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버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딜버트''는 스콧 애덤스가 그린 기업 문화를 풍자하는 만화로, 1989년 유나이티드 피처 신디케이트에서 연재를 시작했다. 관료주의, 무능한 경영, 엔지니어의 고충 등을 유머러스하게 다루며 인기를 얻었으나, 작가의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인해 연재가 중단되었다. 만화는 딜버트, 도그버트, 뾰족머리 보스 등 다양한 등장인물을 통해 기업의 부조리함을 묘사하며, 딜버트의 법칙과 같은 용어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만화 외에도 TV 애니메이션, 웹 애니메이션, 비디오 게임 등으로 제작되었으며,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웹 만화 - 페페 더 프로그
페페 더 프로그는 2005년 맷 퓨리가 창조한 캐릭터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인기를 얻으며 다양한 변형이 생겨났고, 2015년부터 얼터너티브 우익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논란이 되었지만, 2019년 홍콩 민주화 시위에서 민주화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맥락에서 활용되었으며, NFT로 제작되거나 다큐멘터리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 미국의 웹 만화 - Time (xkcd)
Time (xkcd)는 두 명의 막대인간이 해변에서 모래성을 짓는 것으로 시작하여 해수면 상승의 원인을 찾아 떠나는 이야기를 11,000년 후의 미래를 배경으로 그린 xkcd 만화로, 휴고상 최우수 그래픽 스토리 부문을 수상했다. - 직장물 웹 만화 - 이태원 클라쓰
《이태원 클라쓰》는 조광진 작가의 웹툰을 원작으로, 불의에 타협하지 않는 주인공 박새로이가 아버지의 죽음 이후 장가 그룹에 복수하기 위해 자신의 사업을 일구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박새로이, 조이서, 장가 그룹 일가 등 주요 등장인물과 정의, 불의, 성공, 좌절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직장물 웹 만화 - 미생 (만화)
프로 바둑 기사 지망생 장그래가 입단 실패 후 종합상사 인턴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하며 겪는 생존 도전기를 그린 윤태호 작가의 웹툰 《미생》은 개인의 생존을 넘어 회사 구성원 전체의 생존을 다루며 계약 만료 후 재입사 과정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펼쳐낸다. - 일본의 만화와 애니메이션 정보 - 사이보그 009
《사이보그 009》는 이시노모리 쇼타로가 그린, 9명의 사이보그 전사들이 활약하는 만화로,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반전 메시지와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으며, 2001년 애니메이션 방영을 통해 한국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 일본의 만화와 애니메이션 정보 - 식객
식객은 허영만 화백의 만화로, 음식에 담긴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사회적 약자와의 연대,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딜버트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딜버트 |
원제 | Dilbert |
장르 | 풍자 관찰 코미디 초현실 코미디 |
작가 | 스콧 아담스 |
연재 시작일 | 1989년 4월 16일 |
연재 종료일 | 2023년 3월 26일 (신디케이트 중단; 웹코믹으로 계속 연재) |
현재 상태 | 연재 중 |
배급사 | 유나이티드 피처 신디케이트 (유나이티드 미디어, 1989년 – 2011년 6월) (유니버설 유클릭/앤드루스 맥밀 신디케이션, 2011년 6월 – 2023년 3월) |
출판사 | 앤드루스 맥밀 퍼블리싱 (2023년 3월까지) Locals를 통해 자체 배포 (2023년 3월부터) |
웹사이트 | 딜버트 공식 웹사이트 (구독 전용) |
관련 정보 | |
이전 작품 | (없음) |
다음 작품 | Daily Dilbert Reborn |
2. 연재 역사
Dilbert영어는 1989년 4월 유나이티드 피처 신디케이트(유나이티드 미디어의 자회사)에서 연재를 시작했다.[7]
딜버트는 기업 문화의 부조리함과 비효율성을 풍자하며, 특히 관료주의, 사내 정치, 무능한 경영 등을 비판한다. 미디어 분석가 노먼 솔로몬과 만화가 톰 투모로우는[44] 애덤스의 기업 문화 풍자가 샐러리맨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듯하지만, 결국은 기업 상층부의 이익에 봉사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솔로몬은 제록스사가 ''딜버트'' 만화와 등장인물을 내부 팸플릿에 사용한 사례를 통해, ''딜버트''가 부정적인 기업 문화를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게 하고 더 나은 근무 환경을 위한 투쟁 의지를 약화시킨다고 비판했다.
