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된장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된장녀는 2000년대 초반에 등장한 신조어로, 주로 과도한 소비 성향을 보이거나 남성에게 의존하는 여성을 비판하는 단어이다. 어원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하며, 2005년 디시인사이드를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처음에는 스타벅스 커피를 즐기는 여성들을 비꼬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이후 명품 소비, 남성에 의존하는 소비 행태 등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 범위가 확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람에 대한 멸칭 - 개똥녀
    2005년 서울 지하철에서 애완견 배설물을 치우지 않은 여성 승객의 사진이 인터넷에 퍼지면서 누리꾼들이 신상 공개와 비난을 쏟아내어 온라인 마녀사냥, 여성혐오, 사생활 침해 등의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인터넷 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한 사건이 개똥녀 사건이다.
  • 사람에 대한 멸칭 - 은박지 모자
  • 대한민국의 성 차별 - 일베저장소
    일베저장소는 디시인사이드 코미디 프로그램 갤러리에서 시작된 온라인 커뮤니티로, 혐오 표현과 극우 성향의 정치적 입장을 특징으로 하며 사회적 갈등과 윤리적 문제점을 야기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대한민국의 성 차별 - 디시인사이드
    디시인사이드는 김유식이 1999년에 개설한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로, 초기에는 디지털 카메라 정보를 다루었으나 다양한 갤러리 생성으로 대형 커뮤니티가 되었고, 독특한 인터넷 문화를 형성했지만 익명성을 기반으로 문제점도 드러냈다.
  • 2000년대 인터넷 문화 - 300 (영화)
    2007년 개봉한 자크 스나이더 감독의 영화 《300》은 프랭크 밀러의 그래픽 노블을 원작으로,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300명의 스파르타 용사들이 페르시아 대군에 맞서는 이야기를 스타일리쉬한 액션과 시각 효과로 묘사하여 흥행에 성공했지만, 역사적 정확성 논란과 페르시아 묘사에 대한 반발을 일으켰다.
  • 2000년대 인터넷 문화 - Dragostea din tei
    "Dragostea din tei"는 몰도바 보이 그룹 O-Zone이 2003년에 발표한 유로댄스 곡으로,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인터넷 밈을 통해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언어로 번안 및 리메이크되어 여러 나라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된장녀
일반 정보
용어속물녀, 된장녀
로마자 표기doenjang nyeo
언어한국어
설명자신의 경제적 능력 이상으로 사치품을 추구하는 여성을 비하하는 속어
어원 및 유래
유래된장찌개를 즐겨 먹는다는 의미가 아닌, 비싼 커피나 수입품을 선호하면서도 자신의 경제적 기반은 부족한 여성을 비꼬는 표현
자신의 경제적 능력은 고려하지 않고 명품이나 비싼 물건을 쫓는 행태를 꼬집는 용어
된장녀의 특징고가의 물건을 소비하면서도 실제로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비판
주로 20대 여성들이 고가의 커피를 마시거나 명품을 사용하는 것을 묘사하며, 이러한 소비 행태를 '된장질'이라고 부르기도 함
된장남된장녀에 대응하는 남성 혐오 표현으로, 여성에게 기대어 사는 남성을 비하하는 용어
사회적 인식 및 비판
사회적 비판여성의 소비 행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반영하며, 성차별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비판 존재
'김치녀'와 유사하게 여성 혐오적인 표현으로 간주되기도 함
긍정적 재해석 시도자신의 만족을 위해 소비하는 여성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존재
'욜로'(YOLO, You Only Live Once)와 같은 트렌드와 연결하여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소비 행태를 옹호하기도 함
대중 문화 속의 된장녀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에서 '된장녀'를 풍자하는 장면이 등장하여 논란이 되기도 함
관련 용어
관련 용어김치녀

2. 어원

'된장녀'라는 단어의 정확한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2000년대 중반 디시인사이드 등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젠장'이 '된장'으로 발음되어 '된장녀'로 불리게 되었다는 설, 똥과 된장도 구분 못하는 무개념을 비판하는 의미에서 유래했다는 설, 스타벅스 커피색을 된장국에 빗대어 만들어졌다는 설 등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8]

1990년대 '야타족', '오렌지족'과 같은 신조어와 함께 등장하여 일부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다가, 2005년 디시인사이드에서 다시 주목받으며 확산되었다. 특히, 스타벅스를 자주 이용하는 여성들의 인터뷰 내용 중 '미국 문화를 즐기러 온다'는 발언이 알려지면서, '된장찌개'와 '스타벅스 커피'의 가격 차이를 비교하며 이들의 허영심을 비꼬는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미국의 '골드 디거(Gold Digger)'와 유사한 의미로, 남성의 재력에 의존하는 여성을 지칭하기도 한다.

3. 의미의 확장

2005년 경향신문의 주간지 주간경향에 스타벅스 커피 전문점에 빠진 2, 30대 여성들에 대한 특집 기사가 실린 후부터 '된장녀'라는 단어가 확산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소득 수준을 넘어서는 명품이나 사치를 선호하는 여성들에게 국한되어 사용되었는데, 점차 남성에게 기대어 자신의 소비 욕구를 채우거나 분별없는 행동을 하는 여성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 범위가 확장되었다는 견해도 있다.[7] 다만 의존적 과소비를 하는 여성에서 단순 사치스러운 여성까지 의미가 확장된 것에서 알 수 있듯 선후 관계가 복잡한 측면은 있다. 확실한 것은 이 단어가 대중적으로 유행했을 때 의미는 '의존적 과소비'를 하는 여성을 뜻하는 것이었고, 그것이 점차 의미가 변질되거나 확장된 것이다.

참조

[1] 뉴스 Gangnam Style, Dissected: The Subversive Message Within South Korea's Music Video Sensation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2-09-17
[2] 웹사이트 Doenjang http://100.naver.com[...]
[3] 웹사이트 The languages with built-in sexism https://www.bbc.com/[...] 2022-01-24
[4] 논문 The Soybean Paste Girl: The Cultural and Gender Politics of Coffee Consumption in Contemporary South Korea https://muse.jhu.edu[...] 2014
[5] 웹사이트 Korean Women Are Starving Themselves to Afford a Cup of Coffee https://www.vice.com[...] 2022-01-25
[6] 웹사이트 "[우리말 톺아보기] ‘김치녀’에서 ‘검찰춘장’까지" https://n.news.naver[...] Hankook Ilbo 2024-03-16
[7] 뉴스 된장녀 속에 비친 여성관 http://www.hani.co.k[...] 한겨레 2006-08-20
[8] 뉴스 스타스벅과 스타벅스 그리고 된장녀 http://www.hani.co.k[...] 한겨레 2006-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