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나무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백나무속(Camellia)은 필리핀에서 활동한 예수회 식물학자 게오르크 요제프 카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3,000여 종의 다양한 종과 품종이 존재한다. 주요 종으로는 한국 자생종인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애기동백나무(Camellia sasanqua), 차나무(Camellia sinensis), 기름동백(Camellia oleifera) 등이 있다. 동백나무속 식물은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며, 씨앗에서 추출한 동백기름은 식용, 화장품, 약용으로 사용된다. 동백꽃은 변치 않는 사랑, 기다림, 절개를 상징하며,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최근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한 종들이 있어, 유전자원 보존과 지속 가능한 이용 방안 모색이 중요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백나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학명 | |
| 속 | 동백나무속 |
| 학명 | Camellia L. |
| 이명 | Calpandria Blume (1825) Camelliastrum Nakai (1940) Dankia Gagnep. (1939) Desmitus Raf. (1838) Drupifera Raf. (1838) Piquetia Hallier f. (1921) Salceda Blanco (1845) Sasanqua Nees (1834) Stereocarpus Hallier f. (1921) Thea L. (1753) Theaphylla Raf. (1830), nom. superfl. Theopsis Nakai (1940) Tsia Adans. (1763), nom. superfl. Tsubaki Adans. (1763), nom. superfl. Yunnanea Hu (1956) |
| 분류 | |
| 계 | 식물계 |
| 문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강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 목 (미분류) | 국화군 |
| 목 | 진달래목 |
| 과 | 차나무과 |
| 족 | Theeae |
| 속 | 동백나무속 |
| 타입 종 |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
| 일반 정보 | |
![]() | |
| 종 | 약 187종 |
| 발음 | |
| 영어 (IPA) | /kəˈmɛliə/ |
| 영어 (OED) | camellia |
| 영어 (IPA) | /kəˈmiːliə/ |
| 영어 (MW) | camellia |
2. 분류
칼 린네는 필리핀에서 활동한 예수회 식물학자 게오르크 요제프 카멜의 이름을 따서 동백나무속을 명명했다.[6] 동백나무속에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과 품종이 존재하며, 그 수는 3,000여 개에 달한다.
동백나무속의 주요 종은 다음과 같다.
-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L.
- 애기동백나무 ''Camellia sasanqua'' Thunb.
- 차나무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유카리동백 ''Camellia assimilis'' Champ. ex Benth.
- 섬산다화 ''Camellia brevistyla'' (Hayata) Cohen-Stuart
- ''Camellia caudata'' Wall.
- ''Camellia drupifera'' Lour.
- ''Camellia euryoides'' Lindl.
- 대만산차 ''Camellia formosensis'' (Masam. et Suzuki) M.H.Su, C.F.Hsieh et C.H.Tsou
- 시라하토동백 ''Camellia fraterna'' Hance
- ''Camellia furfuracea'' (Merr.) Cohen-Stuart
- 그란섬동백 ''Camellia granthaminana'' Sealy
- 홍콩동백 ''Camellia hongkongensis'' Seem.
- 히말라야산다화 ''Camellia kissii'' Wall.
- 덴마리동백 ''Camellia maliflora'' Lindl.
- 유차 ''Camellia oleifera'' C.Abel
- 카이난차 ''Camellia paucipunctata'' (Merr. et Chun) Chun
- 금화차 ''Camellia petelotii'' (Merr.) Sealy
- 피타르동백 ''Camellia pitardii'' Cohen-Stuart
- 네트동백 ''Camellia reticulata'' Lindl.
- 버들잎산다화 ''Camellia salicifolia'' Champ. ex Benth.
- 살윈동백 ''Camellia saluenensis'' Stapf ex Bean
- 대만히메산다화 ''Camellia transarisanensis'' (Hayata) Cohen-Stuart
- 테리바히메산다화 ''Camellia transnokoensis'' Hayata
- 우라쿠 ''Camellia uraku'' Kitam.
