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암면 (화순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암면은 대한민국 화순군에 속한 면으로, 청동기 시대 고인돌 유적이 발견된 곳이다. 백제 시대에는 이릉부리현, 신라 시대에는 여미현으로 불렸으며, 고려 시대에는 화순현, 조선 시대에는 도장면과 호암면으로 나뉘어 있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도장면의 '도' 자와 호암면의 '암' 자를 따서 도암면으로 개칭되었으며, 현재는 15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 면사무소는 원천리에 위치하며, 천태초등학교와 도암중학교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순군의 행정 구역 - 화순읍
화순읍은 전라남도 화순군의 중앙에 위치한 읍으로, 화순군의 군청 소재지이며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유서 깊은 지역으로 마한 시대 여래비리국의 일부였고 백제 시대 잉리아현의 중심지였으며 조선 시대 화순현의 중심 역할을 하였고 현재는 24개의 법정리와 다양한 아파트 단지를 포함한다. - 화순군의 행정 구역 - 도곡면
도곡면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면으로,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과거 여래비리국과 이릉부리현에 속했고 조선시대에는 능주목의 서일면과 북면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오도면, 화남면, 대곡면이 통합되어 현재 12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 - 전라남도의 읍·면 - 회진면
회진면은 전라남도 장흥군에 속하는 면으로, 백제 시대 마사량현에서 시작하여 고려 시대 회령을 거쳐 조선 시대 회령면으로 존속하다가 1986년 분면되어 현재 대리, 덕산리, 신상리, 진목리, 회진리의 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 전라남도의 읍·면 - 삼호읍
전라남도 영암군 남서쪽에 위치한 삼호읍은 대불국가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영암군청과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이 위치하고 국도 제2호선으로 연결된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도암면 (화순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세대 조사 | 2016년 6월 30일 |
인구 | 1426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법정리 | 15 |
행정리 | 24 |
반 | 41 |
면사무소 | 도암면 권동길 4-2 (원천리) |
홈페이지 | 도암면사무소 |
2. 역사
도암면에는 청동기 시대 유적인 고인돌이 면내에 60기 분포하고 있다.
1416년 (조선 태종 16년) 화순현과 동복현으로 분리하고 동복현에 현감을 두었으며, 화순현은 능성현에 합쳐져 순성현(順城縣)이 되면서 순성현의 관할이 되었다. 1418년(조선 태종 18년) 순성현을 다시 화순현과 능성현으로 분리하였다. 1632년 (조선 인조 10년) 능주목으로 승격되었다.
1932년 11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 화순군 도암면이 되었다.
2. 1. 고대 ~ 고려 시대
- 마한 시대 : 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의 일부에 속했다.
- 백제 시대 : 이릉부리현(爾陵夫里縣)의 일부에 속했다.
-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 잉리아현(仍利阿縣)을 여미현(汝湄縣=汝濱=海濱)으로 개칭하여 부리현(富里縣=보성 복내 일대)과 함께 릉성군(陵城郡)의 일부가 되었다.
- 940년 (고려 태조 23년) : 여미현(汝湄縣)을 화순현(和順縣)으로 개칭했다.
- 1018년 (고려 현종 9년) : 화순현과 능성현(綾城縣)이 나주목(羅州牧)에 속했다.
- 1143년 (고려 인종 21년) : 능성현에 처음으로 중앙에서 파견한 현령이 부임해 오면서 능성현에 속했다.
2. 2. 조선 시대 ~ 일제강점기
1660년(조선 현종 1년) 능주목 서이면(西二面)으로 있었다.[2] 1696년(조선 숙종 22년)에는 능주목 안의면(安義面)으로 있었다.[2] 1756년(조선 영조 32년)에는 능주목 서이상면(西二上面), 서이하면(西二下面)으로 있었다.[2] 1759년 발간된 여지도서(與地圖書)에는 능주목 10개면 중 이상면(二上面)과 이하면(二下面)으로 기록되어 있다. 1765년(조선 영조 41년)에는 능주목 천태면(天台面)으로 있었다.[2]1789년(조선 정조 13년) 호구총수(戶口總數)에 의하면 능주목 10개면 중 서이상면(西二上面)과 서이하면 (西二下面) 지역으로 되어 있었다. 도암면지(1923년 간행)에는 도장면, 호암면으로 기록되어 있다. 당시 서이상면은 16개리 (신정리(新井里), 이곡(梨谷), 천태리(天台里), 동지장(東地莊), 서지장리(西地莊里), 창저리(倉底里), 신촌(新村), 통정리(桶井里), 동두산리(東豆山里), 호음시동(呼音時洞), 정천리(淨泉里), 벽지동(碧池洞), 죽점리(竹店里), 죽동리(竹洞里), 도장동(道莊洞), 구로촌(九老村))를, 서이하면은 12개리 (등광리(登光里), 청강리(淸江里), 우치리(牛峙里), 호암리(虎巖里), 수락리(水落里), 왕정리(旺亭里), 고기리(高基里), 청소리(靑所里), 중촌리(中村里), 석정리(石亭里), 조치리(鳥峙里), 대초리(大草里))를 관할했다.
