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두루미꽃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루미꽃은 높이 8-15cm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는다. 5-6월에 흰색 꽃이 총상꽃차례로 피며, 잎은 삼각상 심장형이다. 열매는 둥근 장과로 붉게 익으며, 식물 전체에 강심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어 섭취 시 유독하지만 만지는 것은 안전하다. 한국 전역의 높은 산 숲 속에서 자라며, 어린잎은 식용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놀리나아과 - 은방울꽃
    은방울꽃은 흰색 종 모양 꽃을 피우는 다년생 독초로, 아름다운 외관과 향기를 지녔지만 맹독성을 지니고 있으며, 한국 자생종은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 놀리나아과 - 맥문동
    맥문동은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관상용 재배 및 한약재로 사용되며, 뿌리는 자양강장 및 진해 효능이 있고 잎은 난초와 비슷하여 조경용으로도 활용된다.
  • 초본식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초본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두루미꽃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홍릉수목원에서 꽃 핀 두루미꽃 무리 (2009년 4월)
홍릉수목원에서 꽃 핀 두루미꽃 무리 (2009년 4월)
학명Maianthemum bifolium
명명자(L.) F.W.Schmidt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외떡잎식물군
비짜루목
비짜루과
아과놀리나아과
두루미꽃속
두루미꽃

2. 특징

두루미꽃은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8cm-15cm 정도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으며, 잎은 2개씩 달리고 삼각상 심장형이다. 5-6월에 흰색 꽃이 총상꽃차례로 핀다. 꽃받침조각은 4개, 수술은 4개이며 암술대는 짧고 얕게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둥근 장과이며 붉게 익는다.[6]

식물 전체에 강심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어 섭취 시 유독할 수 있으나, 만지는 것은 안전하다고 여겨진다.[4]

두루미꽃 삽화

2. 1. 형태

높이 8cm-15cm의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고, 원줄기는 곧게 서며 털이 없거나 돌기 같은 털이 있다. 잎은 2개씩 달리며 어긋나고 길이 2cm-5cm, 너비 1.5cm-4cm로 삼각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며 총상꽃차례를 이루는데 길이 2cm-3cm이고, 20개 정도의 꽃이 달린다. 작은꽃자루는 길이 3mm-8mm이다. 꽃받침조각은 4개로 타원형이며 길이 2mm 정도이고 뒤로 젖혀져 수평으로 퍼지며 1맥이 있다. 암술대는 짧고 얕게 2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4개이고 꽃받침보다 짧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붉게 익는다.[6]

꽃이 피지 않는 줄기는 보통 왁스성 이 하나 있지만, 꽃이 피는 식물에는 꽃이 피기 전에 시들어 버리는 기저 잎이 하나 있고, 10cm-20cm 높이의 줄기에 번갈아 가며 두 개의 줄기 잎이 생겨나며, 줄기 잎 위에는 많은 별 모양의 흰 꽃이 핀다.[4] 잎은 심장 모양 또는 삼각형이며, 길이 3cm-8cm, 너비 2cm-5cm이며 잎맥에 작은 잔털이 있다. 은 4개의 화피, 4개의 수술을 가지고 있으며, 암술에 두 개의 방이 있다. 꽃은 초봄에서 초여름에 핀다. 이 종은 둥근잎두루미꽃, 큰잎두루미꽃과 함께 4개의 화피를 가진 유일한 종이다. 둥근 모양의 열매에 1~2개의 씨앗이 들어 있으며,[4] 처음에는 녹색 장과이며, 덜 익었을 때는 붉은 반점이 있고, 익으면 완전히 붉게 변한다. 열매를 포함한 식물 전체에는 강심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으며, 섭취 시 몇 그램만으로도 사람에게 유독할 수 있다. 만져도 안전하다고 여겨진다.

3. 분포

한국 전역의 높은 산 숲 속에서 자란다.[6] 주로 부엽토가 풍부한 토양에서, 개방된 숲, 습한 토양, 풀이 무성한 도랑, 덤불 속에서 큰 군락을 이루어 자란다. 반그늘, 배수가 잘 되고 약간 산성인 토양을 선호한다.

4. 쓰임새

한국에서는 어린잎을 살짝 데쳐 양념에 무쳐 먹거나 된장국의 국거리로 쓴다. 데친 뒤 햇볕에 말려 묵나물로도 쓴다.[5]

5. 사진

참조

[1] 간행물 2014-10-17
[2] 서적 New Flora of The British Isles
[3] 웹사이트 Maianthemum bifolium http://linnaeus.nrm.[...] Swedish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0-11-27
[4] 웹사이트 False lily of the valley {{!}} Plants {{!}} Life Habitats https://www.lifehabi[...] 2024-12-12
[5] 서적 느긋하게 친해져도 괜찮아 산나물 421 환크리에이티브컴퍼니 2009-03-18
[6] 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