2010년 6월 3일, 유나이티드 미디어는 라이선스 사업 부문을 ''딜버트''의 권리와 함께 아이코닉스 브랜드 그룹에 매각했다.[8] 2011년 6월부터 딜버트는 유니버설 유클릭(앤드류스 맥밀 유니버설)으로 이동했다.[9]
2022년 9월, 리 엔터프라이즈는 77개의 신문에 연재를 중단했다. 스콧 애덤스는 딜버트가 환경, 사회 및 기업 지배 구조 운동을 조롱한다는 불만이 제기되었지만, 그것이 연재 중단의 이유인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10][11] 허스트 미디어 소유의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은 2022년 10월, 만화에서 노예제 배상이 부진한 사무직 근로자에 의해 청구될 수 있다는 농담을 한 후 연재를 중단했다고 밝혔다.[12]
2023년 2월, 미디어 대기업 소유의 수백 개의 신문, 특히 앤드류스 맥밀 신디케이션이 애덤스의 인종차별적 발언에 대한 대응으로 이 만화를 중단했다.[13] 개닛과 USA 투데이 네트워크, ''워싱턴 포스트'',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등 주요 신문들이 딜버트 신디케이션을 중단하고 애덤스를 비난했다.[20][21][22][23][24][25][26]
이에 대응하여 애덤스는 2023년 3월 16일에 구독 웹사이트 로컬스에서 ''딜버트 리본''을 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7]
''딜버트''는 날카로운 논평으로 인해 많은 신문에서 일반 만화 섹션보다는 비즈니스 섹션에 게재되었다.[43]
3. 주제
애덤스는 이에 대해 1998년 2월 2일자 만화[45]와 그의 저서 ''The Joy of Work''에서 비꼬는 말로 응수했다. 1997년 톰 밴더빌트는 잡지 ''The Baffler''에 비슷한 맥락으로 노동 조합은 ''딜버트'' 등장인물을 채택하지 않았지만, 기업들은 ''딜버트''와 연관되려고 앞다투어 달려들었다고 비판했다.
1998년, ''지피 더 핀헤드''의 제작자 빌 그리피스는 조악한 그림과 단순한 유머를 쓴 ''딜버트''를 비난했다.[46] 애덤스는 도그버트가 "아무도 농담이 하나뿐이라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가능한 한 많은 그림을 [그 안에] 채워 넣는" 만화를 만들고 "독자를 위한" 만화 두 편인 ''피피 더 집헤드''를 만들면서 응수했다.[47] 딜버트는 그 만화가 "작은 머리를 가진 광대가 무작위로 말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고, 도그버트는 그는 "아무도 즐기지 못할 만화를 만듦으로써 [자신의] 예술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대답했다.[48] 같은 해 9월, 그리피스는 애덤스의 ''피피 더 집헤드''를 단순하고 뻣뻣한 ''딜버트'' 스타일로 그려진 만화로 조롱했다.[49]
1990년대 후반, 아마추어 만화가 칼 호르넬은 ''사바지 드래곤''의 제작자인 에릭 라슨에게 ''딜버트''[50]와 이미지 코믹스 시리즈 ''사바지 드래곤''을 패러디한 만화를 제출했다. 이것은 ''사바지 드래곤'' 만화책의 정기적인 특징이 되었으며, ''사바지 드래곤버트와 히틀러의 브레인버트''라는 제목이 붙었다.
3. 1. 구체적인 주제
이 만화는 원래 딜버트와 그의 "애완" 개 도그버트가 그들의 집에서 벌이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초기 줄거리의 대부분은 딜버트의 엔지니어적 성향, 기괴한 발명품, 그리고 자기 과대 망상적인 야망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후 대부분의 만화 배경은 딜버트의 직장으로 바뀌었고, 이 만화는 기술, 직장, 그리고 회사 문제를 풍자하기 시작했다. 이 만화가 인기를 얻게 된 것은 직장 배경과 주제가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하고 공감을 얻었기 때문이다.[28] 직장 위치는 실리콘 밸리이다.[30]
''딜버트''는 기업 문화를 그 자체를 위한 카프카적 세계, 즉 관료주의의 세계로 묘사하며, 여기서 사내 정치는 생산성을 방해하고, 직원들의 기술과 노력은 보상받지 못하며, 쓸데없는 일이 칭찬받는다. 유머의 상당 부분은 부실 경영에 대한 반응으로 등장인물들이 터무니없는 결정을 내리는 것을 포함한다.
지금까지 다룬 테마는 다음과 같다.
테마 |
---|
엔지니어의 개성 (패션 감각 부족, 데이트를 못함, 도구나 기술 제품을 좋아함, 심오한 지식) |
무능하고 가학적인 관리 (현실을 고려하지 않는 스케줄, 성공에 대한 보상을 하지 않고 게으름을 처벌하지 않음, 관리의 잘못으로 인해 일어난 직원의 실패를 처벌, 컴퓨터 관리, 사람들의 사기를 높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크게 저하시킴, 대화의 실패, 실패하거나 철회될 예정인 프로젝트를 다룸, 빈약한 혹은 순전한 악의가 있는 이유 설명에 기반한 가학적인 인사 관리) |
기업의 관료주의 |
대중의 어리석음 (광고에 영향을 받기 쉬움, 집단 압력에 영향을 받기 쉬움, 명백한 사기를 믿음) |
제3세계 국가와 아웃소싱 (엘보니아국) (황폐, 기묘한 문화 습관, 자본주의에 대한 무이해) |
4. 등장인물
만화 《딜버트》에는 주요 등장인물 외에도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등장한다.