1864년(조선 고종 1년)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능주목 12개면 중 천태면(天台面)과 호암면(虎岩面)으로 있었다. 1895년(조선 고종 32년) 나주부(羅州府) 능주군 (綾州郡, 3등군) 도장면(道莊面), 호암면(虎巖面)으로 나뉘어 있었다.
1896년(조선 고종 33년) 8월 4일 칙령 제36호 지방제도관제봉급경비개정의 건으로 전국이 13도제 실시에 따라 23부제가 폐지되고 전라남도 관할 능주군(3등군) 도장면, 호암면으로 있었다. 1908년 10월 15일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 능주군 17면 중 도장면(道莊面)과 호암면(虎巖面)으로 나뉘어 있었다. 당시 도장면은 21개리 (안성리(安星里), 신정리(新井里), 지장리(池庄里), 탕곡(湯谷), 월전(月田), 천태리(天臺里), 제정리(濟井里), 권동(權洞), 통정리(桶井里), 동두산(東斗山), 옥동(玉洞), 정천(淨川), 봉동(鳳洞), 야산(夜山), 죽동(竹洞), 벽동(碧洞), 도장동(道莊洞), 화포리(花浦里), 월포리(月浦里), 주례동(周禮洞), 운포리(雲浦里))를, 호암면은 18개리 (상용강(上龍江), 하용강(下龍江), 대초리(大草里), 구석정(舊石亭), 덕산리(德山里), 호암리(虎巖里), 청소리(淸沼里), 하수락(下水洛), 우치(牛峙), 등광리(登光里), 봉학동(鳳鶴洞), 상고기(上高基), 행정(杏洞), 왕정리(旺亭里), 하고기(下高基), 상수락(上水落), 조치(鳥峙), 신석정(新石亭))를 관할했다.
1910년 10월 1일 칙령 제354호, 357호(9월 30일 공포)에 의하여 도·부·군·면(道·府·郡·面)(면·사·방(面·社·坊) 통합)을 정비하면서 면사무소를 두기 시작했는데, 도장면사무소는 벽동리 756번지, 호암면사무소는 덕산리 635번지에 각각 설치하였다. 1913년 능주군을 화순군으로 개칭하면서 도장면, 호암면으로 되었다. 1914년 3월 1일 부군면 통폐합으로 인해 도장면, 호암면과 남평군 다소면의 일부를 합하여 도장면의 도(道) 자와 호암면의 암(巖) 자를 따서 화순군 '''도암면'''(道巖面)으로 칭하고 면사무소를 지월리 월전마을 408-1, 408-2번지(212평, 31.8KRW) 에 두고 15개리 (벽지리(碧池里), 운월리(雲月里), 도장리(道莊里), 정천리(淨川里), 원천리(源泉里), 천태리(天台里), 지월리(池月里), 행산리(杏山里), 우치리(牛峙里), 용강리(龍江里), 대초리(大草里), 봉하리(鳳下里), 등광리(登光里), 호암리(虎巖里), 왕정리(旺亭里))를 관할하게 되었다.
2. 3. 해방 이후 ~ 현재
1950년 한국 전쟁으로 면사무소가 소실되자 원천리 권동마을 823번지(면사무소 광장자리)로 면사무소를 옮겼다.[2] 1966년 5월 18일 용강출장소(龍江出張所)를 용강리 918-4번지에 설치하여(군조례 제122호) 용강리, 호암리, 우치리, 봉하리, 왕정리, 행산리를 관할했다.[2] 1983년 8월 23일 원천리 권동마을 824번지에 면사무소 청사를 단층으로 신축하였다.[2] 1990년 9월 17일 면사무소 청사를 2층으로 증축하였다.[2] 1998년 10월 1일 용강출장소를 폐지했다.[2]3. 행정 구역
법정리 | 한자명 | 행정리 | 비고 |
---|---|---|---|
대초리 | 大草里 | 대초리 | |
도장리 | 道莊里 | 도장리 | |
등광리 | 登光里 | 등광리 | |
벽지리 | 壁地里 | 벽지1구, 벽지2구 | |
봉하리 | 鳳下里 | 봉하리 | |
왕정리 | 旺亭里 | 왕정리 | |
용강리 | 龍江里 | 용강1구, 용강2구, 용강3구 | |
우치리 | 牛峙里 | 우치리 | |
운월리 | 雲月里 | 운월1구, 운월2구 | |
원천리 | 源泉里 | 원천1구, 원천2구, 원천3구 | 면사무소 소재지 |
정천리 | 淨川里 | 정천리 | |
지월리 | 池月里 | 지월1구, 지월2구, 지월3구 | |
천태리 | 天台里 | 천태1구, 천태2구 | |
행산리 | 杏山里 | 행산리 | |
호암리 | 虎岩里 | 호암1구, 호암2구 |
4. 교육
참조
[1]
웹사이트
도암면 인삿말
http://dogok.hwasun.[...]
2011-08-11
[2]
간행물
도암면지
1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