- 섬매화 ''Camellia lutchuensis'' T.Ito
- 설중매 ''Camellia rusticana'' Honda
2. 1. 주요 종
-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L.: 한국 자생종으로, 붉은색, 분홍색, 흰색 등 다양한 꽃 색깔을 가진 품종이 개발되었다.[28]
- 애기동백나무 ''Camellia sasanqua'' Thunb.: 동백나무보다 잎과 꽃이 작고, 주로 분홍색 계열의 꽃이 핀다.[28]
- 차나무 ''Camellia sinensis'' L.: 잎은 차(茶)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상업 작물이다.[28]
- 기름동백 ''Camellia oleifera'' C.Abel: 씨앗에서 기름을 짜내어 식용 및 다양한 용도로 사용한다.[28]
'''다음은 ''Plants of the World Online''(온라인 세계 식물)에 포함된 주요 종들이다.'''[28]
| 이름 | 학명 | 비고 |
|---|---|---|
| Camellia albata | Camellia albata | |
| Camellia amplexicaulis | Camellia amplexicaulis | |
| Camellia amplexifolia | Camellia amplexifolia | |
| Camellia anlungensis | Camellia anlungensis | |
| Camellia assimiloides | Camellia assimiloides | |
| Camellia aurea | Camellia aurea | |
| Camellia azalea | Camellia azalea | |
| Camellia brevistyla | Camellia brevistyla | |
| Camellia bugiamapensis | Camellia bugiamapensis | |
| Camellia campanulata | Camellia campanulata | |
| Camellia candida | Camellia candida | |
| Camellia capitata | Camellia capitata | |
| Camellia cattienensis | Camellia cattienensis | |
| Camellia caudata | Camellia caudata | |
| Camellia chekiangoleosa | Camellia chekiangoleosa | |
| Camellia cherryana | Camellia cherryana | |
| Camellia chinmeiae | Camellia chinmeiae | |
| Camellia chrysanthoides | Camellia chrysanthoides | |
| Camellia concinna | Camellia concinna | |
| Camellia connata | Camellia connata | |
| Camellia corallina | Camellia corallina | |
| Camellia cordifolia | Camellia cordifolia | |
| Camellia costata | Camellia costata | |
| Camellia costei | Camellia costei | |
| Camellia crapnelliana | Camellia crapnelliana | 크랩넬 동백 |
| Camellia crassicolumna | Camellia crassicolumna | |
| Camellia crassipes | Camellia crassipes | |
| Camellia crassiphylla | Camellia crassiphylla | |
| Camellia cuongiana | Camellia cuongiana | |
| Camellia cupiformis | Camellia cupiformis | |
| Camellia curryana | Camellia curryana | |
| Camellia cuspidata | Camellia cuspidata | |
| Camellia dalatensis | Camellia dalatensis | |
| Camellia debaoensis | Camellia debaoensis | |
| Camellia decora | Camellia decora | |
| Camellia dilinhensis | Camellia dilinhensis | |
| Camellia dongnaicensis | Camellia dongnaicensis | |
| Camellia dormoyana | Camellia dormoyana | |
| Camellia drupifera | Camellia drupifera | |
| Camellia duyana | Camellia duyana | |
| Camellia edithae | Camellia edithae | |
| Camellia elizabethae | Camellia elizabethae | |
| Camellia elongata | Camellia elongata | |
| Camellia erubescens | Camellia erubescens | |
| Camellia euphlebia | Camellia euphlebia | |
| Camellia euryoides | Camellia euryoides | |
| Camellia fangchengensis | Camellia fangchengensis | |
| Camellia fansipanensis | Camellia fansipanensis | |
| Camellia fascicularis | Camellia fascicularis | |
| Camellia flava | Camellia flava | |
| Camellia flavida | Camellia flavida | |
| Camellia fleuryi | Camellia fleuryi | |
| Camellia fluviatilis | Camellia fluviatilis | |
| Camellia forrestii | Camellia forrestii | |
| Camellia fraterna | Camellia fraterna | |
| Camellia furfuracea | Camellia furfuracea | |
| Camellia gaudichaudii | Camellia gaudichaudii | |
| Camellia gilbertii | Camellia gilbertii | |
| Camellia glabricostata | Camellia glabricostata | |
| Camellia gracilipes | Camellia gracilipes | |
| Camellia grandibracteata | Camellia grandibracteata | |
| Camellia granthamiana | Camellia granthamiana | 그란담 동백 |
