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교회는 '주님의 것'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기독교 신앙을 따르는 신자들의 공동체를 지칭한다. 1세기 예수의 제자들로부터 시작되어 로마 제국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오순절을 교회의 "탄생일"로 여긴다. 교회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교파로 분열되었으며, 각 교파는 교리와 교회 권위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다. 가톨릭교회는 교황을 중심으로 한 위계질서를, 개신교는 만인제사장설을, 성공회는 사도신조와 니케아 신경에 근거하여 교회를 정의한다. 교회 제도는 감독제, 장로제, 회중제로 나뉘며, 현대 사회에서 기독교는 세계적인 종교로 성장했지만, 한국 교회는 사회적 문제로 비판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교파 - 아리우스주의
    아리우스주의는 4세기 초 아리우스가 예수 그리스도가 성부에 의해 창조된 피조물이라고 주장한 기독교 교리로, 삼위일체 교리와 충돌하여 이단으로 정죄되었으나 다양한 형태로 존속하며 게르만족에게 전파되었고 현대 일부 종교 단체에서도 유사한 교리가 나타난다.
  • 기독교의 교파 - 대진사
    대진사는 당나라 장안에 세워진 경교 사원으로, 당의 지원으로 번성했으나 회창의 폐불로 쇠퇴하고 원나라 시대에 잠시 부흥 후 명나라 시대 비석 발견 전까지 잊혀졌다.
  • 교회당 - 바실리카
    바실리카는 고대 로마 시대에 법정이나 상업 건물로 사용되다가 기독교 교회 건축 양식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가톨릭교회에서 특별한 특권을 가진 교회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 교회당 - 총회
    총회는 종교적, 사회적 목적으로 많은 사람이 모이는 집회를 뜻하는 용어로, 교회나 종교 단체의 최고 의결 기관, 국제 기구의 주요 의사결정 기구, 국가 및 지방 의회의 명칭 등으로 사용되며, 신약성경에서는 신앙 공동체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 민법 - 유언
    유언은 사망 후 재산 상속 및 개인적 의사를 반영하는 법률 행위로, 다양한 방식으로 작성될 수 있으며, 유언자의 사망 시 효력이 발생하고 생전에는 철회 가능하며, 유언의 무효 또는 취소 사유가 존재한다.
  • 민법 - 사실혼
    사실혼은 혼인신고 없이 부부로서 생활하는 관계를 의미하며, 대한민국 법률에서는 재산분할 및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지만, 법률혼과 비교하여 자녀의 친권, 상속, 세금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교회

2. 어원

'교회'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 'church'는 고대 영어 'cirice'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서게르만어 '*kirika*'를 거쳐 그리스어 'κυριακή'(kuriakē, '주님의 것')에서 파생되었다.[15] 4세기부터 그리스어로 기독교 교회를 κυριακόνgrc (''kuriakon'', 형용사, "주님의 것"을 의미)이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ekklēsia''와 βασιλικήgrc (''basilikē'')가 더 일반적이었다.[16]

신약성경에서 교회를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는 '에클레시아'(ἐκκλησία)이다.[100][101][102] 이 단어는 본래 '불러냄을 받은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뜻으로, 구약성경의 '카할'(קהל, qahal, '회중')을 번역하는 데 사용되었다. '에클레시아'는 신약성경에서 지역 교회와 전체 신자 공동체를 모두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104][105]

초기 기독교인들은 ἐκκλησία (''ekklēsia'')라는 단어를 사용했는데, 이 단어는 그리스 도시 국가의 집회(시민만 참여 가능)를 지칭하는 단어였지만,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이 하나님의 백성인 이스라엘을 지칭하는 데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단어이기도 했다.[31]

3. 역사

오순절 성령 강림을 묘사한 동방 정교회 이콘.


