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김은 엽상체가 타원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갈색 또는 적갈색을 띠는 해조류이다. 한반도, 일본, 웨일스 등에서 식용으로 사용되었으며, 한국에서는 김으로, 일본에서는 노리로, 웨일스에서는 라버로 섭취되었다. 과거에는 양식되었으나, 방사무늬김에 밀려 양식 및 자연 서식지에서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놓였다. 최근에는 참김의 복원과 양식 종의 다양화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파래홍조강 - 김 (음식)
김은 홍조식물 김속 및 돌김속 해조류를 총칭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식용으로 사용되고,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여 영양 식품으로 널리 활용되며, 조미김, 김밥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다. - 김파래홍조강 - 김속
김속은 홍조류에 속하는 해초류의 한 속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64종이 알려져 있으며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특히 아시아 국가에서 김, 노리, 자차이 등의 이름으로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바다나물 - 김 (음식)
김은 홍조식물 김속 및 돌김속 해조류를 총칭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식용으로 사용되고,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여 영양 식품으로 널리 활용되며, 조미김, 김밥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다. - 바다나물 - 미역
미역은 동아시아 원산의 갈조류로, 식용 해조류이자 건강 식품으로 이용되지만, 전 세계로 확산되어 침입종 문제도 야기하며, 부착기, 줄기, 잎으로 구성되고, '와카메'에서 유래한 이름과 함께 고대부터 식용 및 의약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참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Neopyropia tenera |
이명 | Porphyra tenera Phyllona tenera Pyropia tenera |
영어 이름 | nori, Asakusa nori |
분류 | |
역 | 진핵생물 |
계 | 식물계 (원시색소체생물) |
문 | 홍조식물문 |
강 | 우시케노리강 |
목 | 우시케노리목 |
과 | 우시케노리과 |
속 | 아마노리속 |
종 | 아사쿠사노리 |
2. 특징
엽상체(배우체)는 타원형에서 가늘고 긴 댓잎 모양을 하고 있으며, 기부는 쐐기형 또는 원형이다.[15][17] 보통 7cm~24cm × 2cm~5cm 정도이지만, 50cm × 10cm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15][17][16] 색깔은 갈색에서 약간 녹색을 띤 적갈색이며, 특히 기부가 청록색을 띠는 경우도 있다.[15] 1 세포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성숙부의 두께는 14-35 μm이고, 세포의 단면은 높이가 너비보다 크거나 거의 같다.[15][17][18] 가장자리는 전연이고 주름이 있으며, 현미경적인 톱니는 없다.[15]
동아시아 일부 (홋카이도 남부에서 규슈 남부, 한반도, 중국 대륙 연안 일부)에 분포한다.[15][19] 분포 남한계는 규슈 남부이다.[19][20] 일본에서는 옛날부터 각지에서 양식되었기 때문에 자연 분포역은 불명확하다.[16] 기준 산지는 아마도 미야기현게센누마로 추정된다.[17]
엽상체는 가을부터 초봄에 생육하며, 12월부터 3월경에 유성 생식을 한다.[16] 자웅동주 개체와 웅성 개체가 있으며, 자웅동주 개체에서는 정자낭반은 보통 선상으로 가장자리에 생긴다.[15][17][16][18] 정자낭은 보통 64개, 때로는 128개(4 × 4 × 4-8 개)의 불동 정자를 형성하며, 수정된 조과기는 보통 8개, 드물게 16개(2 × 2 × 2-4 개)의 과포자(접합포자)를 형성한다.[17][15][18]
과포자는 발아하여 조개 껍질 등에 천공하고, 미소한 사상체(포자체, 콩코세리스기)가 된다.[16] 사상체는 여름의 고온기를 보내고, 가을이 되면 껍질 포자를 방출하며, 껍질 포자는 발아하여 엽상체가 된다.[15][16] 어린 엽상체가 원포자(단포자, 중성포자라고도 불린다)를 형성하여 무성 생식을 하는 경우도 있다.[15][16] 염색체 수는 ''n'' = 3이다.[17][16]
3. 분포 및 생태
잎상체는 내만이나 하구 주변의 갯벌에서 발견되며, 조간대 상부의 갈대 등 침수 식물의 줄기, 말뚝, 조개 껍데기 등에 착생한다[15] (그림 1). 염분 농도 변화에 강하며,[21] 연안 수질 악화, 매립, 하구부의 환경 변화로 감소하였다.[19]
3. 1. 보존 상황
한반도, 일본, 웨일스에서 예로부터 참김을 식용으로 섭취해왔다. 한국에서는 말려서 김으로 먹었으며, 일본에서는 노리로, 웨일스와 잉글랜드 일부 지역에서도 채취하여 라버라는 요리를 만들어 먹었다.