- 테드: 월리와 자주 어울리는 엔지니어다. 이전 만화에서는 이름으로 더 자주 언급되었지만, 여전히 가끔 등장한다. 딜버트의 무리에 합류했으며, 여러 번 해고당하고 죽임을 당하기도 했다(예: 계단에서 밀려 떨어져 빙의). 이 경우 새로운 테드가 고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종종 다른 직원들보다 승진 및 혜택을 받으며, 아내와 자녀가 있다. 애덤스는 그를 '평범한 남자 테드'라고 부르는데, 누군가를 해고하거나 죽여야 할 때마다 테드를 사용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만의 캐릭터가 되었기 때문이다.
- 회사의 CEO: 대머리에 매우 크고 약간 뾰족한 두개골을 가진 인물로, 뾰족머리 상사보다 약간 덜 무능하다.
- 데이브: 2022년에 처음 등장한 딜버트의 첫 흑인 캐릭터이다. 스스로를 백인으로 정체화하여 회사의 ESG 및 다양성 점수를 망쳐놓는다. 진심인지 아닌지 불분명하여 의도적인 행동일 수도 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적어도 한 신문 체인에서는 그가 등장하는 만화를 게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36]
4. 1. 주요 등장인물
이름 | 설명 |
---|---|
딜버트 | 만화의 주인공으로, 기술적인 면을 중시하는 엔지니어이다. MIT에서 전기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기술을 잘 이해하고 좋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지만, 사회성은 부족하다.[31] |
도그버트 | 딜버트의 애완견으로, 과대망상적인 지식인이다. 언젠가 세계를 정복하고 인류를 노예로 만들려고 계획하고 있다. 한 번 성공했지만 질려서 그만두었다. |
뾰족머리 보스 | 딜버트 회사의 엔지니어링 부서의 이름 없는 무관심한 관리자이다. 관리 능력이 형편없으며, 수많은 집단 치료 세션과 열매를 맺지 못하는 사업 전략으로 기술 부족을 보완하려 한다. 그는 기술적인 문제를 이해하지 못하지만, 종종 자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유행어를 사용하여 이러한 무능함을 감추려 한다. |
월리 | 가장 오래 근속한 엔지니어 중 한 명으로, 원래는 거액의 퇴직금을 받기 위해 해고되려고 했던 직원이었다. 그는 일을 몹시 싫어하며, 가능한 한 일을 피한다. 그는 종종 커피를 들고 다니며, 혼란이나 사무실을 뒤흔드는 폭로 속에서도 태연하게 커피를 홀짝인다. |
앨리스 | 가장 유능하고 급여가 높은 엔지니어 중 한 명이다. 제대로 인정을 받지 못해 직장에서 자주 좌절하는데, 그녀는 그 이유가 여성이라서라고 믿고 있다. 그녀는 종종 격렬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뾰족머리 상사에게조차 "죽음의 주먹"을 사용한다. |
캣버트 | 만화 《딜버트》에 등장하는 "악의적인 인사 부서의 이사"이다. 도그버트에 의해 고용되었는데, 직원들을 비밀리에 감원하면서 귀엽게 보이도록 인사 부서 이사를 고용하고 싶어 캣버트를 선택했다.[32] |
아쇼크 | 매우 열심히 일하는 젊은 인턴이지만 항상 적절한 인정을 받지는 못한다. 그는 매우 지적이지만 기업 생활에 대해 순진하며, 그의 낙관적인 환상이 깨지는 모습은 잦은 코믹 소재가 된다. 인도인이며 IIT를 졸업했다. 2014년 2월 7일 기준으로, 아쇼크는 공식적으로 동성애자이며, 이는 인도 대법원이 영국 시대의 반 동성애 법을 지지하는 결정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33][34] 이 결정은 2018년 9월 6일에 뒤집혔다.[35] |
캐롤 | 뾰족머리 상사의 오랜 고통을 겪는 비서이다. |
필 (부족한 빛의 왕자) | 뾰족머리 상사의 동생이다. 그의 정식 명칭은 필, 부족한 빛의 왕자이자 지옥의 최고 통치자이다. |
랫버트 | 딜버트의 집에 사는 탈출한 실험용 쥐이다. |
공룡 밥 | 장난을 집행하는 공룡이다. |
엘보니아인 | "해외 판매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외국을 언급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가상의 비특정 개발도상국이다.[37][38] |
테드 | 월리와 함께 자주 어울리는 엔지니어이다. |
4. 2. 기타 등장인물
딜버트의 주요 등장인물 외에 다음과 같은 등장인물들이 있다.- 랫버트: 한때 연구소의 실험 동물이었던 쥐다. 귀엽고 낙관적인 성격이지만 약간 멍청하다. 가끔 훌륭한 관찰력을 발휘하기도 한다. 항상 최저의 단조로운 일을 맡고 있다(예: 파견 사원). 처음에는 도그버트에게 미움을 받았지만, 나중에 동료로 인정받는다. 원래는 레귤러 등장인물이 아니었지만, 독자들에게 인기가 많아 계속 등장하게 되었다.
- 캣버트: 딜버트가 다니는 회사의 인사부장을 맡고 있는 사악한 고양이다. 직원이 직장을 걱정하는 모습을 보며 가학적인 쾌감을 느낀다. 특히 월리를 괴롭히는 것을 좋아한다. "해고"라는 말을 살짝 하는 것만으로도 목을 골골거린다. 원래는 몇 화만 등장할 예정이었지만, 팬들의 요청으로 계속 등장하게 되었다.
