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자인코리아뮤지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자인코리아뮤지엄은 한국 디자인의 역사를 조망하는 박물관이다. 1876년부터 현재까지의 디자인 발전을 태동기, 정체기, 발아기, 초창기, 발전기, 도약기, 성숙기로 구분하여, 시대별 주요 사건과 디자인의 역할을 설명한다. 개항과 자주독립 국가 상징물의 등장, 일제강점기 한국 전통 공예의 변질, 한국공예시범소의 역할, 정부의 수출주도 정책과 디자인의 제품 반영,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 개최의 영향, 국내외 시장 개방과 디지털화, 디지털산업화와 디자인 위상 강화 등 한국 디자인의 주요 변곡점과 발전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자인 -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대한민국디자인대상은 디자인 산업 진흥과 디자인 경영 성과를 포상하기 위해 1999년에 제정되어 디자인 경영, 디자인 공로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한다.
  • 디자인 - 세계 디자인 수도
    국제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가 디자인을 통한 도시 발전과 시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한 도시를 2년마다 선정하는 세계 디자인 수도는 선정된 도시에서 국제적인 디자인 행사 및 프로그램을 개최하여 디자인의 중요성을 알리고 도시 브랜드를 강화하는 제도이며, 2008년 토리노를 시작으로 2026년 프랑크푸르트 라인마인까지 선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박물관 - 백범김구기념관
    백범김구기념관은 백범 김구 선생의 삶과 사상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기념관으로, 김대중 대통령의 지원과 국민 모금 운동을 통해 2002년 10월 22일에 개관되었으며, 임시정부 관련 유물과 유품, 그리고 김구 선생의 생애를 따라 구성된 전시관을 갖추고 있다.
  • 대한민국의 박물관 -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오륜대 수도원 설립을 기념하여 1982년 개관, 한국 천주교회사 관련 유물 및 전시를 제공하고 2009년 박물관으로 정식 등록되었다.
디자인코리아뮤지엄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디자인코리아뮤지엄 전시실(분당 코리아디자인센터 지하1층)
이름디자인코리아뮤지엄
그림 설명디자인코리아뮤지엄 전시실(분당 코리아디자인센터 지하1층)

2. 태동기 (1876~1910)

대한제국 시기를 포함하는 개항기는 자주독립 국가 상징물과 근대적 인쇄매체가 등장한 시기이다. 국기인 태극기, 조선왕실 및 황실문장인 오얏꽃, 황제를 상징하는 매·독수리, 국토를 상징하는 무궁화 문양이 다양한 매체에서 시각 상징물로 사용되었다. 신문, 잡지 등의 인쇄물은 개화기 신문물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공급하고 사회적 인식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3. 정체기 (1910~1945)

일제강점기에는 한국 전통 공예가 일본의 필요에 의해 급속히 변질되었다. 1908년 설립된 이왕직미술품제작소는 최초로 도안을 도입하는 등 근대적 제작 방식을 보급했지만, 운영 주체가 일본으로 바뀌며 일본 취향의 상품 제작에 주력했다. 임숙재, 이순석, 한홍택 등 1세대 디자이너는 일본 유학 후 국내에 디자인을 소개하고 교육의 기초를 다졌다. 이 시기에 설립된 소규모 기업은 이후 두산, 기아, 유한양행 등 국내 기업의 모태가 되었다.

4. 발아기 (1945~1961)

해방, 6.25 전쟁, 분단이라는 혼란과 열악한 경제 상황 속에서 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발아한 시기이다. 미국 지원으로 운영된 <한국공예시범소(1958.8-1961.2)>는 근대적 디자인 시스템 도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1] 미국 대학 산업디자인학과 연수 프로그램은 한국 디자인 교육의 성과로 이어졌고, 공예산업진흥 사업은 초창기 산업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갖게 했다.[1] 해방 후 설립된 LG, 현대자동차, 아모레퍼시픽 등의 기업은 점차 디자인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1]

5. 초창기 (1961~1976)

정부의 강력한 수출 주도 정책과 기업의 가전제품 국산화로 산업 현장에서 디자인은 본격적으로 제품에 반영되었다. 1970년 설립된 정부 산하 한국디자인진흥원(당시 한국디자인포장센터)은 포장재 디자인 개선으로 수출 산업을 지원하고, 디자인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과 디자인 단체 설립에 직·간접적으로 지원하였다. 국내 최초 TV, 냉장고, 전화기 등의 가전제품과 고유 모델 자동차가 생산되고, 대기업을 중심으로 CI를 도입하여 산업 현장에서 디자인이 본격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하였다.[4]

6. 발전기 (1976~1988)

디자인이 기업, 정책, 교육 등의 영역에서 체계적으로 확립되어 발전한 시기이다. 86 아시안 게임88 서울 올림픽 개최로 시각, 환경, 패션 디자인 등 모든 디자인 분야가 한 단계 더 발전하였다. 디자인계는 한국의 전통 소재를 해석한 디자인으로 국제 행사에서 역량을 선보였고, 산업계는 디자인 부서 규모를 확대하고 CI 작업을 활발하게 진행하며 디자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였다. 대학에서 디자인은 공식 학과로 정착되어 전공이 세분화되고, 다양한 디자인 전문 잡지가 발행되었다.

7. 도약기 (1988~2000)

국내외 시장의 완전 개방화와 매체의 디지털화로 디자인 환경이 변화하였다. 기업은 독자적 브랜드와 디자인 개발로 국제화 시대에 대응하였다. 디자이너는 자율성과 개성을 추구하는 실험적인 소규모 그룹 활동을 중시하고, 디자인전문회사를 설립하여 양적, 질적 성장을 주도하였다. 1993년 세계박람회(대전) 개최, ‘디자인의 날’ 제정, 방송국의 디자인 특별 프로그램 기획 등으로 디자인에 대한 범국민적 인식이 높아졌으나, 1997년 IMF 사태와 디지털콘텐츠 붐으로 디자인 산업의 흐름이 바뀌었다.

8. 성숙기 (2000~)

디지털 산업화와 함께 디자인의 위상이 높아졌다. 디자인계는 2000년 세계그래픽디자인대회와 2001년 세계산업디자인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21세기 새로운 패러다임을 공유하고, 한국의 디자인 역량을 세계에 알렸다. 기업은 디자인경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디자인을 제품의 기획 단계에서 생산, 마케팅, 경영의 모든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다루었다.

참조

[1] 서적 디자인 코리아 :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 2020-06-19
[2] 웹인용 근현대 디자인에 꽂힌…열혈 수집인생 30년 https://www.mk.co.kr[...] 2020-12-21
[3] 웹인용 '디자인코리아뮤지엄' 개관…근현대 시대별 사료 전시 https://view.asiae.c[...] 2020-12-17
[4] 웹인용 내 디자인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디자인코리아뮤지엄 https://www.jungle.c[...] 2020-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