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쿠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부쿠올은 육식성 유대류의 일종으로, 몸길이 48~66cm, 몸무게 0.7~1.1kg 정도의 작은 동물이다. 뾰족한 주둥이와 흰색 반점이 있는 털을 가지고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지역에 서식했으나, 현재는 태즈메이니아 섬에 주로 분포하며, 본토에서는 멸종되었다. 야행성 단독 생활을 하며 곤충, 작은 포유류 등을 잡아먹고, 번식기는 초겨울이며 2~3년 정도 산다. 붉은 여우와 고양이의 포식, 질병 등으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해 있으며, 호주 본토 재도입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래종 침입으로 인한 절멸위기종 - 뿔쇠오리
몸길이 24~25cm의 작은 바닷새인 뿔쇠오리는 번식기에 머리에 뿔 모양 깃털이 자라며, 북서 태평양에 서식하고 어류 등을 먹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국제적인 멸종위기종 및 한국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외래종 침입으로 인한 절멸위기종 - 남부주머니두더지
오스트레일리아 사막에 사는 남부주머니두더지는 모래 속에서 굴을 파며 곤충을 먹고 사는 유대류 동물로, 수렴 진화의 사례이자 원주민 문화와 관련이 있으며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 - 1800년 기재된 포유류 - 애기웜뱃
애기웜뱃은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와 동부에 서식하며 튼튼한 체형과 다양한 색깔을 지닌 웜뱃의 일종으로, 굴을 파는 습성 때문에 '생태계 엔지니어'라고도 불리며, 초식 생활을 하고 정육면체 모양의 똥을 배설하는 특징이 있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 1800년 기재된 포유류 - 벵골여우
인도 아대륙에 서식하는 벵골여우는 황갈색에서 은회색 털, 길쭉한 주둥이, 뾰족한 귀, 숱 많은 꼬리를 가진 작은 여우로, 서식지 파괴와 질병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IUCN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된다. - 조지 쇼가 명명한 분류군 - 키위 (새)
키위는 뉴질랜드를 상징하는 날지 못하는 조류로, 야행성이며 후각과 촉각이 발달했고, 5종으로 분류되며 뉴질랜드의 국조로 사용되고 개체 수 감소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조지 쇼가 명명한 분류군 - 오리너구리
오리너구리는 오스트레일리아 동부와 태즈메이니아섬에 서식하며 오리 주둥이, 비버 꼬리, 수달 발을 가진 독특한 외형의 반수생 단공목 포유류로, 하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동부쿠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Dasyurus viverrinus |
명명자 | 쇼, 1800 |
속 | 쿠올속 Dasyurus |
종 | viverrinus |
영어 이름 | Eastern quoll |
한국어 이름 | 동부쿠올, 주머니고양이 |
분포 | |
![]() | |
보전 상태 | |
IUCN | 멸종 위기 (EN) |
EPBC | 멸종 위기 (EN) |
추가 정보 | |
외부 링크 | Dasyurus viverrinus — Eastern Quoll, Luaner Eastern Quoll |
2. 분류
동부쿠올은 대부분의 육식성 유대류를 포함하는 과에 속한다. 종명인 ''viverrinus''는 viverrinus|족제비와 같은la을 의미한다.[7] 인정되는 아종은 없다.
