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돌김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돌김속(Porphyra)은 원반 모양의 부착기와 짧은 자루를 가진 홍조류로, 잎은 막질이며 홑층이고 빨간색, 갈색, 짙은 녹색을 띤다. 야콥 게오르그 아가드가 분류했으며, 현재 약 80종이 확인되었다. 돌김속은 조간대와 수심 10m까지의 온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며, 김으로 이용되어 중국, 한국, 일본 등에서 20억 달러 규모의 산업을 형성한다. 한국에서는 참김과 방사무늬돌김이 주요 양식종이며, 둥근돌김, 긴잎돌김, 잇바디돌김, 모무늬돌김 등 다양한 종이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파래홍조강 - 김 (음식)
    김은 홍조식물 김속 및 돌김속 해조류를 총칭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식용으로 사용되고,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여 영양 식품으로 널리 활용되며, 조미김, 김밥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다.
  • 김파래홍조강 - 김속
    김속은 홍조류에 속하는 해초류의 한 속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64종이 알려져 있으며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특히 아시아 국가에서 김, 노리, 자차이 등의 이름으로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돌김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Pyropia nereocystis
학명Pyropia
명명자J.Agardh 1899
모식종Pyropia californica
모식종 명명자J.Agardh
하위 분류
텍스트 참조

2. 분류

야콥 게오르그 아가드는 룬드 대학교의 식물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돌김속을 처음 정의했다. 이전과 그 이후에도 많은 돌김속 종들이 홍조류의 다른 속인 김속에 속해 있었다. 새로운 돌김속 종들은 계속 발견되고 있으며, 2013년 뉴질랜드 식물 연구를 통해 ''Pyropia plicata''를 김속에서 돌김속으로 이동시켰다.[3]

3. 형태

돌김속 종은 원반 모양의 부착기와 짧은 자루를 가진 홍조류이다. 막질이며 단층으로, 빨간색, 갈색, 짙은 녹색을 띤다. 접힌 잎을 가지고 있는데, 펼쳐지기 전까지 잎처럼 보이기도 한다. 일부 종에서는 잎이 최대 1미터까지 자라지만, 일반적으로 지름이 약 20센티미터 정도이다.

4. 분포 및 생태

돌김속은 조간대와 수심 10m까지, 수역의 투명도와 기질에 따라 서식한다.[4] 넓게 퍼져나가 돌과 조개 껍데기에 부착하며 바닥의 대부분을 덮는다. 온대 및 아열대 [서늘한] 해역에서 전 세계적으로 발견될 수 있다.

4. 1. 생태

''돌김''속 종은 조간대 상부에 서식하며 강렬한 직사광선, 온도 변동, 삼투 스트레스, 염분 변동, 건조 등 많은 스트레스를 견뎌낸다. 특히 열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으며, 일부 ''돌김'' 속 종은 광합성과 같이 항상성에 필수적이지 않은 대사 시스템을 중단한다.[5] 다른 종은 건조에 맞서기 위해 지질 생성을 증가시킨다.[4] 이러한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해 적응하는 ''돌김'' 속 종의 능력은 이들을 연구 대상이 되게 한다.

''돌김''의 위협 중 하나는 ''알터나리아'' sp. ZL-1에 의한 곰팡이 감염이며, 이는 방사무늬김 양식 환경에서 관찰되었다.[6] 곰팡이는 ''돌김'' 세포를 죽이고 잎 표면에 갈색 녹과 같은 반점을 남긴다.

5. 한국의 돌김

한국에서는 주로 참김방사무늬돌김을 양식하는데, 이들은 잎 모양이 길쭉해서 구별하기 어렵다. 바위에는 돌김이 자라는데, 둥근돌김은 동해, 서해, 남해안에 널리 퍼져 있고 둥근 모양이지만 주름이 많아 겹쳐진 모란꽃 모양을 띠기도 한다. 긴잎돌김은 동해안, 잇바디돌김은 서해안, 모무늬돌김은 남해안에서 주로 발견된다. 김은 전 세계적으로 64종 정도가 있으며,[11] 한국 남해안에는 10종 정도가 있다.