- 캐롤: "뾰족머리 보스"의 비서로, 인간 혐오자이며 냉혹하다. 보스는 물론이고 동료 모두를 싫어한다. 원래는 딜버트, 앨리스, 아쇼크가 있는 회사에서 비중 있는 캐릭터가 아니었지만, "지옥에서 온 비서"라는 캐릭터로 인기를 얻어 그녀만의 스토리가 있는 만화도 나오게 되었다.
- 필(빛이 부족한 세상의 왕자): 이류 악마이다. 사소한 악행으로 사람을 벌하고, 그의 "pitchspoon"으로 "지옥을 향해 저주한다". 사탄("어둠의 왕자")의 패러디이다. 겉으로는 필이 "뾰족머리 보스"의 형제라는 것이 밝혀진다. 아담스는 필에 대해 뿔이 있거나 없거나, pitchspoon 대신 갈퀴를 가지고 있는 등 일관성 없이 묘사하는데, 이는 필의 어깨 망토나 갈퀴를 잊어버리기 때문이라고 한다.
- 엘보니아인: 가상의 제4세계 국민으로, 아웃소싱의 패러디로 등장한다. 그들의 문화는 서양과 근본적으로 다르며, 가부장적인 문화는 앨리스를 짜증나게 한다. 엘보니아는 허리까지 진흙으로 덮여 있으며, 항상 젖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고가 미네랄 워터를 사용한다. 엘보니아 항공의 주력 기체는 거대한 새총이다. 프랑스가 엘보니아에 선전포고를 한 적이 있는데, 이는 엘보니아가 도시의 새총으로 프랑스 위성을 발사하려 했기 때문이다. 딜버트가 중재하기 전까지, 그 위성은 프랑스 대사관을 파괴했다. 엘보니아의 전통적인 모자, 긴 수염, 남성 중심의 문화, 기술적인 배경에서 아프가니스탄과 같은 제3 이슬람 세계가 모델로 추정된다. 또한 소련 붕괴 후의 국가들과도 닮아 있는데, 이는 모자나 이전 사회주의의 흔적 때문이다. 스콧 아담스는 ''7년 동안의 매우 결함이 있는 사람들''에서 엘보니아는 외국을 풍자하기 위해 창조되었으며, 미국 밖에서 온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고안되었다고 밝혔다. 엘보니아는 케이블 TV가 없는 나라에 대한 미국인의 평균적인 인식을 기반으로 한다고 한다. 하지만 아담스는 인종차별주의를 비난받기도 했다.
- 공룡 밥: 장난을 집행하는 공룡. 딜버트가 계산한 결과 공룡은 아직 멸종하지 않았고 숨어있을 것이라는 결론이 나면서 발견되었다. 밥은 긴 의자 뒤에 숨어 있었다. 아내(돈)와 아들(렉스)이 있고, 딜버트의 집에 살고 있지만, 밥만큼 자주 등장하지는 않는다. 밥은 주로 딜버트의 사무실에서 무능한 동료, 세일즈맨, 고용주 등을 상대할 때 장난을 친다.
5. 영향
이 만화는 직장 배경과 주제가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하고 공감을 얻어 인기를 얻게 되었다.[28] 작가 애덤스는 딜버트의 배경을 집에서 사무실로 바꾼 것이 "만화가 실제로 성공하기 시작한 시점"이라고 말했다.[29]
딜버트는 기업 문화를 관료주의와 사내 정치가 만연한 카프카적인 세계로 묘사한다. 이곳에서는 직원들의 기술과 노력은 보상받지 못하고, 쓸데없는 일이 칭찬받는다. 등장인물들이 부실 경영에 대한 반응으로 터무니없는 결정을 내리는 것에서 유머의 상당 부분을 찾을 수 있다.
지금까지 다룬 테마는 다음과 같다.
테마 |
---|
5. 1. 대중문화
딜버트 캐릭터는 여러 비즈니스 잡지와 간행물에 사용되었다.[42] 포춘 표지에 여러 번 등장하기도 했다. 워싱턴 포스트,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등 일부 신문에서는 날카로운 논평 때문에 딜버트 만화를 일반 만화 섹션이 아닌 비즈니스 섹션에 게재했는데, 이는 두운즈베리가 종종 사설 섹션에 게재되는 방식과 유사하다.[43]직장 내 사기는 책상이나 칸막이에 붙여진 딜버트 만화의 수에 반비례한다는 속설이 있다. 딜버트 만화가 많이 붙여진 직장은 그 기업의 관료주의적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좌절감을 반영한다. 반대로,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직원은 딜버트의 등장인물과 동일시를 덜 느끼기 때문에 딜버트 만화가 붙여지는 경우도 적다. 그러나 딜버트가 전혀 붙여지지 않은 직장이 반드시 사기가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철저한 강권주의적 관리로 인해 직원이 딜버트를 붙이는 것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
5. 2. 비판과 패러디
노먼 솔로몬과 만화가 톰 투모로우[44]는 스콧 애덤스의 기업 문화 풍자가 노동자들에게 공감을 주는 듯하지만, 결국 그 풍자는 기업 상층부의 이익에 봉사한다고 말했다. 솔로몬은 ''딜버트''의 등장인물들이 무능하고 시간을 낭비하는 존재로 묘사되며, 그들 중 누구도 중간 관리직 이상을 차지하지 못하고, 그들의 비효율성은 생산성 및 성장을 포함한 기업 가치를 훼손한다고 지적했다. 딜버트와 그의 동료들은 종종 관리자의 변덕에 희생되지만, 공개적으로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솔로몬은 제록스사가 내부 배포 팸플릿에서 ''딜버트'' 만화와 등장인물을 사용한 사례를 인용했다.애덤스는 1998년 2월 2일 만화[45]와 그의 저서 ''The Joy of Work''에서 비꼬는 말로 응수했다.
