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라 로베레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델라 로베레 가문은 이탈리아의 유서 깊은 가문으로, 특히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정치, 종교, 예술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가문은 교황 식스토 4세와 교황 율리우스 2세를 배출했으며, 우르비노 공국을 통치했다. 델라 로베레 가문은 프란체스코 델라 로베레의 출생으로 시작되었고, 그의 조카들이 교황의 권력을 통해 권력과 부를 얻으면서 가문의 세력이 확장되었다. 가문은 우르비노 공작 가문을 시작하여 공국을 통치했지만, 1626년 교황령에 편입되면서 종말을 맞았다. 델라 로베레 가문은 예술 후원에도 힘썼으며, 그들의 건축물과 예술 작품은 현재까지도 이탈리아에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가문 - 메디치가
메디치가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피렌체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메디치 은행의 부를 기반으로 정치, 경제, 문화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르네상스 황금기를 이끌었으나, 토스카나 대공국 건설 후 잔 가스토네의 죽음으로 가문의 통치가 종식되었다. - 교황 가문 - 보르자가
보르자는 12세기 아라곤 왕국에서 시작되어 교황, 정치가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으나 권력욕과 부정적인 소문으로 인해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자리 잡은 스페인 귀족 가문이다. - 델라 로베레가 - 펠리체 델라 로베레
- 델라 로베레가 -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는 우르비노 공국의 공주이자 토스카나 대공국의 대공비로서 델라 로베레 가문의 마지막 후계자였으며, 가문의 예술 컬렉션을 메디치 가문에 상속하여 예술품 보존에 기여했고, 코시모 3세 데 메디치를 통해 토스카나 대공국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델라 로베레가 | |
---|---|
개요 | |
![]() | |
가문 유형 | 귀족 가문 |
기원 | 사보나, 제노바 공화국 |
국가 | 우르비노 공국 교황령 |
모토 | Audentes Fortuna iuvat |
영지 | 우르비노 공작 궁전 델라 로베레 궁전, 로마 |
작위 | 교황 (세습되지 않음) 우르비노 공작 소라 공작 페사로 영주 세니갈리아 영주 비노보 영주 비노보 백작 |
창립 | 14세기 |
창립자 | 레오나르도 벨트라모 델라 로베레 |
마지막 수장 |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1694년 사망 |
폐지 | 해당 없음 (가문은 존재) |
가문 역사 | |
기원 | 델라 로베레 가문은 14세기 리구리아의 사보나에서 기원했다. |
주요 인물 | 식스토 4세 율리오 2세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 엘레오노라 곤차가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델라 로베레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
가문 모토 | |
모토 (라틴어) | Audentes Fortuna iuvat |
모토 (한국어) | 운은 용감한 자를 돕는다 |
관련 가문 | |
관련 가문 | 몬테펠트로 가문 |
2. 역사
델라 로베레 가문은 본래 리구리아 사보나 지역의 비교적 평범한 가문이었으나, 1471년 가문 출신의 프란체스코 델라 로베레가 교황 식스토 4세로 선출되면서 급격히 부상하였다. 식스토 4세는 교황으로서의 권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조카들을 추기경, 주교 등 고위 성직에 임명하고, 유력 가문과의 혼인을 주선하는 등 가문의 세력을 확장하는 데 힘썼다. 그는 또한 피에몬테의 유서 깊은 귀족 가문인 델라 로베레 가문의 후예임을 주장하며 그 가문의 문장을 사용하기도 했다.
가문의 세력 확장은 우르비노 공국으로 이어졌다. 식스토 4세의 조카인 조반니 델라 로베레가 몬테펠트로 가문과 혼인하였고, 이후 후계자가 없던 우르비노 공작 귀도발도 다 몬테펠트로는 교황 율리우스 2세(식스토 4세의 또 다른 조카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의 조카인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를 양자로 삼아 공국을 물려주었다. 이로써 1508년부터 델라 로베레 가문은 우르비노 공작위를 세습하게 되었다.
그러나 델라 로베레 가문의 우르비노 통치는 1626년 교황 우르바노 8세가 공국을 교황령에 병합하면서 막을 내렸다. 마지막 공작이었던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델라 로베레와 그의 아들 페데리코 우발도 델라 로베레 이후 가문의 직계는 단절되었다. 가문의 마지막 후손인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는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와 결혼하여 메디치 가문과 연결되었다.
