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르트문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르트문트는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위치한 도시로, 루르 지역 동부에 자리 잡고 있다. 신석기 시대부터 인간의 정착 흔적이 있으며, 882년 "트로트마니"라는 이름으로 처음 문헌에 등장했다. 1152년 프리드리히 1세에 의해 황실 의회가 개최되었고, 1236년 자유제국도시로 지정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한자 동맹의 주요 도시였으며, 맥주 양조로도 유명했다. 19세기 산업화 시기에는 석탄과 철강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현재는 첨단 기술, 물류, 서비스업이 발달한 도시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축구팀의 연고지이며, 독일에서 세 번째로 큰 중앙역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제국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 자유제국도시 - 트리에스테
트리에스테는 이탈리아 북동부 아드리아해 연안의 도시로, 로마 시대 번성한 항구 도시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이탈리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과학 연구 및 문화 중심지이다.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 에센
에센은 루르 지역의 중심부에 위치한 독일 도시로, 여성 수도원을 기원으로 공업 도시로 발전하여 대기업 본사가 위치한 주요 산업 도시이자 유럽 문화 수도로 지정된 풍부한 문화 유산을 보유한 도시이며, 졸페라인 탄광 산업 유산 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 뒤셀도르프
뒤셀도르프는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주도로, 라인강 연안의 경제 및 문화 중심지이며, 어촌 마을에서 시작하여 도시 특권 획득, 베르크 공국 수도, 팔츠 선제후 거주지를 거쳐 산업혁명과 재건 사업을 통해 국제적인 도시로 성장했다. - 한자 동맹 가맹도시 - 스톡홀름
스톡홀름은 발트해와 멜라렌호 사이에 위치한 스웨덴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14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정치, 문화,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유럽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 중 하나이다. - 한자 동맹 가맹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도르트문트 - [지명]에 관한 문서 |
---|
2. 역사
wikitext
현 도르트문트 시 지역에서 인간 정착의 첫 흔적은 신석기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41][142][143][144] 도르트문트는 882년 "트로트마니(Throtmanniosx)"라는 이름으로 문헌상 최초로 언급된다.[3][19][141][142][143][144] 990년에는 도르트문트 시장권(Marktrecht)이 최초로 언급된다. 11세기에는 라이놀두스(Reinoldus)의 전설이 도시의 수호성자가 된다.
1152년에는 나중에 황제가 되는 프리드리히 1세에 의해 도르트문트에서 황실의회(Hoftag)가 개회되었다.[281][145] 그 결과 궁궐 주위에 많은 장인들과 상인들이 정착했고 이것이 모여 도르트문트라는 도시의 기원에 이바지했다. 1200년에는 이미 오늘날 도심 면적인 82 핵타르가 도달되었고 도시성곽이 건축되었다. 1232년에는 도시 대화재가 발생했다. 방화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재로 도시 전체가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 화재는 왕의 길(Hellweg) 북쪽의 밀집된 도심에서 심했고 소상인과 장인의 목재로 된 집뿐만 아니라 돌로 된 라이놀트 교회까지 파괴했다. 화재로 인하여 도시의 고문서 보관소가 소실되었고 이와 함께 대화재 이전 시기의 모든 문서도 사라졌다. 화재로 인해 사라진 도르트문트의 옛 특권은 1236년 프리드리히 2세가 도르트문트를 최초로 자유제국도시로 지정하며 되살린다.
1267년에 성 마리아 교회가, 1270년에 성 레이놀드 교회가 처음 언급되었다. 교차로, 시장, 행정 중심지(시청)의 결합은 도르트문트를 베스트팔렌의 중요한 중심지로 만들었다. 1293년 도르트문트는 양조권을 부여받고 도시 내에서 시범적인 맥주산업의 전개가 시작된다.[141][142][143][144] 도시 화재 이후 도르트문트 시민들의 영향력도 강화되었다. 13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도르트문트는 한자 동맹의 라인, 베스트팔렌, 네덜란드 지역의 "주요 도시"였다.
1320년 이후, 도시는 "Dorpmunde"로 기록되었다. 1344년까지 영국의 왕 에드워드 3세는 부유한 도르트문트 상인 가문인 베어스워트와 클레핑으로부터 돈을 빌렸고, 왕관을 담보로 제공했다. 1388년, 마르크 백작은 쾰른 대주교와 연합하여 도시에 대한 싸움을 선포했다. 18개월간의 대규모 포위 공격 후, 평화 협상이 이루어졌고 도르트문트는 승리했다. 1400년에 최초의 베믹 법정( )의 자리가 도르트문트에 있는 두 린든 나무 사이의 광장에 있었는데, 그 중 하나는 ''페멜린데''로 알려져 있었다. 15세기 동안 쾰른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그 자리는 1437년에 아른스베르크로 옮겨졌다. 영국-한자 동맹 전쟁(1470~1474년) 이후 쾰른이 제외된 후, 도르트문트는 라인-베스트팔렌과 네덜란드 지역의 수도가 되었다.
2. 1. 고대와 중세
도르트문트 시 지역에서 인간 정착의 첫 흔적은 신석기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41][142][143][144] 도르트문트는 882년 "트로트마니(Throtmanniosx)"라는 이름으로 문헌상 최초로 언급된다.[3][19][141][142][143][144] 990년에는 도르트문트 시장권(Marktrecht)이 최초로 언급된다. 11세기에는 라이놀두스(Reinoldus)의 전설이 도시의 수호성자가 된다.1152년에는 나중에 황제가 되는 프리드리히 1세에 의해 도르트문트에서 황실의회(Hoftag)가 개회되었다.[281][145] 그 결과 궁궐 주위에 많은 장인들과 상인들이 정착했고 이것이 모여 도르트문트라는 도시의 기원에 이바지했다. 1200년에는 이미 오늘날 도심 면적인 82 핵타르가 도달되었고 도시성곽이 건축되었다. 1232년에는 도시 대화재가 발생했다. 방화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재로 도시 전체가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 화재는 왕의 길(Hellweg) 북쪽의 밀집된 도심에서 심했고 소상인과 장인의 목재로 된 집뿐만 아니라 돌로 된 라이놀트 교회까지 파괴했다. 화재로 인하여 도시의 고문서 보관소가 소실되었고 이와 함께 대화재 이전 시기의 모든 문서도 사라졌다. 화재로 인해 사라진 도르트문트의 옛 특권은 1236년 프리드리히 2세가 도르트문트를 최초로 자유제국도시로 지정하며 되살린다.
1267년에 성 마리아 교회가, 1270년에 성 레이놀드 교회가 처음 언급되었다. 교차로, 시장, 행정 중심지(시청)의 결합은 도르트문트를 베스트팔렌의 중요한 중심지로 만들었다. 1293년 도르트문트는 양조권을 부여받고 도시 내에서 시범적인 맥주산업의 전개가 시작된다.[141][142][143][144] 도시 화재 이후 도르트문트 시민들의 영향력도 강화되었다. 13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도르트문트는 한자 동맹의 라인, 베스트팔렌, 네덜란드 지역의 "주요 도시"였다.
1320년 이후, 도시는 "Dorpmunde"로 기록되었다. 1344년까지 영국의 왕 에드워드 3세는 부유한 도르트문트 상인 가문인 베어스워트와 클레핑으로부터 돈을 빌렸고, 왕관을 담보로 제공했다. 1388년, 마르크 백작은 쾰른 대주교와 연합하여 도시에 대한 싸움을 선포했다. 18개월간의 대규모 포위 공격 후, 평화 협상이 이루어졌고 도르트문트는 승리했다. 1400년에 최초의 베믹 법정( )의 자리가 도르트문트에 있는 두 린든 나무 사이의 광장에 있었는데, 그 중 하나는 ''페멜린데''로 알려져 있었다. 15세기 동안 쾰른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그 자리는 1437년에 아른스베르크로 옮겨졌다. 영국-한자 동맹 전쟁(1470~1474년) 이후 쾰른이 제외된 후, 도르트문트는 라인-베스트팔렌과 네덜란드 지역의 수도가 되었다.
2. 2. 근세와 산업화
도르트문트 지역에 인간이 정착한 최초의 흔적은 신석기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882년 "트로트마니(Throtmanniosx)"라는 이름으로 처음 문헌에 언급되었으며,[141][142][143][144] 990년에는 도르트문트 시장권(Marktrecht)이 최초로 언급되었다. 11세기에는 도시의 수호성자 성 라이놀두스(Reinoldus) 전설이 등장했다.1152년 프리드리히 1세에 의해 도르트문트에서 황실의회(Hoftag)가 개최되었다.[281][145] 그 결과 왕궁 주위에 많은 장인과 상인들이 정착하여 도시 발전에 기여했다. 1200년에는 이미 오늘날 도심 면적인 82 헥타르에 달하는 도시성곽이 건축되었다. 1232년(또는 1231년) 방화로 추정되는 대화재로 도시 전체가 거의 파괴되었다.[281] 화재는 왕의 길(Hellweg) 북쪽의 밀집된 도심에서 심했고, 소상인과 장인의 목재 건물뿐만 아니라 석조 라이놀트 교회까지 파괴했다. 이 화재로 도시의 고문서 보관소가 소실되어 대화재 이전 시기의 모든 문서가 사라졌다. 1236년 프리드리히 2세는 화재로 소실된 도르트문트의 옛 특권을 되살리고 최초로 자유제국도시로 지정했다.
1267년에 성 마리아 교회가, 1270년에는 성 레이놀드 교회가 처음 언급되었다. 교차로, 시장, 행정 중심지(시청)의 결합은 도르트문트를 베스트팔렌의 중요한 중심지로 만들었다. 1293년 도르트문트는 맥주 양조권을 부여받아[281] 도시 내 맥주 산업 발전이 시작되었다. 도르트문트는 자유제국도시이자 양조권을 가진 유럽 최초의 도시 중 하나였다. 13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도르트문트는 한자 동맹의 라인, 베스트팔렌, 네덜란드 지역의 "주요 도시"였다.
1320년 이후 도시는 "Dorpmunde"로 기록되었다. 1344년 영국의 왕 에드워드 3세는 부유한 도르트문트 상인 가문인 베어스워트와 클레핑으로부터 돈을 빌리고 왕관을 담보로 제공했다. 1388년 마르크 백작은 쾰른 대주교와 연합하여 도시에 대한 싸움을 선포했다. 18개월간의 대규모 포위 공격 후 평화 협상이 이루어졌고 도르트문트는 승리했다. 1400년 도르트문트의 두 린든 나무 사이 광장에 최초의 베믹 법정() 자리가 있었는데, 그 중 하나는 ''페멜린데''로 알려졌다. 15세기 동안 쾰른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1437년 법정은 아른스베르크로 옮겨졌다. 영국-한자 동맹 전쟁(1470~1474년) 이후 쾰른이 제외된 후, 도르트문트는 라인-베스트팔렌과 네덜란드 지역의 수도가 되었다. 이는 1543년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 중 하나인 의 설립을 이끌었다. 1661년 지진으로 레이놀디 교회가 붕괴되었다.

1803년 ''라인강 연방의 창설'' 결정에 따라 도르트문트는 나소-오렌지-풀다 공국에 편입되어 더 이상 자유제국도시가 아니게 되었다. 빌헬름 5세는 빼앗긴 지역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들인 빌헬름 프레드릭 왕자(후일 네덜란드의 빌헬름 1세)가 도시와 공국을 점령하도록 했다. 1806년 도르트문트 백작령은 프랑스군에 점령되었고, 1808년 베르크 대공국에 편입되어 루르 주의 주도가 되었다. 1815년 빈 회의에서 도르트문트를 포함한 베르크 대공국 전체가 프로이센 왕국에 편입되었다. 프로이센의 베스트팔렌 주에서 도르트문트는 1875년 지역 내 도시구가 될 때까지 아른스베르크 행정구 내의 구청 소재지였다.

프로이센의 산업화 기간 동안 도르트문트는 석탄과 철강의 주요 중심지가 되었다. 1847년 쾰른-민덴 철도 개통 이후 도르트문트는 뤼르 지역의 중요한 교통 중심지가 되었다. 1899년 도르트문트-엠스 운하와 항구 개항은 경제 발전을 위한 또 다른 중요한 요소였다. 1920년 도르트문트는 카프 푸치에 대한 저항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루르 봉기에서 급진적인 노동자들은 5만 명의 루르 적군을 결성하여 정부와 자유군단 부대에 의해 진압되었다.[20] 1923년 프랑스와 벨기에군이 루르 지역을 점령했다.[21] 점령은 1925년 8월까지 지속되었다.
19세기 중반부터 석탄 채굴과 철강 가공은 새로운 도르트문트 발전을 이끌어 공업 도시로 변모시켰다. 1874년 도르트문트 남역(Dortmund Süd)으로 향하는 라인 철도 회사(Rheinisches Eisenbahn-Gesellschaft) 노선 개통으로 역사적인 방어 시설 남동 지역에서 도시 건설 목적 개발이 시작되었다. 1876년에는 약 16헥타르의 오스트파르크(Ostpark)가 공원풍 녹지로 개원했다. 1905년 케르네(Körne) 합병 이후 시정촌 합병이 이어졌고, 1928년 헬데(Hörde) 시 합병으로 정점에 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까지 도시 경관은 농업 소도시에서 대도시풍 외관으로 변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도시는 105회의 공습으로 총 22,242톤 이상의 폭격을 받아 중심부의 90%가 파괴되었다.[146] 1945년 3월 12일 대공습에서는 4800톤 이상의 폭탄이 투하되었다.[147]

전후 복구는 지하 인프라 정비와 도로 정비부터 시작되었다. 복구 계획의 목표는 새롭고 개방적이며 미래 지향적인 도르트문트였다. 1950년 인구 50만 명을 기록했고, 1956년에는 624,000명, 1965년에는 658,075명으로 역사상 최다 인구에 도달했다.
2. 3. 현대
도르트문트 지역의 첫 정착 흔적은 신석기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882년 "트로트마니(Throtmanniosx)"라는 이름으로 처음 문헌에 등장했으며,[281][141][142][143][144] 990년에는 도르트문트 시장권(Marktrecht)이 최초로 언급된다. 11세기에는 도시의 수호성자 라이놀두스(Reinoldus) 전설이 등장한다.1152년 프리드리히 1세에 의해 도르트문트에서 황실의회(Hoftag)가 개최되었고,[281][145] 이는 장인과 상인들의 정착을 유도하여 도시 발전에 기여했다. 1200년경에는 이미 현재 도심 면적인 82 헥타르에 달했고 도시성곽이 건축되었다. 1232년(또는 1231년) 도시 대화재로 도시 전체가 거의 파괴되었으며,[146] 특히 헬베이크(Hellweg) 북쪽의 밀집된 도심과 라인홀트 교회(Reinoldikirche)가 피해를 입었다. 화재로 도시의 고문서 보관소가 소실되어 이전 시기의 모든 문서가 사라졌다. 1236년 프리드리히 2세는 도르트문트를 최초로 제국도시로 지정하며 옛 특권을 복권시켰다.
1293년 맥주 양조권을 획득하며 맥주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도르트문트 상인들은 유럽 전역, 특히 잉글랜드와 활발한 무역 관계를 맺었다. 1339년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3세는 잉글랜드 왕관을 도르트문트 상인들에게 저당 잡히기도 했다.
1389년 도르트문트는 마르크 백작령(Grafschaft Mark)과 쾰른 선제후령(Kurfürstentum Köln) 및 그 동맹국들에 대한 도르트문트의 큰 페에데(Fehde,사적 분쟁)를 헤쳐나갔다. 그러나 30년 전쟁으로 인해 도시의 경제적 쇠퇴는 지속되었다. 1793년 인구는 4500명으로 감소했다. 1803년 제국 대표자 회의 주요 결의(Reichsdeputationshauptschluss)에서 자유 제국 도시 지위를 상실하고 오라니예-나사우(Oranje-Nassau) 백작령의 飞地(비지)가 되었다. 1808년 나폴레옹(Napoleon Bonaparte)의 베르크 대공국(Großherzogtum Berg) 뤼르(Ruhr)주의 주청소재지가 되었다. 1815년 프로이센(Preußen)의 베스트팔렌 주(Provinz Westfalen)에 편입되었고, 1875년 슈타트크라이스(Stadtkreis, 도시군=군 독립시)가 되었다.
19세기 초 산업화와 함께 쇠퇴가 멈추었다. 1847년 쾰른-민덴(Minden) 철도 개통으로 도르트문트는 뤼르 지역의 중요한 교통 중심지가 되었다. 1899년 도르트문트-엠스 운하(Dortmund-Ems-Kanal)와 항구 개항은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세기 중반부터 석탄 채굴과 철강 가공으로 공업 도시로 변모했다.

도시 확장은 새로운 도르트문트 중앙역(Dortmunder Hauptbahnhof) 북쪽에서 시작되었다. 1858년부터 노르트슈타트(Nordstadt)에 직교하는 도로망이 정비되었다. 1874년 도르트문트 남역(Dortmund Süd)으로 향하는 라인 철도 회사(Rheinisches Eisenbahn-Gesellschaft) 노선 개통으로 역사적인 방어 시설 남동 지역 개발이 시작되었다. 카이저필텔(Kaiserviertel, 카이저 거리)이나 쥐트슈타트(Südstadt)에는 완만한 건축 계획이 구상되어 인기 있는 주택가가 되었다. 1876년 오스트파르크(Ostpark)가 공원풍 녹지로 개원했다.

역사적인 방어 시설 남쪽에는 고아원, 루이젠 병원(Luisenhospital), 왕립 공업 마이스터 학교(도르트문트 전문 단과대학의 전신) 등이 건설되었다. 1902년부터 1908년까지 공무원 주거 지역이 설치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도시 건설은 중단되었다.
1905년 케르네(Körne) 합병을 시작으로 시정촌 합병이 이어졌다. 1928년 헬데(Hörde) 시 합병으로 정점에 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까지 시 중심부에는 시나고그(Synagoge), 알트호프(Althoff) 백화점, 크뤼거하우스(Kruegerhaus), 중앙역, 극장, 레벤호프(Löwenhof) 등이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도르트문트는 105회의 공습으로 22,242톤 이상의 폭격을 받아 중심부의 90%가 파괴되었다.[146] 1945년 3월 12일 대공습에서는 4,800톤 이상의 폭탄이 투하되었으며,[147] 이는 독일 도시들에 대한 공격 중 가장 격렬한 것이었다.[147]
전후 복구는 지하 인프라 정비와 도로 정비부터 시작되었다. 복구 계획은 새롭고 개방적인 미래 지향적인 도르트문트를 목표로 했다. 라인홀트 교회(Reinoldikirche)와 마리엔 교회와 같은 몇몇 역사적 건물은 복원되거나 재건되었지만, 많은 건물들이 재건되지 않았다.
복구는 빠르게 진행되어 1950년 인구 50만 명을 기록했다. 1956년 인구는 624,000명, 1965년에는 658,075명으로 역사상 최다 인구에 도달했다.
나치 독일 시대에 1900년에 문을 연 구 시나고그(Synagoge)는 1938년에 파괴되었다. 도르트문트의 아플러벡 병원(Aplerbeck Hospital)은 "T4 작전(Aktion T4)"의 일환으로 환자들을 하다마르 살해 시설(Hadamar Killing Facility)로 이송하여 살해하였다. 도르트문트에는 포로 수용소인 슈탈락 VI-D(Stalag VI-D)가 있었으며,[22] 씬티족과 로마족을 위한 수용소도 있었다.[23]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Buchenwald concentration camp)의 하위 수용소도 있었다.[24] 1943년 9월, 현지 게슈타포(Gestapo)는 폴란드 포로 17명을 집단 처형했다.[25]
도르트문트는 석유 작전 폭격 목표였다.[26] 폭격으로 도르트문트 주택의 약 66%가 파괴되었다.[27] 1945년 3월 12일 1,108대의 항공기가 가한 폭격으로 도심 건물의 98%가 파괴되었고, 4,851톤의 폭탄이 투하되었다.[4] 1945년 4월, 미군 제95보병사단(95th Infantry Division)이 도시를 점령했다.[28]
{{다중 이미지
| 정렬 = 오른쪽
| 방향 = 세로
|image1= Buildings ostenhellweg.JPG
|image2= Boulevard Kampstraße Dortmund.jpg
| 꼬리말 = 성 레이놀드 주변의 재건축과 현대적인 재건
}}
전후, 도심의 역사적 건물 대부분은 복원되지 않았고, 1950년대 스타일로 재건되었다.[29] 광대한 공원과 정원이 조성되었다. 오늘날 도시의 거의 30%는 2차 세계 대전 이전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5] 도르트문트는 1946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North Rhine-Westphalia)가 되었다. LWL 산업 박물관(LWL-Industriemuseum)은 1969년에 설립되었다.[30] 1987년 슈타인 광산(Minister Stein) 폐쇄로 150년 이상 지속된 석탄 채굴이 종식되었다. 도르트문트는 생물 의학 기술, 마이크로 시스템 기술, 서비스를 포함한 첨단 기술 분야로 대체되었다.
2001년 도르트문트의 뢰르데(Hörde) 지역에 피닉스제(Phoenix See)가 시작되었다. 2010년 10월 1일 피닉스제 범람이 시작되었고, 2011년 5월 9일 완공되었다.[31] 2009년 도르트문트는 혁신 도시 지수에서 "노드 도시"로 분류되었고,[12] 독일에서 가장 지속 가능한 도시이다.
2013년 11월 3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4,000파운드 폭탄이 발견되어 2만 명 이상이 대피했다. 독일 당국은 폭탄을 안전하게 제거했다. 폭탄은 연합군 항공기가 투하한 미폭발 폭탄을 찾는 과정에서 오래된 항공 사진을 분석하던 중 발견되었다.[32]
3. 지리
3. 1. 위치 및 자연환경
도르트문트는 유럽 최대의 도시권 중 하나인 루르 지역 동부에 위치한 독립시(독일어: kreisfreie Stadt)이다.[120] 보훔, 카스트로프-라우크셀, 발트로프, 뤼넨, 카멘, 우나, 홀츠비케데, 슈베르테, 하겐, 헤르데케, 비텐 등의 도시와 접경하고 있다. 도르트문트는 베스트팔렌 저지대에 속하며, 남쪽의 아르데이 구릉과 접해 있고 자우어란트와 인접해 있다.루르 강은 도르트문트 남부의 지부르크 근처에 있는 헹슈타이 호를 형성한다. 헹슈타이 호수 바로 북쪽에 위치한 클루젠베르크 언덕은 도르트문트에서 가장 높은 지점(254.3m)이다.[124] 엠셔 강은 도르트문트 동쪽의 홀츠비케데에서 발원하여 도르트문트를 관통하여 서쪽으로 흐른다. 엠셔 강은 딘슬라켄에서 라인 강으로 흘러든다.[120]
도르트문트는 북위 51° 30′ 51″, 동경 7° 27′ 50″, 해발 86m에 위치한다.[120] 도르트문트는 독일 전역과 마찬가지로 중앙유럽 표준시(중앙유럽 시간대)를 사용한다.[122]
도르트문트는 베스트팔렌 분지 남서부에 위치한다. 남쪽에는 자우어란트의 돌출부와 아르다이 산지가 있으며, 북쪽에는 도르트문더 뤼켄이 솟아 있다. 서쪽은 인구 밀집 지역인 루르 지역이며, 도르트문트는 그 동부에 포함된다.


도르트문트 시역에는 루르 강과 엠셔 강 외에도 헬더 바흐, 뤼핑스바흐, 숀델레, 로스바흐, 켈네바흐 등 여러 작은 강이 있다.[123] 또한 도르트문트 항과 파펜부르크/엠스 강을 잇는 도르트문트-엠스 운하가 있다.[123] 베렌브루프 자연 보호 구역의 할레라이, 란스트로퍼 호, 프레켄브링크 호, 브루노 호 등 4개의 호수는 지반 침하에 의해 형성되었고, 헹그스타이 호와 페니크스 호는 인공 호수이다.
도르트문트 시의 면적은 280.707km²로 독일에서 26번째로 넓은 자치체이다.[122] 도르트문트 시의 북쪽 끝은 그로펜브루크 시구와 뤼넨-브람바우어 사이, 남쪽 끝은 레네 강 어귀 건너편, 동쪽 끝은 비케데 시구의 공항 북쪽 우나-마센과의 시 경계, 서쪽 끝은 호르테 시구와 보훔과의 시 경계이다.[122] 도르트문트의 최고 지점은 쥐트부르크 시구에 있는 크루젠베르크의 해발 254.33m이고, 최저 지점은 델네 시구의 해발 49.5m 지점이다.[124]
도르트문트는 서쪽의 레클링하우젠 군과 21km, 북서쪽으로는 발트롭과 접한다. 북쪽에서 남동쪽까지는 우나 군과 76km에 걸쳐 접하고 있으며, 북쪽은 뤼넨, 북동쪽은 카멘, 동쪽은 우나, 남동쪽은 홀츠비케데와 슈베르테와 접한다. 이어서 2km는 남쪽의 하겐 시이다. 도르트문트의 남서쪽은 에네페-루르 군이며, 헤르데케와 비텐이 경계를 접하고 있다. 정서쪽은 보훔이며, 시계의 길이는 10km이다. 도르트문트 시의 시계 총 길이는 126km이다.[122]
3. 2. 행정 구역
도르트문트는 62개의 지역으로 구성되며, 이 지역들은 다시 12개의 행정구("Stadtbezirke", 슈타트베치르케)로 그룹화된다.[125] 세 개의 행정구는 도심 지역(인넨슈타트-베스트(Innenstadt-West, 도심 서쪽), 인넨슈타트-노르트(Innenstadt-Nord, 도심 북쪽), 인넨슈타트-오스트(Innenstadt-Ost, 도심 동쪽))을 구성하고, 나머지 아홉 개의 행정구는 주변 지역(에빙, 샤른호르스트, 브라켈, 아플러벡, 허르데, 홈브루흐, 뤼트겐도르트문트, 후카르데, 멩게데)을 구성한다.[125] 각 "슈타트베치르케(Stadtbezirk)"에는 로마 숫자가 할당되며, 제한된 권한을 가진 19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지역 자치 기구가 있다.[125]
대부분의 행정구는 원래 독립적인 지자체였지만, 1905년부터 1975년까지 점진적으로 합병되었다.[125] 1928년까지 독립적이었던 도르트문트 남쪽에 위치한 허르데 행정구는 자체 문장을 가지고 있다.[125]
도심은 역사적으로 발전된 도시 지역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그 경계는 항상 엄격하게 정의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125]
- 슈타트첸트룸(Stadtzentrum, 도심)
- 하펜피어텔(Hafenviertel, 항구 지역)
- 노르트마르크트(Nordmarkt, 북쪽 시장)
- 보르지그플라츠(Borsigplatz)
- 카이저피어텔(Kaiserviertel, 황제 지역)
- 크로넨피어텔(Kronenviertel, 왕관 지역)
- 크로이츠피어텔(Kreuzviertel, 십자가 지역)
- 클리닉피어텔(Klinikviertel, 의료 지역)
- 자를란트슈트라센피어텔(Saarlandstraßenviertel, 자를란트 거리 지역)
- 우니온피어텔(Unionviertel, 연합 지역)
- 가르텐슈타트(Gartenstadt, 정원 도시)

도르트문트는 1975년 1월 1일 이후 12개의 슈타트베치르크(Stadtbezirk, 도시 관구)로 구성되어 있다.[126] 베스트(West, 서), 노르트(Nord, 북), 오스트(Ost, 동)의 3개의 이넨슈타트(Innenstadt, 내시가지) 관구와, 북쪽에서 시계 방향으로 에빙(Eving), 샤른호르스트(Schüren), 브라켈(Brackel), 아플라베크(Hombruch), 헬데(Hörde), 훔브루흐(Hombruch), 뤼트게도르트문트(Lütgendortmund), 후카르데(Huckarde), 멩게데(Mengede)의 9개 관구가 이를 둘러싸고 있다.[126] 이들 관구는 각각 주민 선거를 통해 관구 의회를 선출하고, 그중에서 관구장을 선출한다. 외곽 관구에는 관구 행정 사무소가 설치되어 있다.[126]
도시 관구의 하위 구분으로 62개의 통계 관구가 있으며, 다시 총 170개의 통계 소관구로 나뉜다. 내시가지 관구를 제외하고는 도르트문트 시에 통합된 구 자치체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공식적인 도시 구분 외에도 필르텔(Viertel, 구역)이라는 명칭도 존재한다.[127]
4. 인구
도르트문트의 인구는 19세기 산업화와 함께 석탄 채굴 및 제철 산업이 시작되면서 급격히 증가했다.[282] 1904년에는 인구가 처음으로 10만 명을 넘어섰다.[282] 19세기 동안 루르 지역에는 동방 탈출(Ostflucht) 현상으로 동프로이센(East Prussia)과 실레시아(Silesia)에서 최대 50만 명의 폴란드인(Polish people), 마주리인(Masurians), 실레시아인(Silesians)이 유입되었다.[282] 이들 외에도 프랑스, 아일랜드, 영국 등지에서도 이민자들이 유입되었다.[282]
1965년, 도르트문트의 인구는 657,804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산업 쇠퇴로 인해 감소하여 2011년에는 58만 명 미만으로 줄었다.[282] 그러나 순이주 증가로 인해 최근 몇 년 동안 인구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젊은 층(18세~25세)의 유입이 두드러진다.[37] 2016년에는 인구가 다시 60만 명을 넘어섰다.[39] 2022년 12월 31일 현재, 도르트문트의 인구는 593,317명으로, 독일에서 9번째,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 3번째로 큰 도시이자 루르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130]
1987년 국민 조사 당시 인구는 584,089명이었다.[139]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인구는 증가하여 2019년 12월 31일 공식 인구는 588,250명으로 증가했다.[140]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정보·기술국 (IT.NRW)은 도르트문트의 인구가 2040년까지 약 5.1% 증가하여 604,100명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140]
2012년 기준, 도르트문트 인구의 약 30%인 177,000명이 독일계가 아니었다.[37] 2022년 12월 31일 현재, 외국인 비율은 21.3%이다.[131] 2023년 기준, 이민자를 조상으로 둔 주민의 비율은 41%이다.[132] 도르트문트 북부 지역은 외국인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131]
국적 | 인구 (2022년 12월 31일) |
---|---|
22,154 | |
11,388 | |
7,791 | |
7,368 | |
4,561 | |
4,132 | |
3,623 | |
3,569 | |
3,421 | |
3,416 | |
2,229 | |
2,103 | |
2,034 | |
1,902 | |
1,851 | |
1,780 | |
1,532 | |
1,304 | |
1,284 | |
1,225 |
2023년 도르트문트 가구의 49.5%가 1인 가구였다.[134] 2024년 3월 도르트문트의 실업률은 11.7%이며,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135][136] 도르트문트 북부에는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사람들과 실업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 많다.[136] 2018년 말 기준 도르트문트 주민의 평균 연령은 43.3세였다.[137]
5. 기후
도르트문트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온대 해양성 기후(Cfb)에 속한다.[33] 북서 독일 기후 지역에 위치하며, 뮌스터란트 기후 지역과 자우어란트 기후 지역의 경계에서 대륙성 기후로 이행하는 지역적 특성을 보인다.
겨울은 온화하고 여름은 상당히 더운 편으로, 한여름에는 기온이 40℃까지 상승하기도 한다.[128] 연평균 기온은 약 9~10℃[33], 또는 11~12℃[128]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800mm[33], 또는 810mm[128]이다. 강수량은 연중 고르게 분포하는 편이나,[33] 겨울에는 지속적인 비(때때로 눈)가, 여름에는 짧지만 강한 비가 내리는 경향이 있다.[33][129] 특히 겨울철인 2월에는 최대 90mm의 강수량을 기록하고, 봄철인 4월에는 40~50mm로 최소 강수량을 보인다.[129]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기온은 2~7℃이며, 가장 더운 달은 8월로 평균 기온은 13~25℃이다.[129] 기온의 연 변동 폭은 20℃ 이하로 비교적 작은 편이다.[129] 풍향은 주로 남서풍이다.[129]
도르트문트는 인구 밀도가 높은 루르 지역에 위치하여 도시 열섬 현상이 나타나는 등 도시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33][129]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평균 최고 기온 (°C) | 4 | 5 | 9 | 13 | 18 | 21 | 22 | 22 | 19 | 15 | 9 | 5 | 13.5 |
평균 최저 기온 (°C) | -1 | -1 | 2 | 4 | 8 | 11 | 13 | 13 | 10 | 7 | 3 | 1 | 6 |
강수량 (mm) | 65 | 56 | 53 | 57 | 68 | 78 | 93 | 93 | 67 | 60 | 71 | 77 | 838 |
비 오는 날 | 19 | 17 | 14 | 16 | 14 | 14 | 17 | 16 | 15 | 17 | 19 | 19 | 196 |
6. 문화
이 도시는 오랜 음악과 연극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오케스트라는 1887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도르트문트 필하모닉이라고 불린다. 최초의 오페라 하우스는 1904년에 건설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파괴된 후 1966년에 도르트문트 오페라하우스로 다시 문을 열었다.[94] 도르트문트 극장이 (2002년부터) 도르트문트 콘체르트하우스를 포함한 다른 장소들과 함께 운영하고 있다. 도르트문트 콘체르트하우스는 ECHO 목록에 유럽에서 가장 뛰어난 21개의 콘서트홀 중 하나로 등재되어 있다.[94]
도미실 재즈 클럽은 미국 재즈 잡지 ''다운비트''에 따르면 "전 세계 100대 재즈 공연장" 중 하나이다.[95]
한때 양조장이었던 도르트문트 U-타워는 현재 창의적인 경제를 위한 유럽 센터이자 오스트발 박물관이다. U-타워 주변 지역인 "유니온 피어텔"은 크리에이티브.쿼터스 루르의 일부이며 유럽 문화 수도 루르.2010에 뿌리를 두고 있다.
도르트문트를 대표하는 카바레 무대는 푀닉스 호수 옆에 위치한 큐 카바레이다. 다른 유명한 카바레 무대에는 플레치 비젤과 올프크테탈 극장이 있다. 가장 중요한 카바레 행사는 독일에서 가장 성공적인 카바레 축제 중 하나인 루르호흐도이치이다. 전 세계의 예술가들이 이 축제에 참여한다.
도르트문트는 또한 크리스마스 마켓으로 유명한데, 45미터 높이의 거대한 크리스마스 트리 주변에 300개 이상의 노점이 설치되어 350만 명이 넘는 방문객을 유치한다. 이 마켓은 수제 장식품과 별미로 유명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총 105회의 공습과 22,242톤의 폭탄으로 인해 구시가지의 95% 가까이가 파괴되었다. 이로 인해 중세 시대의 시 교회, 구 시청사, 그리고 주로 1890년에서 1930년 사이에 건설된 여러 세속 건물을 포함한 도르트문트 중심부의 도시 경관은 폭격으로 완전히 파괴되었다. 영국 군정과 도르트문트 건설 감독관 빌헬름 델프스는 잔해를 전쟁에 대한 회한의 기념물로 남겨두고 다른 곳에 도르트문트를 건설하는 것을 고려했을 정도였다.[199]
하지만 재건은 지하의 기존 인프라 라인과 그 위에 있는 도로망에 의해 거의 결정되었다. 예외는 내시가지의 클레핑거슈트라세를 따라 남북으로 이어지는 축과 캄프슈트라세를 따라 동서로 이어지는 축으로, 이들은 자동차 중심의 도시 개발 계획이라는 시대적 정신에 따라 구시가지를 개척하여 조성되었다. 그러나 재건 당시 건물들은 1950년대 건축 양식으로 재건되었지만, 도로의 본질적인 배치과 도로명은 유지되었다. 전후의 일반적인 의식과 복구 계획은 산업화의 산물인 도시의 상황을 중세 도시의 기본 계획 위에 재구축하는 것을 피하고 싶다는 욕망을 강하게 보여주었다. 이 때문에 내시가지의 넓은 범위가 전후 건축으로 특징지어지고, 그 사이에 전쟁 이전부터 남아있는 건물들이 산재하게 되었다. 전쟁으로 인한 파괴와 전후 도시 계획으로 인해 일관된 역사적 도시 경관은 남아있지 않고, 도시에는 다양한 시대, 특히 전후 모더니즘 양식의 많은 건물이 있으며, 교외에는 시대의 구역이 펼쳐져 있다.
최근에는 캄프슈트라세의 확장 개조와 쇼핑센터 "티어-가레리"의 건설 등이 도시 경관에 큰 영향을 주었다.[200]
1904년에 설립된 도르트문트 극장(Theater Dortmund)에서는 오페라, 발레, 연극, 그리고 청소년을 위한 연극이 공연된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옛 시나고그(Synagoge) 자리에 오페라하우스, 극장, 스튜디오가 새로 건설되어 전쟁으로 파괴된 도시의 부흥을 상징하는 중요한 건물이 되었다. 1966년에 완공된 오페라하우스 앞 기념비는 1938년에 파괴된 시나고그를 기념하는 것이다. 청소년 극단 "테아터 슈켈슈트라세(Theater Schelestraße)"는 같은 이름의 거리에 있는 베스트팔렌파크(Westfalenpark) 바로 옆에 공연장을 두고 있다. 이 청소년 극단은 가까운 미래에 이 극장을 폐쇄하고 시내 중심부로 이전할 계획이다. 목표는 "융엔 뷔네 베스트팔렌(Jungen Bühne Westfalen)"과 호엔 발(Hohen Wall)의 청소년 극단을 통합하여 대규모 오페라-연극 복합 시설을 조성하고 모든 무대를 중앙 무대로 통합하는 것이다.
앙상블 프레치 비첼(Ensemble Freie Bühne)은 1979년에 설립되었다. 1985년부터 테아터 프레치 비첼(Theater Freie Bühne)은 알퐁스-슈필호프-플라츠(Alfons-Spielhof-Platz)에 독자적인 무대를 가지고 있다. 이 극장에서는 앙상블 자체 공연 외에도 어린이 연극과 인형극 작품도 공연된다. 이 극장에는 갤러리와 문화 작업 공간이 있으며, 연극, 무용, 노래 분야의 교육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이 극장의 잘 알려진 공연으로 매년 초렐른 광산(Zeche Zollern)에서 개최되는 시리즈 공연 "가이어아벤트(Geierabend)"가 있다.
도르트문트 노르트슈타트(Dortmund-Nordstadt)의 임머만슈트라세(Immermannstraße)에 있던 옛 노면전차 차고에 테아터 임 데포(Theater im Depot)의 공연장이 있다. 독립 연극 예술의 중심지인 이 무대에서는 2001년 1월부터 독자적인 작품 공연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자체 공연장이 없는 독립 연극 단체들도 여기서 공연을 하고 있다. 아마추어 배우와 아마추어 극단을 위한 강좌와 워크숍을 갖춘 연극 양성소 프로그램도 있다.
민영 극장 테아터 올프케탈(Theater Olpketal)은 도르트문트 출신 배우 브루노 크누스트(Bruno Knust)의 홈 스테이지이며, 그는 "규나(Güna)"라는 예명으로 활동한다. 라디오와 TV에서 유명한 규나는 뤼르 지역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 그리고 축구를 반복적으로 다루며 지역색이 짙은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그는 뤼르 나흐리히텐(Ruhr Nachrichten) 신문의 칼럼니스트이기도 하다.
호엔지블룩(Hohensieburg) 기슭, 지블룩거 발트(Siebiger Wald) 안에 있는 호엔지블룩 자연극장(Naturtheater Hohensieburg)은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극장이다. 1952년부터 여름이면 크고 작은 다양한 아마추어 연극 단체들이 공연을 하고 있다. 2003년부터는 겨울에도 자연극장 스튜디오에서 연극 시즌이 이어지고 있다.
"슐레 퓌어 탄츠쿤스트(Schule für Tanzkunst)"(직역: 무용 예술학교)는 무용단 코르둘라 노르테(Cordula Norte)를 구성하고 있다. 라이나이셰슈트라세(Rheinische Straße)의 낡은 체육관에서 1998년부터 정기적으로 무용극 공연이 열리고 있다.
도르트문트 노르트슈타트 중심부의 로토-테아터(Lotto-Theater)는 음악과 코미디 공연 외에도 문학 프로그램에도 힘쓰고 있다.
한자-테아터(Hanse-Theater)는 도르트문트의 헬데(Hörde) 시가지에 있는 극장이다. 여기서는 레뷔(Revue), 뮤지컬, 카바레가 공연된다.
겨우 45석의 도르트문트에서 가장 작은 극장이 베스트팔렌파크에 있는 노스탤지어 인형극장이다.
기타 극장으로는 다음이 있다.
- 하렌베르크 시티센터(Hallenberg City-Center)
- 프리츠-헨슬러-하우스(Fritz-Henssler-Haus)
- 멜헨뷔네(Märchenbühne)
- 아울라 암 오스트발(Aula am Ostwall)

2002년에 개장한 신축 도르트문트 콘체르트하우스(Dortmund Konzerthaus)는 도르트문트의 음악 문화의 미래를 보여주는 프로젝트로 여겨진다. 또한 이 시설은 2014년부터 유럽 콘서트홀 조직(ECHO, European Concert Hall Organisation)의 유럽 선진 연합 회원이다. 현대적인 철골 유리 건축 구조로 지어진 콘체르트하우스는 1500석을 갖춘 뛰어난 음향을 자랑하는 콘서트홀이다.
도르트문트 필하모닉(Dortmunder Philharmoniker)은 1887년에 창설되었다. 그들의 연주는 도르트문트 콘체르트하우스와 시립 오페라하우스에서 공연되며, 객원 연주도 하고 있다.[207]
1968년 도르트문트 시에 의해 설립된 프라이차이트젠트룸 베스트(FZW, Freizeit Zentrum West)는 젊은이들을 위한 서브컬처 및 다양한 음악 공연을 연간 250회 이상 개최한다. FZW에서는 지역 유명 아티스트뿐만 아니라, 정기적으로 다양한 음악 분야의 국제적인 아티스트들의 공연도 열린다.[208] 독일 최초의 클럽 중 하나로 FZW는 중장년층의 질 좋은 음악과 댄스에 대한 욕구를 인식하고 Club30을 개설했다. 일렉트로닉 뮤직 페스티벌 "주시 비츠(Juicy Beats)"는 FZW의 클럽 문화를 그 기원으로 하고 있다.
재즈 클럽 "도미실(Domicil)"은 1969년부터 운영되어 왔다. 원래는 어린이집 지하에 있었지만, 2005년부터 한자 거리(Hanstraße)의 베스트팔렌하우스(Westfalenhaus)에 있던 스튜디오 키노로 이전했다. 동호회 형태로 조직된 이 재즈 클럽은 그 역사 속에서 지역 및 국제 아티스트들의 수많은 콘서트를 개최해왔다. 이 클럽의 웹사이트에는 방대한 이벤트 아카이브가 있다. WDR과 도이치란트푼크(Deutschlandfunk)(Deutschlandfunk)는 정기적으로 이 클럽을 콘서트 중계 장소로 이용한다. 뉴욕의 권위 있는 재즈 매거진 "다운 비트(Down Beat)"는 도미실을 세계 재즈 클럽 100선 중 하나로 선정했다.
NRW 유겐트 재즈 오케스트라는 실력 향상을 목표로 1975년 독일 최초의 주니어 재즈 오케스트라로 결성되었다. 유겐트 재즈 오케스트라에서 처음 무대에 선 500명 이상의 단원 중 3분의 1이 프로 뮤지션의 길을 걷게 되었다.
재즈 밴드 "지기 겔하르트 스윙테트(Ziggy Gerhardt Swingtett)"는 5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한다. 1948년에 창설된 핫 클럽 도르트문트(Hot Club Dortmund)에서 지기 겔하르트(Ziggy Gerhardt)와 힐베르트 홈베르크(Hilbert Homberg)가 만나 결성되었다. 이 재즈 밴드는 친근한 스윙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WDR 방송과 독일 재즈 페스티벌에 출연했다.
음악 교육으로는 도르트문트 음악학교(Dortmunder Musikschule)가 있다. 1951년 청소년 음악학교로 설립된 도르트문트 음악학교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슈테판 프로페트(Stefan Prophet) 학장의 지도하에 250명의 음악 강사가 슈타인 거리(Steinstraße)의 본교와 시내 100여 개의 분교에서 아동, 청소년, 성인을 지도하고 있다. 도르트문트 음악학교는 "음악학교 시작", "학교 강의", "악기 및 보컬 레슨", 글렌 부쉬만 재즈 아카데미(Glenn Buschmann Jazz Academy)와 팝 스쿨(Pop School)에 의한 "하우스 오브 팝(House of Pop)", "프로젝트, 콘쿠르, 이벤트"의 5가지 포트폴리오를 내세우고 있다.
피아니스트를 위한 국제 슈베르트 콩쿠르(International Schubert Competition)는 1987년부터 개최되고 있다.[209]

Cochise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정치적인 팝 음악과 포크송으로 유명해진 도르트문트의 밴드로, 특히 새로운 사회 운동 활동 현장에서 인기를 얻었다.
디 콘덕터스(Die Konduktoren)는 1980년대에 인기를 얻은 도르트문트의 록 밴드이다. 그들의 스타일은 록과 뉴 웨이브로 분류된다.
현재, 코스모 클라인(Cosmo Klein), 사샤(Sasha (Sänger)), 투 스트롱(Too Strong), 오렌지 벗 그린(Orange But Green), 악시스 등 다양한 밴드와 뮤지션들의 풍성한 인디 음악 신이 독일 전역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도르트문트에는 많은 합창단이 있으며, 그중 일부는 독일 콘서트 합창 연맹[210] 또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합창 연맹[211]에 가입되어 있다. 도르트문트 오라토리오 합창단은 1899년 "도르트문트 교사 합창 클럽"으로 창단되어 빌헬름 2세(독일 황제)(빌헬름)가 참석한 도르트문트 항구 개항식에서 처음으로 공개 연주를 했다. 1905년부터 도르트문트 필하모니 관현악단과 협연하고 있다. 나치즘 지배 시대(시대)에 많은 합창단원이 유대인 출신이라는 이유로 제명되었고, 전쟁의 혼란은 합창단 해체를 의미했다. 1957년 교사 합창단이 재결성되었지만, 노래를 좋아하는 교사가 부족해 1986년 도르트문트 오라토리오 합창단이 되었다.[212] 이 합창단의 레퍼토리에는 바흐와 비발디의 고전 음악이 포함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폭격으로 잿더미가 된 도르트문트에서 1946년 에밀 라베에 의해 도르트문트 실내 합창단이 결성되었다. 이 합창단은 수많은 해외 공연에서 1954년 "아일랜드 그랑프리" 등 많은 국제적인 상을 수상했다. 도르트문트 실내 합창단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합창 연맹의 마이스터 합창단 칭호를 여러 차례 수상했다.
도르트문트 콘체르트하우스의 합창 아카데미는 이 종류의 것으로는 유럽 최대 규모의 성악학교 중 하나이다. 여기서는 30개 이상의 다른 합창 앙상블에 소속된 약 1300명의 성악가가 수학하고 있다. 도르트문트에는 17개의 어린이 합창단과 8개의 본격적인 합창단이 있다. 이 외에도 에센과 겔젠키르헨에 각각 6개의 어린이 합창단이 있다.

도르트문트에는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합창단이 있다.
- 콜레기움 보칼레 도르트문트
- 지블룩 합창단 (1864년 창단)
- 도르트문트 바흐 합창단 (1892년 창단)
- 도르트문트 남성 합창단 (1904년 창단)
- 도르트문트 음악 협회 필하모니 합창단 (1845년 창단)
- 도르트문트 슈베르트 합창단 (1900년 창단)
- 플로리안 싱어스
- 도르트문트 공과대학 실내 합창단
- 바버샵 합창단 레이디스 퍼스트
- MGV 아인트라흐트 도르트문트 (1846년 창단)
- 도르트문트 경찰 합창단 (1909년 창단)

도르트문트 시의 공공 공간에는 600개가 넘는 다양한 예술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이들은 “지난 150년의 예술(Kunst der letzten 150 Jahre)”이라 할 수 있다. 조각, 조형, 회화, 모자이크, 산업 유산, 분수 등이 있다.[224] 라이온 기념비(Löwendenkmal)와 쉬히터만 기념비(Schüchtermann-Denkmal) 외에도 시내 중심가에서는 1980년대부터 클레핑거 거리(Kleppingstraße)와 캄프 거리(Kampstraße) 개조와 함께 대형 분수, 예술적으로 조형된 U반역, 놀이터, 아미앵 광장(Platz von Amiens)의 “칩(Chip)”을 비롯한 조형 예술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칩”은 특히 젊은이들에게 만남의 장소가 되고 있다.
특히 뛰어난 작품은 요아힘 슈메타우(Joachim Schmettau)가 디자인하고 1989년 화강암과 청동으로 제작된 오이로파 분수(Europabrunnen)이다. 오이로파 분수 주변에서 클레핑거 거리 전체로 이어지는 거리 카페 문화가 확산되었다. 또 하나 주목할 만한 것은 시립 공원 중앙에 있는 가우클러 분수(Gauklerbrunnen)이다. 에버하르트 린케(Eberhard Linke)가 도시 건설 1125주년을 기념하여 디자인한 가우클러 분수는 길이 약 30m, 폭 12m, 높이 4m이다. 물은 수원의 수반에서 계단식 폭포처럼 아래 연못으로 흘러내린다. 여기에는 그 이름의 유래가 된 청동으로 만든 광대 조각상이 있으며, 각각 다른 방식으로 물을 분출하고 있다.
도르트문트 코뿔소(Dortmunder Nashorn) 예술 프로젝트는 발링(옛 성벽 흔적 도로) 안팎으로 확장되어 있다. 날개 달린 코뿔소(''Rhinoceros alatus'')는 도르트문트 콘체르트하우스의 문장 동물/Wappentierde이다. 도시 공간 예술 활동의 일환으로 지역 예술가와 청년 그룹이 공동으로 제작한 수십 점의 다양한 변형 작품이 도시 주요 지점에 설치되었다.[225]
2003년부터 도르트문트에서도 에 의해 나치즘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돌에 새긴 비석(Stolpersteine)”이 설치되고 있다. 2024년 4월 현재 400개의 돌이 많은 시구에 설치되어 있다.[226]
쿤스트하우스 도르트문트(Kunstlerhaus Dortmund, 직역: 도르트문트 예술가의 집)는 1983년부터 예술가들의 자주 운영 조직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현대미술과 체험형 예술의 전시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갤러리는 도르트문트 노르트슈타트에 위치하며, 과거 베스트팔렌 광산협회 사무동이었던 건물에 입주해 있다.
도르트문트 예술협회는 1984년에 설립되었으며, 시민대학에 본부를 두고 있다. 전시 프로그램에는 회화, 드로잉, 조각, 사진, 비디오 아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현대미술 작품이 매년 4~6점 포함되어 있다.
과거 롬베르크가의 브뤼닝하우젠 성의 성문이었던 롬베르크파르크의 문루도 시립 갤러리로 이용되고 있다.

도르트문트 중앙역 북쪽 출구 앞에는 시네스타(Cinestar) 그룹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이 있다. 과거 영화관가였던 브뤼크 거리의 독립 영화관 샤우부르크는 이 거리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영화관이다. 도르트문트 U에도 영화관이 있으며, 정기적으로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상영한다. 노르트슈타트에는 프로그램 영화관인 록시, 카메라, 스위트 식스틴이 있다. 이 외에도 아펠라베크 시가지에 도르트문트 유일의 시외 영화관인 "필름뷔네 투어 포스트쿠체"가 있다.
도르트문트의 연극 및 영화 관계자들은 2013년에 "도그마 20_13"이라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는 과거 "도그마 95"의 더 나아간 발전을 요구하는 것이다.
WAM 미디어 아카데미와 도르트문트 응용과학대학교 디자인학과의 영화·음향학과를 보유한 도르트문트는 영화 관계자 양성 도시이기도 하다. 또한 하드웨어 미디어 아트 협회, 회원 수 60명의 도르트문트 영화 클럽(독일 연방 영화·배우 연합 회원), WDR 도르트문트 지역 스튜디오, NRWision 교육 스튜디오, SAT.1의 NRW 스튜디오도 언급할 가치가 있다.
도르트문트에서는 일련의 영화제가 개최된다. XXS 도르트문트 단편영화제, 도르트문트/쾰른 국제 여성영화제, 또는 2010년부터 개최되고 있는 도르트문트 트레이젠 영화제 등이 있다.
이 도시는 "발코"(1994년-2003년)와 "타토르트"(“범죄 현장”, 2012년-)와 같은 성공적인 TV 시리즈뿐만 아니라, 영화(예: "Fickende Fische", "Was nicht passt, wird passend gemacht")의 촬영지로 여러 번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페니크스 호수(2008년, 2014년, 2013-14년)나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도시에서의 축구 경기 등이 있다.[227]

6. 1. 건축물

도르트문트 시내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알테스 슈타트하우스나 크뤼거 파사주(Krügerpassage)와 같은 역사적인 건물들이 게중크하우스(Gesundheitshaus)와 같은 전후 건축물, 그리고 로마네스크 양식의 라인홀디 교회(Reinoldikirche)와 마리엔 교회와 같은 콘크리트 건물들과 나란히 서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도르트문트 시내의 거의 완전한 파괴(98%)로 다양한 건축 양식의 경관이 형성되었다. 시내 재건은 1950년대 스타일을 따랐지만, 기존의 도로 배치와 명칭은 존중했다. 도르트문트 시내는 여전히 중세 도시의 윤곽을 유지하고 있다. 도로가 과거의 성벽 자리를 따라 이어지며, 중세 소금 무역로의 일부인 베스텐헬베크/오스텐헬베크(Westen-/Ostenhellweg)은 여전히 시내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주요 (보행자) 거리이다.[46]
오늘날 도심은 단순하고 소박한 전후 건물들이 특징이며, 역사적 중요성 때문에 재건된 몇몇 전쟁 전 건물들이 산재해 있다. 예를 들어, 오페라 하우스와 같은 "비더아우바우차이트(Wiederaufbauzeit, 재건 시대)"의 건물들은 오늘날 현대 건축의 고전으로 여겨진다.[46]
크로이츠피어텔(Kreuzviertel)은 20세기 초(1884년~1908년)에 지어진 오래된 건물들이 특징이다. 이 지역 주택의 80% 이상이 1948년 이전에 건설되었으며, 도르트문트 응용과학대학교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건물은 1896년에 지어진 것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 지역은 도시의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적은 건물이 파괴되었다. 오늘날 크로이츠피어텔(Kreuzviertel)은 거의 균일한 역사적 건축 지역을 형성하고 있다. 크로이츠슈트라세(Kreuzstraße)의 크로이츠키르헤(Kreuzkirche)와 독일 최초의 콘크리트 교회인 성 니콜라이 교회(St.-Nicolai)와 같이 100개가 넘는 건물이 역사적 기념물로 보호받고 있다. 현재 크로이츠피어텔은 술집, 레스토랑, 카페, 갤러리, 작은 상점들이 있는 트렌디한 지역이다. 또한, 이웃을 아름답게 하고 활성화하려는 지역 사회의 노력은 싹트는 공동체 의식과 예술적 표현을 강화했다. 웨스트 공원(West park)은 크로이츠피어텔의 녹지이며, 5월부터 10월까지는 학생들의 도시 생활의 중심지이다. 이 지역은 도르트문트에서 부동산 가격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47]

도르트문트의 북쪽 시내 지역인 노르트슈타트는 면적이 14.42km²이며 다양한 문화가 어우러진 곳이다. 루르 지역에서 가장 큰 균질적인 구도심 지역인 노르트슈타트는 도심에서 가까운 곳에 다양한 국적과 생활 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이다. 노르트슈타트는 주로 19세기에 베스트팔렌휘테 제철소, 항구, 철도 화물역을 위해 개발된 산업 도시 지역이다. 모든 주민들은 300헥타르의 밀집 지역(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주거 지역)에 거주한다.[48]
이 지역은 중공업의 쇠퇴로 큰 타격을 입었으며, 저렴하지만 질이 낮은 주택의 가용성으로 인해 이주민과 사회적 취약 계층의 수가 증가하는 지역이 되었다.[49]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레덴바움파크와 호에슈파크라는 두 개의 공원이 있다. 아이들이 여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시설도 많이 있다. 예를 들어, 하노버의 엑스포 2000에서 가져온 높이 35미터의 거대한 티피가 있다. 이 모든 것이 가족들이 정착하도록 유인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저렴한 아파트 가격과 다양한 임대 매물은 그와 반대되는 상황을 보여준다. 이로 인해 도르트문트에서 가장 젊은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이 형성되었으며, 예술 영화관부터 이국적인 상점, 이국적인 레스토랑부터 학생 술집까지 다양한 곳들이 생겨났다.[48]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창단된 보르지그플라츠는 독일에서 가장 잘 알려진 광장 중 하나일 것이다. 별 모양으로 뻗어 나가는 거리, 광장 중앙의 플라타너스 나무, 그리고 광장을 비스듬히 가로지르는 트램 노선은 보르지그플라츠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낸다.[50]

카이저슈트라세 지구는 도르트문트의 옛 성벽 동쪽에 위치하며 베스텐헬베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지역에는 1900년대의 화려한 건물들과 1950년대의 신축 건물들이 보존 가치가 있는 도르트문트 주 광산청, 여러 법원, 영사관, 동쪽 묘지와 나란히 자리 잡고 있다. 이 지역은 지방법원(Amtsgericht), 지방고등법원(Landgericht)(일반 관할 1심 및 2심)과 교도소 직원들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오늘날 역사적인 카이저분넨(Kaiserbrunnen)과 카이저슈트라세(Kaiserstraße) 입구 표지판은 인기 있는 쇼핑가를 둘러보는 여행의 중요한 출발점이다. 벚꽃 거리로도 알려진 몰트케슈트라세(Moltkestreet)는 사진작가들이 벚꽃 사진을 게시하기 시작하면서 유명해졌다. 매년 봄, 보통 4월에 카이저슈트라세 지구의 거리는 분홍빛 꽃으로 가득 차 관광객을 끌어들인다.

도르트문트 구시가지 성벽 서쪽에 위치한 유니온 지구(Unionviertel)는 베스텐헬베크(Westenhellweg)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르트문트 U와 라인슈타트(Rheinische Straße)를 따라 형성된 이 지역은 오랫동안 구조적 변화로 인해 공실과 사회적 왜곡이 심한 곳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재는 대학 근처 저렴한 아파트와 활기찬 외식업 덕분에 젊은 예술가들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학생 수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2010년 개관한 예술 및 창작 센터인 도르트문트 U라는 새로운 랜드마크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하지만 한때는 유니온 게베르베호프(Union Gewerbehof) 활동가들과 다른 소수의 이해관계자들이 변화를 주도했다.[51]

호르데는 도르트문트 시 남쪽에 위치한 자치구이다. 원래 호르데는 1929년까지 독립된 도시였으며, 마르크 백작이 주요 적대 도시인 도르트문트에 대항하여 건설하였다. 1388년에는 "그로센 도르트문더 페데"(도르트문트 대분쟁)가 발생하여 도르트문트 시가 주변 도시들의 연합과 싸웠다. 이 분쟁은 1390년 호르데와 헤르데케, 비텐, 보훔, 카스트로프, 뤼넨, 우나, 슈베르테 동맹군의 패배로 끝났다. 오늘날 호르데는 복원된 옛 건물과 현대 건축물이 조화를 이루는 도르트문트의 일부이다. 호르데 성(호르데 부르크)은 12세기에 지어졌으며, 도시 동쪽, 엠셔 강과 피닉스 호수 근처에 위치해 있다.
피닉스 호수는 유럽에서 가장 큰 도시 재개발 프로젝트 중 하나였다. 티센크루프의 이전 용광로와 제철소 부지에 도르트문트 시 중심부에서 3km 떨어진 새로운 도시 주거 및 휴양 지역이 조성되었다. 피닉스제(See) 지역 개발에는 1억 7천만 유로가 소요되었다.[52] 호수는 동서 방향으로 1.2km, 남북 방향으로 320m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97,125㎡의 수면 면적은 함부르크의 알스터 호보다 크다. 피닉스 호수는 수심이 3~4m이고 용량이 약 60만㎥인 얕은 호수이다. 따라서 호수 남쪽과 북쪽에는 매력적이고 고가의 주거 지역이 조성되었다. 서쪽 호숫가에는 기존 호르데 지역 중심지가 도시 항구와 혼합 기능의 도시 지역으로 확장되었다.
호숫가에 사무소를 두고 있는 기업은 다음과 같다.
- 잘란도
- HSBC 트링카우스
- 독일 핸드볼 협회
- 핸드볼-분데스리가 (HBL)
- Sparkassenakademie Nordrhein-Westfalende, 스파르카세의 교육 기관
- 미르코소닉
호수는 주로 지하수와 신축 건물 부지에서 유입되는 오염되지 않은 빗물로 채워진다.[53]
엠셔 강은 제방으로 둘러싸인 강바닥을 통해 흐르며 호수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다. 자연으로 복원된 엠셔 강과 함께 호수는 33헥타르의 수경관을 형성하며, 연결 지역으로서 엠셔 풍경 공원의 중요한 요소이다. 엠셔 강의 자연 복원은 공공 수자원 관리청인 엠셔게노센샤프트가 관리한다. 재정 규모는 45억 유로이며, 주요 공사는 2020년까지 완료될 예정이다.[54]
- 보델슈빙크 저택(Haus Bodelschwingh, 13세기), 해자(垓字)가 있는 성
- 델비히 저택(Haus Dellwig, 13세기), 17세기에 일부 재건축된 해자(垓字)가 있는 성. 정면과 뾰족한 탑, 그리고 두 채의 반목조 건물은 원래 모습이다.
- 로덴베르크 저택(Haus Rodenberg, 13세기), 해자(垓字)가 있는 성
- 구 시청(Altes Stadthaus)(1899년 프리드리히 쿨리히(Friedrich Kullrich)가 건설)
- 롬베르크 공원 관문(Romberg Park Gatehouse, 17세기), 과거 해자(垓字)가 있는 성의 관문이었던 곳. 현재는 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후젠 성(휘젠 성)(Husen Castle), 시부르크(Syburg) 지역에 있는 옛 성의 탑집
- U 타워(Dortmund U-Tower): 옛 도르트문더 유니온 양조장, 현재 박물관
- 졸른 II/IV 탄광(Zollern II/IV Colliery): 현재는 베스트팔렌 산업 박물관의 일부이며 유럽 산업 유산 순례길(ERIH)의 주요 지점
- 한사 코킹 플랜트(Hansa Coking Plant)

- 플로리안투름 (Florianturm)(텔레비전 타워 플로리안)
- 지그날 이두나 파크(Westfalenstadion):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축구 경기장[56]
- 베스트팔렌할렌(Westfalenhallen)
- 슈타인바헤 추모비(Steinwache memorial)
플로리안투름(Florianturm) 통신 타워 (도르트문트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 높이 266m).
- RWE 타워 (높이 100미터 마천루)
- 웨스트넷츠 도르트문트 고층건물 (높이 100미터 마천루)
- 베스트팔렌타워 (높이 88미터 마천루)
- 하렌베르크 시티 센터 (높이 86미터 마천루)
- 스파르카센 고층건물 (높이 70미터 마천루)
- IWO 고층건물 (높이 70미터 마천루)
- 엘립슨 (높이 66미터 마천루)
- 포크스볼 분트 고층건물 (높이 60미터 마천루)
도르트문트의 오스트발(Ostwall, 직역: 동쪽 성벽)을 따라 중세 도르트문트의 도시 방어 시설 구조와 규모가 현재까지도 확인된다. 오스트발에는 1810년부터 1874년 사이에 조성된 밤나무(クリ) 가로수길이 있는 오래된 중앙 산책로가 남아 있는 유일한 성벽 흔적이 있다. 오스트발을 따라 있는 주요 건물로는 슈히터만 기념비, 오스트발 박물관(Museum Ostwall)(旧オストヴァル博物館), 아들러 탑(アドラー塔), 8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옛 성벽 일부가 있다.
알테스 슈타트하우스(Altes Stadthaus, 구 시청사)는 1899년 시 건설 책임자 프리드리히 쿨리히(Friedrich Kurlrich)의 설계에 따라 신르네상스 양식(ネオルネサンス様式)으로 건설되었다. 정면에는 8개의 한자 도시(ハンザ都市)인 함부르크(ハンブルク), 쾰른(ケルン), 립슈타트(リップシュタット), 뤼베크(リューベック), 뮌스터(ミュンスター), 오스나브뤼크(オスナブリュック), 졸스트(ゾースト)의 문장이 게양되어 있다.

도르트문트 시내의 크뤼거 파사주(クリューガーパサージェ)는 도르트문트 시내에서 가장 오래된 아케이드 거리(アーケード街)이다. 이 거리는 1912년 파울 루터(パウル・ルター)와 후고 슈타인바흐(フーゴ・シュタインバッハ)에 의해 신르네상스 양식(ネオルネサンス様式)으로 건설되었다.
오스텐헬베크(Ostenhellweg)의 페호프-하우스(フェーホフ=ハウス)는 도르트문트 중심부에서 가장 오래된 석조 세속 건축물 중 하나이다. 이 건물은 1607년에 건설되었고 1905년에 화재로 소실되었지만, 기본적으로 역사적 건축물을 복원하는 형태로 재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파괴된 후 1607년 당시 역사적 건축물의 원래 높이로 두 번째 재건이 이루어졌다.

하랄트 다일만(Harald Deilmann)(ハラルト・ダイルマン), 빌 슈바르츠(ヴィル・シュヴァルツ), 피드 슈프레데(フィード・シュプレーデ) 등 저명한 건축가들이 시 중심부에서 활동하며 프리츠-헨슬러-하우스(フリッツ=ヘンスラー=ハウス), 오스트발 박물관(Museum Ostwall), 도르트문트 보건위생국(ドルトムント保健衛生局) 등 뛰어난 건축물을 만들었다. 구 베스트LB 도르트문트(旧ヴェストLBドルトムント)는 팝아트(ポップアート)에 영향을 받은 건축의 전형적인 사례로, 2011년 가장 새로운 건축 문화재로 도르트문트 시 문화재 목록에 등록되어 전문적인 수리가 이루어졌다.

겔버 건축 사무소(ゲルバー建築事務所)의 설계로 건설된 RWE 타워(RWEタワー)는 페트리 교회, 라인홀디 교회(Reinoldikirche) 다음으로 도르트문트 시내에서 세 번째로 높은 건물로 2005년 8월 24일에 완공되었다.
도르트문트 시립·주립 도서관(ドルトムント市立・州立図書館)은 1999년 도르트문트 중앙역 남쪽에 개관했다. 건축가 마리오 보타(マリオ・ボッタ)가 설계한 이 건물은 장미색 사암(砂岩)으로 지어진 사각형의 골조와 정면의 유리 로툰다(ロタンダ)로 구성되어 있다.
브뤼크 거리(ブリュック通り) 지역의 브뤼크 거리와 루트비히 거리(ルートヴィヒ通り) 교차로에 있는 콘체르트하우스 도르트문트(コンツェルトハウス・ドルトムント)는 2002년 9월에 개관했다.

카이저 거리 지역에 있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광산감독청(Landesoberbergamt Dortmund)(원래는 도르트문트 광산감독청)은 1910년에 건설되었다.
우니온 지역 라인셰 거리의 우니온 본사 관리동은 "우니온, 광산 및 철강업 주식회사"의 구 본사이다. 1921년에 건설된 신고전주의 양식의 벽돌 건물이다.
1926년에 건설된 문화재 보호 대상 산업 건물인 ""는 이 도시의 눈에 띄는 상징적인 건물로 인식되고 있다.

구 항만청은 1899년에 도시 건축관 프리드리히 쿨리히의 설계에 따라 네오 르네상스 양식으로 건설되었다.
슐테-비텐 저택은 도르트문트 시내 중심가 근처 돌스트펠트 구역에 1880년에 건설된 영주 저택이다.
도르트문트 남역의 급수탑은 과거 도르트문트 남부 철도 정비 공장의 높이 43m의 오래된 고가 급수조이다. 1923년부터 1927년에 철근 콘크리트 프레임 구조 건물로 독일 연방 철도청에 의해 건설되었다.
카지노 호엔지부르크는 건축가 하랄트 다일만의 설계에 따라 2년의 공사 기간을 거쳐 호엔지부르크에 1985년에 완공되었다.



의 기계동이 한스 P. 켈만(Hans P. Kelman)의 노력으로 1969년 철거 계획을 면하고 독일 최초의 산업유적 보호문화재가 된 것을 시작으로, 도르트문트는 루르 지역에서 산업화의 역사적 유산과 그 사회적 인식을 위한 투쟁에 가장 먼저 나선 도시 중 하나이다.

6. 1. 1. 종교 건축물
기준, 가장 큰 기독교 종파는 프로테스탄트(23.7%)와 가톨릭교회(인구의 22.6%)였다.[43] 도르트문트에는 그리스 정교회, 세르비아 정교회, 마케도니아 정교회가 있다. 성 사도 교회(그리스어: I.N. Αγίων Αποστόλων Ντόρτμουντ – I.N. Agíon Apostólon Dortmund)는 "게스트 워커"(Gastarbeiter) 유입으로 인해 독일에서 처음 설립된 그리스 교회였다. 또한 도르트문트는 84,944명 이상의 신도를 보유한 신사도교회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본거지이기도 하다.유대인 공동체는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항상 베스트팔렌에서 가장 큰 공동체 중 하나였다. 도르트문트에는 베스트팔렌-리페 유대인 공동체 전국 협회가 있다. 시내 중심부, 호르데, 도르스트펠트에 시나고그가 운영되고 있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무슬림 국가 출신 이민자들의 증가로 인해 도르트문트에는 30개 이상의 모스크를 가진 대규모 무슬림 공동체가 있다.
2019년 6월 도르트문트는 제37회 에반겔리셔 키르헨타크 – 독일복음교회총회를 개최했다.[44]

- 라인올디교회 (Reinoldikirche): 1233년에서 1450년 사이에 건축된 프로테스탄트 교회이다. 1661년 지진으로 붕괴되었지만 재건되었다. 현재 높이 104m인 라이놀디 교회의 탑은 종탑을 통해 첫 번째 플랫폼까지 올라갈 수 있다.
- 페트리교회/Petrikirchede: 현재 프로테스탄트 교회인 페트리교회(Petrikirche) (건축 시작 1322년). 1521년에 제작된 거대한 조각 제단("도르트문트의 황금 기적"으로 알려짐)으로 유명하다. 633개의 금박을 입힌 참나무 조각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활절에 관한 30개의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 마리아교회: 원래 1170년에서 1200년 사이에 건축되었으나 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된 현재 프로테스탄트 교회. 제단은 1420년 작이다. 아마도 베스트팔렌에서 가장 오래된 횡단형 천장 건축물인 이 교회는 12세기 후반 후기 로마네스크 양식의 바실리카(Basilika)로 건설되었다.
- 프로프슈타이크리헤: 도심에 위치한 도미니크 수도회 수도원 (1331년~1353년 건축)
- 알플러벡 성 게오르크 교회 (St. Georg, Aplerbeck): 도르트문트 유일의 로마네스크 양식 십자가 바실리카
- 알플러벡 그로세 키르헤 (Große Kirche Aplerbeck): 고딕 부흥 양식 교회
- 지부르크의 성 베드로 교회: 지부르크 교외에 위치한, 도시 경계 내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 건물
- 키르흐허르데 성 파트로클리 교회 (St. Patrokli, Kirchhörde): 1954년에 건축된 교회
- 헬리크로이츠키르헤 (Heilig-Kreuz-Kirche): 1911년 건축이 시작된 프로테스탄트 교회
- 성 마가레타 예배당 (St. Margareta Chapel): 1348년에 건축된 프로테스탄트 예배당
도르트문트 시내에는 다양한 건축 양식 시대의 로마 가톨릭 교회 63개, 복음주의 교회 43개 및 기타 교회 건축물이 63동 존재한다. 도르트문트는 쾰른(Köln), 레겐스부르크(Regensburg) 다음으로 독일에서 로마네스크 양식 교회가 세 번째로 많은 도시이다.
세례자 요한 교회(St. Johanniskirche)는 1330년에 설립된 이전 도미니크회(Dominikanerorden) 성 요한 수도원의 수도원 교회였다.
그 외 시내의 교회는 다음과 같다.
- 성십자가 교회(Heilig-Kreuz-Kirche)
- 성모 교회(Liebfrauenkirche, 현재는 납골당)
- 프란치스코회 교회(Franziskanerkirche, 프란치스코회 수사 요르단 마이(Jordanus de Saxonia)의 유골이 안치되어 있다)
- 니콜라이 교회(St. Nikolaikirche)
- 파울루스 교회(Pauluskirche)
- 삼위일체 교회(Dreifaltigkeitskirche)

시가지에도 많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종교 건축물이 있다. 그중에는 많은 작은 로마네스크 양식 교회와 고딕 양식 교회가 있지만, 현대적인 교회 건축물도 있다.
도르트문트 시내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는 성 페터 투 지부르크 교회(St. Peter zu Syburg)이다. 그 최초의 교회당은 776년 호엔지부르크(Hohen Syburg)에 카를 대제(Karl der Große)에 의해 건설되었고, 779년 레오 3세(Leo III) 교황에 의해 성별되었다.
그 외 교회는 다음과 같다.
- 루터 교회(Lutherkirche)
- 성 보니파티우스 교회(St. Bonifatius)
- 막달라 마리아 교회(St. Magdalena)
- 란스트롭(Lanstrop)의 성 미하엘 교회(St. Michael)
6. 1. 2. 세속 건축물
도르트문트 시내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알테스 슈타트하우스나 크뤼거 파사주(Krügerpassage)와 같은 역사적인 건물들이 게중크하우스(Gesundheitshaus)와 같은 전후 건축물, 그리고 로마네스크 양식의 라인홀디 교회(Reinoldikirche)와 마리엔 교회와 같은 콘크리트 건물들과 나란히 서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도르트문트 시내의 거의 완전한 파괴(98%)로 다양한 건축 양식의 경관이 형성되었다. 시내 재건은 1950년대 스타일을 따랐지만, 기존의 도로 배치와 명칭은 존중했다. 도르트문트 시내는 여전히 중세 도시의 윤곽을 유지하고 있다. 도로가 과거의 성벽 자리를 따라 이어지며, 중세 소금 무역로의 일부인 베스텐헬베크/오스텐헬베크(Westen-/Ostenhellweg)은 여전히 시내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주요 (보행자) 거리이다.[46]
오늘날 도심은 단순하고 소박한 전후 건물들이 특징이며, 역사적 중요성 때문에 재건된 몇몇 전쟁 전 건물들이 산재해 있다. 예를 들어, 오페라 하우스와 같은 "비더아우바우차이트(Wiederaufbauzeit, 재건 시대)"의 건물들은 오늘날 현대 건축의 고전으로 여겨진다.[46]
크로이츠피어텔(Kreuzviertel)은 20세기 초(1884년~1908년)에 지어진 오래된 건물들이 특징이다. 이 지역 주택의 80% 이상이 1948년 이전에 건설되었으며, 도르트문트 응용과학대학교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건물은 1896년에 지어진 것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 지역은 도시의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적은 건물이 파괴되었다. 오늘날 크로이츠피어텔(Kreuzviertel)은 거의 균일한 역사적 건축 지역을 형성하고 있다. 크로이츠슈트라세(Kreuzstraße)의 크로이츠키르헤(Kreuzkirche)와 독일 최초의 콘크리트 교회인 성 니콜라이 교회(St.-Nicolai)와 같이 100개가 넘는 건물이 역사적 기념물로 보호받고 있다. 현재 크로이츠피어텔은 술집, 레스토랑, 카페, 갤러리, 작은 상점들이 있는 트렌디한 지역이다. 또한, 이웃을 아름답게 하고 활성화하려는 지역 사회의 노력은 싹트는 공동체 의식과 예술적 표현을 강화했다. 웨스트 공원(West park)은 크로이츠피어텔의 녹지이며, 5월부터 10월까지는 학생들의 도시 생활의 중심지이다. 이 지역은 도르트문트에서 부동산 가격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47]
도르트문트의 북쪽 시내 지역인 노르트슈타트는 면적이 14.42km²이며 다양한 문화가 어우러진 곳이다. 루르 지역에서 가장 큰 균질적인 구도심 지역인 노르트슈타트는 도심에서 가까운 곳에 다양한 국적과 생활 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이다. 노르트슈타트는 주로 19세기에 베스트팔렌휘테 제철소, 항구, 철도 화물역을 위해 개발된 산업 도시 지역이다. 모든 주민들은 300헥타르의 밀집 지역(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주거 지역)에 거주한다.[48]
이 지역은 중공업의 쇠퇴로 큰 타격을 입었으며, 저렴하지만 질이 낮은 주택의 가용성으로 인해 이주민과 사회적 취약 계층의 수가 증가하는 지역이 되었다.[49]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레덴바움파크와 호에슈파크라는 두 개의 공원이 있다. 아이들이 여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시설도 많이 있다. 예를 들어, 하노버의 엑스포 2000에서 가져온 높이 35미터의 거대한 티피가 있다. 이 모든 것이 가족들이 정착하도록 유인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저렴한 아파트 가격과 다양한 임대 매물은 그와 반대되는 상황을 보여준다. 이로 인해 도르트문트에서 가장 젊은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이 형성되었으며, 예술 영화관부터 이국적인 상점, 이국적인 레스토랑부터 학생 술집까지 다양한 곳들이 생겨났다.[48]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창단된 보르지그플라츠는 독일에서 가장 잘 알려진 광장 중 하나일 것이다. 별 모양으로 뻗어 나가는 거리, 광장 중앙의 플라타너스 나무, 그리고 광장을 비스듬히 가로지르는 트램 노선은 보르지그플라츠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낸다.[50]
카이저슈트라세 지구는 도르트문트의 옛 성벽 동쪽에 위치하며 베스텐헬베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지역에는 1900년대의 화려한 건물들과 1950년대의 신축 건물들이 보존 가치가 있는 도르트문트 주 광산청, 여러 법원, 영사관, 동쪽 묘지와 나란히 자리 잡고 있다. 이 지역은 지방법원(Amtsgericht), 지방고등법원(Landgericht)(일반 관할 1심 및 2심)과 교도소 직원들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오늘날 역사적인 카이저분넨(Kaiserbrunnen)과 카이저슈트라세(Kaiserstraße) 입구 표지판은 인기 있는 쇼핑가를 둘러보는 여행의 중요한 출발점이다. 벚꽃 거리로도 알려진 몰트케슈트라세(Moltkestreet)는 사진작가들이 벚꽃 사진을 게시하기 시작하면서 유명해졌다. 매년 봄, 보통 4월에 카이저슈트라세 지구의 거리는 분홍빛 꽃으로 가득 차 관광객을 끌어들인다.
도르트문트 구시가지 성벽 서쪽에 위치한 유니온 지구(Unionviertel)는 베스텐헬베크(Westenhellweg)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르트문트 U와 라인슈타트(Rheinische Straße)를 따라 형성된 이 지역은 오랫동안 구조적 변화로 인해 공실과 사회적 왜곡이 심한 곳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재는 대학 근처 저렴한 아파트와 활기찬 외식업 덕분에 젊은 예술가들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학생 수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2010년 개관한 예술 및 창작 센터인 도르트문트 U라는 새로운 랜드마크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하지만 한때는 유니온 게베르베호프(Union Gewerbehof) 활동가들과 다른 소수의 이해관계자들이 변화를 주도했다.[51]
호르데는 도르트문트 시 남쪽에 위치한 자치구이다. 원래 호르데는 1929년까지 독립된 도시였으며, 마르크 백작이 주요 적대 도시인 도르트문트에 대항하여 건설하였다. 1388년에는 "그로센 도르트문더 페데"(도르트문트 대분쟁)가 발생하여 도르트문트 시가 주변 도시들의 연합과 싸웠다. 이 분쟁은 1390년 호르데와 헤르데케, 비텐, 보훔, 카스트로프, 뤼넨, 우나, 슈베르테 동맹군의 패배로 끝났다. 오늘날 호르데는 복원된 옛 건물과 현대 건축물이 조화를 이루는 도르트문트의 일부이다. 호르데 성(호르데 부르크)은 12세기에 지어졌으며, 도시 동쪽, 엠셔 강과 피닉스 호수 근처에 위치해 있다.
피닉스 호수는 유럽에서 가장 큰 도시 재개발 프로젝트 중 하나였다. 티센크루프의 이전 용광로와 제철소 부지에 도르트문트 시 중심부에서 3km 떨어진 새로운 도시 주거 및 휴양 지역이 조성되었다. 피닉스제(See) 지역 개발에는 1억 7천만 유로가 소요되었다.[52] 호수는 동서 방향으로 1.2km, 남북 방향으로 320m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97,125㎡의 수면 면적은 함부르크의 알스터 호보다 크다. 피닉스 호수는 수심이 3~4m이고 용량이 약 60만㎥인 얕은 호수이다. 따라서 호수 남쪽과 북쪽에는 매력적이고 고가의 주거 지역이 조성되었다. 서쪽 호숫가에는 기존 호르데 지역 중심지가 도시 항구와 혼합 기능의 도시 지역으로 확장되었다.
호숫가에 사무소를 두고 있는 기업은 다음과 같다.
- 잘란도
- HSBC 트링카우스
- 독일 핸드볼 협회
- 핸드볼-분데스리가 (HBL)
- Sparkassenakademie Nordrhein-Westfalende, 스파르카세의 교육 기관
- 미르코소닉
호수는 주로 지하수와 신축 건물 부지에서 유입되는 오염되지 않은 빗물로 채워진다.[53]
엠셔 강은 제방으로 둘러싸인 강바닥을 통해 흐르며 호수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다. 자연으로 복원된 엠셔 강과 함께 호수는 33헥타르의 수경관을 형성하며, 연결 지역으로서 엠셔 풍경 공원의 중요한 요소이다. 엠셔 강의 자연 복원은 공공 수자원 관리청인 엠셔게노센샤프트가 관리한다. 재정 규모는 45억 유로이며, 주요 공사는 2020년까지 완료될 예정이다.[54]
- 보델슈빙크 저택(Haus Bodelschwingh, 13세기), 해자(垓字)가 있는 성
- 델비히 저택(Haus Dellwig, 13세기), 17세기에 일부 재건축된 해자(垓字)가 있는 성. 정면과 뾰족한 탑, 그리고 두 채의 반목조 건물은 원래 모습이다.
- 로덴베르크 저택(Haus Rodenberg, 13세기), 해자(垓字)가 있는 성
- 구 시청(Altes Stadthaus)(1899년 프리드리히 쿨리히(Friedrich Kullrich)가 건설)
- 롬베르크 공원 관문(Romberg Park Gatehouse, 17세기), 과거 해자(垓字)가 있는 성의 관문이었던 곳. 현재는 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후젠 성(휘젠 성)(Husen Castle), 시부르크(Syburg) 지역에 있는 옛 성의 탑집
- U 타워(Dortmund U-Tower): 옛 도르트문더 유니온 양조장, 현재 박물관
- 졸른 II/IV 탄광(Zollern II/IV Colliery): 현재는 베스트팔렌 산업 박물관의 일부이며 유럽 산업 유산 순례길(ERIH)의 주요 지점
- 한사 코킹 플랜트(Hansa Coking Plant)
- 플로리안투름 (Florianturm)(텔레비전 타워 플로리안)
- 지그날 이두나 파크(Westfalenstadion):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축구 경기장[56]
- 베스트팔렌할렌(Westfalenhallen)
- 슈타인바헤 추모비(Steinwache memorial)
플로리안투름(Florianturm) 통신 타워 (도르트문트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 높이 266m).
- RWE 타워 (높이 100미터 마천루)
- 웨스트넷츠 도르트문트 고층건물 (높이 100미터 마천루)
- 베스트팔렌타워 (높이 88미터 마천루)
- 하렌베르크 시티 센터 (높이 86미터 마천루)
- 스파르카센 고층건물 (높이 70미터 마천루)
- IWO 고층건물 (높이 70미터 마천루)
- 엘립슨 (높이 66미터 마천루)
- 포크스볼 분트 고층건물 (높이 60미터 마천루)
도르트문트의 오스트발(Ostwall, 직역: 동쪽 성벽)을 따라 중세 도르트문트의 도시 방어 시설 구조와 규모가 현재까지도 확인된다. 오스트발에는 1810년부터 1874년 사이에 조성된 밤나무(クリ) 가로수길이 있는 오래된 중앙 산책로가 남아 있는 유일한 성벽 흔적이 있다. 오스트발을 따라 있는 주요 건물로는 슈히터만 기념비, 오스트발 박물관(Museum Ostwall)(旧オストヴァル博物館), 아들러 탑(アドラー塔), 8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옛 성벽 일부가 있다.
알테스 슈타트하우스(Altes Stadthaus, 구 시청사)는 1899년 시 건설 책임자 프리드리히 쿨리히(Friedrich Kurlrich)의 설계에 따라 신르네상스 양식(ネオルネサンス様式)으로 건설되었다. 정면에는 8개의 한자 도시(ハンザ都市)인 함부르크(ハンブルク), 쾰른(ケルン), 립슈타트(リップシュタット), 뤼베크(リューベック), 뮌스터(ミュンスター), 오스나브뤼크(オスナブリュック), 졸스트(ゾースト)의 문장이 게양되어 있다.
도르트문트 시내의 크뤼거 파사주(クリューガーパサージェ)는 도르트문트 시내에서 가장 오래된 아케이드 거리(アーケード街)이다. 이 거리는 1912년 파울 루터(パウル・ルター)와 후고 슈타인바흐(フーゴ・シュタインバッハ)에 의해 신르네상스 양식(ネオルネサンス様式)으로 건설되었다.
오스텐헬베크(Ostenhellweg)의 페호프-하우스(フェーホフ=ハウス)는 도르트문트 중심부에서 가장 오래된 석조 세속 건축물 중 하나이다. 이 건물은 1607년에 건설되었고 1905년에 화재로 소실되었지만, 기본적으로 역사적 건축물을 복원하는 형태로 재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파괴된 후 1607년 당시 역사적 건축물의 원래 높이로 두 번째 재건이 이루어졌다.
하랄트 다일만(Harald Deilmann)(ハラルト・ダイルマン), 빌 슈바르츠(ヴィル・シュヴァルツ), 피드 슈프레데(フィード・シュプレーデ) 등 저명한 건축가들이 시 중심부에서 활동하며 프리츠-헨슬러-하우스(フリッツ=ヘンスラー=ハウス), 오스트발 박물관(Museum Ostwall), 도르트문트 보건위생국(ドルトムント保健衛生局) 등 뛰어난 건축물을 만들었다. 구 베스트LB 도르트문트(旧ヴェストLBドルトムント)는 팝아트(ポップアート)에 영향을 받은 건축의 전형적인 사례로, 2011년 가장 새로운 건축 문화재로 도르트문트 시 문화재 목록에 등록되어 전문적인 수리가 이루어졌다.
겔버 건축 사무소(ゲルバー建築事務所)의 설계로 건설된 RWE 타워(RWEタワー)는 페트리 교회, 라인홀디 교회(Reinoldikirche) 다음으로 도르트문트 시내에서 세 번째로 높은 건물로 2005년 8월 24일에 완공되었다.
도르트문트 시립·주립 도서관(ドルトムント市立・州立図書館)은 1999년 도르트문트 중앙역 남쪽에 개관했다. 건축가 마리오 보타(マリオ・ボッタ)가 설계한 이 건물은 장미색 사암(砂岩)으로 지어진 사각형의 골조와 정면의 유리 로툰다(ロタンダ)로 구성되어 있다.
브뤼크 거리(ブリュック通り) 지역의 브뤼크 거리와 루트비히 거리(ルートヴィヒ通り) 교차로에 있는 콘체르트하우스 도르트문트(コンツェルトハウス・ドルトムント)는 2002년 9월에 개관했다.
카이저 거리 지역에 있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광산감독청(Landesoberbergamt Dortmund)(원래는 도르트문트 광산감독청)은 1910년에 건설되었다.
우니온 지역 라인셰 거리의 우니온 본사 관리동은 "우니온, 광산 및 철강업 주식회사"의 구 본사이다. 1921년에 건설된 신고전주의 양식의 벽돌 건물이다.
1926년에 건설된 문화재 보호 대상 산업 건물인 ""는 이 도시의 눈에 띄는 상징적인 건물로 인식되고 있다.
구 항만청은 1899년에 도시 건축관 프리드리히 쿨리히의 설계에 따라 네오 르네상스 양식으로 건설되었다.
슐테-비텐 저택은 도르트문트 시내 중심가 근처 돌스트펠트 구역에 1880년에 건설된 영주 저택이다.
도르트문트 남역의 급수탑은 과거 도르트문트 남부 철도 정비 공장의 높이 43m의 오래된 고가 급수조이다. 1923년부터 1927년에 철근 콘크리트 프레임 구조 건물로 독일 연방 철도청에 의해 건설되었다.
카지노 호엔지부르크는 건축가 하랄트 다일만의 설계에 따라 2년의 공사 기간을 거쳐 호엔지부르크에 1985년에 완공되었다.
의 기계동이 한스 P. 켈만(Hans P. Kelman)의 노력으로 1969년 철거 계획을 면하고 독일 최초의 산업유적 보호문화재가 된 것을 시작으로, 도르트문트는 루르 지역에서 산업화의 역사적 유산과 그 사회적 인식을 위한 투쟁에 가장 먼저 나선 도시 중 하나이다.
6. 2. 박물관 및 미술관
도르트문트는 20개가 넘는 박물관을 보유하여 루르 지역에서 가장 다양한 박물관을 갖춘 도시 중 하나이다.[98] 유럽 산업 유산길(European Route of Industrial Heritage)의 주요 지점인 LWL 졸른 II/IV 탄광 산업 박물관이 이곳에 있다.[98]
오스트발 박물관(Museum am Ostwall)은 현대 미술 박물관으로, 1940년대 후반에 설립되었으며 2010년부터 도르트문트 U 타워(Dortmund U-Tower)에 위치해 있다. 표현주의부터 고전 현대 미술, 그리고 현재까지의 작품들을 아우르는 20세기 회화, 조각, 공예품, 사진과 2,500점이 넘는 그래픽 아트를 소장하고 있다. 에른스트 루트비히 키르히너(Ernst Ludwig Kirchner), 오토 뮬러(Otto Mueller), 에밀 놀데(Emil Nolde)의 작품과 1940년대와 50년대의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의 판화, 후안 미로(Joan Miró), 마르크 샤갈(Marc Chagall),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í)의 작품들이 소장품의 중심이다. 1947년에 설립되어 도르트문트 U에 위치한 오스트발 미술관(Ostwall Museum)은 알렉세이 폰 야우렌스키(Alexej von Jawlensky) 작품의 대규모 컬렉션과 청기사(Der Blaue Reiter) 주변의 브뤼케(Brücke)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초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부터 요제프 보이스(Joseph Beuys)까지, 귄터 우커(Günther Uecker)부터 장 팅겔리(Jean Tinguely)에 이르는 1000여 점 이상의 작품을 지크프리트 크레이머(Siegfried Krammer) 컬렉션으로부터 확보하여, 이 미술관의 또 다른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다(앙포르멜(Informel), 제로(ZERO), 플럭서스(Fluxus))[213].
독일 축구 박물관(German Football Museum)()은 독일 축구의 국립 박물관으로, 도르트문트 중앙역(Dortmund Hauptbahnhof) 근처에 위치해 있다. 도르트문트 U 타워(Dortmund U-Tower)와 도르트문트 극장(Theater Dortmund) 사이의 예술 및 문화 거리의 일부로, 중요한 축구 기념품 컬렉션을 보존하고 있다. 상설 전시관에서는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Germany national football team)과 분데스리가(Bundesliga)의 역사를 소개한다. 독일 축구 박물관(Deutsches Fußballmuseum)은 독일축구협회(DFB)의 공식적인 국립 박물관이며, 2015년 10월 23일에 개관했다. 도르트문트 중앙역 바로 옆에 위치한 이 건물은 뒤셀도르프의 "HPP Hentrich-Petschnigg + Partner"에 의해 설계되었고, 도르트문트 예술·문화 마일(Dortmunder Kunst- und Kulturmeile)에 참여하고 있다. 내용은 독일 축구 역사를 회고하고 경험하는 장소이다. 여기서는 축구 역사의 사건과 스포츠의 모든 측면에서의 발전, 그리고 축구라는 스포츠를 둘러싼 사회적 주제 등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있다[219].

미술 및 문화역사 박물관(Museum für Kunst und Kulturgeschichte) 또는 MKK (''Museum of Art and Cultural History'')는 아르데코 건물에 위치한 시립 박물관이다. 소장품에는 회화, 조각, 가구 및 공예품이 포함되어 있으며, 초기부터 20세기까지 도르트문트의 문화사를 보여준다. 예술과 문화에 대한 정기적인 임시 전시회와 희귀한 측지 기기가 있는 측량 역사에 대한 상설 전시회가 있다.[99] 도르트문트 예술·문화사 박물관(Museum für Kunst und Kulturgeschichte Dortmund)은 1924년 후고 슈타인바흐(Hugo Steinbach)에 의해 시립 저축은행으로 건설된 아르데코 양식의 건물에 위치하고 있다. 이 미술관의 컬렉션은 회화, 조각, 가구, 공예품을 중심으로 이 도시의 문화사를 조망하는 것이다. 전시품은 때로는 선사 시대·고대 유물에서부터 20세기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측정 기술 박물관 지원 서클 e.V.는 측정 기구의 역사를 상설 전시하고, 희귀한 측지학 도구를 소개하고 있다. 이 박물관의 일부는 전국적으로 중요한 예술·문화 전람회에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214].
슈타인바헤(Steinwache)는 도르트문트 1933-1945년 저항과 박해(Widerstand und Verfolgung in Dortmund 1933–1945) 전시회의 기념 박물관으로, 당시 증인들의 보고서를 통해 국립사회주의 하의 박해를 보여준다. 1933년에서 1945년 사이에 66,000명 이상이 슈타인바헤 감옥에 수감되었다. 도르트문트 채석장(Dortmunder Steinbrüche)은 나치 시대의 학살에 대한 회개와 기억의 장소가 되고 있으며, 도르트문트 시립 문헌관의 상설 전시 "도르트문트의 저항과 박해 1333-1945"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르트문트의 다른 주요 박물관은 다음과 같다:
- DASA – Arbeitswelt Ausstellung (독일 직업 보건 및 안전 전시회): 1993년에 설립된 도르트문트 공과대학 근처 도르스트펠트(Dorstfeld) 지역에 있는 기술 박물관이다. 약 13,000 m²의 면적에 근대 및 과거의 기술 세계가 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기술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일하는 인간과의 관계가 강조되고 있다[217].
- 보루세움(Borusseum)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박물관): 보루시아 도르트문트(Borussia Dortmund) 창단 99주년 기념일인 2008년 12월 19일부터 지그날 이두나 파르크(Signal Iduna Park)의 북동쪽 모서리에 이 클럽의 역사를 소개하는 박물관이다[218].
- 도르트문트 자연사 박물관: 1912년에 설립되었다. 이 박물관은 방문객들을 지질학과 지사학, 그리고 토착 동식물계에 가깝게 접근하게 한다. 하이라이트는 수정류를 소장한 광물 캐비닛, 방문객을 위한 전시 광산, 메ー네호(메ー네 저수지, Möhnetalsperre)의 어류 세계를 볼 수 있는 약 9만 리터의 거대한 수족관이다. 이 수족관은 1980년에 만들어진 중남미 담수어를 사육했던 72,000리터의 수족관을 2012년에 대체한 것이다[215][216].
- 양조장 박물관: 2006년 4월에 도르트문트 양조장 박물관(Dortmunder Brauereimuseum)이 재개관했다. 옛 한자 브라우에라이(Hanse-Brauerei)의 역사적인 기계실과 인접한 제조실에는 1960년대부터 이 도시의 맥주 양조 역사를 조망하는 박물관이 자리 잡고 있다.
- HOESCH 박물관: 2005년에 재개관한 호이슈 박물관은 옛 베스트팔렌 휘테(Westfälische Hütte)의 제1 문지기 건물에 위치하고 있다. 옛 "헤시아나"(호이슈 직원), 예술·문화사 박물관, 베스트팔렌 경제 아카이브의 공동 작업으로 설립된 이 박물관은 기업 호이슈 AG(Hoesch AG)의 도시에 대한 의미를 소개하고, 1871년부터 20세기 말 쇠퇴까지의 철강 산업의 역사를 전시하고 있다.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건축 아카이브
- LWL 졸른 II/IV 탄광 산업 박물관 (국제적으로 중요한 독일 최초의 기술 건축 기념물): LWL 산업 박물관(LWL-Industriemuseum)은 초를른 광산 II/IV 갱(Zeche Zollern II/IV)에 본부를 두고 있다. 이곳은 "유럽 산업 유산의 길"(ERIH)의 앵커 포인트 중 하나이다. 1903년에 완공된 겔젠키르히네르 광업 AG(Gelsenkirchener Bergwerks-AG)의 무스터 갱(Schacht III)은 유겐트슈틸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북독일 벽돌 고딕 건축의 영향을 받았다. 유겐트슈틸 양식의 현관 덕분에 이 건물은 1959년 철거 위기에서 구출되었고, 독일의 산업 문화재 보호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 현재 초를른 광산에는 루르 지역 광업의 사회사·문화사 박물관이 있다.
기타 박물관:
- 독일 요리책 박물관(Deutsches Kochbuchmuseum)
- 베스트팔렌 학교 박물관(Westfalen Schulmuseum)
- 아들러 탑(Adlerturm) 박물관
- 한자 코크스 공장(Hanse-Kokerei): 1992년에 폐쇄된 한자 코크스 공장(Hanse-Kokerei)은 출입 가능한 거대한 기념물로서, 지난 세기의 중공업 역사에 대한 흥미로운 소개를 하고 있다. "자연과 기술의 학습로"를 통해, 보호 문화재로 지정된 코크스 공장의 생산 구역을 견학할 수 있다. 특징적인 것은 데마크(Demag)사의 가스 압축기 5기를 갖춘 보존된 기계실이다.
- 옛 항만 사무소
- 비스 거리(Wißstraße) 11번지에 300 m² 규모의 민영 약국 박물관
- 마그넷 박물관(Magnetmuseum)
- 근교 교통 박물관(Nahverkehrsmuseum)
- 독일 산업용 페인트 박물관(Deutsches Industriefarbenmuseum)
- 비나리움(BINARIUM). 독일 디지털 문화 박물관[223]
- 도르트문트 자동차 박물관(Dortmunder Automobilmuseum)
- 하르트바레(Hartware). 도르트문트 U에 있는 미디어 예술 협회
- 아돌프 폰 한제만 광산(Adolf von Hansemann Schacht)의 소규모 광산 박물관
- 롬베르크 갱(Schacht Romberg)의 소규모 광산 박물관
- 델비히 관(Delwighaus)의 뤼트겐도르트문트 고향 박물관(Lüttingendorf Heimatmuseum)
- 헬더 성(Schloss Syburg)의 헬데 고향 박물관(Helde Heimatmuseum)
2019년 1월 1일부터 시립 박물관의 입장료가 무료가 되었다[222].

6. 3. 스포츠
도르트문트는 분데스리가 소속 축구 클럽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연고지이며, 홈구장인 지그날 이두나 파크가 도르트문트에 있다.[104]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독일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로, UEFA 챔피언스리그와 인터컨티넨탈컵 우승 경력이 있다.[104] 베스트팔렌슈타디온(Westfalenstadion)은 1974년 FIFA 월드컵과 2006년 FIFA 월드컵 경기를 개최했으며, 최대 81,359명을 수용할 수 있는 독일 최대 규모의 축구 경기장이다.[105]



도르트문트는 스스로를 "스포츠 도시(Sportstadt)"라고 부르며, 독일핸드볼연맹(Deutscher Handballbund, DHB)과 핸드볼-분데스리가(Handball-Bundesliga, HBL)의 본거지이다.[232] 또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올림픽 센터de의 지정 거주지이며, 루르마라톤(Ruhrmarathon)과 스파르카센 체스 미팅(Dortmund Sparkassen Chess Meeting|Sparkassen Chess-Meeting)과 같은 국제적인 스포츠 행사를 개최한다.[232]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분데스리가에서 활동하는 여자 핸드볼 팀과 2부 분데스리가에서 활동하는 탁구 팀을 보유하고 있다. 1980년 창단된 도르트문트 자이언츠(Dortmund Giants)는 도르트문트를 연고로 하는 미식축구팀으로, 현재 오버리가에서 활동하고 있다.[106][107][108] 아이스아들러 도르트문트(EHC Dortmund)는 베스트팔렌홀렌 아이스 스포츠 센터(Eissportzentrum Westfalenhallen)에서 경기를 치르는 아이스하키 클럽으로, 독일 아이스하키 3부 리그인 오버리가에서 활동했다. 도르트문트의 농구팀 SVD 49 도르트문트는 2부 리그에서, 야구 클럽 도르트문트 원더러스는 1부 분데스리가에서 활동한다.
1982년부터 스파르카센 체스 미팅이 개최되고 있으며, 갈로프렌반 도르트문트(Galopprennbahn Dortmund)라는 경마장이 있다.
1887년 프레덴바움의 호벨츠부르크에서 최초의 경마가 개최된 후, 1913년 밤베르크에 도르트문트 경마장(Dortmunder Galopprennbahn)이 개장했다.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최초 경기장은 바이세 비제(Weiße Wiese)였으며, 1924년 슈포르트파르크 보루시아 플라츠(Sportpark Borussia-Platz)로 개장했다. 1937년 나치에 의해 징발되었고 현재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1926년 건설된 슈타디온 로테 에르데(Stadion Rote Erde)는 BVB의 새로운 경기장이 되었으며 현재는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II의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베스트팔렌슈타디온은 1974년 FIFA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2006년 FIFA 월드컵에서도 경기가 열렸다.
베스트팔렌할렌(Westfalenhallen)은 1920년대에 건설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전쟁 포로 수용소로 사용되었다. 1952년 새로운 건물이 개관했으며 현재는 베스트팔렌 메세센터(Westfalenhallen Messe und Congresszentrum)의 일부이다.
도르트문트엠스 운하(Dortmund-Ems-Kanal) 변의 분데스슈튀첸푼크트 도르트문트(Bundesstützpunkt Dortmund)는 조정 국가대표 훈련 센터이다.
도르트문트는 564개의 스포츠 클럽에 14만 명 이상이 등록되어 있으며, 독일핸드볼연맹(Deutscher Handballbund)의 소재지이다.[232]

도르트문트에는 베스트팔렌 올림픽 강화 시설,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스페셜 올림픽 협회 본부, 독일 조정(에이트(Achter (Rudern), Eight (rowing))) 훈련 시설, 독일 레슬링 연맹 본부 사무실, 사격, 피겨스케이팅, 아이스댄스 훈련 센터가 있다.
보루시아 도르트문트(BVB)는 1956년부터 2012년까지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1965년부터 2021년에는 DFB 포칼 우승, 1966년 UEFA 컵 위너스컵 우승, 1997년 UEFA 챔피언스리그와 인터컨티넨탈컵 우승을 차지했다. 2023/24 시즌 현재 클럽 회원 수는 약 20만 명이며, 평균 81,305명의 관중을 동원한다.[233]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II는 2023/24 시즌 현재 3. 리가에서 활동하고 있다. BVB 여자 핸드볼 팀은 2008/09 시즌 분데스리가로 승격했다. 탁구 부문 1팀은 분데스리가 2부에 참가하고 있다.
지그날 이두나 파르크는 1974년과 2006년 FIFA 월드컵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독일에서 가장 크고 유럽에서 4번째로 큰 축구 전용 경기장이다. 근처에는 와 헬무트-쾨니히-할레가 있다. 은 2007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를 비롯한 여러 스포츠 종목의 유럽 선수권 대회와 세계 선수권 대회 개최지이다. 1925년부터 베스트팔렌할렌에서는 이, 1926년부터 2008년까지 매년 6일간 레이스가 개최되었다.

헬무트-쾨니히-할레와 슈타디온 로테 에르데는 도르트문트 육상 경기 단체의 주요 훈련 기지이다.
농구 클럽 SVD 49 도르트문트는 농구 레기오날리가에 참가하고 있다.

EHC 도르트문트의 아이스하키 팀은 오버리가와 레기오날리가를 오가며 활동했다.
1. 스누커 클럽 도르트문트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1. 스누커 분데스리가에 참가했다.
도르트문트의 샤우슈필하우스에서는 가 개최된다. 체스클럽 한자 도르트문트 e.V.는 2011/12 시즌에 에 참가했지만, 2024년 현재는 2. 체스 분데스리가 서부 지역에 참가하고 있다.
1913년에 지어진 도르트문트 경마장은 2000m의 잔디 코스와 1600m의 전천후 모래 코스를 갖추고 있다.
도르트문트에는 3개의 골프장이 있다.
베스트팔렌파르크 남쪽에는 사이클 선수들의 훈련 코스인 "도르트문더 니레"가 있다.

도르트문트에는 10개 이상의 수영장, 수많은 체육관과 스포츠 시설, 300km의 자전거 도로 네트워크, 마운틴 바이크 지역, 3개의 클라이밍 시설, , 많은 팬 스포츠 시설(스케이트보드, BMX, 비치발리볼) 등이 있다. 도르트문트에는 600개 가까운 스포츠 클럽이 있으며, 약 14만 명이 등록되어 있다. 도르트문트 주트바트(수영장)는 수많은 국내 중요 수영 대회가 개최된 장소이다.
대중 스포츠에서 중요한 것은 TSC 아인트라흐트 도르트문트, 슈타트슈포르트분트, 슈포르트 벨트 도르트문트 GmbH이다.
레슬링은 도르트문트에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2002년부터 매년 도르트문트에서 그레코로만 레슬링 대회가 개최된다.
미식축구, 포커, 야구와 같은 소규모 스포츠도 도르트문트에서 행해지고 있다. 1980년에 도르트문트 자이언츠가 설립되었다. 도르트문트 밴덜러 야구팀은 2008년 독일 최고 수준의 1. 분데스리가로 승격했다. 도르트문트 카지노 호엔지이블룩에서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매년 유러피언 포커 투어가 개최되었다.
2021년에 이 도시는 2023년 베를린(Berlin)에서 개최되는 특수올림픽(Special Olympics) 하계 대회의 국제 대표단을 위한 호스트타운(Host Town)으로 신청했다.[234] 2022년에 특수올림픽 팔레스타인(Palestine) 대표단의 호스트타운으로 선정되었다.[235]
6. 4. 행사
도르트문트는 독일에서 12번째로 큰 전시장인 베스트팔렌 홀이 위치해 있으며, 매년 약 7만 7천 명의 방문객이 찾는 야드 운트 훈트(Jagd & Hund)가 열리는 곳이다. 그 외에도 "인터모델바우(Intermodelbau)", "유(YOU)", "D.I.M"(독일 부동산 박람회, Deutsche Immobilienmesse), 크레아티바(Creativa), 인터타박(InterTabac) 등이 개최된다.[74]
도르트문트는 전자 음악과 테크노 서브컬처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로, 메이데이와 신디케이트 페스티벌을 통해 베스트팔렌할레 아레나는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테크노 거점 중 하나가 되었다. 2008년에는 "사랑의 고속도로"라는 모토 아래 번데스슈트라세 1에서 러브 퍼레이드가 개최되었으며, 160만 명의 방문객이 참석하여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100]
매년 주시 비츠 음악 페스티벌은 베스트팔렌파크에서 열리고, 베스트팔렌할레에서는 메이데이(메이데이)가 개최되어 독일 최대의 실내 레이브 페스티벌로 여겨진다. 신디케이트 페스티벌이나 그라모션과 같은 전자 댄스 음악 페스티벌도 베스트팔렌할레에서 개최된다.
도르트문트 시내의 한자마르크트(Hansemarkt)에서는 매년 독일 전역에서 많은 상인과 배우들이 모이는 중세 시장을 재현하는 행사가 열린다. 도르트문트시는 2년에 한 번씩 넬리 자크스 문학상을 수여한다.[228] 1957년부터 도르트문트시 국제 문화의 날이 개최되고 있으며, 도르트문트/쾰른 국제 여성 영화제는 1987년부터 2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1997년부터는 춤과 연극에 한정된 춤과 연극 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도르트문트 문학제 레자르트(LesArt)는 매년 개최된다. 베스트팔렌파르크에서는 1959년부터 여름에 리히터페스트(Lichterfest)가 열린다.

도르트문트의 크리스마스 마켓은 독일 최대 규모의 크리스마스 마켓 중 하나이며, 세계에서 가장 높은 크리스마스 트리가 설치된다.[229] 매년 11월 말부터 이듬해 1월 초까지는 "빈터로이히텐"(Winterleuchten) 행사가 열린다.
기타 이벤트로는 초렐른 광산(Zeche Zollern)의 가이어아벤트(Gaierabend), 미크로! 페스티벌(Mikro! Festival), 6일간 레이스, 하렌베르크 시티 센터(Hombruch City Center)의 카바레 마티네, XXS 도르트문트 단편 영화제, 페닉스-베스트(Phoenix-West)에서 열리는 "록 인 루이넨"(Rock in Ruinen), 연방 도로 B1호선을 따라 열리는 슈피겔첼트(Spiegelzelt), 연극제 "파보리텐"(Favoriten), UZ-프레세페스트(UZ-Pressefest), 루르 레게(Ruhr Reggae) 서머 도르트문트(Summer Dortmund) 등이 있다.


7. 경제
도르트문트는 1세기 동안 지속된 철강, 석탄, 맥주 산업의 붕괴 이후 적응해 왔다. 이 지역은 첨단 기술, 로봇 공학, 생명 의학 기술, 마이크로 시스템 기술, 공학, 관광, 금융, 교육 및 서비스업으로 전환되었으며, 따라서 독일에서 가장 역동적인 신경제 도시 중 하나이다. 2009년, 도르트문트는 2thinknow가 발표한 "혁신 도시 지수"에서 "노드 도시"로 분류되었다.[10]
수백 개의 중소기업이 여전히 도르트문트와 그 주변에 기반을 두고 있다(종종 "중견기업"이라고 함). 도르트문트는 또한 여러 중소 정보 기술 회사의 본거지이며,[62] 많은 회사가 1980년대에 문을 연 독일 최초의 기술 센터인 "테크놀로기파크 도르트문트"에 있는 지역 대학교 도르트문트 공과대학교(TU Dortmund)와 관련이 있다. 뵈링거 잉겔하임(Boehringer Ingelheim)과 베라이즌 커뮤니케이션즈(Verizon Communications)와 같은 약 280개의 기업과 8,500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한 테크놀로기파크 도르트문트는 유럽에서 가장 성공적인 기술 공원 중 하나이다. 이 도시는 과학 사업화를 위해 연구소, 사립 대학 및 기업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63] 또한 12,000명의 직원을 둔 680개의 IT 및 소프트웨어 기업이 도르트문트에 기반을 두고 있어 독일에서 가장 큰 소프트웨어 지역 중 하나이다. 독일 10대 IT 서비스 제공업체 중 두 곳인 아데소 SE(adesso SE)와 마테르나 그룹(Materna Group)이 도르트문트에 본사를 두고 있다.[64]
도르트문트는 시그널 이두나(Signal Iduna), 콘티넨탈레 크랑켄페어지허룽(Continentale Krankenversicherung), 분데스이닝크랑켄카세 게준트하이트(Bundesinnungskrankenkasse Gesundheit, BIG direkt), 포크스볼 분트(Volkswohl Bund) 등 많은 보험 회사의 본거지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서비스 부문과 첨단 기술 산업이 성장해 왔다. 이러한 부문의 가장 주목할 만한 기업 중 일부는 암프리온(Amprion)과 RWE-웨스트네츠(RWE-Westnetz) (전력), 레누스 로지스틱스(Rhenus Logistics) (물류), 빌로 SE(Wilo SE), KHS GmbH, 엘모스 반도체(Elmos Semiconductor), ABP 인덕션 시스템즈(ABP Induction Systems), 노르트베스트 한델 AG(Nordwest Handel AG) 등으로, 모두 본사를 이곳에 두고 있다. 도르트문트 또는 그 주변에서 운영되는 기업으로는 잘란도(Zalando), 다임러 AG(Daimler AG): 에보버스(EvoBus), 래피드마이너(RapidMiner), 갭(Gap Inc.), 그리고 티센크루프(ThyssenKrupp)가 있다.
도르트문트는 또한 미국과 런던에 사무실을 둔 헤비메탈 레코드 레이블인 센추리 미디어 레코드(Century Media Records)의 본사이기도 하다. 2015년 8월, 센추리 미디어는 1,700만 달러에 소니 뮤직(Sony Music)에 인수되었다.[65]
과거 도르트문트(Dortmund)의 경제 발전에는 격변, 혼란, 내부 구조의 변화가 수반되었다. 수많은 경제적 요인과 비경제적 요인의 상호 작용에 따라 1차 산업(농업과 광업), 2차 산업(공업과 제조업), 3차 산업(서비스업) 등 각 부문의 규모가 변화했다. 이러한 경제 부문 간의 관계는 도르트문트 경제권과 뤼르(Ruhr) 지역 전체의 상황에 따라서도 변화했다. 시 당국, 주 정부, 연방 정부의 경제 촉진 정책과 구조 개혁 정책에 따라 4차 산업(정보 산업)으로의 전환이 진행되었으며,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현재 도르트문트는 상업과 서비스업의 중심지이면서 동시에 에너지(전력, 가스 수송망), 정보기술, 마이크로시스템 기술, 생물의학 분야의 첨단 기술 도시이기도 하다.
2023년 도르트문트 시의 국민총생산(BIP)은 245억 9,500만 유로였다.[239] 이 경제 지표로 독일 도시 중 13위를 차지했다. 1인당 국민총생산은 40,184유로였다.(위의 BIP 값을 같은 해 인구 612,065명[240]으로 나누어 계산) 같은 해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Nordrhein-Westfalen) 주의 평균은 46,194유로, 독일 전체 평균은 48,750유로였다.[241] 2024년 4월 도르트문트의 실업률은 11.7%였고,[242]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평균 실업률은 7.5%였다.[243]
다음 표는 매년 6월 30일 기준 도르트문트(Dortmund)의 실업률을 나타낸 것이다.[259][260]
2000년 | 2005년 | 201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
실업률 (%) | 14.0 | 18.1 | 13.1 | 11.6 | 10.5 | 11.4 |
== 주요 산업 및 기업 ==
도르트문트는 독일에서 가장 중요한 물류 중심지 중 하나로, 900개 이상의 물류 관련 기업과 여러 연구소가 있다. 도르트문트 항구(Dortmund Port)는 유럽 최대의 운하 항구이며, 프라운호퍼 물류 및 물류 연구소(프라운호퍼 학회(Fraunhofer Society))는 도시의 물류 및 디지털화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연방 경제기후행동부(Federal Ministry for Economic Affairs and Climate Action)의 디지털 물류 허브가 도르트문트에 위치하며 함부르크(Hamburg)와 협력한다.
아마존, 이케아(IKEA), 데카트론, Rhenus Logistics), 센커 AG(Schenker AG), TEDi GmbH & Co. KG등의 기업들이 도르트문트에 대규모 물류 허브를 두고 있다.
도르트문트는 과거 중공업(석탄 산업과 제철업) 중심지였으나, 구조 개혁을 통해 상업, 서비스업, 첨단 기술 도시로 변화했다. 2023년 도르트문트 시의 국민총생산(BIP)은 245억 9,500만 유로로 독일 도시 중 13위를 차지했다. 1인당 국민총생산은 40,184유로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평균(46,194유로)과 독일 전체 평균(48,750유로)보다 낮았다. 2024년 4월 도르트문트의 실업률은 11.7%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평균 실업률(7.5%)보다 높았다.
과거 도르트문트의 주요 기업으로는 헤쉬(Hesse), 도르트문더 우니온(Dortmunder Union), 페니크스 AG(Phoenix AG) 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티센크룹 슈타알 AG(ThyssenKrupp Stahl AG) 등에 인수되거나 폐쇄되었다. 옛 산업 지역은 도시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도르트문더 우니온(Dortmunder Union) 부지는 유통업체와 상인들이 입주했으며, 페니크스-오스트(Phoenix-Ost) 제철소 부지는 주거 및 사무 공간으로 재개발되었다. 페니크스-베스트(Phoenix-West) 제철소 부지는 마이크로시스템 공학(MST) 기업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기계·설비 제조업은 여전히 도르트문트의 중요한 산업이며, 티센크룹 우데 GmbH(ThyssenKrupp Uhde GmbH), 티센크룹 누세라(ThyssenKrupp Nucera), KHS GmbH 등이 활동하고 있다. 보험업체와 금융업체, IT 기업과 서비스업체들도 도르트문트에 기반을 두고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도르트문트는 "맥주의 도시"로 알려져 있었으며, 베르크만(Bergmann), 악티엔(DAB)(Actien), 우니온(DUB)(Union) 등 다양한 양조장이 있었다. 현재는 도르트문더 악티엔 브라우어라이(Dortmunder Actien-Brauerei)(DAB)가 대부분의 맥주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으며, 베르크만 브라우어라이(Bergmann Brauerei)는 독자적으로 특별한 맥주를 판매한다.
1968년 도르트문트 공과대학교(Technische Universität Dortmund) 개교는 도르트문트의 구조 개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대학 캠퍼스는 연구 도시의 기반이 되었으며, 인근 테크놀로지 파크에는 225개 기업이 입주하여 8,500명 이상이 일하고 있다. 연방도 B1호선을 따라 있는 슈타트크로네 동쪽 프로젝트는 구조 개혁의 성공적인 사례로 꼽힌다. IT 컨설팅 및 시스템 통합 기업인 아데쏘 SE(Adesso SE)의 본사가 이곳에 있다.
도르트문트 프로젝트를 통해 도시 발전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통, 마이크로시스템 공학(MST), ICT 분야, 헬스케어 산업, 생물의학, 에너지 공학 등이 주요 분야로 선정되었다.
도르트문트는 약 760개의 유통 관련 업체와 학술 기관을 보유한 독일의 주요 유통 도시 중 하나이며, 약 25,000명이 유통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2016년에는 연방 경제에너지부(Bundesministerium für Wirtschaft und Energie) 주도의 디지털 허브 내에서 유통 분야의 디지털 허브로 지정되었다.
소매업 중심지로서의 중요성도 증가하고 있으며, 베스텐헬베크(Westenhellweg)는 독일에서 가장 많은 쇼핑객이 방문하는 쇼핑 거리 중 하나이다. 이케아(IKEA), 아마존, 데카트론(Decathlon) 등 국제적인 대형 체인들이 도르트문트에 유통·배송 센터를 설립하고 있다.
도르트문트에서 가장 큰 고용주 중 하나는 시 당국과 그 산하기관 기업들이다. 도르트문트 시 공기업(DSW21)은 운송, 에너지, 통신, 주택 건설, 도시 개발 등을 담당하며, 도르트문트 에너지·수도 공급 회사 GmbH(DEW21)는 DSW21과 RWE(RWE AG)의 합작회사이다.
도르트문트는 독일 보험업계의 중요한 중심 도시 중 하나이며, 콘티넨탈 질병보험, 지그날-이두나 그룹(Signal Iduna) 등이 본사를 두고 있다. 또한 독일 서부 에너지 경제의 중심지이기도 하며, 베스트네츠 GmbH, 암프리온 GmbH, 티센가스 등의 기업들이 본사를 두고 있다.
도르트문트는 통신업 및 정보산업의 중심지이며, 아데쏘 SE, 마테르나 GmbH, 베라이즌 도이칠란트 GmbH 등이 활동하고 있다.
지역 금융 기관으로는 슈팔카세 도르트문트(도르트문트 저축은행), 폴크스반크 도르트문트-노르트베스트, 도르트문더 폴크스반크 등이 있으며, 2021년 7월에는 독일연방은행(Deutsche Bundesbank)의 최대 규모 지점이 문을 열었다.
WILO, KHS GmbH, ABP 인덕션 시스템즈 등은 도르트문트에 본사를 둔 플랜트 건설 및 기계 제조 기업이다.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Mercedes-Benz Sprinter), 흡입제(Inhalation agent), 용접 장치, 개폐장치 등도 도르트문트에서 생산된다.
도르트문트 지역은 유럽 중앙에 위치한 중요한 유통 도시이며, 레이너스는 도르트문트 공항(Dortmund Airport)에 본사를 두고 있다. 이케아 유통 서비스의 이케아 중앙 창고, 레이너스 등 유명 기업의 배송 센터가 약 50곳 있다.
존스 랭 라살의 통행량 조사에 따르면, 베스텐헬베크는 독일에서 가장 사람이 많은 쇼핑가 중 하나이며, 소매점 임대료도 전국 상위 10위 안에 든다. 2011년에는 새로운 쇼핑센터인 티어-갈레리(THIER-Galerie)가 베스텐헬베크에 문을 열었다.
도르트문트 시내 중심부에는 브뤼크슈트라세(Brückstraße) 지역, 오스텐헬베크(Ostenhellweg), 클레핑슈트라세/로젠(Kleppingstraße/Rosenstraße) 지역, 카이저(Kaiser) 지역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 쇼핑가와 지역이 있다. 도르트문트-베스트(Dortmund-West)의 인두파크(Indupaark)에도 소매점가가 있다.
2014년 구매력 지수는 93으로 비교적 낮았지만, 소매 중심 지수는 124.0으로 독일 평균보다 높다. 이는 주변 지역으로부터의 구매력 유입이 많음을 의미한다.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13년 | |
---|---|---|---|---|
매출액 비율 | 109.0 | 107.8 | 106.6 | 115.7 |
구매력 지수 | 101.3 | 101.8 | 93.0 | |
소매 중심 지수 | 107.6 | 109.6 | 109.1 | 124 |
== 교통 ==
=== 도로 교통 ===
도르트문트는 독일과 유럽의 주요 자동차 고속도로 시스템의 교차점 역할을 한다. 루르슈넬베크는 과거 한자 동맹 무역로를 따라 도시를 루르 지역의 다른 대도시들과 연결한다. 네덜란드-독일 국경을 A67의 연장선으로 건너 라인강을 지나 루르 계곡을 통과하여 보훔으로 이어진다. 크로이츠 도르트문트 베스트에서 B 1 (분데스슈트라세 1)이 되고, 결국 홀츠비케데 근처 A 44와 합류한다. 공식 명칭은 루르슈넬베크(루르 고속도로)이지만, 현지 주민들은 보통 루르슈라이히베크(루르 정체 구간) 또는 "루르 지역에서 가장 긴 주차장"이라고 부른다. 독일 주간지 ''Der Spiegel''에 따르면, 독일에서 가장 혼잡한 고속도로이다.
독일의 더 먼 지역과의 연결은 도르트문트의 북쪽과 동쪽 시 경계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 A1과 A2에 의해 유지되며, 도르트문트 북동쪽의 카메너 크로이츠 교차로에서 만난다.
서쪽의 고속도로 A45와 함께 이들은 도르트문트 순환 고속도로(''Dortmunder Autobahnring'')를 형성한다.
이 도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동차 우선 도시"라는 개념 아래 재정비되었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시 중심부 남쪽을 관통하는 연방도 B1호선과 구 시가지 성벽(슈타트발)을 따라 조성된 4~6차선의 시내 순환 도로이다. 이 순환 도로 내에서는 자동차 통행이 매우 제한된 구역에서만 허용된다.
도르트문트는 루르 지역 및 베스트팔렌 지역의 가장 중요한 교통 요충지 중 하나이다. 도르트문트 아우토반 링에는 아우토반 A1호선(브레멘 - 쾰른) , A2호선(오버하우젠 - 베를린), A45호선(도르트문트 - 아샤펜부르크)의 일부가 포함된다. 여기에 더하여 A40호선(도르트문트 - 펜로), A42호선(도르트문트 - 캄프-린트포르트/Kamp-Lintfortde), A44호선(아헨 - 도르트문트 및 도르트문트 - 카셀)과 4개의 연방도(B1호선, B54호선, B235호선, B236호선)를 통해 독일 광역 도로망에 연결되어 있다. 도르트문트 시내 및 그 인근에는 카르멘 교차로, 베스트호펜 교차로, 도르트문트/우나 교차로, 도르트문트 서 교차로, 도르트문트/비텐 교차로, 도르트문트 북서 교차로, 카스트로프-라욱셀 동 교차로와 같이 독일의 중요한 아우토반 교차로가 위치해 있다.
=== 철도 교통 ===
루르 지역의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와 마찬가지로, 도르트문트 시내 교통은 시내 교통을 담당하는 지역 공영 기업이 운영하고, 지역 교통은 도이체반(Deutsche Bahn)의 자회사인 DB 레기오(DB Regio)가, 장거리 여행은 도이체반 자체가 담당한다. 지역 운송업체인 도르트문트 시립사업체(Dortmunder Stadtwerke, DSW21)는 루르 지역의 대중교통 기업 협회인 라인-루르 교통 연합(Verkehrsverbund Rhein-Ruhr, VRR)의 회원이며, 이 협회는 지역 전체에 걸쳐 통일된 요금 체계를 제공한다. VRR 지역 내에서는 모든 회원사의 노선과 DB의 철도 노선(고속 인터시티(InterCity) 및 인터시티익스프레스(Intercity-Express) 네트워크 제외)에서 티켓을 사용할 수 있으며, DSW21, VRR의 다른 회원사, 그리고 DB의 티켓 자판기와 서비스 센터에서 구입할 수 있다.
도르트문트 중앙역(Dortmund Hauptbahnhof)은 독일에서 세 번째로 큰 장거리 교통 환승역이다. 도르트문트에는 도이체반의 인터시티와 ICE 열차가 도르트문트 중앙역에 정차하는 철도 서비스가 있다. ICE와 탈리스(Thalys, TGV 탈리스/TGV Thalys프랑스어) 고속열차는 도르트문트를 암스테르담, 브뤼셀(2시간 30분), 파리(3시간 50분)와 연결한다. 프랑크푸르트암마인, 베를린을 비롯한 라인-루르 지역의 다른 도시들로 가는 ICE 열차가 자주 운행된다.
도르트문트 중앙역은 연간 4100만 명의 승하차객이 있는 독일의 여객 운송에서 가장 중요한 철도 교통 중심지 중 하나이다. 또한 시내에는 23개의 레기오날반 역이 있다. 지역 교통과의 연결이라는 측면에서는 도르트문트-헬데 역, 크룰 역, 멩게데 역이 특히 중요하다. 라인-루르 S반 역은 시내에 25곳이 있다.
이 외에도 중요한 교통 시설로는 시 동쪽, 함으로 향하는 노선(도르트문트-함 선)에 있는 DB 레기오 NRW와 DB 장거리 교통의 도르트문트 차량 기지가 있다. 이곳은 ICE 차량과 장거리 및 근거리 교통 차량의 정비에 사용된다. 근거리 노선의 전철과 디젤 차량, 장거리 노선 차량 외에 ICE-3의 정비도 이루어진다. 또한 DB 장거리 교통의 도르트문트-하펜 차량 기지도 계획 중이다.[236] 철도 화물 운송에 대해서는 도르트문트차량기지와 도르트문더펠트 차량기지가 모두 폐지된 후, 철도와의 환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화물 열차는 도르트문트 화물 우회선을 경유하여 시내를 통과한다.
=== 대중 교통 ===
도르트문트는 광범위한 슈타트반과 버스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슈타트반은 8개 노선(U41~U47 및 U49)을 운영하여 도르트문트와 북쪽의 대규모 교외 지역인 뤼넨을 연결한다. 도시 중심부에서 벗어난 곳에서는 많은 노선이 도로 한가운데의 선로를 따라 운행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경전철이다. 최소 배차 간격은 2.5분이지만, 일반적으로 각 노선은 5~1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일요일에는 15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2008년 4월에는 새로 건설된 동서 방향 지하 경전철 노선이 개통되어 도심의 지하 서비스가 완료되었고, 지상의 마지막 트램이 대체되었다.[57]
수많은 버스 노선이 도르트문트 대중교통 시스템을 완성한다. 주말과 공휴일에는 오전 1시 30분부터 오전 7시 30분까지 야간 버스가 슈타트반 서비스를 대체한다. 야간 버스 서비스의 중앙 환승지는 도심에 있는 라인올디키르헤(Reinoldikirche)이며, 모든 야간 버스 노선이 여기서 시작과 종착한다.
도르트문트 공과대학교의 H-Bahn은 대학교의 두 캠퍼스 간을 오가는 승객 수송을 위해 특별히 건설된 현수식 모노레일이다.[58] 현재 이 캠퍼스들은 연구소와 다른 첨단 기업 및 신생 기업들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거의 동일한 모노레일 시스템이 뒤셀도르프 공항에서 승객을 수송한다.[59]
도르트문트의 근교 교통의 대부분은 라인-루르 교통 연맹(Verkehrsverbund Rhein-Ruhr)에 가맹한 DSW21이 운영하고 있다. DSW21은 라인-루르 교통 연맹에서 "4"의 식별 번호를 부여받았기 때문에 모든 노선 번호에 "4"가 붙는다(시 경계를 넘는 노선 제외). 철도 여객 근교 교통과 관련하여 S반 S1, S2, S4, S5 4개 노선이 있으며, 많은 레기오날 익스프레스(Regionalexpress)와 레기오날반(Regionalbahn) 열차와 연결되어 있다. 도르트문트에는 시내 중심부 지하를 통과하는 8개의 도르트문트 도시철도(Dortmund Stadtbahn) 노선망이 있다. U41, U42, U43, U44, U45, U46, U47, U49 노선이다. 2008년 4월에 시내 중심부 지하의 마지막 터널 공사가 완료되었다. 이 동서 터널 완공 후,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노면전차 403, 404 노선 2개는 노선 변경을 거쳐 U43, U44 노선으로 불리고 있다. 도시철도에 대한 다양한 연장이 검토되고 있지만, 진지하게 추진되는 것은 없다.
시내에는 DSW21의 버스 73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노선망 총 연장은 852.1km이며, 연간 이용객은 1억 3400만 명에 달한다(2018년 1월 현재).
또한, 2개의 대학 캠퍼스와 아이히링호펜 지역 및 테크놀로지 파크를 연결하는 무인 운전 H-Bahn(SIPEM)도 운행하고 있다.
과거에는 우나(Unna)군 교통 회사가 운영하는 붉은색 2층 버스가 도르트문트 중앙역 앞 중앙 버스터미널과 베르크카멘(Bergkamen) 버스 정류장을 오가는 노선을 운행했었다. 현재는 연접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 항공 교통 ===
도르트문트 공항(Dortmund Airport)은 도심에서 동쪽으로 13 km 떨어진, 홀츠비케데(Holzwickede) 시 경계에 위치한 중형이지만 빠르게 성장하는 공항이다.[60] 이 공항은 루르 지역(Ruhrgebiet), 자우어란트(Sauerland), 베스트팔렌(Westphalia) 지역과 네덜란드 일부 지역을 담당하며, 뮌헨, 런던, 비엔나, 포르투갈 그리고 많은 동유럽 도시와 휴양지로 향하는 항공편을 제공한다. 공항에는 도르트문트 중앙역(Dortmund Hauptbahnhof)으로 가는 급행 버스, 근처 기차역인 ''홀츠비케데/도르트문트 공항''으로 가는 셔틀 버스, 도시의 지하철 노선인 ''U47''으로 가는 버스, 그리고 운나(Unna) 도시로 가는 버스가 운행된다.
2019년, 이 공항은 주로 저가항공사와 관광 전세기 편으로 2,719,563명의 승객을 수송했다.[61] 2023년에는 293만 명의 이용객을 기록했다. 이 수치는 이 공항이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 세 번째로 큰 교통 공항이며, 독일 전체에서는 10위임을 나타낸다.[237] 운항편의 대부분을 저가항공사가 차지하고 있다. 또한 정기 관광 노선 이용객, 비즈니스 고객, 일반 고객의 비율도 높다. 공항 부지 내에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경찰 항공대와 DRF 항공 구조대/DRF Luftrettungde 기지도 있다. 도르트문트 공항은 연방도로 B1호선을 이용하거나, 대중교통으로는 홀츠비케데/도르트문트 공항역과의 직통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2004년부터 도르트문트 공항은 도르트문트 중앙역 앞 중앙 버스 정류장과 공항 사이에 플루크하펜 익스프레스(Flughafenexpress)를 운행하고 있다. 라인-루르 교통 연맹 요금은 이 노선에 적용되지 않는다.
가장
7. 1. 주요 산업 및 기업
도르트문트는 독일에서 가장 중요한 물류 중심지 중 하나로, 900개 이상의 물류 관련 기업과 여러 연구소가 있다. 도르트문트 항구(Dortmund Port)는 유럽 최대의 운하 항구이며, 프라운호퍼 물류 및 물류 연구소(프라운호퍼 학회(Fraunhofer Society))는 도시의 물류 및 디지털화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연방 경제기후행동부(Federal Ministry for Economic Affairs and Climate Action)의 디지털 물류 허브가 도르트문트에 위치하며 함부르크(Hamburg)와 협력한다.아마존, 이케아(IKEA), 데카트론, Rhenus Logistics), 센커 AG(Schenker AG), TEDi GmbH & Co. KG등의 기업들이 도르트문트에 대규모 물류 허브를 두고 있다.
도르트문트는 과거 중공업(석탄 산업과 제철업) 중심지였으나, 구조 개혁을 통해 상업, 서비스업, 첨단 기술 도시로 변화했다. 2023년 도르트문트 시의 국민총생산(BIP)은 245억 9,500만 유로로 독일 도시 중 13위를 차지했다. 1인당 국민총생산은 40,184유로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평균(46,194유로)과 독일 전체 평균(48,750유로)보다 낮았다. 2024년 4월 도르트문트의 실업률은 11.7%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평균 실업률(7.5%)보다 높았다.
과거 도르트문트의 주요 기업으로는 헤쉬(Hesse), 도르트문더 우니온(Dortmunder Union), 페니크스 AG(Phoenix AG) 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티센크룹 슈타알 AG(ThyssenKrupp Stahl AG) 등에 인수되거나 폐쇄되었다. 옛 산업 지역은 도시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도르트문더 우니온(Dortmunder Union) 부지는 유통업체와 상인들이 입주했으며, 페니크스-오스트(Phoenix-Ost) 제철소 부지는 주거 및 사무 공간으로 재개발되었다. 페니크스-베스트(Phoenix-West) 제철소 부지는 마이크로시스템 공학(MST) 기업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기계·설비 제조업은 여전히 도르트문트의 중요한 산업이며, 티센크룹 우데 GmbH(ThyssenKrupp Uhde GmbH), 티센크룹 누세라(ThyssenKrupp Nucera), KHS GmbH 등이 활동하고 있다. 보험업체와 금융업체, IT 기업과 서비스업체들도 도르트문트에 기반을 두고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도르트문트는 "맥주의 도시"로 알려져 있었으며, 베르크만(Bergmann), 악티엔(DAB)(Actien), 우니온(DUB)(Union) 등 다양한 양조장이 있었다. 현재는 도르트문더 악티엔 브라우어라이(Dortmunder Actien-Brauerei)(DAB)가 대부분의 맥주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으며, 베르크만 브라우어라이(Bergmann Brauerei)는 독자적으로 특별한 맥주를 판매한다.
1968년 도르트문트 공과대학교(Technische Universität Dortmund) 개교는 도르트문트의 구조 개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대학 캠퍼스는 연구 도시의 기반이 되었으며, 인근 테크놀로지 파크에는 225개 기업이 입주하여 8,500명 이상이 일하고 있다. 연방도 B1호선을 따라 있는 슈타트크로네 동쪽 프로젝트는 구조 개혁의 성공적인 사례로 꼽힌다. IT 컨설팅 및 시스템 통합 기업인 아데쏘 SE(Adesso SE)의 본사가 이곳에 있다.
도르트문트 프로젝트를 통해 도시 발전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통, 마이크로시스템 공학(MST), ICT 분야, 헬스케어 산업, 생물의학, 에너지 공학 등이 주요 분야로 선정되었다.
도르트문트는 약 760개의 유통 관련 업체와 학술 기관을 보유한 독일의 주요 유통 도시 중 하나이며, 약 25,000명이 유통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2016년에는 연방 경제에너지부(Bundesministerium für Wirtschaft und Energie) 주도의 디지털 허브 내에서 유통 분야의 디지털 허브로 지정되었다.
소매업 중심지로서의 중요성도 증가하고 있으며, 베스텐헬베크(Westenhellweg)는 독일에서 가장 많은 쇼핑객이 방문하는 쇼핑 거리 중 하나이다. 이케아(IKEA), 아마존, 데카트론(Decathlon) 등 국제적인 대형 체인들이 도르트문트에 유통·배송 센터를 설립하고 있다.
도르트문트에서 가장 큰 고용주 중 하나는 시 당국과 그 산하기관 기업들이다. 도르트문트 시 공기업(DSW21)은 운송, 에너지, 통신, 주택 건설, 도시 개발 등을 담당하며, 도르트문트 에너지·수도 공급 회사 GmbH(DEW21)는 DSW21과 RWE(RWE AG)의 합작회사이다.
도르트문트는 독일 보험업계의 중요한 중심 도시 중 하나이며, 콘티넨탈 질병보험, 지그날-이두나 그룹(Signal Iduna) 등이 본사를 두고 있다. 또한 독일 서부 에너지 경제의 중심지이기도 하며, 베스트네츠 GmbH, 암프리온 GmbH, 티센가스 등의 기업들이 본사를 두고 있다.
도르트문트는 통신업 및 정보산업의 중심지이며, 아데쏘 SE, 마테르나 GmbH, 베라이즌 도이칠란트 GmbH 등이 활동하고 있다.
지역 금융 기관으로는 슈팔카세 도르트문트(도르트문트 저축은행), 폴크스반크 도르트문트-노르트베스트, 도르트문더 폴크스반크 등이 있으며, 2021년 7월에는 독일연방은행(Deutsche Bundesbank)의 최대 규모 지점이 문을 열었다.
WILO, KHS GmbH, ABP 인덕션 시스템즈 등은 도르트문트에 본사를 둔 플랜트 건설 및 기계 제조 기업이다.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Mercedes-Benz Sprinter), 흡입제(Inhalation agent), 용접 장치, 개폐장치 등도 도르트문트에서 생산된다.
도르트문트 지역은 유럽 중앙에 위치한 중요한 유통 도시이며, 레이너스는 도르트문트 공항(Dortmund Airport)에 본사를 두고 있다. 이케아 유통 서비스의 이케아 중앙 창고, 레이너스 등 유명 기업의 배송 센터가 약 50곳 있다.
존스 랭 라살의 통행량 조사에 따르면, 베스텐헬베크는 독일에서 가장 사람이 많은 쇼핑가 중 하나이며, 소매점 임대료도 전국 상위 10위 안에 든다. 2011년에는 새로운 쇼핑센터인 티어-갈레리(THIER-Galerie)가 베스텐헬베크에 문을 열었다.
도르트문트 시내 중심부에는 브뤼크슈트라세(Brückstraße) 지역, 오스텐헬베크(Ostenhellweg), 클레핑슈트라세/로젠(Kleppingstraße/Rosenstraße) 지역, 카이저(Kaiser) 지역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 쇼핑가와 지역이 있다. 도르트문트-베스트(Dortmund-West)의 인두파크(Indupaark)에도 소매점가가 있다.
2014년 구매력 지수는 93으로 비교적 낮았지만, 소매 중심 지수는 124.0으로 독일 평균보다 높다. 이는 주변 지역으로부터의 구매력 유입이 많음을 의미한다.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13년 | |
---|---|---|---|---|
매출액 비율 | 109.0 | 107.8 | 106.6 | 115.7 |
구매력 지수 | 101.3 | 101.8 | 93.0 | |
소매 중심 지수 | 107.6 | 109.6 | 109.1 | 124 |
7. 2. 교통
도르트문트(Dortmund)에서는 도시 계획에 따라 자전거 교통도 장려되고 있다. 1980년대부터 대규모 자전거 도로 네트워크가 정비되어 왔다. 2006년 7월 10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Nordrhein-Westfalen) 보행자 및 자전거 친화적인 도시 및 자치체 워킹 그룹”(AGFS) 가입 신청서가 뒤셀도르프(Düsseldorf) 교통부에 제출되었다. 도르트문트는 2007년 8월 8일 이 명칭을 부여받았다. 또한 도르트문트는 많은 광역 자전거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축구 루트(Nordrhein-Westfalen Fußballroute)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축구를 테마로 한 총 길이 850km의 체험 자전거 도로이다.
- 도르트문트-엠스 운하 루트(Dortmund-Ems-Kanal-Route)는 루르 지역과 북해 연안을 잇는 총 길이 약 350km의 거의 오르막이 없는 자전거 도로이다.
- 총 길이 약 120km의 엠셔-베크(Emscher-Weg)는 거의 과 평행하게, 홀츠비케데(Holzwickede)의 수원에서 근교에서 라인강에 합류하는 엠셔강 하구까지를 잇고 있다.
- 라트슈넬베크 루르(Radschnellweg Ruhr)(루르 고속 자전거 도로)가 이 도시를 통과하고 있다.
2022년 ADFC(전독일자전거클럽) 자전거 환경 조사에서는 인구 50만 명 이상의 14개 도시 중 13위였다. 이 조사에서 도르트문트에서는 1928명의 자전거 이용자가 설문 조사에 협력했다. 도르트문트는 4.27점으로 최하위인 에센(Essen)(4.28점)을 근소하게 상회했다(점수가 낮을수록 순위가 높음). 다른 도시와 비교하여 도르트문트의 점수가 특히 낮았던 것은 “건설 현장의 도로 유도”(5.2점), “자전거 도로 또는 자전거 차선의 폭”(5.2점), “자전거 도로의 불법 주차 규제”(5.1점)였다. “매체 보도”(4.0점)나 “자전거 도난”(4.6점) 항목은 다른 도시보다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지만, 평균을 겨우 0.1점 상회했을 뿐이다.[238]
도르트문트는 독일과 유럽의 주요 자동차 고속도로 시스템의 교차점 역할을 한다. 루르슈넬베크는 과거 한자 동맹 무역로를 따라 도시를 루르 지역의 다른 대도시들과 연결한다. 네덜란드-독일 국경을 A67의 연장선으로 건너 라인강을 지나 루르 계곡을 통과하여 보훔으로 이어진다. 크로이츠 도르트문트 베스트에서 B 1 (분데스슈트라세 1)이 되고, 결국 홀츠비케데 근처 A 44와 합류한다. 공식 명칭은 루르슈넬베크(루르 고속도로)이지만, 현지 주민들은 보통 루르슈라이히베크(루르 정체 구간) 또는 "루르 지역에서 가장 긴 주차장"이라고 부른다. 독일 주간지 ''Der Spiegel''에 따르면, 독일에서 가장 혼잡한 고속도로이다.
독일의 더 먼 지역과의 연결은 도르트문트의 북쪽과 동쪽 시 경계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 A1과 A2에 의해 유지되며, 도르트문트 북동쪽의 카메너 크로이츠 교차로에서 만난다.
서쪽의 고속도로 A45와 함께 이들은 도르트문트 순환 고속도로(''Dortmunder Autobahnring'')를 형성한다.
이 도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동차 우선 도시"라는 개념 아래 재정비되었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시 중심부 남쪽을 관통하는 연방도 B1호선과 구 시가지 성벽(슈타트발)을 따라 조성된 4~6차선의 시내 순환 도로이다. 이 순환 도로 내에서는 자동차 통행이 매우 제한된 구역에서만 허용된다.
도르트문트는 루르 지역 및 베스트팔렌 지역의 가장 중요한 교통 요충지 중 하나이다. 도르트문트 아우토반 링에는 아우토반 A1호선(브레멘 - 쾰른) , A2호선(오버하우젠 - 베를린), A45호선(도르트문트 - 아샤펜부르크)의 일부가 포함된다. 여기에 더하여 A40호선(도르트문트 - 펜로), A42호선(도르트문트 - 캄프-린트포르트/Kamp-Lintfortde), A44호선(아헨 - 도르트문트 및 도르트문트 - 카셀)과 4개의 연방도(B1호선, B54호선, B235호선, B236호선)를 통해 독일 광역 도로망에 연결되어 있다. 도르트문트 시내 및 그 인근에는 카르멘 교차로, 베스트호펜 교차로, 도르트문트/우나 교차로, 도르트문트 서 교차로, 도르트문트/비텐 교차로, 도르트문트 북서 교차로, 카스트로프-라욱셀 동 교차로와 같이 독일의 중요한 아우토반 교차로가 위치해 있다.
루르 지역의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와 마찬가지로, 도르트문트 시내 교통은 시내 교통을 담당하는 지역 공영 기업이 운영하고, 지역 교통은 도이체반(Deutsche Bahn)의 자회사인 DB 레기오(DB Regio)가, 장거리 여행은 도이체반 자체가 담당한다. 지역 운송업체인 도르트문트 시립사업체(Dortmunder Stadtwerke, DSW21)는 루르 지역의 대중교통 기업 협회인 라인-루르 교통 연합(Verkehrsverbund Rhein-Ruhr, VRR)의 회원이며, 이 협회는 지역 전체에 걸쳐 통일된 요금 체계를 제공한다. VRR 지역 내에서는 모든 회원사의 노선과 DB의 철도 노선(고속 인터시티(InterCity) 및 인터시티익스프레스(Intercity-Express) 네트워크 제외)에서 티켓을 사용할 수 있으며, DSW21, VRR의 다른 회원사, 그리고 DB의 티켓 자판기와 서비스 센터에서 구입할 수 있다.
도르트문트 중앙역(Dortmund Hauptbahnhof)은 독일에서 세 번째로 큰 장거리 교통 환승역이다. 도르트문트에는 도이체반의 인터시티와 ICE 열차가 도르트문트 중앙역에 정차하는 철도 서비스가 있다. ICE와 탈리스(Thalys, TGV 탈리스/TGV Thalys프랑스어) 고속열차는 도르트문트를 암스테르담, 브뤼셀(2시간 30분), 파리(3시간 50분)와 연결한다. 프랑크푸르트암마인, 베를린을 비롯한 라인-루르 지역의 다른 도시들로 가는 ICE 열차가 자주 운행된다.
도르트문트 중앙역은 연간 4100만 명의 승하차객이 있는 독일의 여객 운송에서 가장 중요한 철도 교통 중심지 중 하나이다. 또한 시내에는 23개의 레기오날반 역이 있다. 지역 교통과의 연결이라는 측면에서는 도르트문트-헬데 역, 크룰 역, 멩게데 역이 특히 중요하다. 라인-루르 S반 역은 시내에 25곳이 있다.
이 외에도 중요한 교통 시설로는 시 동쪽, 함으로 향하는 노선(도르트문트-함 선)에 있는 DB 레기오 NRW와 DB 장거리 교통의 도르트문트 차량 기지가 있다. 이곳은 ICE 차량과 장거리 및 근거리 교통 차량의 정비에 사용된다. 근거리 노선의 전철과 디젤 차량, 장거리 노선 차량 외에 ICE-3의 정비도 이루어진다. 또한 DB 장거리 교통의 도르트문트-하펜 차량 기지도 계획 중이다.[236] 철도 화물 운송에 대해서는 도르트문트차량기지와 도르트문더펠트 차량기지가 모두 폐지된 후, 철도와의 환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화물 열차는 도르트문트 화물 우회선을 경유하여 시내를 통과한다.
도르트문트는 광범위한 슈타트반과 버스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슈타트반은 8개 노선(U41~U47 및 U49)을 운영하여 도르트문트와 북쪽의 대규모 교외 지역인 뤼넨을 연결한다. 도시 중심부에서 벗어난 곳에서는 많은 노선이 도로 한가운데의 선로를 따라 운행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경전철이다. 최소 배차 간격은 2.5분이지만, 일반적으로 각 노선은 5~1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일요일에는 15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2008년 4월에는 새로 건설된 동서 방향 지하 경전철 노선이 개통되어 도심의 지하 서비스가 완료되었고, 지상의 마지막 트램이 대체되었다.[57]
수많은 버스 노선이 도르트문트 대중교통 시스템을 완성한다. 주말과 공휴일에는 오전 1시 30분부터 오전 7시 30분까지 야간 버스가 슈타트반 서비스를 대체한다. 야간 버스 서비스의 중앙 환승지는 도심에 있는 라인올디키르헤(Reinoldikirche)이며, 모든 야간 버스 노선이 여기서 시작과 종착한다.
도르트문트 공과대학교의 H-Bahn은 대학교의 두 캠퍼스 간을 오가는 승객 수송을 위해 특별히 건설된 현수식 모노레일이다.[58] 현재 이 캠퍼스들은 연구소와 다른 첨단 기업 및 신생 기업들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거의 동일한 모노레일 시스템이 뒤셀도르프 공항에서 승객을 수송한다.[59]
도르트문트의 근교 교통의 대부분은 라인-루르 교통 연맹(Verkehrsverbund Rhein-Ruhr)에 가맹한 DSW21이 운영하고 있다. DSW21은 라인-루르 교통 연맹에서 "4"의 식별 번호를 부여받았기 때문에 모든 노선 번호에 "4"가 붙는다(시 경계를 넘는 노선 제외). 철도 여객 근교 교통과 관련하여 S반 S1, S2, S4, S5 4개 노선이 있으며, 많은 레기오날 익스프레스(Regionalexpress)와 레기오날반(Regionalbahn) 열차와 연결되어 있다. 도르트문트에는 시내 중심부 지하를 통과하는 8개의 도르트문트 도시철도(Dortmund Stadtbahn) 노선망이 있다. U41, U42, U43, U44, U45, U46, U47, U49 노선이다. 2008년 4월에 시내 중심부 지하의 마지막 터널 공사가 완료되었다. 이 동서 터널 완공 후,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노면전차 403, 404 노선 2개는 노선 변경을 거쳐 U43, U44 노선으로 불리고 있다. 도시철도에 대한 다양한 연장이 검토되고 있지만, 진지하게 추진되는 것은 없다.
시내에는 DSW21의 버스 73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노선망 총 연장은 852.1km이며, 연간 이용객은 1억 3400만 명에 달한다(2018년 1월 현재).
또한, 2개의 대학 캠퍼스와 아이히링호펜 지역 및 테크놀로지 파크를 연결하는 무인 운전 H-Bahn(SIPEM)도 운행하고 있다.
과거에는 우나(Unna)군 교통 회사가 운영하는 붉은색 2층 버스가 도르트문트 중앙역 앞 중앙 버스터미널과 베르크카멘(Bergkamen) 버스 정류장을 오가는 노선을 운행했었다. 현재는 연접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도르트문트 공항(Dortmund Airport)은 도심에서 동쪽으로 13 km 떨어진, 홀츠비케데(Holzwickede) 시 경계에 위치한 중형이지만 빠르게 성장하는 공항이다.[60] 이 공항은 루르 지역(Ruhrgebiet), 자우어란트(Sauerland), 베스트팔렌(Westphalia) 지역과 네덜란드 일부 지역을 담당하며, 뮌헨, 런던, 비엔나, 포르투갈 그리고 많은 동유럽 도시와 휴양지로 향하는 항공편을 제공한다. 공항에는 도르트문트 중앙역(Dortmund Hauptbahnhof)으로 가는 급행 버스, 근처 기차역인 ''홀츠비케데/도르트문트 공항''으로 가는 셔틀 버스, 도시의 지하철 노선인 ''U47''으로 가는 버스, 그리고 운나(Unna) 도시로 가는 버스가 운행된다.
2019년, 이 공항은 주로 저가항공사와 관광 전세기 편으로 2,719,563명의 승객을 수송했다.[61] 2023년에는 293만 명의 이용객을 기록했다. 이 수치는 이 공항이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 세 번째로 큰 교통 공항이며, 독일 전체에서는 10위임을 나타낸다.[237] 운항편의 대부분을 저가항공사가 차지하고 있다. 또한 정기 관광 노선 이용객, 비즈니스 고객, 일반 고객의 비율도 높다. 공항 부지 내에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경찰 항공대와 DRF 항공 구조대/DRF Luftrettungde 기지도 있다. 도르트문트 공항은 연방도로 B1호선을 이용하거나, 대중교통으로는 홀츠비케데/도르트문트 공항역과의 직통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2004년부터 도르트문트 공항은 도르트문트 중앙역 앞 중앙 버스 정류장과 공항 사이에 플루크하펜 익스프레스(Flughafenexpress)를 운행하고 있다. 라인-루르 교통 연맹 요금은 이 노선에 적용되지 않는다.
가장 가까운 대륙간 공항은 뒤셀도르프 공항(Düsseldorf Airport)이며, 기차 또는 자동차로 약 1시간이 소요된다.
도르트문트는 독일에서 가장 중요한 물류 중심지 중 하나이며, 900개 이상의 물류 관련 기업과 국내외적으로 인정받는 과학 연구소들이 있다. 북해와 도르트문트를 잇는 도르트문트-엠스 운하의 종착점인 도르트문트 항구(Dortmund Port)는 10개의 부두와 11km의 선착장 길이를 가진 유럽 최대의 운하 항구이다. 프라운호퍼 학회(Fraunhofer Society)의 프라운호퍼 물류 및 물류 연구소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활동은 지난 몇 년 동안 도시의 물류 및 디지털화 분야에서 기술을 결합하는 데 기여했다. 하이브리드 물류 서비스 혁신 연구소, 효율 클러스터 LogistikRuhr, 산업 데이터 공간, 도르트문트 중소기업 4.0 우수 센터, 기업 연구소 등 산업 기반 이니셔티브와 시범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연방 경제기후행동부(Federal Ministry for Economic Affairs and Climate Action)의 디지털 물류 허브는 도르트문트에 위치하며 함부르크(Hamburg)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독일과 유럽을 위한 대규모 물류 허브를 도르트문트에 보유한 기업은 다음과 같다.
- 아마존
- 이케아(IKEA)
- 데카트론
- Rhenus Logistics)
- 센커 AG(Schenker AG)
- TEDi GmbH & Co. KG
내륙 수로 교통과 관련하여, 도르트문트는 도르트문트-엠스 운하를 통해 라인강과 북해와 연결되어 있다. 그 항구는 유럽 최대의 운하 항구이다.
도르트문트 항구(Hafen)는 유럽에서 가장 큰 운하 항구이자 독일에서 11번째로 큰 하천 항구이다.
7. 2. 1. 도로 교통
도르트문트는 독일과 유럽의 주요 자동차 고속도로 시스템의 교차점 역할을 한다. 루르슈넬베크는 과거 한자 동맹 무역로를 따라 도시를 루르 지역의 다른 대도시들과 연결한다. 네덜란드-독일 국경을 A67의 연장선으로 건너 라인강을 지나 루르 계곡을 통과하여 보훔으로 이어진다. 크로이츠 도르트문트 베스트에서 B 1 (분데스슈트라세 1)이 되고, 결국 홀츠비케데 근처 A 44와 합류한다. 공식 명칭은 루르슈넬베크(루르 고속도로)이지만, 현지 주민들은 보통 루르슈라이히베크(루르 정체 구간) 또는 "루르 지역에서 가장 긴 주차장"이라고 부른다. 독일 주간지 ''Der Spiegel''에 따르면, 독일에서 가장 혼잡한 고속도로이다.
독일의 더 먼 지역과의 연결은 도르트문트의 북쪽과 동쪽 시 경계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 A1과 A2에 의해 유지되며, 도르트문트 북동쪽의 카메너 크로이츠 교차로에서 만난다.
서쪽의 고속도로 A45와 함께 이들은 도르트문트 순환 고속도로(''Dortmunder Autobahnring'')를 형성한다.
이 도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동차 우선 도시"라는 개념 아래 재정비되었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시 중심부 남쪽을 관통하는 연방도 B1호선과 구 시가지 성벽(슈타트발)을 따라 조성된 4~6차선의 시내 순환 도로이다. 이 순환 도로 내에서는 자동차 통행이 매우 제한된 구역에서만 허용된다.
도르트문트는 루르 지역 및 베스트팔렌 지역의 가장 중요한 교통 요충지 중 하나이다. 도르트문트 아우토반 링에는 아우토반 A1호선(브레멘 - 쾰른) , A2호선(오버하우젠 - 베를린), A45호선(도르트문트 - 아샤펜부르크)의 일부가 포함된다. 여기에 더하여 A40호선(도르트문트 - 펜로), A42호선(도르트문트 - 캄프-린트포르트/Kamp-Lintfortde), A44호선(아헨 - 도르트문트 및 도르트문트 - 카셀)과 4개의 연방도(B1호선, B54호선, B235호선, B236호선)를 통해 독일 광역 도로망에 연결되어 있다. 도르트문트 시내 및 그 인근에는 카르멘 교차로, 베스트호펜 교차로, 도르트문트/우나 교차로, 도르트문트 서 교차로, 도르트문트/비텐 교차로, 도르트문트 북서 교차로, 카스트로프-라욱셀 동 교차로와 같이 독일의 중요한 아우토반 교차로가 위치해 있다.
7. 2. 2. 철도 교통
루르 지역의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와 마찬가지로, 도르트문트 시내 교통은 시내 교통을 담당하는 지역 공영 기업이 운영하고, 지역 교통은 도이체반(Deutsche Bahn)의 자회사인 DB 레기오(DB Regio)가, 장거리 여행은 도이체반 자체가 담당한다. 지역 운송업체인 도르트문트 시립사업체(Dortmunder Stadtwerke, DSW21)는 루르 지역의 대중교통 기업 협회인 라인-루르 교통 연합(Verkehrsverbund Rhein-Ruhr, VRR)의 회원이며, 이 협회는 지역 전체에 걸쳐 통일된 요금 체계를 제공한다. VRR 지역 내에서는 모든 회원사의 노선과 DB의 철도 노선(고속 인터시티(InterCity) 및 인터시티익스프레스(Intercity-Express) 네트워크 제외)에서 티켓을 사용할 수 있으며, DSW21, VRR의 다른 회원사, 그리고 DB의 티켓 자판기와 서비스 센터에서 구입할 수 있다.
도르트문트 중앙역(Dortmund Hauptbahnhof)은 독일에서 세 번째로 큰 장거리 교통 환승역이다. 도르트문트에는 도이체반의 인터시티와 ICE 열차가 도르트문트 중앙역에 정차하는 철도 서비스가 있다. ICE와 탈리스(Thalys, TGV 탈리스/TGV Thalys프랑스어) 고속열차는 도르트문트를 암스테르담, 브뤼셀(2시간 30분), 파리(3시간 50분)와 연결한다. 프랑크푸르트암마인, 베를린을 비롯한 라인-루르 지역의 다른 도시들로 가는 ICE 열차가 자주 운행된다.
도르트문트 중앙역은 연간 4100만 명의 승하차객이 있는 독일의 여객 운송에서 가장 중요한 철도 교통 중심지 중 하나이다. 또한 시내에는 23개의 레기오날반 역이 있다. 지역 교통과의 연결이라는 측면에서는 도르트문트-헬데 역, 크룰 역, 멩게데 역이 특히 중요하다. 라인-루르 S반 역은 시내에 25곳이 있다.
이 외에도 중요한 교통 시설로는 시 동쪽, 함으로 향하는 노선(도르트문트-함 선)에 있는 DB 레기오 NRW와 DB 장거리 교통의 도르트문트 차량 기지가 있다. 이곳은 ICE 차량과 장거리 및 근거리 교통 차량의 정비에 사용된다. 근거리 노선의 전철과 디젤 차량, 장거리 노선 차량 외에 ICE-3의 정비도 이루어진다. 또한 DB 장거리 교통의 도르트문트-하펜 차량 기지도 계획 중이다.[236] 철도 화물 운송에 대해서는 도르트문트차량기지와 도르트문더펠트 차량기지가 모두 폐지된 후, 철도와의 환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화물 열차는 도르트문트 화물 우회선을 경유하여 시내를 통과한다.
7. 2. 3. 대중 교통
도르트문트는 광범위한 슈타트반과 버스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슈타트반은 8개 노선(U41~U47 및 U49)을 운영하여 도르트문트와 북쪽의 대규모 교외 지역인 뤼넨을 연결한다. 도시 중심부에서 벗어난 곳에서는 많은 노선이 도로 한가운데의 선로를 따라 운행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경전철이다. 최소 배차 간격은 2.5분이지만, 일반적으로 각 노선은 5~1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일요일에는 15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2008년 4월에는 새로 건설된 동서 방향 지하 경전철 노선이 개통되어 도심의 지하 서비스가 완료되었고, 지상의 마지막 트램이 대체되었다.[57]수많은 버스 노선이 도르트문트 대중교통 시스템을 완성한다. 주말과 공휴일에는 오전 1시 30분부터 오전 7시 30분까지 야간 버스가 슈타트반 서비스를 대체한다. 야간 버스 서비스의 중앙 환승지는 도심에 있는 라인올디키르헤(Reinoldikirche)이며, 모든 야간 버스 노선이 여기서 시작과 종착한다.
도르트문트 공과대학교의 H-Bahn은 대학교의 두 캠퍼스 간을 오가는 승객 수송을 위해 특별히 건설된 현수식 모노레일이다.[58] 현재 이 캠퍼스들은 연구소와 다른 첨단 기업 및 신생 기업들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거의 동일한 모노레일 시스템이 뒤셀도르프 공항에서 승객을 수송한다.[59]
도르트문트의 근교 교통의 대부분은 라인-루르 교통 연맹(Verkehrsverbund Rhein-Ruhr)에 가맹한 DSW21이 운영하고 있다. DSW21은 라인-루르 교통 연맹에서 "4"의 식별 번호를 부여받았기 때문에 모든 노선 번호에 "4"가 붙는다(시 경계를 넘는 노선 제외). 철도 여객 근교 교통과 관련하여 S반 S1, S2, S4, S5 4개 노선이 있으며, 많은 레기오날 익스프레스(Regionalexpress)와 레기오날반(Regionalbahn) 열차와 연결되어 있다. 도르트문트에는 시내 중심부 지하를 통과하는 8개의 도르트문트 도시철도(Dortmund Stadtbahn) 노선망이 있다. U41, U42, U43, U44, U45, U46, U47, U49 노선이다. 2008년 4월에 시내 중심부 지하의 마지막 터널 공사가 완료되었다. 이 동서 터널 완공 후,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노면전차 403, 404 노선 2개는 노선 변경을 거쳐 U43, U44 노선으로 불리고 있다. 도시철도에 대한 다양한 연장이 검토되고 있지만, 진지하게 추진되는 것은 없다.
시내에는 DSW21의 버스 73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노선망 총 연장은 852.1km이며, 연간 이용객은 1억 3400만 명에 달한다(2018년 1월 현재).
또한, 2개의 대학 캠퍼스와 아이히링호펜 지역 및 테크놀로지 파크를 연결하는 무인 운전 H-Bahn(SIPEM)도 운행하고 있다.
과거에는 우나(Unna)군 교통 회사가 운영하는 붉은색 2층 버스가 도르트문트 중앙역 앞 중앙 버스터미널과 베르크카멘(Bergkamen) 버스 정류장을 오가는 노선을 운행했었다. 현재는 연접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7. 2. 4. 항공 교통
도르트문트 공항(Dortmund Airport)은 도심에서 동쪽으로 13 km 떨어진, 홀츠비케데(Holzwickede) 시 경계에 위치한 중형이지만 빠르게 성장하는 공항이다.[60] 이 공항은 루르 지역(Ruhrgebiet), 자우어란트(Sauerland), 베스트팔렌(Westphalia) 지역과 네덜란드 일부 지역을 담당하며, 뮌헨, 런던, 비엔나, 포르투갈 그리고 많은 동유럽 도시와 휴양지로 향하는 항공편을 제공한다. 공항에는 도르트문트 중앙역(Dortmund Hauptbahnhof)으로 가는 급행 버스, 근처 기차역인 ''홀츠비케데/도르트문트 공항''으로 가는 셔틀 버스, 도시의 지하철 노선인 ''U47''으로 가는 버스, 그리고 운나(Unna) 도시로 가는 버스가 운행된다.2019년, 이 공항은 주로 저가항공사와 관광 전세기 편으로 2,719,563명의 승객을 수송했다.[61] 2023년에는 293만 명의 이용객을 기록했다. 이 수치는 이 공항이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 세 번째로 큰 교통 공항이며, 독일 전체에서는 10위임을 나타낸다.[237] 운항편의 대부분을 저가항공사가 차지하고 있다. 또한 정기 관광 노선 이용객, 비즈니스 고객, 일반 고객의 비율도 높다. 공항 부지 내에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경찰 항공대와 DRF 항공 구조대/DRF Luftrettungde 기지도 있다. 도르트문트 공항은 연방도로 B1호선을 이용하거나, 대중교통으로는 홀츠비케데/도르트문트 공항역과의 직통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2004년부터 도르트문트 공항은 도르트문트 중앙역 앞 중앙 버스 정류장과 공항 사이에 플루크하펜 익스프레스(Flughafenexpress)를 운행하고 있다. 라인-루르 교통 연맹 요금은 이 노선에 적용되지 않는다.
가장 가까운 대륙간 공항은 뒤셀도르프 공항(Düsseldorf Airport)이며, 기차 또는 자동차로 약 1시간이 소요된다.
7. 2. 5. 수운
도르트문트는 독일에서 가장 중요한 물류 중심지 중 하나이며, 900개 이상의 물류 관련 기업과 국내외적으로 인정받는 과학 연구소들이 있다. 북해와 도르트문트를 잇는 도르트문트-엠스 운하의 종착점인 도르트문트 항구(Dortmund Port)는 10개의 부두와 11km의 선착장 길이를 가진 유럽 최대의 운하 항구이다. 프라운호퍼 학회(Fraunhofer Society)의 프라운호퍼 물류 및 물류 연구소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활동은 지난 몇 년 동안 도시의 물류 및 디지털화 분야에서 기술을 결합하는 데 기여했다. 하이브리드 물류 서비스 혁신 연구소, 효율 클러스터 LogistikRuhr, 산업 데이터 공간, 도르트문트 중소기업 4.0 우수 센터, 기업 연구소 등 산업 기반 이니셔티브와 시범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연방 경제기후행동부(Federal Ministry for Economic Affairs and Climate Action)의 디지털 물류 허브는 도르트문트에 위치하며 함부르크(Hamburg)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독일과 유럽을 위한 대규모 물류 허브를 도르트문트에 보유한 기업은 다음과 같다.
- 아마존
- 이케아(IKEA)
- 데카트론
- Rhenus Logistics)
- 센커 AG(Schenker AG)
- TEDi GmbH & Co. KG
내륙 수로 교통과 관련하여, 도르트문트는 도르트문트-엠스 운하를 통해 라인강과 북해와 연결되어 있다. 그 항구는 유럽 최대의 운하 항구이다.
도르트문트 항구(Hafen)는 유럽에서 가장 큰 운하 항구이자 독일에서 11번째로 큰 하천 항구이다.
8. 교육
도르트문트에는 160개의 학교와 17개의 직업학교, 기술학교가 있으며 85,000명이 넘는 학생들이 교육을 받고 있다. 도시는 4년제 초등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초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하웁트슐레(Hauptschule), 레알슐레(Realschule), 게잠트슐레(Gesamtschule) 또는 김나지움(Gymnasium, 대학 예비학교)으로 진학한다. 1543년 아르히김나지움(Archigymnasium)으로 설립된 슈타트김나지움 도르트문트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 중 하나이다.[84] 크로이츠피어텔(Kreuzviertel) 지역에 위치한 이중언어 공립학교인 라이프니츠 김나지움(Leibniz Gymnasium)은 특히 영어권 거주 외국인 자녀들에게 인기가 많다. 이 학교는 국제 바칼로레아 학교이다.[85] 괴테 김나지움은 1867년 도시 최초로 여학생들에게 고등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로 설립되었다. 2009년부터 NRW 스포츠슐레(NRW Sportschule, 스포츠 중점 학교)가 되었다.
도르트문트에는 160개가 넘는 학교가 있다. 그중 김나지움(Gymnasium)은 16개교(시립은 14개교)이다. 도르트문트에서 가장 오래된 김나지움은 슈타트김나지움 도르트문트(1543년 설립)이고, 두 번째로 오래된 김나지움은 막스-플랑크-김나지움(1959년 설립)이다. 라이프니츠-김나지움은 독일 전역에 약 30개교 밖에 없는 국제 바칼로레아(International Baccalaureate) 참여학교 중 하나이다.[279]
도르트문트 공과대학교는 1968년에 설립되었으며 약 3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물리학, 전기 공학, 화학, 도시 계획, 경제학 등 다양한 과목을 제공하며, 특히 이들 분야의 연구 성과 면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86] 캠퍼스 정문에는 전용 기차역이 있으며, 시내 중심부에서 기차로 단 7분 만에 도착할 수 있다. 대학의 가장 눈에 띄는 랜드마크는 북쪽 캠퍼스와 남쪽 캠퍼스를 연결하는 모노레일인 H-Bahn이다.
도르트문트 응용과학대학교는 1만 2300명의 학생과 669명의 직원(교수 232명 포함)을 보유한 전문대학교(Fachhochschule)이다.[42] 1971년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의 통합으로 설립되었으며,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도르트문트의 여러 지역에 세 개의 캠퍼스로 구성되어 있다. 기계 및 전기 공학과는 시내 중심부 근처 Sonnenstraße에, 디자인학과는 Max-Ophüls-Platz에 자체 캠퍼스를 가지고 있다. 사회복지, 경제, 컴퓨터 과학, 건축학과는 아이클링호펜(Eichlinghofen) 교외에 있는 도르트문트 공과대학교 캠퍼스 옆 여러 건물에 있다.
도르트문트에는 약 4만 5천 명의 학생을 유치하는 여러 대학, 대학원 및 아카데미가 있다.[42] 1993년에 설립된 경영 아카데미인 ''FOM Hochschule für Oekonomie & Management, Standort Dortmund'', 공공행정 아카데미인 ''Fachhochschule für öffentliche Verwaltung Nordrhein-Westfalen'',[277] 1990년에 설립된 경영 및 경제학에 중점을 둔 사립 아카데미인 ''International School of Management'', 2000년에 설립된 사립 대학인 ''IT-Center Dortmund'', 사립이며 주정부에서 인정하는 경영 대학교인 ''International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Bad Honnef – Bonn'' 등이 있다.
8. 1. 초·중등 교육
도르트문트에는 160개가 넘는 학교가 있다. 그중 김나지움(Gymnasium)은 16개교(시립은 14개교)이다. 도르트문트에서 가장 오래된 김나지움은 슈타트김나지움 도르트문트(1543년 설립)이고, 두 번째로 오래된 김나지움은 막스-플랑크-김나지움(1959년 설립)이다. 라이프니츠-김나지움은 독일 전역에 약 30개교 밖에 없는 국제 바칼로레아(International Baccalaureate) 참여학교 중 하나이다.[279]8. 2. 고등 교육
도르트문트 공과대학교(Technical University of Dortmund)는 1968년에 설립되었으며 약 3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물리학, 전기 공학, 화학, 도시 계획, 경제학 등 다양한 과목을 제공하며, 특히 이들 분야의 연구 성과 면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86] 캠퍼스 정문에는 전용 기차역이 있으며, 시내 중심부에서 기차로 단 7분 만에 도착할 수 있다. 대학의 가장 눈에 띄는 랜드마크는 북쪽 캠퍼스와 남쪽 캠퍼스를 연결하는 모노레일인 H-Bahn이다.도르트문트 응용과학대학교(Dortmund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and Arts)는 1만 2300명의 학생과 669명의 직원(교수 232명 포함)을 보유한 전문대학교(Fachhochschule)이다.[42] 1971년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의 통합으로 설립되었으며,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도르트문트의 여러 지역에 세 개의 캠퍼스로 구성되어 있다. 기계 및 전기 공학과는 시내 중심부 근처 Sonnenstraße에, 디자인학과는 Max-Ophüls-Platz에 자체 캠퍼스를 가지고 있다. 사회복지, 경제, 컴퓨터 과학, 건축학과는 아이클링호펜(Eichlinghofen) 교외에 있는 도르트문트 공과대학교 캠퍼스 옆 여러 건물에 있다.
도르트문트에는 약 4만 5천 명의 학생을 유치하는 여러 대학, 대학원 및 아카데미가 있다.[42] 1993년에 설립된 경영 아카데미인 ''FOM Hochschule für Oekonomie & Management, Standort Dortmund'', 공공행정 아카데미인 ''Fachhochschule für öffentliche Verwaltung Nordrhein-Westfalen'',[277] 1990년에 설립된 경영 및 경제학에 중점을 둔 사립 아카데미인 ''International School of Management'', 2000년에 설립된 사립 대학인 ''IT-Center Dortmund'', 사립이며 주정부에서 인정하는 경영 대학교인 ''International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Bad Honnef – Bonn'' 등이 있다.
9. 자매 도시
도르트문트는 8개의 해외 도시와 1개의 국내 도시와 자매 도시 협정을 체결했다.[45]
- 독일 츠비카우[181]
- 아미앵/Amiens프랑스어 (프랑스, 1960년)[175]
- 리즈/Leeds영어 (영국, 1969년)[176]
- 로스토프나도누/Ростов-на-Донуru (러시아, 1977년)[177]
- 버펄로 (미국, 1977년)[178]
- 네타냐/נתניהhe (이스라엘, 1981년)[179]
- 노비사드/Нови Садsr (세르비아, 1981년)[180]
- 시안시/西安市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1991년)[182]
- 트라브존/Trabzontr (터키, 2014년)[183]
가장 오래된 자매 도시는 프랑스의 아미앵이다. 1957년부터 양 도시의 교류가 강화되어 1960년 4월 2일에 도르트문트 시의회에 의해 공식적인 관계가 선언되었다. 영국의 리즈와는 1949년부터 관계 수립이 시작되었으며, 1969년 6월 2일 도르트문트시가 자매 도시 협정에 서명했다. 이 두 협정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참극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미국 버펄로와의 자매 도시 협정은 1977년에 체결되었으며, 독일계 미국인의 문화가 두터운 것이 요인이 되었다. 러시아의 로스토프나도누와는 1973년 소비에트 연방과의 외국 문화 회의에서 발전하여 1977년에 협정을 체결했다. 이스라엘 네타냐와는 1972년 구 도르트문트 주민들을 초청한 것을 계기로 1980년에 협정을 체결했다.
구 유고슬라비아(현재 세르비아)의 노비사드와는 1978년 외국 문화 회의를 계기로 1981년에 협정을 체결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시안과는 1986년부터 교류를 시작하여 천안문 사건 이후 1991년에 공식 협정을 체결했다. 터키 트라브존과는 2014년에 협정을 체결했다.
도르트문트는 또한 여러 국제적인 프로젝트 파트너십에 참여하고 있다.[184][185][186][187][188][189][190][191] 2020년에는 루마니아 클루지나포카와 지방자치단체 협정을 체결했다.[191]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는 우크라이나 지토미르와 자매 도시 협정을 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91]
이러한 양자 협정 외에도 도르트문트시는 유로시티즈/Eurocitiesde[192], 유럽지역지방자치단체협의회/Rat der Gemeinden und Regionen Europasde[193], 세계도시자치단체연합/United Cities and Local Governmentsde[194], 신한자동맹/Neue Hansede[195], 시장서약/Konvent der Bürgermeisterde[196] 등에 참여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ahlergebnisse in NRW Kommunalwahlen 2020
https://www.wahlerge[...]
2021-06-19
[2]
웹사이트
Bevölkerung in Zahlen 2023
https://statistikpor[...]
2023-07-12
[3]
Wikimedia Commons
First documentary reference to Dortmund-Bövinghausen from 882
:File:Boevinghausen [...]
[4]
웹사이트
Support – Main Menu
https://web.archive.[...]
2017-02-16
[5]
간행물
Zensus 2011 - Gebäude- und Wohnungsbestand in Deutschland
https://zensus2011.d[...]
Statistische Ämter Des Bundes Und Der Länder
[6]
웹사이트
Tourismus: Über 860.000 Tourist*innen besuchten Dortmund in 2019 – Erneuter Zuwachs bei Übernachtungszahlen – Alle Nachrichten – Nachrichtenportal – Leben in Dortmund – Stadtportal dortmund.de
https://www.dortmund[...]
[7]
웹사이트
Tourismus: +4,5 % mehr Übernachtungen im Ruhrgebiet
https://ruhr.today/2[...]
2020-02-18
[8]
웹사이트
Smart City Index 2019
https://web.archive.[...]
2020-03-06
[9]
웹사이트
Dortmund | Create Your Future Digital Business
https://digitalhublo[...]
2022-03-08
[10]
웹사이트
2thinknow Innovation Cities Global 256 Index
https://web.archive.[...]
2009-10-27
[11]
웹사이트
Icapitel Europe 2019, Finalist
https://ec.europa.eu[...]
2019-02-20
[12]
웹사이트
Die Stadt Dortmund ist Sieger in der Kategorie "Deutschlands nachhaltigste Großstädte 2014"
https://web.archive.[...]
2016-09-14
[13]
웹사이트
Die Stadt Dortmund ist Sieger in der Kategorie "Digitalste Stadt Deutschlands 2018"
https://web.archive.[...]
2018-09-14
[14]
웹사이트
Flughafen Dortmund stellt 2019 deutlichen Passagierrekord auf
https://www.airliner[...]
[15]
웹사이트
1850 – 1876: Die "Dortmunder Gründerjahre" – Historischer Verein
https://historischer[...]
[16]
서적
Geschichte der Stadt Dortmund
Harenberg
[17]
웹사이트
Rekonstruktion der Sächsischen Wallburg Sigiburg
http://www.5dim.de/A[...]
[18]
웹사이트
Widukind – Deutsche Biographie
https://www.deutsche[...]
[19]
서적
Die Urbare der Abtei Werden a. d. Ruhr
[20]
웹사이트
Der Märzaufstand 1920
https://www.dhm.de/l[...]
2002-01-22
[21]
웹사이트
Die Ruhrbesetzung
https://www.dhm.de/l[...]
2022-05-10
[22]
서적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ume IV
Indiana University Pres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3]
웹사이트
Lager für Sinti und Roma Dortmund
https://www.bundesar[...]
[24]
웹사이트
Dortmund (Hüttenverein)
https://www.aussenla[...]
[25]
서적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ume IV
[26]
웹사이트
Historisches Centrum Hagen : Chronik 1945
http://www.historisc[...]
[27]
서적
Die Sozialgeschichte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bis 1989/90
Oldenbourg
[28]
서적
World War II Order of Battle: An Encyclopedic Reference to U.S. Army Ground Forces from Battalion through Division, 1939–1946
Stackpole Books
[29]
웹사이트
1945 – 1958: Die Stadt im Wiederaufbau – Historischer Verein
https://historischer[...]
[30]
웹사이트
The Zollern Colliery
http://www.lwl.org/i[...]
LWL Industrial Museum
[31]
웹사이트
Lake Phoenix
https://www.dortmund[...]
Stadt Dortmund
[32]
뉴스
4,000-pound, World War II bomb forces mass evacuation in Germany
https://www.cbsnews.[...]
2013-11-03
[33]
웹사이트
Geografie & Klima – Stadtporträt – Leben in Dortmund – Stadtportal dortmund.de
http://www.dortmund.[...]
2013-01-15
[34]
웹사이트
Niederschlag: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35]
웹사이트
Sonnenscheindauer: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36]
웹사이트
Klima Deutschland, Dortmund – Klimadiagramm, Klimatabelle – WetterKontor
http://www.wetterkon[...]
Wetterkontor.de
2013-03-12
[37]
웹사이트
Dortmund 2012: Mehr Einwohner, mehr Studierende, mehr Übernachtungen – Nachrichtenportal – Leben in Dortmund – Stadtportal
http://www.dortmund.[...]
Dortmund.de
2012-12-31
[38]
웹사이트
Dortmund hat weniger Einwohner als angenommen
https://www.derweste[...]
2013-05-31
[39]
웹사이트
Dortmund zählt wieder mehr als 600.000 Einwohner
https://www.derweste[...]
2016-11-11
[40]
웹사이트
Germany: States and Major Cities
https://citypopulati[...]
[41]
웹사이트
Statistisches Jahrbuch 2017
https://www.dortmund[...]
[42]
웹사이트
http://dev.statistik[...]
2016-12-00
[43]
웹사이트
Dortmund in Zahlen
https://statistikpor[...]
Stadt Dortmund
[44]
웹사이트
Kirchentag 2019
http://www.kirchenta[...]
[45]
웹사이트
Dortmunder Städtepartnerschaften
https://www.dortmund[...]
Dortmund
2021-02-12
[46]
웹사이트
Wiederaufbau – 20. Jahrhundert – "heute" – Stadtgeschichte – Stadtportrait – Leben in Dortmund – Stadtportal dortmund.de
https://www.dortmund[...]
[47]
웹사이트
Mietspiegel und Immobilienpreise von Dortmund | Capital
https://www.capital.[...]
[48]
웹사이트
Die Stadt im Wiederaufbau
http://www.dortmund.[...]
[49]
웹사이트
Dortmund Boosts Efforts to Integrate Bulgarian and Romanian Immigrants - SPIEGEL ONLINE
http://www.spiegel.d[...]
[50]
웹사이트
BVB 09 – Back to our History – 1909 – Borussia Dortmund – bvb.de
http://www.bvb.de/en[...]
[51]
웹사이트
ecce – european centre for creative economy: Kreativ.Quartiere Ruhr
http://www.e-c-c-e.d[...]
[52]
웹사이트
Phoenix Lake
http://www.eglv.de/e[...]
[53]
웹사이트
Phoenix-See – Leisure & Culture – dortmund.de
https://www.dortmund[...]
[54]
웹사이트
webpage Environment Ministry
https://www.umwelt.n[...]
[55]
웹사이트
What is the Industrial Heritage Trail?
http://www.route-ind[...]
[56]
웹사이트
Aktuelle Finanznachrichten und Börseninfos direkt von der Quelle
http://www.dgap.de/d[...]
[57]
뉴스
Neuer U-Bahn-Tunnel: keine Straßenbahn mehr in Dortmunder City
http://www.ruhrnachr[...]
Oliver Volmerich
2008-04-25
[58]
웹사이트
H-Bahn – Route map
http://www.h-bahn.in[...]
[59]
웹사이트
H-Bahn – Sky-Train Düsseldorf
http://www.h-bahn.in[...]
[60]
웹사이트
Arriving by car – Dortmund Airport
http://www.dortmund-[...]
[61]
뉴스
2,7 Millionen Passagiere am Flughafen Dortmund
https://www.aerotele[...]
2020-01-06
[62]
웹사이트
The new Dortmund – space for change
http://www.wirtschaf[...]
Stadt Dortmund – City of Dortmund Economic Development Agency
[63]
웹사이트
The new Dortmund – space for change
http://www.wirtschaf[...]
Stadt Dortmund – City of Dortmund Economic Development Agency
[64]
뉴스
MHP UNDER TOP 10 MOST RECOMMENDED IT SERVICE PROVIDERS
https://www.mhp.com/[...]
Wirtschaftsblatt
[65]
웹사이트
Is this the next big major label acquisition? – Music Business Worldwide
http://www.musicbusi[...]
2015-08-21
[66]
웹사이트
Dortmund Tourism 2017
https://www.dortmund[...]
Stadt Dortmund
[67]
웹사이트
Ruhr Tourism
http://www.ruhr-tour[...]
ruhr-tourismus
[68]
웹사이트
Dortmund Tourism 2017
https://www.it.nrw.d[...]