| Camellia grijsii | Camellia grijsii | |
| Camellia gymnogyna | Camellia gymnogyna | |
| Camellia harlandii | Camellia harlandii | |
| Camellia hatinhensis | Camellia hatinhensis | |
| Camellia hekouensis | Camellia hekouensis | |
| Camellia hiemalis | Camellia hiemalis | |
| Camellia honbaensis | Camellia honbaensis | |
| Camellia hongiaoensis | Camellia hongiaoensis | |
| Camellia hongkongensis | Camellia hongkongensis | |
| Camellia hsinpeiensis | Camellia hsinpeiensis | |
| Camellia huana | Camellia huana | |
| Camellia ilicifolia | Camellia ilicifolia | |
| Camellia impressinervis | Camellia impressinervis | |
| Camellia indochinensis | Camellia indochinensis | |
| Camellia ingens | Camellia ingens | |
| Camellia insularis | Camellia insularis | |
| Camellia × intermedia | Camellia × intermedia | |
| Camellia inusitata | Camellia inusitata | |
| Camellia japonica | Camellia japonica | 동백나무, 설동백(별칭) |
| Camellia kissii | Camellia kissii | |
| Camellia krempfii | Camellia krempfii | |
| Camellia kwangsiensis | Camellia kwangsiensis | |
| Camellia lanceolata | Camellia lanceolata | |
| Camellia langbianensis | Camellia langbianensis | |
| Camellia laotica | Camellia laotica | |
| Camellia lawii | Camellia lawii | |
| Camellia leptophylla | Camellia leptophylla | |
| Camellia ligustrina | Camellia ligustrina | |
| Camellia longicalyx | Camellia longicalyx | |
| Camellia longii | Camellia longii | |
| Camellia longipedicellata | Camellia longipedicellata | |
| Camellia longissima | Camellia longissima | |
| Camellia lucii | Camellia lucii | |
| Camellia lutchuensis | Camellia lutchuensis | |
| Camellia luteocerata | Camellia luteocerata | |
| Camellia luteoflora | Camellia luteoflora | |
| Camellia luteopallida | Camellia luteopallida | |
| Camellia luuana | Camellia luuana | |
| Camellia maiana | Camellia maiana | |
| Camellia mairei | Camellia mairei | |
| Camellia maoniushanensis | Camellia maoniushanensis | |
| Camellia megasepala | Camellia megasepala | |
| Camellia melliana | Camellia melliana | |
| Camellia micrantha | Camellia micrantha | |
| Camellia mileensis | Camellia mileensis | |
| Camellia mingii | Camellia mingii | |
| Camellia minima | Camellia minima | |
| Camellia mollis | Camellia mollis | |
| Camellia montana | Camellia montana | |
| Camellia murauchii | Camellia murauchii | |
| Camellia namkadingensis | Camellia namkadingensis | |
| Camellia nematodea | Camellia nematodea | |
| Camellia nervosa | Camellia nervosa | |
| Camellia oconoriana | Camellia oconoriana | |
| Camellia oleifera | Camellia oleifera | 기름동백, 차나무 |
| Camellia pachyandra | Camellia pachyandra | |
| Camellia parviflora | Camellia parviflora | |
| Camellia parvimuricata | Camellia parvimuricata | |
| Camellia paucipunctata | Camellia paucipunctata | |
| Camellia petelotii | Camellia petelotii | 동의어: C. chrysantha, C. nitidissima(황금 동백) |
| Camellia philippinensis | Camellia philippinensis | |
| Camellia pilosperma | Camellia pilosperma | |
| Camellia pingguoensis | Camellia pingguoensis | |
| Camellia piquetiana | Camellia piquetiana | |
| Camellia pitardii | Camellia pitardii | |
| Camellia pleurocarpa | Camellia pleurocarpa | |
| Camellia polyodonta | Camellia polyodonta | |
| Camellia psilocarpa | Camellia psilocarpa | |
| Camellia ptilophylla | Camellia ptilophylla | |
| Camellia pubicosta | Camellia pubicosta | |
| Camellia pubifurfuracea | Camellia pubifurfuracea | |
| Camellia pubipetala | Camellia pubipetala | |