1997년, 톰 밴더빌트는 잡지 ''The Baffler''에 비슷한 맥락으로 글을 썼다.
1998년, ''지피 더 핀헤드''의 제작자인 빌 그리피스는 조악한 그림과 단순한 유머를 쓴 ''딜버트''를 비난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
애덤스는 도그버트가 "아무도 농담이 하나뿐이라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가능한 한 많은 그림을 [그 안에] 채워 넣는" 만화를 만들고 "독자를 위한" 만화 두 편인 ''피피 더 집헤드''를 만들면서 응수했다.[47] 딜버트는 그 만화가 "작은 머리를 가진 광대가 무작위로 말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고, 도그버트는 그는 "아무도 즐기지 못할 만화를 만듦으로써 [자신의] 예술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대답했다.[48] 같은 해 9월, 그리피스는 애덤스의 ''피피 더 집헤드''를 단순하고 뻣뻣한 ''딜버트'' 스타일로 그려진 만화로 조롱했는데, 사무실을 배경으로 지피와 그리피가 등장하여 "농담이 전달된 것 같습니다." "네. 그랬어요. 제 유일한 농담이었죠. 하."라고 말한다.[49]
1990년대 후반, 아마추어 만화가 칼 호르넬은 ''사바지 드래곤''의 제작자인 에릭 라슨에게 ''딜버트''[50]와 이미지 코믹스 시리즈 ''사바지 드래곤''을 패러디한 만화를 제출하기 시작했다. 이것은 ''사바지 드래곤'' 만화책의 정기적인 특징이 되었으며, ''사바지 드래곤버트와 히틀러의 브레인버트''라는 제목이 붙었다. "히틀러의 브레인버트"는 도그버트와 아돌프 히틀러의 초능력 두뇌로 확인된 ''사바지 드래곤'' 악당을 느슨하게 패러디한 것이다. 이 만화는 애덤스의 만화 스타일을 흉내 내면서, ''딜버트''의 사무실 구조 내에서 느슨하게 설정된 코믹북 자체의 특정 패러디로 시작되었다.[50]
스콧 애덤스는 딜버트를 미국 기업 사회의 상징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그의 만화가 풍자한 바로 그 기업 사회에 의해 등장인물이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점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딜버트의 풍자는 기업의 라이프스타일은 어디나 별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마치 애덤스가 비판을 예상하고, 풍자로 비판을 피하려는 계획을 세운 것 같다. 노먼 솔로몬은 이 만화가 CEO를 비판하기에는 불충분하고, 일반 노동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화이트칼라 노동자는 더 존중받기를 원할 것이라는 발상은, 화이트칼라가 자유 선택이라는 일반적인 믿음에 반하지만, 딜버트를 덮치는 다운사이징이나 기타 압력은 1970년대에 해리 브레이버먼에 의해 예측되었던 것이었다. 이러한 압력을 다루기 위해 딜버트는 더 블루칼라적으로 노동 과정에서 투쟁해야 하지만, 딜버트에서는 상사를 풍자해도 좋지만 따라야 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데이비드 노블은 1950년대 당시 최신이었던 전산기 툴의 프로그래밍 관리를 둘러싼 사이버 투쟁을, 초창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솔로몬은 저서에서는 유머를 보이지 않지만, 딜버트에서 보이는 풍자는 노동자 관리에 대한 최선의 할당에 대한 진지한 분쟁을 피하는 좋은 방법이라고 느낀다.
피터 드러커와 C. 라이트 밀스는 이 만화의 전제가 되고 있지만 한 번도 언급되지 않는 모순점을 지적하고 있다. 즉, 딜버트, 윌리, 앨리스 및 기타 구성원들은 함께 제품을 만들면서 동시에 서로 경쟁자이기도 하다. 이 만화는 이 이중 구속의 희생자를 풍자한다. 솔로몬은 이것이, 사람들이 자신의 운명에 만족하고 거기에서 벗어날 방법을 찾지 않게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비판의 결함은, 그 저자 중 일부는, 사람들은 딜버트를 매일 1~2분 동안 재미있는 것으로 생각할 뿐, 역할 모델로 사용할 것이라는 가정을 하고 있다는 점에 있을 것이다.