기독교 교회는 1세기(서기) 로마 유대에서 예수의 가르침에 기초하여 설립되었으며, 그의 제자들은 "그리스도인"으로 알려졌다. 성경에 따르면 예수는 제자들에게 그의 가르침을 온 세상에 전파할 것을 명령하였다.[17][18][19] 대부분의 그리스도인에게 오순절은 예수의 승천 후 제자들에게 성령이 강림한 사건으로, 교회의 탄생일로 여겨진다.[20][21]

제2성전 유대교에서 시작된 기독교는 초기부터 할례 등 유대인 관습을 완전히 따르지 않고 이방인을 받아들였다.[22][23] 일부 학자들은 유대교 종교 지도자들과의 갈등이 예루살렘 회당에서 그리스도인들이 쫓겨나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본다.[24]

교회는 점차 로마 제국 전역과 그 너머로 확산되어 예루살렘, 안티오크, 에데사 등에 주요 교회들이 설립되었다.[25][26][27] 그리스도인들이 로마 신에게 제사 지내기를 거부하고 황제 숭배에 도전했기 때문에 로마 당국은 그들을 박해했다.[28] 교회는 밀라노 칙령으로 로마 제국에서 합법화되었고, 콘스탄티누스 1세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에 의해 4세기에 로마 제국의 국교로 승격되었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ἐκκλησία (''ekklēsia'')라는 단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그리스 도시 국가의 시민 집회를 지칭하는 동시에,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이 하나님의 백성인 이스라엘을 지칭하는 데 사용했던 단어였다.[31] 이 단어는 종교적인 이유, 특히 예배를 위해 모인 집회라는 의미로 칠십인역에 등장한다. 칠십인역에서 ἐκκλησία는 히브리어 단어 קהל (''qahal'')을 번역한 것이며, συναγωγή (''synagōgē'', "시나고그")로도 번역되었다. 두 그리스어 단어는 기독교인들이 이들을 구분하기 전까지는 대체로 동의어였다.[32]

"가톨릭" 또는 "보편적인"이라는 용어가 교회에 처음 적용된 기록은 약 107년경 안티오크의 이냐시오가 스미르나 교인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찾을 수 있다. "주교가 나타나는 곳마다 백성이 거기에 있으라. 그리스도 예수께서 계신 곳마다 가톨릭 교회가 있기 때문이다."[36]

3. 1. 한국 기독교 역사

한국의 기독교는 18세기 말 천주교 전래로 시작되어, 19세기 말 개신교 선교사들의 활동으로 본격화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3·1 운동과 같은 독립운동에 참여하며 민족의 고난에 동참하였다.

해방 이후 한국 교회는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으나, 동시에 여러 교파로 분열되거나 갈등을 겪기도 했다. 현재 한국 교회는 다양한 교파가 공존하며, 사회봉사, 교육,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4. 교파별 시각

기독교에는 오늘날 다양한 교리와 전통을 가진 여러 집단들이 존재한다. 이들 분파 사이의 논쟁에는 각자의 교회론에 대한 상당한 차이가 포함된다.[15]

"교파"는 공통된 이름, 조직, 지도력, 또는 교리와 같은 특징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기독교 단체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그러나 개별 단체는 자신을 묘사하기 위해 "교회" 또는 "교제"와 같은 다른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 집단과 다른 집단 사이의 구분은 교리와 교회 권위에 의해 정의된다. 예수의 본성(그리스도론), 사도 계승의 권위, 기독교 종말론(종말론), 교황의 수위권과 같은 문제는 종종 한 교파를 다른 교파와 구분한다. 광범위하게 유사한 신앙, 관행, 역사적 연관성을 공유하는 교파의 그룹은 기독교의 분파로 알려져 있다.[15]

개별 기독교 교파는 서로를 인정하는 정도가 매우 다르다. 몇몇 교파는 예수 그리스도가 세운 교회의 직접적이고 유일한 진정한 계승자(유일한 참 교회)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다른 교파들은 종파주의를 믿는데, 이는 구별되는 명칭, 신앙 및 관행에 관계없이 일부 또는 모든 기독교 교파가 동일한 종교의 합법적인 교회라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 때문에 일부 기독교 단체는 다른 교회나 교파와의 동등성을 암시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자신을 묘사하는 데 "교파"라는 용어를 거부한다.[15]

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는 니케아 신경의 "하나"라는 용어가 전 세계적으로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가시적인 제도적이고 교리적인 연합을 묘사하고 규정한다고 믿는다. 그들은 연합을 신경이 진정한 교회에 귀속시키는 네 가지 표징 중 하나로 보고, 표징의 본질은 가시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자신을 교파가 아니라 교파 이전의 것으로, 많은 신앙 공동체 중 하나가 아니라 원래의 그리고 유일한 참 교회로 여긴다.[15]