동부쿠올은 작은 집고양이 크기로, 다 자란 수컷은 전체 길이가 53cm에서 66cm이고 꼬리 길이는 20cm에서 28cm이며 평균 몸무게는 1.1kg이다. 암컷은 훨씬 작아서 전체 길이가 48cm에서 58cm이고 꼬리 길이는 17cm에서 24cm이며 몸무게는 약 0.7kg이다. 뾰족한 주둥이, 짧은 다리, 꼿꼿한 귀를 가지고 있다. 뒷발에는 발가락이 네 개뿐이며, 무지가 없다는 점에서 다른 모든 쿠올 종과 구별된다.[8]
동부쿠올은 이전에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해안에서 빅토리아 대부분을 거쳐 뉴사우스웨일스 중북부 해안에 이르기까지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본토의 상당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이 종은 이전에 애들레이드 주변, 특히 애들레이드 힐스에서 흔했다.[10] 1923년 신문 기사에서는 이전 10년 동안 이 지역에서 급격한 감소와 추정되는 멸종을 언급했다.[11]
동부쿠올은 야행성이며 단독으로 먹이 활동을 하는 포식자로, 곤충, 작은 포유류, 조류, 파충류를 사냥한다.[13][14] 훨씬 큰 태즈메이니아 데빌의 먹이를 찾아다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식단의 대부분은 육류로 구성되어 있지만, 여름에는 과일, 일년 내내 풀을 포함한 약간의 채소도 섭취한다.[13] 동부쿠올 자체는 태즈메이니아 데빌과 가면 올빼미의 먹이가 된다.[8]
번식기는 초겨울에 시작된다. 발정 주기는 34일 동안 지속되지만, 대부분의 개체는 연중 첫 주기 동안 짝짓기를 한다.[17] 암컷은 5월 하순부터 6월 상순에 교미를 하며,[32] 19일에서 24일의 임신 기간 후에[18] 한 번에 20 - 27마리의 새끼를 낳는다.[32] 최대 30마리의 새끼를 낳지만,[18] 젖꼭지 수가 6개로 제한되어 있어 이 중, 사용 가능한 젖꼭지에 먼저 붙는 새끼 6마리만이 생존하고 나머지는 사망한다.[19][32] 새끼는 60일에서 65일 동안 젖꼭지에 붙어 있으며, 약 51일경에 털이 나기 시작하고, 약 79일경에 눈을 뜨며, 150일에서 165일경에 완전히 젖을 뗀다. 생후 7주 동안 육아낭에서 생활한다.[32] 첫 해에 성적으로 성숙하며,[8] 생후 1년이면 성적으로 성숙한다.[32] 일반적으로 2~3년 동안 살지만, 사육 상태에서는 최대 7년까지 살 수 있다.[8]
고양이, 붉은여우의 포식 및 감염병 전파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했으며, 불법 덫에 의한 사냥, 교통사고 등의 영향도 우려되고 있다.[30] 오스트레일리아 대륙부에서는 멸종되었다.[30] 최근 붉은여우가 태즈메이니아 섬에도 침입하면서 그 영향이 우려되고 있다.[30]
3. 형태
흰색 반점이 덮인 두꺼운 털을 가지고 있으며, 털 색깔은 옅은 황갈색 또는 거의 검은색일 수 있고, 턱에서 꼬리 밑면까지 옅은 흰색의 아랫부분을 가지고 있다. 황갈색과 검은색 개체가 같은 배에서 태어날 수 있지만, 생존 개체군에서는 황갈색 개체가 검은색 개체보다 약 3배 더 흔하다. 반점의 크기는 5mm에서 20mm이며 머리 꼭대기에서 엉덩이까지 몸통 윗부분과 옆구리에 분포하지만, 다른 쿠올 종과는 달리 꼬리까지 이어지지는 않는다.[8]
암컷은 피부 측면 주름으로 형성된 비교적 얕은 털로 덮인 주머니를 가지고 있다. 이 주머니는 번식기 동안 커지며 6~8개의 젖꼭지를 포함하고 있는데, 새끼 중 하나가 젖꼭지에 붙어있을 때만 길어지고 기능하게 되며, 주머니를 떠난 후에는 다시 작아진다. 모든 쿠올과 마찬가지로, 수컷의 음경에는 특이한 살로 된 부속물이 있다. 동부쿠올의 큰 창자는 비교적 단순하며, 맹장이 없고, 대장과 직장으로 나뉘지 않는다.[8] 동부쿠올의 특이한 특징은 모든 유대류에서 발견되는 심방을 연결하는 것 외에도, 신생 새끼의 심장 심실을 연결하는 구멍이 있다는 것이다. 두 구멍 모두 며칠 후에 닫힌다.[9]수컷 암컷 두동장(체장) 32cm - 45cm | 28cm - 40cm 몸무게 850g - 1550g | 700g - 1100g
체색은 검은색이나 회색이며 불규칙하게 흰 반점이 있다.[32] 꼬리에는 반점이 없다.[32] 젖꼭지 수는 6개이다.[32]
4. 분포 및 서식지
1960년대 초까지 본토 전체에서 기능적으로 멸종된 것으로 보이지만, 태즈메이니아와 브루니 섬에서는 광범위하게 서식하지만 드문드문 발견된다. 태즈메이니아 내에서 동부쿠올은 1500m 이하의 우림, 황무지, 고산 지역 및 관목 숲에 서식한다. 그러나 농경지로 둘러싸인 건조 초원과 숲 모자이크를 선호하며, 특히 목초지 유충이 흔한 곳을 선호한다.[12] 오스트레일리아(태즈메이니아 주)[30], 뉴사우스웨일스 주, 빅토리아 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에서는 멸종되었다.[30]
모식 표본의 산지(모식 산지)는 시드니(뉴사우스웨일스 주)이다.[31]
5. 생태
낮에는 굴에서 휴식을 취하지만, 자연 암석 틈새나 속이 빈 나무줄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굴은 종종 단순한 막다른 터널에 불과하지만, 때로는 풀로 덮인 하나 이상의 둥지 방을 포함하여 더 복잡하기도 하다. 각 개체는 여러 개의 굴(보통 5개 이하)을 사용하며, 서로 다른 날에 번갈아 가며 사용한다.[8]
