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아프리카뜀토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아프리카뜀토끼(Pedetes surdaster)는 1997년 유전적, 형태학적, 행동학적 차이에 근거하여 남아프리카뜀토끼와 구별되어 별도의 종으로 기재되었다. 남아프리카 뜀토끼와 달리 두 번째와 세 번째 경추가 융합되어 있으며, 염색체 수에도 차이가 있다. 중간 갈색을 띠고, 크고 꼿꼿한 귀, 짧은 앞다리와 긴 뒷다리, 긴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최대 2m까지 도약한다. 케냐 중부와 남부, 탄자니아 대부분 지역에서 발견되며, 해발 2,000m까지 서식한다. 야행성 동물로 준건조 초원에서 식물의 녹색 부분, 뿌리, 곤충 등을 먹고 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뜀토끼과 - 날쥐
    날쥐는 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사는 캥거루와 비슷한 외형의 야행성 동물로, 뒷다리와 꼬리를 이용해 도약하며 굴을 파고 살고, 생물 발광성 털과 제한적인 귀 조직 재생 능력을 가진다.
  • 1902년 기재된 포유류 - 멕시코큰깔때기귀박쥐
    멕시코큰깔때기귀박쥐는 멕시코 등 중미 지역에서 발견되는 작은 박쥐로, 옅은 오렌지색-갈색 털과 검은색 가장자리가 있는 크림색 귀를 가지며, 동굴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관광객의 동굴 훼손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 1902년 기재된 포유류 - 히스파니올라큰깔때기귀박쥐
    히스파니올라큰깔때기귀박쥐는 히스파니올라 섬에 서식하며 멕시코깔때기귀박쥐와 유사하지만 더 큰 몸집을 가진 깔때기귀박쥐과의 일종으로, 동굴과 속이 빈 나무에서 서식하는 식충성 동물이며, 서식지인 동굴의 취약성으로 인해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준위협으로 분류된다.
동아프리카뜀토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케냐 암보셀리 국립공원의 동아프리카뜀토끼
케냐 암보셀리 국립공원의 동아프리카뜀토끼
학명Pedetes surdaster
명명자Thomas, 1902년
멸종위기등급최소 관심
멸종위기등급_기준IUCN3.1
멸종위기등급_출처IUCN 적색 목록
뜀토끼속
분포
동아프리카뜀토끼 분포 (색상으로 표시)
동아프리카뜀토끼 분포 지역
이명

2. 분류학

동아프리카뜀토끼 (Pedetes surdaster)의 경추, 선천성 경추 융합.


동아프리카뜀토끼는 1997년 매티(Matthee)와 로빈슨(Robinson)에 의해 남아프리카뜀토끼(''P. capensis'')와는 다른 별도의 종으로 처음 기재되었다.[10][3] 이 분류는 유전학, 형태학, 그리고 동물행동학적 차이에 근거한다.[10][3]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염색체 수인데, 동아프리카뜀토끼는 2n=40개의 염색체를 가지는 반면, 남아프리카뜀토끼는 2n=38개를 가진다.[11][4] 또한, 남아프리카뜀토끼와 달리 동아프리카뜀토끼는 두 번째와 세 번째 경추가 융합되어 있는 형태학적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분류는 2005년 디털렌(Dieterlen)에 의해 다시 확인되었다.[8][1]

2. 1. 형태학적 특징

동아프리카뜀토끼는 작은 캥거루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크기는 토끼(''Oryctolagus cuniculus'') 정도이다. 털 색깔은 중간 갈색이며, 크고 꼿꼿한 귀를 가지고 있다. 앞다리는 매우 짧은 반면, 뒷다리는 길고 강력하다.[5] 이 뒷다리로 최대 약 3.66m까지 도약할 수 있으며, 길고 검은색 털로 가장자리가 덮인 꼬리는 도약 시 균형을 잡는 데 도움을 준다. 앉을 때는 다람쥐처럼 뒷다리로 앉을 수 있다.[6][7]

3. 분포

주로 케냐 중부와 남부 지역, 그리고 탄자니아 대부분 지역에서 발견된다.[8][1] 우간다에서는 케냐 국경 근처의 모로토 산에서 단 한 점의 표본만이 기록된 바 있다.[8][1] 서식 고도는 해수면부터 해발 2000m 이상까지이다.[8][1]

4. 특징

동아프리카뜀토끼는 작은 캥거루와 유사하며, 토끼( Oryctolagus cuniculuslat ) 정도의 크기이다.[5][12] 중간 갈색을 띠며, 크고 쫑긋 세운 귀, 매우 짧은 앞다리와 길고 강력한 뒷다리를 갖고 있다.[5][12] 한 번에 최대 2m까지 도약할 수 있으며,[12] 균형을 잡는 데 사용하는 검은 털이 드리워진 긴 꼬리가 있다.[5][13][14] 다람쥐처럼 뒷다리로 앉을 수 있다.[6][7][13][14]

5. 생태

야행성 동물로, 낮에는 자신이 판 굴 속에서 시간을 보낸다.[8][1] 서식지는 주로 반건조 초원 지대이다.[8][1] 먹이는 주로 식물의 녹색 부분, 뿌리 등 식물성 물질이지만, 가끔 곤충을 먹기도 한다.[12][5]

참조

[1] 웹사이트 IUCN Red List http://www.iucnredli[...]
[2] 웹사이트 Mammal Species of the World https://www.departme[...]
[3] 논문 Mitochondrial DNA phylogeography and comparative cytogenetics of the springhare, Pedetes capensis (Mammalia: Rodentia)
[4]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springhare, Pedetes capensis, based on mitochondrial DNA sequences
[5] 간행물 On ''Dipetalonema manson-bahri'' n.sp., from the Spring-hare, ''Pedetes surdaster larvalis'', with a Note on its Development in Fleas http://journals.camb[...]
[6] 웹사이트 Pedetes surdaster (East African Spring-hare) http://www.worldwild[...]
[7]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8] 웹사이트 IUCN Red List http://www.iucnredli[...]
[9] 웹인용 Mammal Species of the World http://www.bucknell.[...] 2016-12-19
[10] 논문 Mitochondrial DNA phylogeography and comparative cytogenetics of the springhare, Pedetes capensis (Mammalia: Rodentia)
[11]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springhare, Pedetes capensis, based on mitochondrial DNA sequences
[12] 간행물 On ''Dipetalonema manson-bahri'' n.sp., from the Spring-hare, ''Pedetes surdaster larvalis'', with a Note on its Development in Fleas http://journals.camb[...]
[13] 웹인용 Pedetes surdaster (East African Spring-hare) http://www.worldwild[...] 2016-12-19
[14]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