참김은 방사무늬김에 밀려 양식장에서 밀려났고, 환경적 요인 때문에 자원이 감소하면서 자연 암반에서도 보기 어려워졌다. 대한민국에서는 경상남도 통영, 하동, 전라남도 진도 등에서만 생육이 확인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수산과학원은 참김 복원에 나서기도 했다.[47]
일본 환경성의 레드 리스트에서는 1997년판 초판부터 2020년 현재까지 위기종으로 평가받고 있다.[23][24]
연도 | 조사 지역 및 내용 |
---|---|
1998년 | 전국에서 4곳만 생육 보고[25] |
2002년 | 8곳 보고 |
2004년~2005년 | 다마가와 하구역에서 극소수 개체 생육 확인[26] (도쿄만 내 개체군은 멸종된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재발견) |
2013년 | 일본 각지 40곳의 생육지 보고[27] |
DNA 분석 결과, 스사비노리와 자연 교배한 잡종이 존재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27] 또한 일본의 아사쿠사노리 중에는 4개의 유전적 클러스터가 존재하며, 이 중 하나는 구마모토현과 나가사키현에서만 발견된다.[27]
4. 인간과의 관계
한반도, 일본, 웨일스 등지에서 예로부터 참김을 식용으로 섭취해왔다. 그러나 참김은 방사무늬김에 밀려 양식은 물론,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자연 암반에서도 보기 어려워졌다. 대한민국에서는 경상남도 통영·하동, 전라남도 진도 등에서만 생육이 확인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수산과학원은 참김 복원에 나서기도 했다.[47]
참김은 다른 식용 해조류와 마찬가지로 기생 난균 ''Pythium porphyrae''에 감염되기 쉽다.[2][3][4][5]
4. 1. 역사
한반도, 일본, 웨일스에서 예로부터 참김을 식용으로 섭취해왔다. 한국에서는 말려서 김으로 먹었으며, 일본에서는 노리로, 웨일스와 잉글랜드 일부 지역에서는 라버라는 요리로 만들어 먹었다.[47]


일본에서는 김속이 매우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사용되었으며, 『다이호 율령』(701년)과 『히타치노쿠니 풍토기』(720년경)에 기록되어 있다.[28] 에도 시대에는 에도 만(도쿄 만)에서 채취되는 김속이 많이 이용되면서 "아사쿠사 김"이라는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얕은 바다에 히비(나뭇가지나 대나무)를 세워 자연적으로 포자를 부착시켜 양식하는 방법이나, 종이 뜨기 기술을 이용한 판 김 생산도 보급되었다.
'''아사쿠사 김'''은 간에이 15년(1638년)의 『모후키구사』에 처음 등장하며, 여러 나라의 명산 중 "무사시국 시나가와 김"과 함께 "시모사국 '''가사이 김'''(이것을 아사쿠사 김이라고도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29] 겐로쿠 10년(1697년)의 『혼초 식감』에서는 "이 김은 원래 소슈 가사이의 바다에 많이 생겨, 그 지방 사람들이 채취하여 아사쿠사 마을의 시장에 전송한 것이다."라고 하며, 교호 17년(1732년)의 『에도 스나고』에서는 "아사쿠사 김은 이곳의 명물이며, 옛날에는 이 근처까지 만이었다고 한다. 지금은 시나가와 김을 이곳에서 제조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30] 이러한 기록은 가사이나 시나가와 등에서 채취된 김이 아사쿠사로 운반되어 가공, 판매되었음을 보여준다.[29][30]
에도 시대에는 고승에 의해 음식 이름이 명명되었다는 전승이 많다. "아사쿠사 김"은 센소지와 관계가 깊었던 텐카이에 의해, "시나가와 김"은 시나가와 도카이지의 주지였던 다쿠앙 소호에 의해 명명되었다는 전승이 있다.[29]
교호(1716-1732년) 무렵부터는 김을 잘게 썰어 얇게 펴는 방식으로 판김이 만들어졌다.[29] 당시 아사쿠사는 고여지(漉返紙)(재생지)의 산지이기도 하였으며, 이것이 판김 개발과 관련 있었다고 여겨진다.[29]