많은 침례교회중교회 신학자들은 지역적인 의미가 "교회"라는 용어의 유일하게 타당한 적용이라고 받아들인다. 그들은 보편적인 (가톨릭) 교회의 개념을 강력하게 거부한다. 이러한 교파들은 신약 성서에 나오는 그리스어 "에클레시아(ekklesia)"의 모든 용례가 특정한 지역 집단이나 추상적인 "교회"의 개념에 대해 말하고 있으며, 단일한 전 세계적인 교회에 대해서는 결코 말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73][74]

많은 성공회, 루터교, 구교회, 그리고 독립 가톨릭 교회는 연합을 가톨릭성의 표적으로 본다. 그러나 가톨릭성의 제도적 연합은 공유된 주교 서열이나 의식이 아니라 그들의 주교직의 공유된 사도 계승에 나타난다고 본다.[15]

개혁주의 전통 기독교인들은 복음에 대한 믿음으로 의롭다고 인정받고 사도들에게 헌신한 모든 사람이 "하나, 거룩하고, 가톨릭적이며, 사도적인 교회"의 일원이라고 주장한다. 이 관점에서 볼 때, 사도들을 통해 세워진 온 교회의 진정한 연합과 거룩함은 아직 계시될 예정이며, 그동안 지상 교회의 범위와 평화는 가시적인 방식으로 불완전하게 실현된다.[15]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는 그리스도인 교회는 적절히 말해서 복음(즉, 그리스도가 모든 사람을 위해 얻으신 죄 사함)을 믿는 사람들로만 구성된다고 선언한다. 그들이 오류를 가르치는 교회 단체에 있더라도 그러한 믿음이 없는 사람들은 제외된다. 교회에 속해 있거나 교리직을 맡고 있더라도 마찬가지이다.[75]

기독교 발생 초기부터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에베소서 1장 23절)”, “그리스도의 신부”, “진리의 기둥(디모데전서 3장 15절)”, “성령의 전(에베소서 2장 20-22절)” 등으로 일반적으로 불려왔다. 또한 교회는 여성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다.[15]

「공(公)」은 보편적이라는 의미이다.[15]

정교회나 가톨릭교회와 같은 전통적인 교파와 종교 개혁 이후의 개신교 교회는 사도 계승에 대한 해석과 용어가 다르다. 전자에서는, 문자 그대로 그리스도의 제자인 사도의 권위가 현재의 교회에도 계승되고 있다는 의미로, 특히 서품 등의 성사나 성전승이 계승되어야 한다고 한다. 정교회의 경우, 단순히 역사적인 계승 관계의 연속에 그치지 않고, 현재 다른 교회로부터 교회로 인정받지 못하는 집단에는 사도 계승을 인정하지 않는다. 가톨릭교회에서는 16세기의 종교 개혁으로부터 생겨난 기독교 공동체(개신교)는 서품 성사에 의한 사도적 계승을 가지지 않고, 그러므로 교회를 교회답게 하는 본질적인 요소를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교회 공동체를 (가톨릭의 가르침에 의하면) 고유한 의미에서 ‘교회’라고 부를 수 없다고 한다.[81]

개신교에서는 사도들의 신앙, 특히 성경의 신앙이 계승되고 있다고 해석한다. 이것은 당시 종교 개혁가들에 의해, 명목상의 “사도 계승”을 내세우면서 그 실질이 변질·부패했던 당시 가톨릭교회보다 “성경에 기록된 사도들과 같은 신앙”으로 사는 것이야말로 “참으로 사도적”이라고 주장되었기 때문이다. “사도적” 교회의 해석을, “하나님으로부터 보내심을 받은” 사람들이라고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15] 원 목사이기도 한 팔권 정지는 저서 『성경과 핸디캡』에서 “예를 들어 교회 생활을 보더라도, 참으로 유감스럽게도, 하나님께 <영과 진리>로 예배를 드리기 위해 교회에 오는 것이 주목적이 아니고, 그것 이외(예배 후 교제 등)를 목적으로 교회에 모이는 사람도 결코 적지 않다. 이것은 본말이 전도된 것이다. 더욱이 예배식에 있어서도, 지극히 형식화·형해화된 것 같은, 또는 또 교조주의적·자기만족적인 세레모니가 실로 많이 존재한다. 그 루터의 종교 개혁(오직 은혜·오직 믿음·오직 성경)은, 바로 이러한 곳으로부터 태어난 것일 터인데, 많은 교회의 모습은 오늘날도 여전히 새로운 루터가 필요한 것 같다.”[82]라고 지적하고 있다.