| Camellia pukhangensis | Camellia pukhangensis | |
| Camellia punctata | Camellia punctata | |
| Camellia pyriparva | Camellia pyriparva | |
| Camellia pyxidiacea | Camellia pyxidiacea | |
| Camellia quangcuongii | Camellia quangcuongii | |
| Camellia reflexa | Camellia reflexa | |
| Camellia renshanxiangiae | Camellia renshanxiangiae | |
| Camellia reticulata | Camellia reticulata | |
| Camellia rhytidocarpa | Camellia rhytidocarpa | |
| Camellia rosacea | Camellia rosacea | |
| Camellia rosiflora | Camellia rosiflora | |
| Camellia rosmannii | Camellia rosmannii | |
| Camellia rosthorniana | Camellia rosthorniana | |
| Camellia rubriflora | Camellia rubriflora | |
| Camellia salicifolia | Camellia salicifolia | |
| Camellia saluenensis | Camellia saluenensis | |
| Camellia sasanqua | Camellia sasanqua | |
| Camellia scabrosa | Camellia scabrosa | |
| Camellia sealyana | Camellia sealyana | |
| Camellia semiserrata | Camellia semiserrata | |
| Camellia septempetala | Camellia septempetala | |
| Camellia siangensis | Camellia siangensis | |
| Camellia sinensis | Camellia sinensis | 차나무 |
| Camellia sonthaiensis | Camellia sonthaiensis | |
| Camellia stuartiana | Camellia stuartiana | |
| Camellia subintegra | Camellia subintegra | |
| Camellia synaptica | Camellia synaptica | |
| Camellia szechuanensis | Camellia szechuanensis | |
| Camellia szemaoensis | Camellia szemaoensis | |
| Camellia tachangensis | Camellia tachangensis | |
| Camellia tadungensis | Camellia tadungensis | |
| Camellia taliensis | Camellia taliensis | 차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며, C. sinensis와 유사함 |
| Camellia tenii | Camellia tenii | |
| Camellia thailandica | Camellia thailandica | |
| Camellia thanxaensa | Camellia thanxaensa | |
| Camellia tienyenensis | Camellia tienyenensis | |
| Camellia tomentosa | Camellia tomentosa | |
| Camellia tonkinensis | Camellia tonkinensis | |
| Camellia transarisanensis | Camellia transarisanensis | |
| Camellia trichoclada | Camellia trichoclada | |
| Camellia tsaii | Camellia tsaii | |
| Camellia tsingpienensis | Camellia tsingpienensis | |
| Camellia tuberculata | Camellia tuberculata | |
| Camellia tuyenquangensis | Camellia tuyenquangensis | |
| Camellia uraku | Camellia uraku | |
| Camellia villicarpa | Camellia villicarpa | |
| Camellia viridicalyx | Camellia viridicalyx | |
| Camellia viscosa | Camellia viscosa | |
| Camellia vuquangensis | Camellia vuquangensis | |
| Camellia wardii | Camellia wardii | |
| Camellia xanthochroma | Camellia xanthochroma | |
| Camellia yokdonensis | Camellia yokdonensis | |
| Camellia yunkiangica | Camellia yunkiangica | |
| Camellia yunnanensis | Camellia yunnanensis |
2. 2. 한국의 주요 품종
-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L.
- * 흰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for. ''albipetala'' H.D.Chang
- * 긴잎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for. ''longifolia'' Uyeki
- * 색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for. ''variegata'' Uyeki
- 애기동백나무 ''Camellia sasanqua'' Thunb.
- 차나무 ''Camellia sinensis'' L.
3. 형태 및 생태
동백나무는 상록수(常綠樹) 관목 또는 작은 나무로, 키가 20m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홑잎이며, 두껍고 톱니 모양이고, 보통 광택이 난다.
꽃은 대개 크고 눈에 띄며, 지름이 1~12cm이고, 자연 상태의 동백나무속 종은 5~9개의 꽃잎을 가진다. 꽃 색깔은 흰색, 분홍색, 빨간색 등 다양하다. 진정한 노란색 꽃은 중국 남부와 베트남에서만 발견된다. 차나무 품종은 항상 흰색 꽃이 핀다. 동백나무속 전체의 꽃은 눈에 띄는 노란색 수술 뭉치가 특징이며, 종종 꽃잎 색깔과 대조를 이룬다.[7][8]
열매는 건조한 삭과이며, 때로는 최대 5개의 칸으로 나뉜다. 각 칸에는 최대 8개의 씨앗이 들어 있다.