처음에는 자연 자생하는 김을 채취했지만, 어패류 덫이나 가두리를 위해 설치한 말뚝 등에 착생한 김을 채취하게 되면서 양식이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29] 엔포 시대(1673-1681년) 무렵에는 다수의 "히비"(김을 착생시키기 위한 가지나 대나무)를 구획화하여 설치하는 방식이 행해졌다.[21][32] 다이쇼 시대부터 쇼와 시대에 걸쳐 수평으로 친 그물(그물 히비)이 "히비"에 사용되었다.[32]
에도 시대 이후, 도쿄만에서의 김 양식은 크게 발전하여 일본 각지로 퍼져나갔다.[29][21] 메이지 16년(1883년)에는 이식 방법이 확립되어 채묘 장소와 육성 장소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32]
1960년대까지는 야외에서 자연 착생하는 것을 양식했기 때문에, 그 김의 종을 아사쿠사 김이라고 단정할 수 없었다. 1957년 무렵 도쿄만과 도호쿠 지방에서 양식되던 김에는 아사쿠사 김 외에 방사무늬김, 둥근 잎 아사쿠사 김, 가는 줄 김도 포함되어 있었다.[10][33][34]
1949년에 김의 생활환이 해명되면서, 인공적으로 특정 종을 히비에 접종(인공 채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아사쿠사 김 중에서도 다수확성 변종인 오오바아사쿠사김의 양식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아사쿠사 김은 "생육이 좋지 않아 수확량이 적다", "생산 방법에 따라 품질이 열화된다", "병에 약하다" 등의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양식에는 방사무늬김이 선호되었다. 특히 나라와 방사무늬김이 사용되면서 김 양식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28] 그 결과, 아사쿠사 김의 양식은 격감했고, 1950년대 이후 고도 경제 성장기의 연안 개발과 수질 오염으로 야생 개체도 격감했다.[26][28][39]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양식 종의 다양화와 부가가치가 있는 종의 양식 연구가 진행되면서 아사쿠사 김 양식 부활도 시도되고 있다.[41][42][43] 미에현 구와나시에서 양식되는 아사쿠사 김은 미에현 내 하구 부근에 자생하던 것을 배양한 것으로, 출하 시 DNA 감정을 실시하여 90% 이상 아사쿠사 김이 포함된 "이세 아사쿠사 김"으로 출하하고 있다.[44] 레이와 2년(2020년) 2월 7일에는 김 100장당 20203JPY으로 최고가를 갱신했다.[45] 아사쿠사 김(양식 품종인 오오바 그린)과 방사무늬김의 종간 잡종인 "아사구모"도 만들어지고 있다.[45][46]
참김은 방사무늬김에 밀려 양식장에서도 밀려났고, 환경적 요인 때문에 자원이 감소하면서 자연 암반에서도 보기 어려워졌다. 대한민국에서는 경상남도 통영, 하동, 전라남도 진도 등에서만 생육이 확인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수산과학원은 참김 복원에 나서기도 했다.[47]
4. 2. 품종
일본에서는 주로 김(노리)으로 사용되며, 스시의 주요 재료이다.[1] 웨일스 (그리고 어느 정도는 잉글랜드)에서는 전통 음식인 라버브레드에 사용된다.[1]'''아사쿠사 김'''은 간에이 15년(1638년)의 『모후키구사』에 처음 등장하며, "무사시국 시나가와 김"과 함께 "시모사국 '''가사이 김''' 이것을 아사쿠사 김이라고도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29] 겐로쿠 10년(1697년)의 『혼초 식감』에서는 "이 김은 원래 소슈 가사이의 바다에 많이 생겨, 그 지방 사람들이 채취하여 아사쿠사 마을의 시장에 전송한 것이다."라고 하였다.[30] 교호 17년(1732년)의 『에도 스나고』에서는 "아사쿠사 김 이곳의 명물 옛날에는 이 근처까지 만이었다고 한다. 지금은 시나가와 김을 이곳에서 제조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30] 이러한 기술은 가사이나 시나가와 등에서 채취된 김이 아사쿠사로 운반되어 가공되어, 아사쿠사 김으로 팔리거나 식사로 제공되었음을 보여준다.[29][30]
에도 시대에는 고승에 의해 음식의 이름이 명명되었다는 전승이 있는데, "아사쿠사 김"도 정진물로 여러 절에 헌상되어, 막부의 고문 승려로 센소지와 관계가 깊었던 텐카이의 눈에 띄어 명명되었다는 전승이 있다.[29]