복음파는 사도 계승을 인정하지 않고, 사도 계승이라는 용어도 사용하지 않지만, 에큐메니즘에서는 인정되는 경우가 있다.[83][84][85][86] 단, 복음파가 사도의 신앙의 계승을 부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87]

프로테스탄트는 로마 교회(가톨릭교회)의 사도 계승 교리에 대해 “교회의 표징”을 확인했지만, 루터교와 개혁파는 동일한 교회론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15]

4. 1.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교회의 네 가지 속성인 ‘하나이고 거룩하고 보편되며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하나된 공동체’를 정통 교회로 본다. 즉, 하나의 권위 아래에서 하나의 신념과 교리, 그리고 교회 전통을 지니고 있는 공동체로 보는 것이다.

이 교회는 하나의 사도좌를 가지고 있고, 그 아래에 주교와 사제들이 교회를 유지시키기 위해 임명된다. 모든 교회의 결정은 교황을 비롯한 추기경, 주교단의 신중한 검토를 통해 결정되며, 교황은 신앙과 윤리에 관한 부분에 있어서는 무류권을 가지고 결정할 수 있으며 교도권을 통해 선포된다. 한 개인이나 단체가 교회의 결정을 지키지 않을 경우에는 교도권을 통해 이를 중단시킬 수 있고, 이를 따르지 않을 때에는 이들을 이단으로 정죄하거나 파문할 수 있다.[81]

4. 2. 개신교

개신교는 '예수 그리스도를 주(主)로 고백하고 따르는 성도들의 공동체'를 교회라고 정의한다.[100][101][102] 교회당 건물을 교회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교회는 공동체인 사람을 가리키고 교회당은 건물을 의미하므로 서로 다른 개념이다. 개신교는 전도사목사 등의 권위는 그리스도의 몸을 세우기 위해 필요하지만, 베드로가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같은 제사장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이라고 말한 것처럼 모든 신자가 왕 같은 제사장이며, '만인제사장설'에 따라 근본적으로 평등하다고 본다. 다만, 그 안에서 설교나 인도와 같은 역할 분담은 존재한다.

개신교는 사도 시대 이후에도 하나이고, 거룩하며, 보편적이고, 사도적인 교회가 이어진다고 믿는다. 이는 "몸이 하나이요 성령이 하나이니 이와 같이 너희가 부르심의 한 소망 안에서 부르심을 입었느니라 주도 하나이요 믿음도 하나이요 세례도 하나이요 하나님도 하나이시니 곧 만유의 아버지시라 만유 위에 계시고 만유를 통일하시고 만유 가운데 계시도다"라는 성경 말씀에 따른 것이다.

개신교는 성경을 신앙과 행위의 유일한 기준으로 삼으며, '오직 믿음'과 '오직 은혜'를 강조하고, 다양한 교파로 나뉜다. 주요 교파로는 루터교, 개혁주의, 감리교, 침례교, 오순절주의 등이 있으며, 각 교파는 고유한 신학과 전통을 가지고 있다.

4. 2. 1. 개혁주의

개혁주의 신학은 교회를 '보이지 않는 교회'(무형교회)와 '보이는 교회'(유형교회)로 구분한다.[61] 보이지 않는 교회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구원받은 모든 신자로 구성되며, 예수 그리스도와 유기적 연합을 이루는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같다. 보이는 교회는 보이지 않는 교회가 현실에서 구체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것으로, 지역 교회 등이 이에 해당한다. 보이는 교회에는 구원받지 못한 사람들도 포함될 수 있다.