5. 3. 경영
1997년, 애덤스는 로지텍 임원들을 상대로 경영 컨설턴트인 척하며, 그들이 미션 선언문을 수정하도록 유도했다.[54][55][56] 그는 만화에서 경영 컨설턴트를 묘사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오만한 태도와 기괴한 제안을 했다. 예를 들어, 미션 선언문을 브로콜리 수프에 비유하는 식이었다. 그는 임원들을 설득하여 신규 벤처 그룹의 기존 미션 선언문을 "로지텍에 수익성 있는 성장과 관련 신규 사업 분야 제공"에서 "내부 및 외부 관계에서 수익성 있는 성장 기회를 탐색하고, 새롭게 부상하는 미션 포괄적 시장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탐구한 다음, 그 결과를 필터링, 전달, 전파한다"로 변경하게 했다.2001년에는 디자인 회사 IDEO와 협력하여 "완벽한 칸막이"를 디자인했다.[57][58] 이는 많은 ''딜버트'' 만화가 일반적인 칸막이 책상과 그것이 만들어내는 환경을 비판하는 것에 대한 대응이었다.
2004년에는 딜버트의 얼티메이트 하우스(Dilbert's Ultimate House, DUH) 디자인이 발표되었다.[59] 이 에너지 효율적인 건물은 일반 건물에서 나타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설계되었다.[60] 예를 들어, 매년 크리스마스 트리를 사고 장식하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거실 옆에 큰 옷장을 두어 트리를 보관할 수 있게 했다.
5. 4. 언어
애덤스는 독자들이 자신의 사무실 환경을 묘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단어를 만들어내도록 요청했는데, 예를 들어 "induhvidual"이 있다. 이 용어는 미국 영어 속어 표현인 "duh!"를 기반으로 한다. 'individual'을 'induhvidual'로 의도적으로 잘못 표기하는 것은 독버트의 새로운 지배 계급(DNRC)에 속하지 않는 사람들을 비하하는 용어이다.[51] 이 단어의 유래는 《딜버트 뉴스레터》 #6에서 설명되어 있다. 이 만화는 또한 "cow-orker"와 PHB라는 용어의 사용을 대중화했다.[52][53]6. 미디어
''딜버트''는 애니메이션 TV 시리즈, 웹 애니메이션, 비디오 게임 등으로 제작되었다.
2006년부터 딜버트의 작가 스콧 애덤스와 유나이티드 미디어는 이 만화의 영화화를 추진했다. 애덤스는 도그버트와 캣버트를 애니메이션 캐릭터로 하는 실사 영화를 구상했다.[71] 2007년에는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이 타리크 자릴을 프로듀서로 하여 영화 연출을 논의하기도 했다.[72]
2010년 5월, 실사 영화 ''딜버트''의 제작이 발표되었다. 켄 콰피스가 감독으로 내정되었으며, 자힐은 프로듀서로, 피닉스 엔터테인먼트와 인트리그 엔터테인먼트가 제작에 참여했다.[73][74] 그러나 2017년 12월, 애덤스는 도널드 트럼프에 대한 공개적인 지지 때문에 영화 제작이 무산되었다고 밝혔다.[75]
- ''하이테크 해프닝의 어린 딜버트''(Young Dilbert in Hi-Tech Hijinks) — 1997년에 출시된, 어린이를 대상으로 기술 교육을 목적으로 한 딜버트 브랜드의 컴퓨터 게임이다.
- ''딜베리토''(Dilberito) — 2000년에 출시된 플래시 게임이다.[76]
6. 1. 만화책
제목 | 출판일 | 페이지 수 | ISBN |
---|---|---|---|
사무용품 훔쳐서 더 나은 삶을 만들어라: 도그버트의 거대 사업 서적 | 1991년 11월 | 112 | |
얼간이를 위한 도그버트의 단서 | 1993년 8월 | 112 | |
7년간의 고도로 결함 있는 사람들 | 1997년 8월 | 256 | |
딜버트, 당신에게 사업을 가르쳐주다 | 1999년 8월 | 224 | |
일요 스트립 보물창고: 버전 00 | 2000년 8월 | 224 | |
사무실에 있는 사이코패스를 뭐라고 부르나요? 답: 동료 | 2002년 8월 | 224 | |
설명해야 한다면 웃기지 않다 | 2004년 10월 | 240 | |
월리가 뭘 할까? | 2006년 6월 | 224 | |
큐브와 처벌 | 2007년 11월 | 224 | |
문제 확인: 그리고 당신은 아마 해결책의 일부가 아닐 것이다 | 2010년 7월 | 224 | |
당신의 업적은 의심스러울 정도로 확인하기 어렵다 | 2011년 8월 | 208 | |
우리가 싸구려인지 똑똑한지 기억이 안 나 | 2012년 10월 | 208 |
6. 2. TV 애니메이션
다니엘 스턴이 딜버트 역을, 크리스 엘리엇이 도그버트 역을, 캐시 그리핀이 앨리스 역을 맡아 UPN에서 방영된 ''딜버트'' 애니메이션 TV 시리즈는 1999년 1월 25일부터 2000년 7월 25일까지 2 시즌 동안 방영되었다.[67] 첫 번째 시즌은 "Gruntmaster 6000"이라는 새로운 제품 개발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고 에미상을 수상하여 두 번째 시즌으로 연장되었다. 두 번째 시즌은 연재 형식을 없애고 독립적인 에피소드로 구성되었으며, 왈리가 종교 지도자로 오해받는 ("왈리의 수의") 에피소드나 딜버트가 대량 살인 혐의를 받는 ("재판") 등 직장에서 벗어난 부조리한 플롯을 포함한 에피소드들이 많았다. 두 번째 시즌의 2부작 마지막 에피소드는 딜버트가 소, 시골뜨기, 로봇 DNA, "수십 명의 엔지니어", 노령의 억만장자, 그리고 외계 생명체의 아이를 임신하는 내용을 담았고, 결국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이 판사로 등장하는 양육권 소송으로 이어졌다.UPN이 세 번째 시즌을 연장하지 않기로 결정하자, 애덤스는 "UPN이 아프리카계 미국인 시청자에게 집중하기로 결정하면서 백인이라는 이유로 내 TV 쇼가 취소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2020년 트위터에 "그것은 내가 백인이라는 이유로 잃은 세 번째 직업이었다. 다른 두 개는 기업에서였다"고 썼다.[68] "딜버트: 완전판"이라는 4 디스크 DVD가 출시되었으며 30개의 에피소드를 포함하고 있다. 첫 번째 디스크에는 1~7화, 두 번째 디스크에는 8~13화, 세 번째 디스크에는 14~21화, 네 번째 디스크에는 22~30화가 수록되어 있다.