교호(1716-1732년) 무렵부터는 김을 잘게 썰어 얇게 펴는 방식으로 판김이 만들어지게 되었다.[29] 당시 아사쿠사는 고여지(漉返紙)(아사쿠사지, 재생지)의 산지이기도 하였으며, 이것이 판김의 개발과 관련이 있었다고 생각된다.[29]
에도 시대 이후, 도쿄만에서의 김 양식은 크게 발전했으며, 이러한 김 양식법은 일본 각지로 퍼져나갔다.[29][21] 메이지 16년(1883년)에 이식 방법이 확립되어, 채묘하는 장소(타네바)와 육성하는 장소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32]
1949년에 김의 생활환이 해명되었고, 아사쿠사 김도 하계에는 조개 껍데기에 천공한 사상체로서 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16][35] 이에 따라, 인공적으로 특정 종을 히비에 접종(인공 채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아사쿠사 김 중에서도 다수확성의 변종인 '''오오바아사쿠사김'''[36][37]의 양식도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아사쿠사 김은 "생육이 좋지 않아 수확량이 적다",[37] "생산 방법에 따라 품질이 열화된다",[37] "병에 약하다"[38] 등의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양식에는 방사무늬김이 선호되었다. 특히 방사무늬김의 다수확성 품종인 나라와 방사무늬김이 사용되자, 김 양식의 대부분은 이 품종이 차지하게 되었다.[28]
21세기에 들어서자, 양식 종의 다양화와 부가가치가 있는 종의 양식 연구도 진행되면서 아사쿠사 김 양식의 부활도 시도되고 있다.[40][41][42][43] 특히 미에현 구와나시에서 양식되고 있는 아사쿠사 김은, 미에현 내의 하구 부근에 자생하고 있던 것을 미에현 수산 연구소가 배양, 구와나시 이소지마 어협이 양식을 하고 있다. 출하 시에는 DNA 감정을 실시하여, 90% 이상 아사쿠사 김이 포함된 "이세 아사쿠사 김"으로 출하하고 있다.[44] 레이와 2년 2월 7일 최고가 20203JPY(김 100장당)으로 낙찰되어 과거 최고 가격을 갱신했다.[45] 아사쿠사 김(양식 품종인 오오바 그린)과 방사무늬김의 종간 잡종인 "아사구모"도 만들어지고 있다.[45][46]
4. 3. 현대의 노력
참김은 방사무늬김에 밀려 양식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자연에서도 보기 힘들어졌다. 대한민국에서는 경상남도 통영, 하동, 전라남도 진도 등 일부 지역에서만 생육이 확인되며, 일본에서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수산과학원은 참김 복원에 나서기도 했다.[47]그러나 21세기에 들어 양식 종의 다양화와 부가가치가 있는 종의 양식 연구가 진행되면서 참김 양식 부활도 시도되고 있다.[40] 특히 미에현 구와나시에서 양식되는 참김은 미에현 내 하구 부근에 자생하던 것을 미에현 수산 연구소가 배양, 구와나시 이소지마 어협이 양식하고 있다. 출하 시에는 DNA 감정을 실시하여 90% 이상 참김이 포함된 "이세 아사쿠사 김"으로 출하한다.[44] 2020년 2월 7일에는 김 100장당 20203JPY에 낙찰되어 과거 최고 가격을 갱신했다.[45] 또한 참김(양식 품종인 오오바 그린)과 방사무늬김의 종간 잡종인 "아사구모"도 개발되고 있다.[45][46]
참조
[1]
웹사이트
Fisheries and Aquaculture - Global Production
https://www.fao.org/[...]
2024-05-06
[2]
논문
Pythium porphyrae. (Descriptions of Fungi and Bacteria)
http://www.cabi.org/[...]
2004
[3]
논문
アサクサノリの腐敗病に關する研究
1947
[4]
논문
A pathogen of New Zealand Pyropia plicata (Bangiales, Rhodophyta), Pythium porphyrae (Oomycota)
2017-03
[5]
논문
ノリ赤腐病を起因するPythium porphyrae
[6]
웹사이트
"''Neopyropia tenera'' (Kjellman) L.-E.Yang & J.Brodie 2020"
https://www.algaebas[...]
2020-06-08
[7]
웹사이트
浅草海苔
https://kotobank.jp/[...]