개혁주의 신앙 고백은 '복음의 순수한 가르침(''pura doctrina evangelii'')과 성례의 올바른 집행(''recta administratio sacramentorum'')'을 참된 보이는 교회의 두 가지 가장 중요한 표징으로 강조한다.[62] 장 칼뱅은 보이는 교회를 "우리 어머니"라고 부르며, "하나님의 구원, 의롭게 하심, 그리고 붙드심의 활동을 위한 하나님이 제공하시는 기관"으로 보았다.[61]

개혁파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인 영적인 보이지 않는 교회와 지상의 가시적이고 제도적인 보이는 교회가 있다고 본다. 선택받은 자는 신앙을 고백하고 지상의 교회에 속한다. 그러나 지상의 제도적인 교회 중에서 진정한 교회를 교회의 표징으로 식별한다. 또한 지상의 보이는 교회에 속한 자들 중에는 영원한 보이지 않는 교회에 속하지 않는 자들이 있다고 생각한다.[88][89][90]

4. 3. 성공회

성공회는 가시적 교회와 불가시적 교회의 균형을 강조하며, 성령이 이끄시는 공동체로서의 교회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사도신조와 니케아 신경에 근거하여 교회를 '하나이고 거룩하고 보편되며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교회'로 정의한다.

성공회는 성서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교회의 머리로, 세례받은 모든 신자를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는 지체로 해석한다. 또한 교회를 하느님의 백성, 새 이스라엘, 왕다운 사제직, 거룩한 민족, 진리의 기둥으로 묘사한다.

성공회는 의회민주주의에 기반한 주교제를 따르며, 주교가 교회를 감독한다. 성직자평신도는 협력을 통해 기도, 전례, 복음 전도, 하느님의 정의, 평화, 사랑의 실천 등 교회의 사명을 수행한다.

5. 교회 제도

교회 제도는 크게 감독제, 장로제, 회중제로 나눌 수 있다.[31]


  • 감독제: 주교(감독)가 교회를 다스리는 제도이다. 성사로서의 의미는 없지만, 감독제라는 임명 계급을 두는 경우도 있다. 가톨릭교회, 성공회(잉글랜드 국교회), 정교회, 루터교회, 감리교회, 구세군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장로제: 장로들이 교회를 운영하는 제도이다. 장로교회와 개혁교회가 이 제도를 따른다.
  • 회중제: 목사 이외의 직책은 인정하지 않고, 각 교회의 독립성을 강조하는 제도이다. 회중파 교회와 침례교회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예배를 위해 모이는 건물을 교회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보통 회중이라는 별칭을 사용한다.
  • 무교회주의: 교회(회중) 조직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6. 현대 사회와 교회

현대 사회에서 교회는 종교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사회봉사, 교육, 문화 활동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세계화 시대에 발맞춰, 교회는 국제적인 연대와 협력을 통해 세계 평화와 정의 실현에 기여하고 있다.[76][77][78] 하지만 교회는 세속화, 물질주의, 개인주의 등 현대 사회의 도전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신학적, 실천적 응답을 모색하고 있다.

20세기에는 기독교가 유럽과 아메리카 중심에서 글로벌 사우스로 이동하는 "세계적인 변화"가 일어났다.[76][77][78] "세계 기독교" 또는 "글로벌 기독교"는[79] 이러한 기독교의 세계적인 성격을 반영하며, 서유럽과 북미의 토착 또는 디아스포라 형태도 포함한다.[80]