6. 3. 웹 애니메이션
2008년 4월 7일, 딜버트닷컴은 RingTales가 제작하고 파워하우스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에서 애니메이션화한 원본 만화의 애니메이션 버전인 첫 번째 딜버트 애니메이션을 선보였다.[69] 각 애니메이션 비디오는 약 30초 분량이며, 매주 평일에 추가된다. 이 코믹 단편은 텔레비전 시리즈와 다른 성우진을 기용했으며, 워싱턴주의 라디오 방송인 댄 로버츠가 주인공의 목소리를 연기했다.[69] 2009년 12월 10일, RingTales가 제작한 애니메이션은 모바일 기기용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으로도 제공되었다.[70]6. 4. 비디오 게임
1997년, PC용으로 설계된 비디오 게임 딜버트의 데스크톱 게임이 출시되었다.[76]7. 논란
2022년 9월, 리 엔터프라이즈는 스콧 애덤스가 발행인이 회사 전체에 도입된 새로운 만화 페이지에 이 만화를 포함하기를 거부하면서 77개의 신문에 연재를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애덤스는 ''딜버트''가 환경, 사회 및 기업 지배 구조 운동을 조롱한다는 불만을 받았지만, 그것이 연재 중단의 이유인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10][11] 허스트 미디어 소유의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은 2022년 10월, 만화에서 노예제 배상이 부진한 사무직 근로자에 의해 청구될 수 있다는 농담을 한 후 연재를 중단했다고 밝혔다.[12]
7. 1. "술 취한 여우원숭이" 사건
2007년 10월, 아이오와주 벌링턴의 캐트피시 벤드 카지노는 직원들에게 곧 영업을 중단할 것이라고 통보했다. 7년 동안 근무한 직원인 데이비드 스튜어드는 2007년 10월 26일자 ''딜버트'' 만화[77]를 사무실 게시판에 게시했는데, 이 만화는 경영진의 결정을 "술 취한 여우원숭이"의 결정에 비유했다. 카지노 측은 이를 "매우 불쾌하다"고 여겼으며, 감시 테이프를 통해 그를 확인하고 해고했으며, 그가 실업 급여를 받지 못하도록 하려 했다. 그러나 2007년 12월 행정 법원 판사는 그의 행동이 정당한 항의로 간주되어 고의적인 비행이 아니므로 급여를 받을 수 있다고 판결했다. 애덤스는 직원 해고 사유가 ''딜버트'' 만화 게시인 첫 번째 확인된 사례일 수 있다고 말했다.[78] 2008년 2월 20일, 일련의 ''딜버트'' 만화 중 첫 번째 만화는 월리가 "매니저를 술 취한 여우원숭이에 비유"하는 만화를 게시하다가 발각되는 장면을 보여주었다.[79] 애덤스는 나중에 그의 작품 팬들에게 "아무도 그것 때문에 해고되지 않으니 ''가필드'' 만화를 게시하는 데 집중하라"고 말했다.7. 2. 스콧 애덤스의 인종차별 발언 논란
2023년 2월, 미디어 대기업 소유의 수백 개 신문, 특히 앤드류스 맥밀 신디케이션은 스콧 애덤스가 2023년 2월 22일에 게시한 유튜브 비디오에 대한 대응으로 딜버트 만화 연재를 중단했다.[13] 이 비디오에서 애덤스는 라스무센 리포트 여론 조사 결과를 인용하며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집단적으로 "증오 집단"을 형성한다고 말하면서, 백인들에게 흑인들에게서 "꺼져라"라고 조언했다.[14][15][16][17][18] 해당 여론 조사에 따르면 흑인 미국인의 53%가 "백인이라도 괜찮다"라는 진술에 동의했으며, 26%가 동의하지 않았고, 21%는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다.[19]개닛과 USA 투데이 네트워크(''디트로이트 프리 프레스'', ''인디애나폴리스 스타'', ''신시내티 인콰이어러'', ''애리조나 공화국'' 포함) 또한 애덤스의 발언에 따라 연재를 중단했다.[20] ''워싱턴 포스트'',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시애틀 타임스'', ''애틀랜타 저널-헌법'', ''플레인딜러''와 같은 주요 신문들도 딜버트 신디케이션을 중단하고 애덤스를 비난하는 사설을 게재했다.[21][22][23][24][25][26]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지난 9개월 동안 신문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네 개의 ''딜버트'' 만화를 지면에서 삭제했다고 밝혔다.[23]
이러한 사건들은 한국 내에서도 딜버트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을 형성시켰다. 특히, 진보 진영에서는 애덤스의 발언을 강하게 비판하며, 딜버트 만화에 대한 보이콧 움직임도 있었다.