5. 1. 한국의 주요 종

한국에서 양식되는 주요 김 속 종은 참김(''P. tenera'')과 방사무늬돌김(''P. yezoensis'')이며, 이들은 길쭉한 잎 모양을 가지고 있어 서로 구별하기 쉽지 않다. 외해에 면하여 파도를 많이 받는 바위에는 돌김이 자란다. 둥근돌김(''P. suborbiculata'')은 동해, 서해, 남해안에 널리 분포하며 둥근 모양이지만, 때로는 주름이 많아 겹쳐져 모란꽃 모양을 띠기도 한다. 긴잎돌김(''P. pseudolinearis'')은 동해안에, 잇바디돌김(''P. dentata'')은 서해안에 주로 분포하며, 모두 긴 타원형이다. 모무늬돌김(''P. seriata'')은 남해안에서 볼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김 속은 64종 정도 분포하며,[11] 그 중 한국의 남해안 일대에는 10종 정도가 분포한다.

6. 이용

돌김속의 여러 종은 김으로 사용되며, 특히 ''Pyropia yezoensis''와 ''P. haitanensis''가 가장 인기가 많다.[7] 이는 20억달러 규모의 산업이며, 주요 생산지는 중국, 한국, 일본이다.

2014년 논문에 따르면 김에는 상당한 양의 비타민 B12가 함유되어 있다.[8] 그러나 영양 및 식이요법 아카데미는 이 공급원을 채식주의자에게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9]

말린 돌김

7. 종 목록

돌김속(Porphyra)에는 현재 80종이 확인되었다.[10]

우리말 이름학명
P. abbottiae
P. acanthophora
P. aeodis
P. bajacaliforniensis
P. brumalis
P. cinnamomea
P. collinsii
P. columbiensis
P. columbina
P. conwayae
부푼돌김P. crassa
잇바디돌김P. dentata
P. denticulata
P. drachii
P. elongata
P. endiviifolia
P. fallax
P. francisii
P. fucicola
P. gardneri
P. haitanensis
P. hiberna
P.ii''
패돌김P. ishigecola
P. kanakaensis
카타다돌김P. katadae
P. kinositae
비단잎돌김P. koreana
쿠니에다돌김P. kuniedae
P. kurogii
갈래잎돌김P. lacerata
P. lanceolata
P. leucosticta
P. montereyensis
P. moriensis
P. nereocystis
P. nitida
P. njordii
P. novae-angliae
오노돌김P. onoi
P. orbicularis
P. parva
P. peggicovensis
P. pendula
P. perforata
P. plicata
P. protolanceolata
P. pseudolanceolata
긴잎돌김P. pseudolinearis
P. pulchella
P. pulchra
P. rakiura
P. raulaguilarii
P. retorta
P. saldanhae
모무늬돌김P. seriata
P. spathulata
P. spiralis
P. stamfordensis
둥근돌김P. suborbiculata
P. taeniata
P. tanegashimensis
참김P. tenera
P. tenuipedalis
P. thulaea
P. thuretii
P. torta
울릉돌김P. ulleungensis
P. unabbottiae
P. vietnamensis
P. virididentata
띠돌김P. vittata
방사무늬돌김P. yezoensis


참조

[1] 간행물 Analecta algologica, Continuatio V. Lunds Universitets Års-Skrift, Andra Afdelningen, Kongl. Fysiografiska Sällskapets i Lund Handlingar 35(4) 1899
[2] 웹사이트 AlgaeBase http://www.algaebase[...]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17
[3] 논문 Pyropia plicata sp. nov. (Bangiales, Rhodophyta): naming a common intertidal alga from New Zealand 2013-03-22
[4] 논문 The littoral red alga Pyropia haitanensis uses rapid accumulation of floridoside as the desiccation acclimation strategy 2015-02
[5] 논문 Proteomic profile analysis of Pyropia haitanensis in response to high-temperature stress 2014-02
[6] 웹사이트 Characterization of a novel fungal disease that infects the gametophyte of Pyropia yezoensis (Bangiales, Rhodophyta) https://www.research[...]
[7] 논문 Characterization of the global transcriptome for Pyropia haitanensis (Bangiales, Rhodophyta) and development of cSSR markers 2013-02-16
[8] 논문 Vitamin B12-Containing Plant Food Sources for Vegetarians 2014-05-05
[9] 논문 Position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Vegetarian Diets https://www.eatright[...]
[10] WoRMS Pyropia J.Agardh, 1899 2024-04-17
[11] 웹인용 Genus: Pyropia http://www.algaebase[...] AlgaeBase 2016-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