다양한 동백나무속 식물 종들은 일반적으로 부식토가 풍부한 산성 토양에 잘 적응하며, 대부분의 종은 백악질 토양 또는 기타 칼슘이 풍부한 토양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 대부분의 동백나무속 식물은 또한 자연 강우 또는 관개를 통해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하며, 가뭄을 견디지 못한다. 그러나 일부 특이한 동백나무, 특히 베트남의 카르스트 지형 토양에서 온 종들은 물이 많지 않아도 자랄 수 있다.
동백나무속 식물은 대개 성장 속도가 빠르다. 일반적으로 성숙할 때까지 연간 약 30cm 정도 자라지만, 이는 품종과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르다.
동백나무는 일부 나비목 종 유충의 먹이 식물로 사용된다. 동백나무 잎은 곰팡이 기생충인 ''Mycelia sterile''에 취약하며,[10] mycelia sterile PF1022는 대사 산물인 PF1022A를 생성하는데, 이는 구충제 약물인 에모데프시드를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4. 재배 및 이용
동백나무는 아름다운 꽃 때문에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된다. 3,000여 개의 품종과 교배종이 있으며, 그중 다수는 겹꽃 또는 반겹꽃이다. 재배에서 가장 두드러진 종은 ''C. japonica''로, 2,000개 이상의 품종이 있다. 그 다음으로는 ''C. reticulata''(400개 이상), ''C. sasanqua''(300개 이상) 순이다.[17] 인기 있는 교배종으로는 ''C. × hiemalis'' (''C. japonica'' × ''C. sasanqua'')와 ''C. × williamsii'' (''C. japonica'' × ''C. saluenensis'')가 있다.[17]
동백나무 씨앗에서 추출한 동백기름은 식용, 화장품, 약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머릿기름으로 널리 사용되었다.[11]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은 녹차, 홍차 등 다양한 차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다른 동백나무 종들도 비슷한 음료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C. sasanqua'' 잎으로 만든 차가 인기 있다. ''C. oleifera'', ''C. japonica'' 등 여러 종의 씨앗에서 차씨 기름을 추출하는데, 이는 동아시아, 특히 중국 남부에서 중요한 식용유로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츠바키 오일(椿油) 또는 츠바키아부라(椿油일본어)라고 불리는 ''C. japonica'' 씨앗에서 추출한 동백 오일을 전통적으로 모발 관리에 사용했다.[11] ''C. japonica'' 식물은 전통적인 소염제 제조에도 사용된다.[12]
일본에서 동백나무는 아주 오래전부터 정원수로 이용되었으며, 에도 시대에는 많은 품종이 만들어졌다. 18세기에는 유럽 및 미국으로 건너가 '서양 동백'이라고 불리는 화려한 꽃 모양의 품종이 많이 만들어졌다. 19세기에 서양으로 건너간 일본의 츠바키, 중국의 덩굴 츠바키, 살윈 츠바키 등을 바탕으로 서양의 미의식에 따라 품종 개량된 서양 츠바키는 겹꽃, 모란 피기, 사자 피기 등의 대~극대륜, 화려한 꽃모양의 것이 많다. 반면 현대 일본에서는 소~중륜의 홑겹 피기 품종을 선호하는 사람이 많다.