2. 1. 가문의 기원과 초기
프란체스코 델라 로베레는 1414년 이탈리아 북서부 리구리아의 비교적 평범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사보나 출신인 레오나르도 델라 로베레의 아들이었다. 프란체스코회 수도사로서 경력을 시작한 그는 수도회 총장과 추기경을 역임했으며, 1471년 교황 식스토 4세로 선출되기 전까지는 세속적인 일과는 거리가 있는 인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교황이 된 후, 그는 가문의 세력을 키우는 데 적극적으로 나섰다.식스토 4세는 교황으로 선출된 직후부터 자신의 조카들에게 중요한 직책과 부를 안겨주기 시작했다. 불과 몇 달 만에 조카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훗날 교황 율리우스 2세)와 피에트로 리아리오를 추기경과 주교로 임명했으며, 다른 네 명의 조카들도 추기경의 자리에 올랐다. 성직자가 아니었던 조카 조반니 델라 로베레는 로마의 행정 책임자인 지사로 임명되었고, 당시 우르비노 공작 가문이었던 몬테펠트로 가문과의 결혼을 주선하여 가문의 영향력을 넓혔다. 또한 식스토 4세는 자신들의 가문이 피에몬테 지역 비노보의 유서 깊은 귀족 가문인 델라 로베레 가문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며, 그 가문의 문장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델라 로베레 가문은 우르비노 공국과도 깊은 인연을 맺게 된다. 후계자가 없었던 귀도발도 다 몬테펠트로 공작은 자신의 누이의 아들이자 교황 율리우스 2세의 조카인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를 양자로 삼았다. 1504년, 율리우스 2세의 영향력 아래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는 우르비노 공국의 공식적인 상속자로 인정받았고, 1508년 귀도발도 공작이 세상을 떠나자 공작위를 계승하여 '로베레 우르비노 공작 가문' 시대를 열었다.
하지만 델라 로베레 가문의 우르비노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다. 1626년 교황 우르바노 8세가 우르비노 공국을 교황령으로 편입시키면서 가문의 세속 권력은 막을 내렸다. 마지막 공작이었던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와 그의 아들 페데리코 우발도는 명목상의 칭호만 유지할 수 있었다.
델라 로베레 가문의 마지막 직계 후손은 페데리코 우발도의 외동딸인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이다. 그녀는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장남 코시모 3세는 토스카나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통치한 군주가 되었고, 차남 프란체스코 마리아 데' 메디치는 추기경이 되어 교회의 중요한 인물이 되었다. 이를 통해 델라 로베레 가문의 혈통은 메디치 가문을 통해 이어지게 되었다.
2. 2. 교황 식스토 4세와 가문의 성장
프란체스코 델라 로베레는 1414년 이탈리아 북서부 리구리아 지역의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사보나 출신인 레오나르도 델라 로베레의 아들이었다. 그는 프란체스코회 수도사로서 수도회 총장과 추기경을 지냈고, 1471년 교황으로 선출되기 전까지는 세속적인 일과는 거리가 먼 인물로 알려져 있었다. 교황 식스토 4세가 된 그는 막강한 권력을 이용하여 즉시 델라 로베레 가문과 리아리오 가문의 조카들에게 권력과 부를 나누어주기 시작했다. 교황 선출 몇 달 만에 그는 조카인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 (훗날 교황 율리우스 2세)와 피에트로 리아리오를 추기경과 주교로 임명했으며, 다른 네 명의 조카들도 추기경이 되었다. 식스토 4세는 사제가 아니었던 조카 조반니 델라 로베레를 로마의 지사로 임명하고, 그를 우르비노 공작 가문인 몬테펠트로 가문과 결혼하도록 주선했다. 또한 식스토 4세는 자신이 피에몬테의 비노보 백작 가문인 명문 델라 로베레 가문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며 그 가문의 문장을 사용하기 시작했다.2. 3. 우르비노 공국 통치
교황 식스토 4세(본명 프란체스코 델라 로베레)는 교황이 된 후 가문의 영향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사제가 아니었던 조카 조반니 델라 로베레를 로마의 지사로 임명하고, 그를 우르비노 공작 가문인 몬테펠트로 가문과 결혼하도록 주선했다.이후 우르비노 공작 귀도발도 다 몬테펠트로는 후계자가 없었기 때문에, 자신의 누이의 아들이자 교황 율리우스 2세(줄리아노 델라 로베레)의 조카인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를 입양했다. 귀도발도 1세는 1504년 교황 율리우스 2세의 중재를 통해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를 우르비노 공국의 공식적인 후계자로 지명했다. 1508년, 귀도발도 1세가 사망하자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는 공국을 상속받아 델라 로베레 가문의 우르비노 공작 시대를 열었다.
델라 로베레 가문의 우르비노 공국 통치는 1626년까지 이어졌으나, 교황 우르바노 8세가 우르비노를 교황령에 병합하면서 막을 내렸다. 마지막 주권 공작이었던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델라 로베레와 그의 아들 페데리코 우발도 델라 로베레는 칭호만 유지할 수 있었다. 페데리코 우발도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델라 로베레 가문의 직계는 사실상 단절되었다.
델라 로베레 가문의 마지막 후손은 페데리코 우발도의 외동딸인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이다. 그녀는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와 결혼하여 두 아들, 코시모 3세와 프란체스코 마리아 데' 메디치를 낳았다.