8. 딜버트의 법칙
'''딜버트의 법칙'''은 기업이 유능한 직원이 현장에서 빠져나감으로써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무능한 직원을 관리직으로 승진시킨다는 풍자적인 관찰이다.
이 용어는 버클리 MBA 출신이자 만화 딜버트의 작가인 스콧 애덤스가 만든 신조어이다. 애덤스는 1996년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이 법칙을 소개했다. 이후 애덤스는 1996년에 동명의 책에서 딜버트의 법칙에 대한 연구를 확장했다. 이 책은 100만 부 이상 팔렸고, 월스트리트 저널의 베스트셀러 목록에 43주 동안 게재되었다.
이 법칙은 기존의 인사 관리 기술과 모순되기 때문에 학술적으로는 진실성이 기각될 수 있지만, 실업계에서 자주 논의되는 문제를 나타내는 풍자의 한 형태로 제안되었다. 이 이론은 이후 실업계와 관리층으로부터 일정 수준의 지지를 얻었다. 예를 들어, 전 애플의 가이 가와사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기업에는 두 종류가 있다. 자사가 딜버트와 비슷하다는 것을 자각하고 있는 기업, 그리고 딜버트와 비슷하지만 아직 그것을 자각하지 못하는 기업."
딜버트의 법칙은 피터의 원리의 변형이다. 피터의 원리는 현재 직위에서 능력을 나타낸 직원에게 보상으로 승진시키는 것과 같은 (예: 기업과 같은) 계층적 조직의 성질에 대해 언급한 것이다. 즉, 이러한 행위로 인해 유능했던 직원은 결국 그 사람이 무능하게 되는 직위까지 승진하여 무능한 채로 거기에 머무르게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참조
[1]
웹사이트
Dilbert 1989 – 2023 – the Daily Cartoonist
https://www.dailycar[...]
2023-03-12
[2]
웹사이트
Welcome to Dilbert
https://web.archive.[...]
2019-12-16
[3]
웹사이트
Dilbert presentation at Kings Features Syndicate
https://web.archive.[...]
Unitedfeatures.com
2013-06-30
[4]
뉴스
Scott Adams's racist comments were spurred by a badly worded poll
https://www.economis[...]
2023-03-24
[5]
뉴스
'Dilbert' cartoon dropped after racist rant by creator Scott Adams
https://www.reuters.[...]
2023-03-24
[6]
뉴스
Scott Adams Faces Backlash Over 'Dilbert' Cartoon
https://www.washingt[...]
2023-03-06
[7]
서적
Comics through time : a history of icons, idols, and ideas.
2014-10-28
[8]
보도자료
Iconix Brand Group Closes Acquisition of Peanuts
http://www.prnewswir[...]
Iconix Brand Group
2018-03-17
[9]
웹사이트
DILBERT LEAVES UNITED MEDIA FOR UNIVERSAL UCLICK (UPDATED)
http://www.dailycart[...]
The Daily Cartoonist
2010-12-28
[10]
웹사이트
'Dilbert' author Scott Adams says comic strip about corporate office culture removed from 77 newspapers
https://www.foxnews.[...]
2022-09-20
[11]
웹사이트
Lee Enterprises New Comics Lineup – Update
https://www.dailycar[...]
Daily Cartoonist
2022-09-13
[12]
뉴스
Bay Area cartoonist who created Dilbert goes on racist rant, draws condemnation
https://www.sfchroni[...]
2023-02-25
[13]
웹사이트
Episode 2027 Scott Adams: AI Goes Woke, I Accidentally Joined A Hate Group, Trump, Policing Schools
https://www.youtube.[...]
2023-02-22
[14]
웹사이트
Andrews McMeel Drops Scott Adams
https://www.dailycar[...]
The Daily Cartoonist, LLC
2023-02-26
[15]
뉴스
Hundreds of newspapers drop 'Dilbert' comic strip after racist tirade from creator Scott Adams
https://www.cnn.com/[...]
CNN
2023-02-25
[16]
뉴스
Houston Chronicle to cease printing 'Dilbert' following cartoonist's racist video
https://www.chron.co[...]
2023-02-25
[17]
웹사이트
AMU severing relationship with Dilbert creator Scott Adams
https://www.andrewsm[...]
2023-02-27
[18]
웹사이트
Newspapers Drop 'