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미과는 1818년 콘스탄틴 새뮤얼 라피네스크에 의해 처음 제안된 도미목의 한 과이다.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약 38개 속, 155~160종을 포함한다. 감성돔, 참돔, 황돔 등이 대표적이며, 저서 무척추동물이나 작은 물고기를 먹는 육식성 어류이다. 식용으로 가치가 높아 상업 어업의 중요한 대상이며, 한국에서는 참돔과 감성돔 등이 낚시 대상이자 고급 횟감으로 이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미과 - 참돔
참돔은 농어목 농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 북서 태평양에 분포하며 회, 구이 등으로 섭취되고 일본에서는 행운과 풍요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양식과 방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도미과 - 감성돔
감성돔은 동아시아 연안에 서식하는 농어목 바닷물고기로, 회흑색 몸통에 줄무늬가 있고 강한 턱 힘을 지녔으며, 웅성선숙의 성전환을 하고, 낚시 대상어 및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양식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 낚싯고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낚싯고기 - 가다랑어
가다랑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몸에 검은색 세로띠가 있는 방추형 어류로, 작은 어류 등을 섭취하고 다른 어류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지만 수은 오염 문제가 있어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 콘스턴틴 새뮤얼 라피네스크가 명명한 분류군 - 해마 (동물)
해마는 말과 유사한 생김새를 가진 물고기로, 수컷이 알을 품는 독특한 생식 방식을 가지며,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고 멸종 위기에 처해 CITES 규제를 받는다. - 콘스턴틴 새뮤얼 라피네스크가 명명한 분류군 - 전갱이과
전갱이과는 전갱이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로, 몸길이와 형태가 다양하며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고, 식용으로 어획되는 종들이 있으며, 4개의 아과와 30여 개의 속으로 나뉜다.
도미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2. 분류
도미과는 1818년 프랑스의 박물학자인 콘스탄틴 새뮤얼 라피네스크가 처음 제안했다.[1] 과거에는 농어목에 속하는 여러 과들과 함께 "도미류"로 분류되었으나,[3]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를 통해 현재는 도미목(Spariformes)으로 분류된다.[16]
이전에는 6개의 아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이러한 분류가 사용되지 않는다.[16] Centracanthidae과는 현재 도미과에 포함된다.[20][21] 기준 속은 이며, 이는 그리스어로 유럽도미를 의미한다.[22]
2. 1. 하위 속
도미과는 38개 속에 약 155-160종을 포함한다.[23] 주요 속으로는 감성돔속(*Acanthopagrus*), 참돔속(*Pagrus*), 붉돔속(*Evynnis*), 황돔속(*Dentex*), 실붉돔속(*Argyrops*), 청돔속(*Sparus*) 등이 있다. 한국 해역에는 감성돔, 새눈치, 참돔, 붉돔, 녹줄돔, 황돔, 실붉돔 등이 서식한다.속 이름 | 학명 | 주요 서식종 |
---|---|---|
감성돔속 | Acanthopagrus | 감성돔, 새눈치 |
실붉돔속 | Argyrops | 실붉돔 |
황돔속 | Dentex | 황돔 |
붉돔속 | Evynnis | 붉돔, 녹줄돔 |
참돔속 | Pagrus | 참돔, 적돔, 금색돔 |
청돔속 | Sparus | 청돔 |
Allotaius | ||
Archosargus | ||
Argyrozona | ||
Boops | ||
Boopsoidea | ||
Calamus | ||
Cheimerius | ||
Chrysoblephus | ||
Crenidens | ||
Cymatoceps | ||
Diplodus | ||
Gymnocrotaphus | ||
Lagodon | ||
Lithognathus | ||
Oblada | ||
Pachymetopon | ||
Pagellus | ||
Parargyrops | ||
Petrus | ||
Polyamblyodon | ||
Polysteganus | ||
Porcostoma | ||
Ptreogymnus | ||
Rhabdosargus | ||
Sarpa | ||
Sparidentex | ||
Sparodon | ||
Spondyliosoma | ||
Stenotomus | ||
Virididentex |
2. 1. 1. 화석 속
다음 화석 속이 알려져 있다.[7][8][9]- †Abromasta 데이, 2003
- †Burtinia 반 베네덴, 1873[10]
- †Crommyodus 코프, 1875
- †Ctenodentex 스톰스, 1896
- †Ellaserrata 데이, 2003
- †Kreyenhagenius 데이비드, 1946[11]
- †Paracalamus 아람부르, 1927
- †Plectrites 조던 & 길버트, 1920
- †Pseudosparnodus 데이, 2003
- †Pshekharus 바니코프 & 코틸랴르, 2015
- †Rhythmias 조던 & 길버트, 1920
- †Sciaenurus 아가시, 1845
- †Sparnodus 아가시, 1838
3. 형태
도미과 어류는 길쭉하고 옆으로 납작한 형태를 띤다. 머리는 크고 등쪽 윤곽이 가파르다. 주둥이에는 비늘이 없지만, 볼에는 비늘이 있다. 전새개골에는 비늘이 있거나 없을 수 있으며, 가장자리에 가시나 톱니는 없다. 아가미덮개에는 비늘이 있고 가시는 없다. 입은 약간 비스듬하고, 턱에는 원뿔형 또는 편평한 이빨이 있지만 입천장에는 이빨이 없다.[12]
등지느러미는 1개이며, 10~13개의 가시와 9~17개의 연조로 구성된다. 뒷지느러미는 3개의 가시와 7~15개의 연조로 구성된다. 꼬리지느러미는 오목하거나 두 갈래로 갈라진다. 가슴지느러미는 길고 뾰족하며,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기부 아래 또는 바로 뒤에 위치한다. 비늘은 매끄러운 원린 또는 약간 거친 빗비늘이다. 측선은 하나이고 연속적이며, 꼬리지느러미 기부까지 이어진다. 체색은 분홍색, 붉은색, 황색, 회색 등 다양하며, 은색 또는 금색 광택이 나고, 짙은 반점, 줄무늬, 띠가 있는 경우도 있다.[12][33]
4. 분포 및 서식지
도미과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연안 해역에서 발견된다.[1] 이들은 저서어류로 대륙붕 및 대륙사면에 서식하며, 일부 종은 기수나 담수에도 서식한다.[1]
5. 생태
도미과 돔들은 대부분 저서 무척추동물을 먹는 육식성이다.[1] 작은 종들은 보통 무리를 지어 다니며, 큰 종의 어린 개체들도 마찬가지이다. 더 큰 성체 물고기는 일반적으로 단독 생활을 하거나, 적어도 덜 사교적이며 더 깊은 물을 선호한다. 어린 개체와 준성체는 모양과 색상 패턴이 눈에 띄게 다르며 훨씬 더 화려할 수 있다. 많은 도미과 어류는 자웅동체이며 일부는 동시에 남성과 여성 성기를 모두 가지고 있다. 다른 종들은 성장하면서 성별을 바꾸는데, 예를 들어 수컷에서 암컷으로 바뀌는 수컷선숙이거나, 암컷에서 수컷으로 바뀌는 암컷선숙이다.[14] 무척추동물이나 작은 물고기 등의 저서생물을 포식하는 육식 어류이다.[16] 대형종의 어린 개체나 소형종은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대형종의 성어는 단독 또는 작은 무리를 이룬다. 어린 개체와 성어는 체색이나 무늬가 크게 다르다. 많은 종이 자웅동체이며, 암컷에서 수컷으로 변화하는 암컷 우성 선숙 종이나, 수컷에서 암컷으로 변화하는 수컷 우성 선숙 종, 양쪽 생식기를 모두 가진 종이 있다.[34]
6. 인간과의 관계
도미과는 식용으로 매우 높이 평가받으며, 서식하는 모든 지역에서 상업 어업의 중요한 대상 종이다. 1990년과 1995년 사이에 FAO 어업 통계 연감은 서부 중부 태평양에서 도미과의 연간 어획량이 2170ton에서 4020ton 사이였다고 보고했다.[1]
요리에서 가장 유명한 돔 종류는 금돔과 붉은 돔이다.[15] 특히 유럽 도미와 유럽 황돔이 유명하다.[35]
한국에서는 참돔, 감성돔 등이 인기 있는 낚시 대상 어종이며, 고급 횟감으로도 널리 이용된다. 최근에는 남획과 서식 환경 변화로 인해 자원량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어, 지속적인 자원 관리가 필요하다.
참조
[1]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biotaxa.org/[...]
[2]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3]
논문
A phylogeny of sparoid fishes (Perciformes, Percoidei) based on morphology
[4]
논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5]
웹사이트
Order SPARIFORMES: Families LETHRINIDAE, NEMIPTERIDAE and SPARIDAE
https://etyfish.org/[...]
Christopher Scharpf
2022-10-17
[6]
논문
"Amamiichthys, a new genus for the sparid fish Cheimerius matsubarai Akazaki 1962, and redescription of the species, with designation of a neotype"
[7]
웹사이트
PBDB Taxon
https://paleobiodb.o[...]
2024-04-03
[8]
논문
The Bolca Fossil-Lagerstätte: A window into the Eocene World. 5. The Pesciara- Monte Postale Fossil-Lagerstätte: 2. Fishes and other vertebrates. Excursion guide
https://iris.unito.i[...]
2014
[9]
논문
Evolutionary relationships of the Sparidae (Teleostei: Percoidei): integrating fossil and Recent data
https://www.cambridg[...]
2002
[10]
논문
Soortenlijst van fossiele vissen uit het Eoceen van België
https://natuurtijdsc[...]
1994
[11]
논문
Some Typical Upper Eogene Fish Scales from California
https://authors.libr[...]
1946
[12]
서적
FAO species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ery purposes.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Volume 5. Bony fishes part 3 (Menidae to Pomacentridae)
https://www.fao.org/[...]
FAO Rome
[13]
웹사이트
[14]
서적
Coastal Fishes of the Western Indian Ocean
https://saiab.ac.za/[...]
South African Institute for Aquatic Biodiversity
[15]
서적
Mediterranean Seafood
Penguin
[16]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biotaxa.org/[...]
[17]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18]
웹사이트
海の豆知識 Vol.47タイ
http://www.kaiseiken[...]
海洋生物環境研究所
[19]
논문
A phylogeny of sparoid fishes (Perciformes, Percoidei) based on morphology
[20]
논문
A phylogeny of the fish family Sparidae (porgie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sequence data
[21]
논문
Comprehensive phylogeny of the family Sparidae (Perciformes: Teleostei) inferred from mitochondrial gene analyses
[22]
웹사이트
Order SPARIFORMES: Families LETHRINIDAE, NEMIPTERIDAE and SPARIDAE
https://etyfish.org/[...]
Christopher Scharpf
2022-10-17
[23]
웹사이트
[24]
논문
"Amamiichthys, a new genus for the sparid fish Cheimerius matsubarai Akazaki 1962, and redescription of the species, with designation of a neotype"
[25]
간행물
朝日新聞社
[26]
논문
"Polysteganus mascarenensis, a new sparid fish species from Mascarene Islands, Indian Ocean."
[27]
간행물
朝日新聞社
[28]
웹사이트
PBDB Taxon
https://paleobiodb.o[...]
2024-04-18
[29]
논문
The Bolca Fossil-Lagerstätte: A window into the Eocene World. 5. The Pesciara- Monte Postale Fossil-Lagerstätte: 2. Fishes and other vertebrates. Excursion guide
https://iris.unito.i[...]
2014
[30]
논문
Evolutionary relationships of the Sparidae (Teleostei: Percoidei): integrating fossil and Recent data
https://www.cambridg[...]
2002
[31]
논문
Soortenlijst van fossiele vissen uit het Eoceen van België
https://natuurtijdsc[...]
1994
[32]
논문
Some Typical Upper Eogene Fish Scales from California
https://authors.libr[...]
1946
[33]
서적
FAO species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ery purposes.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Volume 5. Bony fishes part 3 (Menidae to Pomacentridae)
https://www.fao.org/[...]
FAO Rome
[34]
서적
Coastal Fishes of the Western Indian Ocean
https://saiab.ac.za/[...]
South African Institute for Aquatic Biodiversity
[35]
서적
Mediterranean Seafood
Penguin
[36]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