미디언인 마이클 페일린은 BBC의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시리즈 ''풀 서클''의 일환으로 18개국을 포함하는 시계 반대 방향의 환태평양 일주를 작은 다이오미드 섬에서 시작했다. 그는 8개월간의 여행의 마지막에 다시 그 섬에 발을 디딜 생각이었지만, 거친 파도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없었다.

4. 5. 기타

냉전 시대 이 해협은 미국소련 사이의 국경, 즉 "얼음 장막"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987년 8월 7일에 린 콕스가 두 섬 사이를 헤엄쳐 당시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소련 공산당 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로부터 칭찬을 받았고, 데탕트의 상징이 되었다.[8]

1995년 여름, 영국의 배우이자 코미디언인 마이클 페일린은 BBC의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시리즈 Full Circle with Michael Palin|마이클 페일린의 태평양 일주영어의 일환으로 18개국을 순회하는 환태평양 일주를 리틀다이오미드 섬에서 시작했다. 그는 8개월간의 여행의 마지막에 다시 이 섬에 발을 들여놓을 예정이었지만, 거친 파도 때문에 상륙할 수 없었다.

큰 다이오미드 섬은 전통적으로 국제 날짜 변경선 이전의 가장 동쪽 육지였으며, 현지 태양시를 사용한다면 새해를 알리는 첫 번째 육지였다. 그러나 공식적인 시간을 사용할 때는 러시아 동부와 뉴질랜드의 넓은 지역도 같은 시간대를 공유한다. 뉴질랜드는 12월 말에 일광 절약 시간제를 시행하지만 러시아는 그렇지 않다(뉴질랜드의 시간 및 러시아의 시간 참조). 그러나 1995년에 국제 날짜 변경선이 키리바시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키리바시의 가장 동쪽 시간대(GMT+14)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시간대가 되면서 이러한 상황은 무의미해졌다.

1948년 그곳에 군사 기지를 건설한 후, 소련 정부는 큰 다이오미드 섬의 원주민들을 러시아 본토로 이주시켰다.[9] 현재 이 섬에는 군부대만 거주하고 있다.[10] 작은 다이오미드는 2010년 미국 인구 조사에서 115명으로 감소한 이누피아트족이 살고 있으며, 섬 전체가 디오미드 시를 구성하지만, 섬 서쪽에 있는 마을 부지에 완전히 거주하고 있다. 이 마을에는 학교, 우체국, 상점이 있다. 일부 주민들은 상아 조각으로 유명하다. 날씨가 허락하면, 미국 필수 항공 서비스의 일부로 상업 항공 연락이 섬과 유지된다.

5. 주민

라트마노프 섬(큰 다이오미드 섬)의 원주민인 유픽족은 소련 시대에 섬을 군사용지로 사용하기 위해 정부에 의해 러시아 본토로 강제 이주당했다. 현재는 군 관계자만 주둔하고 있다.[19]

리틀 다이오미드 섬의 이누피아크족 (이누피아트족) 인구는 한때 170명이었으나,[20] 2010년 인구 조사에서는 115명으로 감소했다.

5. 1. 리틀 다이오미드 섬



작은 다이오미드에는 이누피아트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2010년 미국 인구 조사 기준 115명이 살고 있다.[11] 섬 전체가 디오미드 시에 속하며, 주민들은 섬 서쪽 마을에 거주한다. 마을에는 학교, 우체국, 상점이 있고, 일부 주민들은 상아 조각으로 유명하다. 날씨가 허락하면 미국 필수 항공 서비스를 통해 상업 항공편이 운항된다.