IT NRW Statistic, Economic and Development Agency
[69]
웹사이트
Ergebnisse der Studie 'Wirtschaftsfaktor Tourismus in Dortmund'
https://www.dortmund[...]
dortmund-tourismus
[70]
웹사이트
Things to Do in Dortmund
https://www.tripadvi[...]
tripvisitor
[71]
웹사이트
Beliebteste Einkaufsstraßen in Deutschland – Statistik
https://web.archive.[...]
2015-09-20
[72]
웹사이트
DORTMUNDtourismus - Hellweg
https://www.dortmund[...]
[73]
웹사이트
Weihnachtsmärkte: Köln ist Publikumsmagnet : Topnews
https://web.archive.[...]
Topnews.de
2013-05-06
[74]
웹사이트
The new Dortmund – space for change
https://web.archive.[...]
Stadt Dortmund – City of Dortmund Economic Development Agency
2010-07-30
[75]
웹사이트
Consolato d'Italia – Dortmund
https://consdortmund[...]
[76]
웹사이트
Griechisches Generalkonsulat
https://web2.cylex.d[...]
[77]
웹사이트
ᐅ Öffnungszeiten: Honorarkonsulat der Volksrepublik Bangladesch – Brackeler Hellweg 119 in Dortmund
https://www.oeffnung[...]
[78]
웹사이트
Das Konsulat von Ghana in Dortmund – Deutschland
http://www.botschaft[...]
[79]
웹사이트
Konsulate in Dortmund Konsulat Info konsulate.de
https://www.konsulat[...]
[80]
웹사이트
Honorarkonsulat Slowenien
http://www.hk-slowen[...]
[81]
웹사이트
Sivalingam Rasan – Unionviertel
http://www.unionvier[...]
2015-07-15
[82]
웹사이트
Reform für WDR 4 und WDR 2
https://journal-nrw.[...]
2020-02-22
[83]
웹사이트
Relaunch: WDR 4 mit mehr internationalen Hits und regionaler Nähe
https://www.radiosze[...]
2020-02-22
[84]
간행물
Sonderausgabe vom 27. Oktober 1979
Rostra
[85]
웹사이트
International Baccalaureate school.
http://www.ibo.org/e[...]
2017-11-11
[86]
웹사이트
Aktuelle Meldungen
https://web.archive.[...]
[87]
웹사이트
Ten institutions that dominated science in 2015
http://www.natureind[...]
2016-04-20
[88]
웹사이트
RANKING GERMANY'S TOP CITIES 2017
https://frankfurt-ex[...]
2017-11-08
[89]
뉴스
In Germany, Blue-Collar Jobs Provide Bulwark to Populism
https://www.nytimes.[...]
2017-09-21
[90]
뉴스
BUSINESS TRAVELLER Revealed: The world's least stressful cities
http://edition.cnn.c[...]
2017-11
[91]
뉴스
Phoenix ohne Asche, Phhoenixsee
https://www.nzz.ch/f[...]
2016-03
[92]
웹사이트
Beliebte Studentenstädte: Wo es sich am besten leben, lernen und feiern
http://www.rp-online[...]
2007-11-25
[93]
웹사이트
Lebensqualität deutscher Großstädte
https://web.archive.[...]
[94]
웹사이트
European Concert Hall Organisation (ECHO)
http://www.concertha[...]
[95]
웹사이트
domicil Dortmund · Live Music Club & Bar · Jazz, World Music, Avantgarde – About us [in english]
http://www.domicil-d[...]
[96]
웹사이트
Top 10 Arten – Tiere im Zoo – Zoo Dortmund – Freizeit & Kultur – Stadtportal dortmund.de
http://www.dortmund.[...]
[97]
서적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Encyclopedia of Roses
Dorling Kindersley
2003
[98]
웹사이트
ERIH Entry:LWL Industrial Museum Zollern II/IV Colliery
https://web.archive.[...]
European Route of Industrial Heritage
2014
[99]
웹사이트
Kurzporträt – Das Museum – Museum für Kunst und Kulturgeschichte – Museen – Freizeit, Kultur, Tourismus
https://www.dortmund[...]
[100]
뉴스
Feucht, fröhlich, friedlich
2008-07-21
[101]
웹사이트
Dortmund Pub Guide :: the best beer bars, pubs and brewpubs
https://web.archive.[...]
[102]
웹사이트
Dortmund
http://thebeergeek.c[...]
[103]
웹사이트
Brennerei – Krämer Shop
http://www.august-kr[...]
[104]
웹사이트
BVB 09 – Back to Our History
https://www.bvb.de/e[...]
[105]
웹사이트
Fakten & Kurioses
https://web.archive.[...]
[106]
웹사이트
Football History
http://www.football-[...]
2015-09-28
[107]
웹사이트
Regionalliga tables & results
http://www.football-[...]
2015-09-28
[108]
웹사이트
Oberliga tables & results
http://www.football-[...]
2015-09-28
[109]
서적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
[110]
서적
Deutsches Aussprachewörterbuch
Walter de Gruyter
[111]
웹사이트
Die Top 10 Studentenstädte Deutschlands
https://www.bachelor[...]
2024-04-12
[112]
웹사이트
Theater Dortmund
https://www.theaterd[...]
2024-04-12
[113]
웹사이트
Konzerthaus Dortmund
https://www.konzerth[...]
2024-04-12
[114]
웹사이트
European Concert Hall Organisation
https://www.concerth[...]
2024-04-12
[115]
웹사이트
SIGNAL IDUNA PARK
https://www.bvb.de/D[...]
BVB 09
2024-04-13
[116]
웹사이트
Shoppingmeilen: Die beliebtesten Einkaufsstraßen Deutschlands
https://www.wiwo.de/[...]
2018-07-17
[117]
문서
그뤼터차이트 (Gründerzeit)
[118]
웹사이트
Entdecken & Erleben / Industriekultur
https://www.dortmund[...]
Stadt Dortmund
2024-04-13
[119]
웹사이트
Tourismus / Über 860.000 Tourist*innen besuchten Dortmund in 2019 - Erneuter Zuwachs bei Übernachtungszahlen
https://www.dortmund[...]
2020-02-18
[120]
문서
연방지도·측지국 보고서
[121]
웹사이트
Der geographische Mittelpunkt von Nordrhein-Westfalen
http://www.lverma.nr[...]
2024-04-13
[122]
웹사이트
statistisches jahrbuch 2007 / Allgemeines
http://www.dortmund.[...]
2024-04-13
[123]
웹사이트
Chronik über den Rechtsstatus der Reichswasserstraßen/Binnenwasserstraßen des Bundes
http://www.wsv.de/wa[...]
2024-04-13
[124]
웹사이트
Dortmund: Von 49,50 bis 254,33 m über Null
http://www.derwesten[...]
2008-02-05
[125]
간행물
Landesentwicklungsplan Nordrhein-Westfalen 1995
[126]
웹사이트
Stadtbezirksportale
https://www2.dortmun[...]
Stadt Dortmund
2024-04-13
[127]
웹사이트
dortmunderstatistik • dortmunder stadtteile • statistikatlas 2019
https://www.dortmund[...]
2024-04-13
[128]
웹사이트
Klima Dortmund - Station Waltrop-Abdinghof
https://www.wetterdi[...]
2024-04-13
[129]
웹사이트
Stadtklimatologie
https://www.dortmund[...]
Stadt Dortmund
2024-04-13
[130]
웹사이트
Bevölkerungsstand 31.12.1992 – 31.12.2022 / Kommunalprofil Dortmund, krfr. Stadt
https://www.it.nrw/s[...]
2024-04-13
[131]
웹사이트
Bevölkerung nach Geschlecht und Migrationshintergrund in den Statistischen Bezirken am 31.12.2.22
https://www.dortmund[...]
2024-04-14
[132]
웹사이트
Bevölkerung in Zahlen 2023 / Migration
https://statistikpor[...]
2024-04-14
[133]
웹사이트
Technische Universität Dortmund Jahrbuch2022 / Studierende von allen Kontinente
https://www.tu-dortm[...]
2023-04-14
[134]
웹사이트
Bevölkerung in Zahlen 2023 / Haushaltsstruktur
https://statistikpor[...]
2024-04-14
[135]
웹사이트
Arbeitsmarkt im Überblick - Berichtsmonat März 2024 - Dortmund, Stadt
https://statistik.ar[...]
Bundesagentur für Arbeit
2024-04-14
[136]
웹사이트
Arbeitslosigkeit / dortmunderstatistik • dortmunder stadtteile • statistikatlas 2019
https://www.dortmund[...]
2024-04-14
[137]
웹사이트
Durchschnittsalter / dortmunderstatistik • dortmunder stadtteile • statistikatlas 2019
https://www.dortmund[...]
2024-04-14
[138]
웹사이트
Bevölkerungsstruktur am 31.12.2022 nach Altersgruppen / Kommunalprofil Dortmund, krfr. Stadt
https://www.it.nrw/s[...]
2024-04-13
[139]
웹사이트
Dortmunder Statistik
https://www.dortmund[...]
2024-04-14
[140]
웹사이트
Bevölkerungsentwicklung in den kreisfreien Städten und Kreisen Nordrhein-Westfalens 2014 bis 2040 nach Altersgruppen Stadt Dortmund
http://www.it.nrw.de[...]
2024-04-14
[141]
서적
A. Die Urbare vom 9.-13. Jahrhundert
Rudolf Kötzschke
[142]
서적
B. Lagerbücher, Hebe- und Zinsregister vom 14. bis ins 17. Jahrhundert
[143]
서적
Einleitung und Register. I. Namenregister
Fritz Körholz
[144]
서적
Einleitung, Kapitel IV: Die Wirtschaftsverfassung und Verwaltung der Großgrundherrschaft Werden. Sachregister
Fritz Körholz
[145]
서적
Regesten und Urkunden zur Verfassungs- und Rechtsgeschichte der deutschen Städte im Mittelalter
[146]
뉴스
Bombenkrieg in Dortmund
https://www.ruhrnach[...]
2013-05-20
[147]
뉴스
Am 12. März 1945 zerstörte der „gewaltigste aller Bombenangriffe“ Dortmund
https://www.ruhrnach[...]
2020-03-12
[148]
서적
Geschichte der Stadt Dortmund
Harenberg
[149]
서적
Geschichte der Stadt Dortmund
Harenberg
[150]
서적
Geschichte der freien Reichs- und Hansestadt Dortmund
Ruhfus
[151]
학술지
Dortmund – Neues zu einem alten Namen
[152]
학술지
Der Ortsname Dortmund. Ein Forschungsbericht
Historischer Verein Dortmund
[153]
학술지
Der Name Dortmund
Historischer Verein Dortmund
[154]
서적
Duden – Geographische Namen in Deutschland. Herkunft und Bedeutung der Namen von Ländern, Städten, Bergen und Gewässern
Brockhaus
[155]
서적
Geschichte der Stadt Dortmund
Harenberg
[156]
서적
Dortmund. 1100 Jahre Stadtgeschichte.
Ruhfus
[157]
학술지
Die Burg vor der Burgpforte
[158]
학술지
Eine Burg nördlich vom Burgtor? Vielerlei spricht dafür
[159]
학술지
Wo lag die Königspfalz? Ein Plädoyer für ein offenes Weitersuchen.
[160]
서적
Geschichte der freien Reichs- und Hansestadt Dortmund
Ruhfus
[161]
서적
Die Gebietsentwicklung der Kreise und Gemeinden Westfalens 1817–1967
Aschendorff
[162]
서적
Historisches Gemeindeverzeichnis für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Namens-, Grenz- und Schlüsselnummernänderungen bei Gemeinden, Kreisen und Regierungsbezirken vom 27.5.1970 bis 31.12.1982
Kohlhammer
[163]
웹사이트
Hauptwohnbevölkerung nach Konfession 2022
https://open-data.do[...]
[164]
웹사이트
Hauptwohnbevölkerung nach Konfession 2019
https://open-data.do[...]
[165]
웹사이트
Muslime in den Großstädten beim Zensus 2011
https://kartenseite.[...]
[166]
서적
Evangelische Kirchengeschichte Westfalens im Grundriß
Luther-Verlag
[167]
서적
Die Säkularisation im Ruhrgebiet. Ein gewalttätiges Friedensgeschäft. Vorgeschichte und Folgen
Edition Werry
[168]
웹사이트
Neuapostolische Kirche Westdeutschland
https://www.nak-west[...]
[169]
서적
Reichskristallnacht, Kommission für die Geschichte der Juden in Hessen
[170]
웹사이트
Dortmunder Islamseminar
https://sites.google[...]
[171]
웹사이트
Gesellschaft für christlich-jüdische Zusammenarbeit Dortmund e. V.
https://gcjz-dortmun[...]
[172]
웹사이트
Dortmunder Rat wählte Thomas Westphal, Norbert Schilff, Barbara Brunsing und Ulrich Monegel / Die neuen Bürgermeister
https://www.lokalkom[...]
2020-11-13
[173]
웹사이트
Oberbürgermeisterstichwahl / Stadt Dortmund 27.09.2020
https://wahlen.digis[...]
[174]
웹사이트
Wappen und Flagge der Stadt Dortmund – Stadtporträt – dortmund.de
https://www2.dortmun[...]
[175]
웹사이트
Amiens, Frankreich – Städtepartnerschaften dortmund.de
https://www2.dortmun[...]
[176]
웹사이트
Leeds, Grossbritannien - Städtepartnerschaften dortmund.de
https://www2.dortmun[...]
2024-04-27
[177]
웹사이트
Rostow am Don, Russland – Städtepartnerschaften dortmund.de
https://www2.dortmun[...]
2024-04-27
[178]
웹사이트
Buffalo, USA – Städtepartnerschaften dortmund.de
https://www2.dortmun[...]
2024-04-27
[179]
웹사이트
Netanya, Israel – Städtepartnerschaften dortmund.de
https://www2.dortmun[...]
2024-04-27
[180]
웹사이트
Novi Sad, Serbien – Städtepartnerschaften dortmund.de
https://www2.dortmun[...]
2024-04-27
[181]
웹사이트
Zwickau – Städtepartnerschaften dortmund.de
https://www2.dortmun[...]
2024-04-27
[182]
웹사이트
Xi'an, China – Städtepartnerschaften dortmund.de
https://www2.dortmun[...]
2024-04-27
[183]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 mit Trabzon besiegelt – Städtepartnerschaften dortmund.de
https://www2.dortmun[...]
2024-04-27
[184]
웹사이트
Dortmund und Globale Städte-Diplomatie
https://www.dortmund[...]
2024-04-28
[185]
웹사이트
Projektpartnerschaft mit der Stadt Cluj-Napoca, Rumänien
https://www.dortmund[...]
2024-04-28
[186]
웹사이트
Projektpartnerschaft mit der Stadt Dura, Palästina
https://www.dortmund[...]
2024-04-28
[187]
웹사이트
Klimapartnerschaft mit der Stadt Kumasi, Ghana
https://www.dortmund[...]
2024-04-28
[188]
웹사이트
Projektpartnerschaft mit Bolenge, Kongo
https://www.dortmund[...]
2024-04-28
[189]
웹사이트
Projektpartnerschaft mit der Stadt Dabola, Guinea
https://www.dortmund[...]
2024-04-28
[190]
웹사이트
Projektpartnerschaft mit Bondo, Kenia
https://www.dortmund[...]
2024-04-28
[191]
웹사이트
Dortmunder Delegation besucht ukrainisches Schytomyr – weiterer Schritt hin zu Städtepartnerschaft
https://www.dortmund[...]
2023-06-27
[192]
웹사이트
Eurocities - Home
https://eurocities.e[...]
2024-05-01
[193]
웹사이트
The Council of European Municipalities and Regions (CEMR)
https://www.ccre.org[...]
2024-05-01
[194]
웹사이트
UCLG - United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https://uclg.org/
2024-05-01
[195]
웹사이트
Dir Hanse
https://www.hanse.or[...]
2024-05-01
[196]
웹사이트
Global Covenant of Mayors for Climate & Energy
https://www.globalco[...]
2024-05-01
[197]
웹사이트
Das Kulturportal West-Ost
https://kulturstiftu[...]
Kulturstiftung
2024-05-01
[198]
웹사이트
Patenschaftsarbeitskreis Waldenburger Bergland / Dortmund / Heimatkreis Stadt und Landkreis Waldenburg
https://kulturportal[...]
2024-05-01
[199]
웹사이트
Stadtgeschichte / Nationalsozialismus / Dortmund unterm Hakenkreuz bis 1945
https://www.dortmund[...]
Stadt Dortmung
2024-05-02
[200]
웹사이트
Baumaßnahme Boulevard Kampstraße
https://www.dortmund[...]
Stadt Dortmund
2024-05-11
[201]
웹사이트
Parks und Gärten in Dortmund / Nordmarkt
https://www.dortmund[...]
Stadt Dortmund
2024-05-13
[202]
웹사이트
Kreuzviertel
http://www.coolibri.[...]
2012-04-24
[203]
웹사이트
Ausländerinnen und Ausländer / statistikatlas - dortmunderstatistik 2019
https://www.dortmund[...]
2024-05-19
[204]
웹사이트
Münsterstraße
https://www.muenster[...]
2024-05-13
[205]
웹사이트
Immobilienpreise und Mietspiegel: Dortmund-Innenstadt-Ost
https://www.capital.[...]
2024-05-13
[206]
간행물
Aber bitte mit Sahne
http://www.kaiserstr[...]
2015-08-04
[207]
웹사이트
Dortmunder Philharmoniker / Dortmund. Deine Stadt. Dein Orchester.
https://www.theaterd[...]
2024-05-25
[208]
웹사이트
FZW / Location für Konzerte, Partys & Gesprochenes in Dortmund
https://fzw.de/
2024-05-25
[209]
웹사이트
Der Internationale Schubert-Wettbewerb Dortmund
https://schubert-wet[...]
2024-05-19
[210]
웹사이트
Verband Deutscher KonzertChöre
https://www.vdkc.de/
2024-05-25
[211]
웹사이트
Chorverband Nordrhein-Westfalen
https://www.cvnrw.de[...]
2024-05-25
[212]
웹사이트
Fast 125 Jahre Dortmunder Oratorienchor
https://dortmunder-o[...]
2024-05-25
[213]
웹사이트
Museum Ostwall – Informationen und Verortung im Haus
https://dortmunder-u[...]
2024-05-25
[214]
웹사이트
Museum für Kunst und Kulturgeschichte
https://www.dortmund[...]
2024-05-25
[215]
웹사이트
Naturmuseum Dortmund
https://www.dortmund[...]
2024-05-25
[216]
웹사이트
"Naturkunde Museum" Dortmund / Unterwasserwelt des Mohnesees erleben
https://www.vewatech[...]
2024-05-25
[217]
서적
Besuchen Sie Ihren Arzt oder Apotheker. Eine Tour durch Deutschlands Museen für Medizin und Pharmazie. Band 1, Norddeutschland
Verlag S. Hirzel
[218]
웹사이트
BORUSSEUM – Das Borussia Dortmund-Museum
https://www.bvb.de/D[...]
2024-06-16
[219]
웹사이트
Deutsches Fußballmuseum
https://www.fussball[...]
2023-05-25
[220]
웹사이트
Apotheken-Museum
https://apotheken-mu[...]
2024-06-01
[221]
웹사이트
Das Tridelta Magnetmuseum
https://tridelta.de/[...]
Trudelta
2024-06-16
[222]
웹사이트
„Komm gucken“: 10 Gründe, die kostenlosen Dauerausstellungen in Städt. Museen häufiger zu besuchen
https://www.wirindor[...]
Wir in Dortmund
2024-06-16
[223]
웹사이트
BINARIUM / Digitale Kultur aus mehr als 40 Jahren Computergeschichte
https://binarium.de/
2024-06-16
[224]
웹사이트
Ressort "Kunst im öffentlichen Raum"
https://www.dortmund[...]
Stadt Dortmund
2024-06-16
[225]
웹사이트
Geflügeltes Nashorn
https://geflügeltesn[...]
2024-04-26
[226]
웹사이트
Dortmunds 400. Stolperstein erinnert an Familie Ostwald
https://www.dortmund[...]
Stadt Dortmund
2024-04-29
[227]
웹사이트
Aus der Asche - Phoenix See / Crew united
https://www.crew-uni[...]
2024-05-26
[228]
웹사이트
Nelly-Sachs-Preis
https://www.dortmund[...]
Stadt Dortmund
2024-05-30
[229]
웹사이트
Dortmunder Weihnachtsbaum erstrahlt bei offizieller Eröffnungsfeier
https://www.dortmund[...]
Stadt Dortmund
2023-11-28
[230]
웹사이트
Dortmund à la carte
https://www.dortmund[...]
2024-05-27
[231]
웹사이트
Festival der Dortmunder Bierkultur
https://hopfenseidan[...]
2024-05-27
[232]
웹사이트
SPORTSTADT DORTMUND CITY OF SPORT
http://www.dortmund.[...]
Stadt Dortmund, Sport- und freizeitbetriebe
2024-05-31
[233]
웹사이트
Entwicklung der Besucherzahlen
https://www.transfer[...]
Transfermarkt.de
2024-05-31
[234]
웹사이트
Special Olympics: Host Towns
https://assets.berli[...]
2023-03-06
[235]
웹사이트
Host Town Program / Special Olympics World Games Berlin 2023
https://www.berlin20[...]
2023-05-31
[236]
웹사이트
Neues ICE-Werk in Dortmund: Deutsche Bahn investiert über 400 Millionen Euro
https://www.deutsche[...]
Deutsche Bahn
2021-10-18
[237]
웹사이트
Top Flughäfen nach Anzahl der Passagiere in Deutschland in den Jahren 2019 bis 2023
https://de.statista.[...]
2024-06-02
[238]
웹사이트
Und wie Radfahren in Deiner Stadt? / ADFC Farradklima-Test 2022
https://fahrradklima[...]
2024-06-02
[239]
웹사이트
Bruttoinlandsprodukt (BIP) der Stadt Dortmund von 1992 bis 2021
https://de.statista.[...]
2024-06-02
[240]
웹사이트
Bevölkerung in Zahlen 2023
https://statistikpor[...]
2024-06-02
[241]
웹사이트
Bruttoinlandsprodukt (BIP) je Einwohner nach Bundesländern im Jahr 2023
https://de.statista.[...]
2024-06-02
[242]
웹사이트
Arbeitsmarkt im Überblick - Berichtsmonat April 2024 - Dortmund, Agentur für Arbeit
https://statistik.ar[...]
Bundesagentur für Arbeit
2024-06-08
[243]
웹사이트
Arbeitsmarkt (Bund, NRW), April 2024 / Wirtschaft Statistik Infos
https://www.unterneh[...]
2024-06-02
[244]
웹사이트
Amazon setzt Spatenstich für neues Logistikzentrum
https://www.dortmund[...]
2024-06-05
[245]
뉴스
Was passiert eigentlich an der Westfalenhütte?
https://www.ruhr24.d[...]
2019-10-30
[246]
서적
Westfälische Städtebilder. Berichte und Betrachtungen
C. Bertelsmann Verlag
[247]
웹사이트
TOP 25 IT-Beratungs- und Systemintegrations-Unternehmen in Deutschland 2011
http://luenendonk-sh[...]
2023-06-06
[248]
간행물
Erfolgreiche Bilanz nach gut zehn Jahren
http://www.standortj[...]
2011-04-01
[249]
문서
소매 중심 지수
[250]
간행물
Wirtschaftsförderung Dortmund präsentiert Zielzahlen 2018 - strategische Weiterentwicklung wird konkretisiert und messbar
http://www.wirtschaf[...]
2018-04-01
[251]
웹사이트
Wirtschaftsförderung Dortmund
http://www.wirtschaf[...]
2024-06-06
[252]
웹사이트
Deutsche kaufen selten an ihrem Wohnort ein / GfK-Studie zur Einzelhandelszentralität 2023
https://www.gfk.com/[...]
2024-06-06
[253]
웹사이트
Dortmund ist laut Handelblatt ein "Stiller Star"
http://www.idruhr.de[...]
2024-06-07
[254]
웹사이트
MST.factory
https://use.metropol[...]
2024-06-07
[255]
웹사이트
Eurocities Awards
https://use.metropol[...]
2024-06-07
[256]
웹사이트
Innovative Logistik am Zukunftsstandort Dortmund
https://www.e-port-d[...]
2024-06-07
[257]
웹사이트
Digital.Hub / Logistics
https://digitalhublo[...]
2024-06-07
[258]
웹사이트
Logistics Hub Dortmund
https://www.de-hub.d[...]
2024-06-07
[259]
웹사이트
Arbeitslose von 2000 bis 2013
http://www.dortmund.[...]
2024-06-08
[260]
웹사이트
Arbeitsmarkt im Überblick - Dortmund, Agentur für Arbeit
https://statistik.ar[...]
2024-06-08
[261]
웹사이트
Größte Versicherungen in Deutschland nach den Beitragseinnahmen im Jahr 2022
https://de.statista.[...]
Statista
2024-06-09
[262]
웹사이트
Materna und adesso gehören zur Elite der IT-Dienstleister
https://www.lifepr.d[...]
2024-06-09
[263]
웹사이트
25 megaspannende Startups aus Dortmund
https://www.deutsche[...]
2024-06-09
[264]
웹사이트
Neue Bundesbank-Filiale in Dortmund übernimmt die Bargeldversorgung der gesamten Rhein-Ruhr Region
https://www.bundesba[...]
Deutsche Bundesbank
2024-06-09
[265]
웹사이트
Faktenblatt „Neue Filiale in Dortmund“
https://www.bundesba[...]
Deutsche Bundesbank
2024-06-09
[266]
웹사이트
GERMAN: Drei neue Mercedes-Benz Minibusse auf Sprinter-Basis erstmals im Van-Vertrieb
https://media.merced[...]
Mercedes-Benz
2024-06-09
[267]
웹사이트
Dortmund – Entwicklung und Produktion innovativer Inhalatoren
https://www.boehring[...]
Boehringer Ingelheim
2024-06-09
[268]
웹사이트
Logistikstandort Dortmund / e-port-dortmund
http://www.log-it-cl[...]
2024-06-10
[269]
웹사이트
Dortmunder Westenhellweg ist meistbesuchte Einkaufsmeile Deutschlands
http://www.joneslang[...]
2024-06-12
[270]
웹사이트
Allgemeine Kaufkraftkennziffern 2023 (Prognose)
https://www.ihk.de/d[...]
Industrie- und Handelskammer zu Dortmund
2024-06-12
[271]
웹사이트
Messezentrum Westfalenhallen
https://www.westfale[...]
2024-06-12
[272]
간행물
Verleger Lambert Lensing-Wolff baut massiv um: "Ruhr Nachrichten" sperren eigene Mantelredaktion zu
2017-07-12
[273]
웹사이트
NRWision
https://www.nrwision[...]
2024-06-12
[274]
웹사이트
NRWision / Sendungen aus Dortmund
https://www.nrwision[...]
2024-06-13
[275]
뉴스
Aus Dortmund24 wird RUHR24: Wir erklären euch, warum
https://www.ruhr24.d[...]
RUHR24.de
2024-06-13
[276]
웹사이트
IPPEN.MEDIA
https://www.ippen.me[...]
2024-06-13
[277]
웹사이트
Übersicht Studienorte
https://www.hspv.nrw[...]
Hochschule für Polizei und öffentliche Verwaltung Nordrhein-Westfalen
2024-06-13
[278]
웹사이트
Korporativ Fördernde Mitglieder
http://www.mpg.de/78[...]
Max-Planck-Gesellschaft
2024-06-13
[279]
웹사이트
Leibniz Gymnasium | Dortmund International School
https://www.ibo.org/[...]
International Baccalaureate
2024-06-13
[280]
서적
Westfälische Städtebilder. Berichte und Betrachtungen
C. Bertelsmann Verlag
[281]
서적
Regesten und Urkunden zur Verfassungs- und Rechtsgeschichte der deutschen Städte im Mittelalter
http://books.google.[...]
Erlangen
1863
[282]
문서
Einwohnerentwicklung von Dortmund
:de:Einwohnerentwick[...]
[283]
웹사이트
Klima Deutschland, Dortmund - Klimadiagramm, Klimatabelle - WetterKontor
http://www.wetterkon[...]
Wetterkontor.de
2013-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