小学館
[8]
웹사이트
アサクサノリ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アサクサノリ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10]
논문
養殖ノリの種類
[11]
논문
紅藻ウシケノリ目の属の再編について
[12]
논문
A new look at an ancient order: generic revision of the Bangiales (Rhodophyta)
2011
[13]
웹사이트
アマノリ類の学名
https://www.nori.or.[...]
一般財団法人 海苔増殖振興会
2020
[14]
논문
Redefining ''Pyropia'' (Bangiales, Rhodophyta): four new genera, resurrection of ''Porphyrella'' and description of ''Calidia pseudolobata'' sp. nov. from China
[15]
웹사이트
アサクサノリ
https://www.nori.or.[...]
一般財団法人 海苔増殖振興会
2020
[16]
서적
藻類の生活史集成. 褐藻・紅藻類
内田老鶴圃
[17]
서적
新日本海藻誌
内田老鶴圃
[18]
서적
アマノリ養殖品種の特性
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西海区水産研究所
[19]
논문
熊本県産天然アサクサノリ配偶体の光合成に対する光と温度の影響
http://sourui.org/pu[...]
[20]
논문
日本最南端の海苔養殖とアサクサノリ
http://sourui.org/pu[...]
[21]
서적
わが国の水産業 のり
http://www.fish-jfrc[...]
社団法人 日本水産資源保護協会
[22]
문서
哺乳類、汽水・淡水魚類、昆虫類、貝類、植物I及び植物IIのレッドリストの見直しについて
https://www.env.go.j[...]
2007-08-03
[23]
웹사이트
環境省レッドリスト2020
https://www.env.go.j[...]
[24]
문서
植物版レッドリストの作成について.
https://www.env.go.j[...]
1997-08-28
[25]
서적
日本の希少な野生水生生物に関するデータブック
日本水産資源保護協会
[26]
논문
東京湾多摩川河口干潟における絶滅危惧種アサクサノリ (紅藻) の生育状況とその形態
http://sourui.org/pu[...]
[27]
논문
絶滅危惧I類に指定されている紅藻アサクサノリの集団遺伝構造
http://sourui.org/pu[...]
[28]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29]
서적
海藻
法政大学出版局
[30]
간행물
江戸前の海 学びの環づくり 瓦版 第5号
http://id.nii.ac.jp/[...]
江戸前ESD協議会
2008-11
[31]
논문
都市の境界的空間と文化の革新, 創造 -浅草の文化人類学的研究-
[32]
논문
養殖技術発達の沿革と現状
[33]
논문
ノリの種類
[34]
논문
東京湾を主とした養殖ノリの種類
[35]
논문
"''Conchocelis''-phase in the life-history of ''Porphyra umbilicalis'' (L.) Kutz"
https://www.nature.c[...]
[36]
웹사이트
オオバアサクサノリ、ナラワスサビノリ
https://www.nori.or.[...]
一般財団法人 海苔増殖振興会
2020
[37]
간행물
ATP6遺伝子に関連したミトコンドリアDNA部分塩基配列を用いた変種オオバアサクサノリ Porphyra tenera var. tamatsuensis の判別について(予報)
https://agriknowledg[...]
[38]
간행물
アサクサノリの腐敗病に関する研究
https://doi.org/10.2[...]
[39]
간행물
千葉県における絶滅危惧種紅藻アサクサノリの生育
http://www2.chiba-mu[...]
[40]
간행물
水産としての海藻
http://sourui.org/pu[...]
[41]
웹사이트
23年かけ、アサクサノリを復活させ、養殖に成功した夫妻。ノリ養殖業 島中良夫・さとよ
https://sotokoto-onl[...]
2018
[42]
웹사이트
国内最高値つけた「幻のノリ」、全滅から復活の兆し
https://www.asahi.co[...]
2020-02-04
[43]
웹사이트
伊勢あさくさ海苔
http://iseasakusanor[...]
[44]
웹사이트
三重のアサクサノリ養殖復活に向けた取組
https://www.zengyore[...]
[45]
웹사이트
週報みえぎょれん 伊勢あさくさ海苔2年ぶりの出品 最高値20,203円/100枚で落札 - 2/7(金) 松阪のり流通センター -
https://www.nori.or.[...]
http://www.miegyoren.or.jp
2020
[46]
간행물
III-1. ノリ育種の現状とゲノム情報利用の将来展望
[47]
URL
http://go.seoul.c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