2. 3. 1. 우르비노 공작 목록 (1508년~)
-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 (1490–1538)
- 귀도발도 2세 델라 로베레 (1514–1574)
-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델라 로베레 (1549–1631) - 공작령 폐지, 칭호는 지속됨
- 페데리코 우발도 델라 로베레 (1605–1623) - 그의 죽음으로 칭호가 소멸됨
2. 4. 메디치 가문과의 관계
비토리아는 페데리코 우발도 델라 로베레의 외동딸이자 델라 로베레 가문의 마지막 후손이었다. 그녀는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와 결혼하며 메디치 가문과 인연을 맺었다. 슬하에 두 아들을 두었는데, 코시모 3세는 토스카나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재위한 군주가 되었고, 프란체스코 마리아 데' 메디치는 교회의 군주가 되었다.3. 기타 델라 로베레 가문
이 가문에 속하지는 않지만 같은 이름을 사용한 많은 사람들 중에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있다.
- 비노보 백작 가문인 델라 로베레 가문, 그중에는:
- * 비노보의 도메니코 델라 로베레, 추기경, 그곳에 델라 로베레 성을 건설했다.
- * 그의 형제 크리스토포로 델라 로베레
- 다양한 예술가들, 그 중에는:
- * 형제 조반 바티스타 델라 로베레와 조반 마우로 델라 로베레, 둘 다 "일 피아밍기노"로 알려졌다.
- * 17세기에 활동한 무관한 롬바르디아 화가 및 세밀화가 가문.
4. 가계도
델라 로베레 가문의 시조는 레오나르도(베르트라모) 디 사보나(?-c.1430)로 알려져 있다. 그의 아들 중 한 명인 프란체스코 (1414-1484)가 식스토 4세로 선출되면서 가문의 명성과 영향력이 크게 높아졌다. 식스토 4세에게는 루치나(1415-1495), 프란체타(1417-c.1485), 펠리나(1418-1470), 마리아(1420-c.1490), 비안카(1421-1473), 라파엘레(1423-1477) 등 여러 형제자매가 있었으며, 이들의 후손들은 결혼과 상속을 통해 바소 델라 로베레 가문, 지우포 델라 로베레 가문, 리아리오 가문 등의 분가를 이루었다.
식스토 4세의 조카이자 라파엘레 델라 로베레의 아들인 줄리아노 (1443-1513)는 훗날 율리오 2세가 되어 가문의 권세를 더욱 공고히 했다. 율리오 2세는 강력한 교황권을 행사하며 이탈리아 정치에 깊숙이 관여했다. 율리오 2세에게는 서녀로 알려진 펠리체 델라 로베레 (1483?-1536)가 있었다. 율리오 2세의 형제로는 알체 공작이자 소라 공작이었던 레오나르도 (1445-1475), 주교였던 바르톨로메오(1447-1494), 루치나(1451-1515) 등이 있다.
율리오 2세의 또 다른 형제인 조반니 델라 로베레 (?-1501)는 세니갈리아의 영주이자 로마 총독을 지냈으며, 우르비노 공작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의 딸인 조반나 다 몬테펠트로와 혼인하여 몬테펠트로 가문과 연결되었다. 이 결혼을 통해 델라 로베레 가문은 우르비노 공작위를 계승할 발판을 마련했다.
조반니와 조반나의 아들인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 델라 로베레 (1490-1538)는 외삼촌인 구이도발도 다 몬테펠트로에게 후사가 없자 그의 양자로 입적되어 우르비노 공작위를 계승했다. 이로써 델라 로베레 가문은 우르비노 공작령을 통치하게 되었다.
프란체스코 마리아 1세의 뒤를 이어 아들 구이도발도 2세 델라 로베레 (1517-1574)가 우르비노 공작이 되었다. 구이도발도 2세에게는 추기경이 된 아들 줄리오(?-1578)와 딸 줄리아(?-1563), 그리고 산 로렌초 후작이 된 서자 이폴리토(?-1620)가 있었다.
구이도발도 2세의 아들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델라 로베레 (1549-1631)는 델라 로베레 가문의 마지막 우르비노 공작이 되었다. 그는 자신의 친척인 리비아 델라 로베레(1585–1641)와 결혼하여 아들 페데리코 우발도 델라 로베레 (1605-1625)를 얻었다. 페데리코 우발도는 아버지보다 먼저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델라 로베레 가문의 남성 직계 후계가 끊기게 되었다.
페데리코 우발도는 메디치 가문의 클라우디아 데 메디치와 결혼하여 딸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1622-1694)를 두었다. 비토리아는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와 결혼하였고, 이 결혼을 통해 델라 로베레 가문이 소유했던 막대한 재산과 우르비노 공작령의 예술품 컬렉션은 메디치 가문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5. 주요 건축물 및 예술 작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