단독 생활을 하며 서로를 피하는 경향이 있지만, 느슨한 '이웃'을 형성할 수 있다.[16] 활동 영역은 일반적으로 암컷의 경우 35ha이고 수컷의 경우 44ha이며, 후자는 번식기 동안 극적으로 증가한다. 영역은 냄새 표시가 되어 있지만, 배설물은 특정 배설구에 배치되기보다는 무작위로 분포된다. 또한 성체는 쉿 소리를 내고 기침 소리를 내어 침입자를 막고, 경고 신호일 수 있는 날카로운 비명을 지른다. 침입자가 신속하게 떠나지 않으면 공격적인 행동이 뒷다리로 서서 턱으로 쫓고 씨름하는 것으로 확대된다. 어미와 새끼는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더 부드러운 소리를 낸다.[8]
열대 우림이나 관목림(히스 지대)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지만, 농경지로 둘러싸인 건조한 초원이나 모자이크 형태의 숲을 선호한다.[30] 주로 곤충을 먹지만, 조류, 토끼류와 반디쿠트류 등의 포유류, 도마뱀과 소형 코브라과 등의 파충류, 어류, 지렁이, 동물의 사체, 과실 등도 먹는다.[30] 먹이의 뒷머리를 물어 잡는다.[32]
6. 번식
7. 인간과의 관계
8. 보존
동부쿠올은 붉은여우의 포식으로 인해 호주 본토에서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질병 또한 개체 수 감소의 잠재적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태즈메이니아에 여우가 없다는 점이 이 종의 생존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계절에 맞지 않는 기상 이변과 야생 고양이의 포식 또한 태즈메이니아에서 최근[20]에 일어났고, 지속되고 있을[21] 가능성이 있는 개체 수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종은 현재 IUCN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다.[2]
고양이, 붉은여우의 포식 및 감염병 전파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했으며, 불법 덫에 의한 사냥, 교통사고 등의 영향도 우려되고 있다.[30] 오스트레일리아 대륙부에서는 멸종되었다.[30] 최근 붉은여우가 태즈메이니아 섬에도 침입하면서 그 영향이 우려되고 있다.[30]
8. 1. 호주 본토 재도입
본토에서 마지막으로 발견된 동부쿠올 표본은 1963년 1월 31일 시드니 보클루즈 닐슨 공원에서 로드킬로 수집되었다.[22] 2016년 NSW 국립공원 및 야생동물 서비스에 제공된 박제 표본은 1989년 또는 1990년에 NSW 글로스터 지역에서 수집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는 이 종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본토 멸종 시기인 1960년대보다 더 오래 생존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23] NSW 국립공원 및 야생동물 서비스는 확인되지 않은 수많은 목격담을 보고했으며, 2013년에는 NSW 눙가타 지역에서 이 종이 사진으로 촬영되었다고 보고했다.[24] 2005년과 2008년에 멜버른 서쪽 빅토리아에서 수집된 표본은 인근 야생 동물 보호 구역에서 탈출했거나, 해당 시설에서 탈출한 동물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25]
2003년, 동부쿠올은 빅토리아주 마운트 로스웰에 있는 마운트 로스웰 생물 다양성 해석 센터의 473ha 규모의 여우 방지 울타리가 쳐진 보호 구역에 재도입되었다.
2016년 3월,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의 멀리건스 플랫 숲 보호구역에서는 마운트 로스웰(빅토리아 주)과 태즈메이니아에서 온 동부쿠올 16마리를 재도입하는 시험이 진행되었다. 멀리건스 플랫은 포식자 방지 보호 울타리로 둘러싸인 485ha의 공공 보호구역이다. 첫 번째 시험에서 개체 생존율은 28.6%였으며, 사망 원인의 대부분은 포식자 방지 울타리 밖으로 흩어진 수컷과 관련이 있었다. 적응적 관리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두 번째 및 세 번째 시험에서는 육아낭을 가진 암컷만 방사했는데, 이는 생존율 증가로 이어졌다(2017년 76.9%, 2018년 87.5%).[6][26]
2018년 3월, 사육된 동부쿠올 20마리가 뉴사우스웨일스 남부 해안의 부데리 국립공원에 시범적으로 방사되었다. 국립공원은 울타리가 없었지만, 동부쿠올 재도입을 위해 붉은 여우 미끼 살포를 실시했다. 그러나 붉은 여우의 포식, 애완견의 공격, 도로에서의 사망 등으로 인해 창립 개체 중 생존한 개체는 없었다.[27] 2019년에는 동부쿠올 40마리가 두 번째로 방사되었지만, 2021년 초까지 생존한 개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28]
2020년 9월, 동부쿠올은 400ha 규모의 여우 방지 울타리가 설치된 바링턴 야생동물 보호구역인 오지 아크로 재도입되었다.[29]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Dasyurus viverrinus''"
2021-11-19
[3]
웹사이트
Dasyurus viverrinus — Eastern Quoll, Luaner
http://www.environme[...]