6. 1. 한국 사회와 교회

한국 교회는 급속한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 속에서 소외된 이웃을 돌보고, 민주화와 인권 신장에 기여해 왔다. 하지만 일부 교회의 대형화, 세습, 재정 비리 등의 문제로 인해 사회적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교회는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고, 복음의 본질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do Catholics believe? https://www.dioceseo[...] Roman Catholic Diocese of Lansing 2021-06-29
[2] 웹사이트 Eastern Orthodox Church https://www.bbc.co.u[...] BBC 2021-06-27
[3] 웹사이트 Inside the Conversion Tactics of the Early Christian Church https://www.history.[...] History (American TV network) 2021-06-27
[4]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5] 서적 Christian Theology: An Introduction John Wiley & Sons 2016-08-04
[6]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10
[7] 서적 Christian Theology: A Concise and Practical View of the Cardinal Doctrines and Institutions of Christianity United Brethren Publishing House 1900
[8] 서적 Americanism and Catholicism https://archive.org/[...] Longman 1924
[9] 웹사이트 The Original Christian Church https://www.oca.org/[...] Orthodox Church in America 2021-06-27
[10] 웹사이트 The Church https://www.newadven[...] Catholic Encyclopedia 2021-06-27
[11] 웹사이트 Entry for Strong's #1577 - ἐκκλησία https://www.studylig[...] 2019-10-20
[12] 웹사이트 Ekklesia: A Word Study http://www.acu.edu/s[...] Acu.edu 2013-09-03
[13] 서적 Westminster Dictionary of Theological Term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6
[14] 서적 Systematic Theology Banner of Truth 1949
[15] 백과사전 church http://www.etymonlin[...] 2008-01-18
[16] 백과사전 church http://www.etymonlin[...] 2008-01-18
[17] 웹사이트 Pentecost Christianity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6-11-04
[18] 웹사이트 Religions - Christianity: Pentecost https://www.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BBC) 2016-11-04
[19] 서적 Salvation is from the Jews (John 4:22): Saving Grace in Judaism and Messianic Hope i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07
[20] 성경 Acts 2
[21] 웹사이트 Pentecost (Whitsunday) http://www.newadvent[...] 2016-11-04
[22] 성경 Acts 10-15
[23] 웹사이트 Church as an Institution http://etext.lib.vir[...]
[24] 웹사이트 An Overview of Christian History http://catholic-reso[...]
[25] 백과사전 Acts of the Apostles
[26] 웹사이트 The Virtual Pomegranate http://chass.colosta[...] 2007-05-19
[27] 웹사이트 From Jesus to Christ: Maps, Archaeology, and Sources: Chronology https://www.pbs.org/[...] 2007-05-19
[28] 웹사이트 Christianity and the Roman Empire: Reasons for persecution https://www.bbc.co.u[...] 2007-05-10
[29] 웹사이트 Constantius II (337-361 A.D.) http://www.roman-emp[...]
[30] 웹사이트 Constantine and the Christian State http://www.christian[...]
[31] 서적 Naissance d'un vocabulaire chrétien Cerf 2006
[32] 서적 Vocabulaire de théologie biblique Cerf 1981
[33] 성경 Matthew 16:18
[34] 성경 Matthew 18:17
[35] 서적 Cent mots-clés de la théologie de Paul
[36] 웹사이트 St. Ignatius of Antioch to the Smyrnaeans (Roberts-Donaldson translation) http://www.earlychri[...]
[37] 웹사이트 Theodosian Code XVI.i.2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1997-06-00
[38] 백과사전
[39] 서적 Christianity and Paganism in the Fourth to Eighth Centuries Yale University Press 1997-09-23
[40] 웹사이트 Christianity Missions and monasticism https://www.britanni[...]
[41]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ecumenical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http://www.archons.o[...] 2007-05-20
[42] 웹사이트 The Christians Under Turkish Rule http://www.syriacstu[...] 2012-04-28
[43] 백과사전 MSN Encarta: Orthodox Church http://encarta.msn.c[...] 2007-05-12
[44] 웹사이트 Arias of Study: Western Art http://www.uwm.edu/D[...] 2007-05-17
[45] 웹사이트 CHRISTIANITY IN HISTORY http://etext.lib.vir[...]
[46] 웹사이트 The Byzantine Empire http://www.byzantino[...]
[47] 웹사이트 BYZANTINE ICONOCLASM AND POLITICAL EARTHQUAKE OF ARAB CONQUESTS – AN EMOTIONAL 'GUST' http://www.thiscentu[...] 2007-05-24
[4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Copts http://www.calacadem[...]
[4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Maronite Patriarchate http://www.opusliban[...]
[50] 서적 The Christian East and the Rise of the Papacy: The Church 1071-1453 A.D.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94-08-00
[51] 웹사이트 Christianity and world religions https://www.britanni[...]
[52] 웹사이트 South America:Religion https://www.britanni[...]