4. 1. 재배
동백나무는 아름다운 꽃을 감상하기 위한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된다. 약 3,000개의 품종과 교배종이 있으며, 그중 다수는 겹꽃 또는 반겹꽃이다. ''C. japonica''는 재배에서 가장 두드러진 종으로, 2,000개 이상의 품종이 있다. 다음으로 ''C. reticulata'' (400개 이상), ''C. sasanqua'' (300개 이상) 순이다. 인기 있는 교배종으로는 ''C. × hiemalis'' (''C. japonica'' × ''C. sasanqua'')와 ''C. × williamsii'' (''C. japonica'' × ''C. saluenensis'')가 있다.[17]동백나무는 이른 개화 시기로 인해 높이 평가받으며, 늦겨울에 가장 먼저 피는 꽃 중 하나인 경우가 많다. 늦은 서리는 꽃봉오리를 손상시켜 기형적인 꽃을 초래할 수 있다.[17]
꽃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 단엽 (평평하거나, 사발 또는 컵 모양)
- 반겹 (큰 바깥쪽 꽃잎의 열, 중앙은 혼합된 꽃잎과 수술로 구성)
- 겹:
- 작약형 (숨겨진 수술이 있는 불규칙한 꽃잎과 꽃잎 모양의 볼록한 덩어리)
- 아네모네형 (하나 이상의 바깥쪽 꽃잎 열, 중앙에 혼합된 꽃잎 모양과 수술)
- 장미형 (열린 상태에서 오목한 중앙에 수술을 나타내는 겹쳐진 꽃잎)
- 정식 겹 (겹쳐진 꽃잎의 열과 숨겨진 수술)
4. 2. 이용
동백나무 씨앗에서 추출한 동백기름은 식용, 화장품, 약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머릿기름으로 널리 사용되었다.[11]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은 녹차, 홍차 등 다양한 차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다른 동백나무 종들도 비슷한 음료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C. sasanqua'' 잎으로 만든 차가 인기 있다.''C. oleifera'', ''C. japonica'' 등 여러 종의 씨앗에서 차씨 기름을 추출하는데, 이는 동아시아, 특히 중국 남부에서 중요한 식용유로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츠바키 오일(椿油) 또는 츠바키아부라(椿油일본어)라고 불리는 ''C. japonica'' 씨앗에서 추출한 동백 오일이 전통적으로 모발 관리에 사용되었다.[11] ''C. japonica'' 식물은 전통적인 소염제 제조에도 사용된다.[12]
동백나무는 목재, 염료, 약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일본에서 동백나무는 아주 오래전부터 정원수로 이용되었으며, 에도 시대에는 많은 품종이 만들어졌다. 18세기에는 유럽 및 미국으로 건너가 '서양 동백'이라고 불리는 화려한 꽃 모양의 품종이 많이 만들어졌다.
; 향기 동백
: 향기가 별로 없는 동백나무와 산다화 중에서 남서 제도 원산의 히메사잔카에는 향기가 있다. 하지만, 꽃이 작기 때문에 다른 종류와 교배하여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것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구할 수 있는 품종으로는 요코하마의 무라타가 만든 미나토 시리즈(미나토의 새벽, 미나토의 봄, 미나토의 벚꽃), 하치오지의 키리노 아키토요가 만든 타카오의 향기 등이 있다. 동백나무는 붉은색이 주를 이루고 색깔이 화려하기 때문에, 새나 벌레를 유인하기 위해 향기가 있을 필요가 없어 향기가 없다는 설이 있다. 다만, 야부동백과 설동백 계통에도 향기를 가진 개체가 있다(미즈요시 등).
; 노란 동백
: 중국 남부에서 베트남에는 노란 꽃을 피우는 원종이 있다. 이 성질을 도입하기 위해 기존 품종과의 교배가 진행되고 있다.[31] 먼 친척 종끼리의 교배 때문에 배(胚) 배양을 통해 정상적으로 생육하지 않는 잡종 배를 길러서 만들어진 품종도 있다(코가네유리 등). 이 때문에, "노란색"(원종에는 미치지 못함) 잡종끼리 교배해서 만들어진, 노란색 원종에서 보면 F2 이후의 품종은 아직 적고, 만들어졌다 해도 반드시 노란색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도 있다(유우엔 등).
19세기에 서양으로 건너간 일본의 츠바키, 중국의 덩굴 츠바키, 살윈 츠바키 등을 바탕으로 서양의 미의식에 따라 품종 개량된 것. 현대 일본에서는 오히려 소~중륜의 홑겹 피기 품종을 선호하는 사람이 많은 것에 비해 (고전 품종에 겹꽃, 모란 피기, 사자 피기 등의 화려한 꽃이 많은 것으로 보아, 과거에는 일본에서도 홑겹 피기 품종만이 편중된 것은 아니었다), 서양 츠바키는 겹꽃, 모란 피기, 사자 피기 등의 대~극대륜, 호화로운 꽃모양의 것이 많다.