800px

6.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으로는 툰드라 기후이며, 연교차 및 일교차가 비교적 작은 해양성 기후이다. 연 강수량은 300mm 미만이며, 6월부터 9월을 제외한 대다수는 눈으로 강수한다. 강설량은 가을과 봄에 많고, 한겨울에는 강설이 적다.[21]

다이오미드 제도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13.9°C)-13.9°C-15.6°C-15°C-8.9°C0°C6.1°C11.1°C12.8°C6.7°C0.6°C-5.6°C-12.2°C-2.8°C
평균 최저 기온 (-10°C)-21.7°C-22.8°C-22.2°C-16.1°C-5°C1.1°C6.1°C6.1°C2.8°C-3.9°C-11.7°C-18.9°C-8.9°C
역대 최고 기온 (11.7°C)11.7°C8.3°C5.6°C8.9°C13.3°C19.4°C22.2°C22.8°C18.3°C12.2°C7.2°C6.7°C22.8°C
역대 최저 기온 (-42.2°C)-42.2°C-42.2°C-41.1°C-35.6°C-23.9°C-6.7°C-4.4°C-1.1°C-5°C-20.6°C-33.3°C-37.2°C-42.2°C
강수량약 1.04cm약 1.14cm약 1.22cm약 0.69cm약 1.37cm약 1.85cm약 3.73cm약 6.25cm약 5.05cm약 3.58cm약 1.73cm약 1.32cm
강설량약 10.92cm약 10.41cm약 15.24cm약 7.62cm약 7.11cm약 0.51cm약 0.76cm약 0.00cm약 3.05cm약 16.00cm약 20.32cm약 13.46cm


참조

[1] 웹사이트 The Diomede Islands – Tomorrow & Yesterday Isle https://arcticportal[...] 2023-06-08
[2] 웹사이트 Two of the world's largest countries,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at their closest points are separated by 2.4 miles, but are 21 hours apart! Find out how ... {{!}} ePaper {{!}} DAWN.COM https://epaper.dawn.[...] 2017-11-18
[3] 웹사이트 Russia.com http://www.russia.co[...]
[4] 웹사이트 Yesterday and Tomorrow Islands https://earthobserva[...] 2021-01-30
[5] 뉴스 Could a Russia–US rail tunnel be built? https://www.bbc.co.u[...] 2011-10-21
[6] 웹사이트 The Diomede Islands https://www.usgs.gov[...] 2023-01-20
[7] 웹사이트 Map of the New Discoveries in the Eastern Ocean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2013-02-10
[8] 뉴스 The transcendent power of the solo athlete Orange County Register 1988-01-31
[9] 웹사이트 Profile: After 70 Years, A Diomede Family Reunion https://www.knom.org[...] 2022-06-06
[10] 뉴스 You CAN see Russia from here! http://ac360.blogs.c[...] CNN 2011-06-12
[11] 웹사이트 Intent To Prepare a Draft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for Navigation Improvements and Airport, Little Diomede Island, AK http://www.epa.gov/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1-06-12
[12] 간행물 Local Economic Development Plan for Diomede 2012-2017, citing 2010 U.S. census (and this was a decline since the 2000 census)
[13] 웹사이트 Two of the world`s largest countries,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at their closest points are separated by 2.4 miles, but are 21 hours apart! Find out how ... {{!}} ePaper {{!}} DAWN.COM https://epaper.dawn.[...] 2018-06-21
[14] 뉴스 Could a Russia–US rail tunnel be built? https://www.bbc.co.u[...] 2011-10-21
[15] 웹사이트 Russia.com http://www.russia.co[...] 2008-09-20
[16] 웹사이트 Map of the New Discoveries in the Eastern Ocean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2013-02-10
[17] 뉴스 Lifting the Ice Curtain New York Times 1988-10-23
[18] 뉴스 The transcendent power of the solo athlete Orange County Register 1988-01-31
[19] 뉴스 You CAN see Russia from here! http://ac360.blogs.c[...] CNN 2011-06-12
[20] 웹사이트 Intent To Prepare a Draft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for Navigation Improvements and Airport, Little Diomede Island, AK http://www.epa.gov/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1-06-12
[21] 문서 http://www.intellicast.com/Local/History.aspx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