[53] 웹사이트 Major Religions of the World Ranked by Number of Adherents https://web.archive.[...]
[54] 웹사이트 Lumen gentium https://www.vatican.[...]
[55] 서적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https://books.google[...]
[56] 웹사이트 Responses to Some Questions Regarding Certain Aspects of the Doctrine on the Church https://www.vatican.[...]
[57] 웹사이트 Augsburg Confession, Article 7, Of the Church http://www.bookofcon[...]
[58] 간행물 Is One Church as Good as Another?
[59] 간행물 Luther's Catholic Reformation 2016-09-12
[60] 서적 Anglican and Episcopal History Historical Society of the Episcopal Church
[61] 서적 The Westminster Handbook to Reformed Theolog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1-01-01
[62] 서적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in the Major Reformed Confessions and Catechisms of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Langham Monographs 2012-06-14
[63] 서적 The Magazine of the Wesleyan Methodist Church J. Fry & Company
[64] 웹사이트 Vatican stance "nothing new" say church leader http://www.umc.org/w[...]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07-07-20
[65] 웹사이트 The Birth Pangs of United Methodism as a Unique, Global, Orthodox Denomination https://peopleneedje[...] 2016-08-25
[66] 서적 A History of the Methodist Church in Great Britain, Volume Three Wipf & Stock Publishers 2017-06-14
[67] 웹사이트 Wesleyan Heritage Series: Entire Sanctification https://ucmpage.org/[...] South Georgia Confessing Association
[68] 서적 Baptist Successionism: A Crucial Question in Baptist History Scarecrow Press 1994-01-01
[69] 서적 A Global Introduction to Baptist Church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9-13
[70] 서적 The Struggle for the Soul of the SBC: Moderate Responses to the Fundamentalist Movement Mercer University Press
[71] 서적 The Ecumenical Movement: An Introductory History Bloomsbury Publishing USA 2004-04-30
[72] 학술지 Network Church: A Pentecostal Ecclesiology Shaped by Mission https://www.thegospe[...] 2024-02-28
[73] 웹사이트 1689 London Baptist Confession http://www.vor.org/t[...]
[74] 웹사이트 Savoy Declaration http://www.reformed.[...]
[75] 웹사이트 Brief Statement of the Doctrinal Position of the Missouri Synod http://www.lcms.org/[...] 2020-04-03
[76] 서적 Missionary Movement in Christian History: Studies in the Transmission of Faith https://books.google[...] Orbis Books 1996-01-01
[77] 학술지 Shifting Southward: Global Christianity Since 1945 https://verseforthed[...] 2000-04-01
[78] 서적 The Next Christendom: The Coming of Global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9] 서적 Christianity as a World Religion Continuum 2008-01-01
[80] 서적 Beyond Christendom: Globalization, African Migr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West https://books.google[...] Orbis Books
[81] 웹사이트 教会論のいくつかの側面に関する問いに対する回答(日本語訳) http://www.cbcj.cath[...]
[82] 서적 聖書とハンディキャップ 一粒社 1991-01-01
[83] 서적 現代神学小史 いのちのことば社
[84] 서적 教会一致の基礎
[85] 서적 現代の宗教改革 小峯書店
[86] 서적 夜明けか黄昏か:現代ローマ・カトリック いのちのことば社
[87] 서적 教会とは何か
[88] 서적 キリスト教綱要 改革派教会
[89] 서적 現代の宗教改革
[90] 서적 聖書の教理 羊群社
[91] 서적 한눈에 보는 성경 조직신학
[92] 서적 Christian Theology: An Introduction John Wiley & Sons 2016-08-04
[93] 서적 Christian Theology: A Concise and Practical View of the Cardinal Doctrines and Institutions of Christianity https://archive.org/[...] United Brethren Publishing House 1900-01-01
[94]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10-01-01
[95] 서적 Americanism and Catholicism https://archive.org/[...] Longman 1924-01-01
[96] 웹인용 The Original Christian Church https://www.oca.org/[...] Orthodox Church in America 2021-06-27
[97] 웹인용 The Church https://www.newadven[...] Catholic Encyclopedia 2021-06-27
[98] 웹인용 What do Catholics believe? https://www.dioceseo[...] Roman Catholic Diocese of Lansing 2021-06-29
[99] 서적 Systematic Theology Banner of Truth 1949-01-01
[100] 서적 Westminster Dictionary of Theological Term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6-01-01
[101] 웹인용 Liddell and Scott, ἐκκλησία http://perseus.uchic[...] 2017-12-01
[102] 웹사이트 Entry for Strong's #1577 - ἐκκλησία https://www.studylig[...] 2019-10-20
[103] 웹사이트 Strong's Concordance http://biblehub.com/[...]
[104] 웹인용 Ekklesia: A Word Study http://www.acu.edu/s[...] Acu.edu 2013-09-03
[105] 서적 Westminster Dictionary of Theological Term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6-01-01
[106] 판례 91다1226
[107] 판례 2004다2777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