5. 역사
동백나무는 유럽에 처음 알려지기 수세기 전부터 이미 중국 정원에서 재배되었다. 독일 식물학자 엥겔베르트 켐퍼는[14] 동백나무를 "일본 장미"라 부르며, 숲과 울타리에서 야생으로 자라지만 정원을 위해 많은 우수한 품종이 선택되었다고 기록했다. 유럽인들은 중국 그림 벽지에 그려진, 도자기 화분에 심어진 동백나무 모습을 처음 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739년 영국에서 처음으로 살아있는 동백나무가 관찰되었는데, 로버트 제임스, 로드 페트르가 손던 홀 정원에서 붉은색과 흰색 동백나무를 재배하여 꽃을 피웠다. 그의 정원사 제임스 고든은 1743년 로드 페트르의 갑작스러운 사망 이후 런던 근처 마일 엔드에 묘목장을 설립, 동백나무를 상업적으로 처음 소개했다.[15]
18세기 후반 차 무역 확장과 함께 영국 동인도 회사를 통해 새로운 품종들이 영국에 수입되기 시작했다. 1792년 이 회사의 존 슬레이터는 흰색과 줄무늬 붉은색의 겹꽃 동백나무를 처음 들여왔다. 동인도 선박을 통해 수입된 다른 동백나무는 정원사들의 후원자와 관련이 있었다. 1794년 로버트 프레스턴 경을 위한 겹붉은색 동백나무, 1806년 애브라함 흄 경 부인 아멜리아를 위한 옅은 분홍색 "레이디 흄 블러쉬"가 소개되었다. 1797년 존 스티븐스 대령이 미국 뉴저지 호보컨 엘리시안 필드에 동백나무를 도입했다.[16] 1819년까지 영국에서 25개 동백나무가 꽃을 피웠다.
1840년대 동백나무는 고급스러운 꽃으로 유행의 절정에 달했다. 1847년 젊은 나이에 사망한 파리의 고급 창녀 마리 뒤플레시스는 뒤마의 ''La Dame aux camélias''(동백꽃 여인)와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에 영감을 주었다. 그러나 동백나무 유행은 새로운 온실 난초에 밀려 쇠퇴했다.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온화한 기후의 숲 관목으로 다시 인기를 얻었으며, 이는 ''사산카''의 인기 상승과 함께 진행되었다.
일본에서는 아주 오래전부터 동백나무를 정원수로 이용했으며, 에도 시대에 많은 품종을 만들었다. 18세기에는 유럽 및 미국으로 건너가 '서양 동백'이라 불리는 화려한 꽃 모양 품종이 많이 만들어졌다.
동백나무 씨앗에서 채취하는 동백기름은 화장품이나 식용으로 이용된다.
6. 문화적 의미
동백꽃은 변치 않는 사랑, 기다림, 절개 등을 상징한다. 한국의 전통 예술 작품에서 동백꽃은 아름다움과 순결을 상징하는 소재로 자주 등장한다.
| 도시 | 주 |
|---|---|
| 그린빌 | 앨라배마 주 |
| 새크라멘토 | 캘리포니아 주 |
| 포트월턴비치 | 플로리다 주 |
| 슬리델 | 루이지애나 주 |
| 맥콤 | 미시시피 주 |
| 뉴버그 | 오리건 주 |
- 조지아 주 톰슨은 "남부의 동백 도시"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의 소설 "동백 아가씨"에서 동백꽃은 주인공의 비극적인 사랑을 상징한다.
- 뉴질랜드 여성 참정권 운동의 상징은 흰 동백꽃이었으며, 뉴질랜드 10달러 지폐에 등장한다.

뉴질랜드 여성 참정권 운동가의 초상. 모델은 여성의 권리 신장을 지지하는 상징인 흰색 동백꽃을 착용하고 있다. - 일본에서는 동백꽃이 "고귀한 죽음"을 상징하기도 한다.
- 브라질에서 동백은 제국 시대 동안 노예 폐지 운동의 상징이었다.[30]
7. 보존
서식지 파괴로 인해, 여러 동백나무 종이 자연 분포 지역에서 희귀해졌다. 이 중 하나가 앞서 언급된 ''C. reticulata''인데, 원예 및 기름 생산을 위해 수천 그루가 상업적으로 재배되지만, 자연 분포 지역에서는 위협 종으로 간주될 정도로 희귀하다.[10]
참조
[1]
OED
camellia
[2]
MW
camellia
[3]
간행물
The Genus ''Camellia'' (Theaceae) in Malesia
https://www.nparks.g[...]
1990-03
[4]
간행물
The Dataset of Camellia Cultivars Names in the World
2021-01-19
[5]
웹사이트
International Camellia Register-Camellia, Cultivars, Species, Photos
https://camellia.ifl[...]