Department of Agriculture, Water and the Environment
2021
[4]
논문
Does the 'extinct' eastern quoll (Dasyurus viverrinus) persist in Barrington Tops, New South Wales?
https://www.publish.[...]
2016-11-25
[5]
웹사이트
Eastern Quoll
https://www.mtrothwe[...]
2022-10-11
[6]
논문
Adapting reintroduction tactics in successive trials increases the likelihood of establishment for an endangered carnivore in a fenced sanctuary
2020-06-29
[7]
서적
The Mammals of Australia
Reed Books
[8]
논문
Dasyurus viverrinus
https://bioone.org/j[...]
2021-07-14
[9]
논문
Central cardiovascular shunts in the perinatal marsupial
[10]
뉴스
MAMMALS OF THE NEIGHBOUR HOOD OF ADELAIDE.
http://nla.gov.au/nl[...]
2020-09-08
[11]
뉴스
IS THE NATIVE CAT EXTINCT?
http://nla.gov.au/nl[...]
2020-09-05
[12]
논문
Niche differentiation among sympatric Australian dasyurid carnivores
[13]
논문
Diet of the eastern native-cat, ''Dasyurus viverrinus'' (Shaw), in southern Tasmania
[14]
논문
Diet overlap and abundance of sympatric dasyurid carnivores: a hypothesis of competition
[15]
논문
Body temperatures of Tasmanian devils (''Sarcophilus harrisii'') and eastern quolls (''Dasyurus viverrinus'') through an alpine winter
https://espace.libra[...]
2020-08-30
[16]
논문
Ecology of the eastern quoll Dasyurus viverrinus (Dasyrudae: Marsupialia)
https://www.proquest[...]
1983
[17]
논문
Aspects of reproduction in the male eastern quoll, ''Dasyurus viverrinus'' (Shaw) (Marsupialia: Dasyuridae), with notes on polyestry in the female
[18]
서적
Eastern Quoll, Dasyurus viverrinus
in 'The Mammals of Australia'
[19]
문서
Mammals
Dorling Kindersley Limited, London
[20]
논문
Evidence of rapid population decline of the eastern quoll (Dasyurus viverrinus) in Tasmania
https://www.publish.[...]
2013-06-24
[21]
논문
Regional patterns of continuing decline of the eastern quoll†
https://www.publish.[...]
2022-09-20
[22]
웹사이트
Eastern Quoll
http://www.amonline.[...]
Australian Museum
2007-02-12
[23]
논문
Does the 'extinct' eastern quoll (Dasyurus viverrinus) persist in Barrington Tops, New South Wales?
https://www.publish.[...]
2016-11-25
[24]
논문
Targeted survey for the eastern quoll (
https://www.publish.[...]
[25]
웹사이트
Victorian Eastern Quoll Specimens
http://wherelightmee[...]
2018-03-15
[26]
서적
Global conservation translocation perspectives 2021: Case studies from around the globe.
https://portals.iucn[...]
IUCN SSC Conservation Translocation Specialist Group
[27]
웹사이트
Fewer than half of quolls survive first three months after landmark return to Australian mainland
https://www.abc.net.[...]
2022-11-11
[28]
뉴스
A 'risky operation', a group of dead quolls and a plan for the future of Aussie predators
https://www.abc.net.[...]
2022-10-11
[29]
웹사이트
Record numbers of eastern quoll joeys born at Barrington Wildlife Sanctuary
https://www.abc.net.[...]
2022-11-11
[30]
간행물
"''Dasyurus viverrinus''"
https://doi.org/10.2[...]
[31]
서적
Order Dasyuromorphi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2]
서적
夜行性で冬に繁殖する フクロネコとオオフクロネコ
朝日新聞社
[33]
간행물
[34]
저널 인용
"''Dasyurus viverrinus''"
http://www.iucnredli[...]
IUCN
2016-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