2023-02-11
[6]
간행물
Ex epistulis Philippinensibus: Georg Joseph Kamel SJ (1661–1706) and His Correspondence Network
https://www.reposito[...]
2015-11
[7]
서적
The True History of Tea
Thames & Hudson
[8]
웹사이트
Flowers of Camellias
http://www.hortic.co[...]
The International Camellia Society
[9]
간행물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Flower Morphology in the Genus ''Camellia'', with a Focus on the Section ''Camellia''
https://tohoku.repo.[...]
Field Science Center, Graduate School of Agricultural Science, Tohoku University
2023
[10]
간행물
Mechanisms of action of emodepside
2005
[11]
웹사이트
How to Use Japanese Camellia (Tsubaki) Oil
http://wawaza.com/pa[...]
[12]
간행물
Natural anti-inflammatory terpenoids in Camellia japonica leaf and probable biosynthesis pathways of the metabolome
2020-08-27
[13]
뉴스
Camellia nanningensis sp. nov.: the earliest fossil wood record of the genus Camellia (Theaceae) from East Asia
2016-09
[14]
서적
Amoenitates exoticae
1712
[15]
서적
1964
[16]
간행물
Curtis' Botanical Magazine, Volume X
The New York Botanical Garden
1797
[17]
서적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18]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Camellia 'Cornish Snow' (cuspidata × saluenensis) AGM / RHS Gardening
https://www.rhs.org.[...]
Apps.rhs.org.uk
2020-04-17
[19]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Camellia 'Cornish Spring' (cuspidata × japonica) AGM / RHS Gardening
https://www.rhs.org.[...]
Apps.rhs.org.uk
2020-04-17
[20]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Camellia 'Francie L' AGM / RHS Gardening
https://www.rhs.org.[...]
Apps.rhs.org.uk
2020-04-17
[21]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Camellia 'Freedom Bell' AGM / RHS Gardening
https://www.rhs.org.[...]
Apps.rhs.org.uk
2020-04-17
[22]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Camellia 'Inspiration' (reticulata × saluenensis) AGM / RHS Gardening
https://www.rhs.org.[...]
Apps.rhs.org.uk
2020-04-17
[23]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Camellia 'Leonard Messel' (reticulata × williamsii) AGM / RHS Gardening
https://www.rhs.org.[...]
Apps.rhs.org.uk
2020-04-17
[24]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Camellia 'Royalty' (japonica × reticulata) AGM / RHS Gardening
https://www.rhs.org.[...]
Apps.rhs.org.uk
2020-04-17
[25]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Camellia 'Spring Festival' (cuspidata hybrid) AGM / RHS Gardening
https://www.rhs.org.[...]
Apps.rhs.org.uk
2013-04-29
[26]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Camellia 'Tom Knudsen' (japonica × reticulata) AGM / RHS Gardening
https://www.rhs.org.[...]
Apps.rhs.org.uk
2020-04-17
[27]
웹사이트
"''Camellia'' 'Tristrem Carlyon'"
https://www.rhs.org.[...]
RHS
2020-04-12
[28]
웹사이트
"''Camellia'' L."
http://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1
[29]
웹사이트
State Flower of Alabama
http://www.archives.[...]
Alabama Department of Archives and History
2014-02-06
[30]
웹사이트
Camellia: The "Winter's Rose"
https://www.spnanyc.[...]
Stuyvesant Park Neighborhood Association
2022-08-10
[31]
서적
最新日本ツバキ図鑑
誠文堂新光社
[32]
서적
最新日本ツバキ図鑑
[33]
서적
山茶属植物主要原種彩色図集
浙江科学技術出版社刊
[34]
서적
Camellias The Gardener's Encyclopedia
Timber Press
[35]
이미지
wフラボン
http://www.alpine-pl[...]
[36]
서적
最新日本ツバキ図鑑
[37]
간행물
黄花ツバキの系譜と育種の現状
http://www.keisen.ac[...]
恵泉女学園大学園芸文化研究所
2006
[38]
도감
山茶属植物主要原種彩色図集
[39]
도감
山茶属植物主要原種彩色図集
[40]
서적
幻の植物を求めて 夏に咲くツバキ -四季咲きのカメリア・アザレア-
NHK出版
2012-11
[41]
도감
山茶属植物主要原種彩色図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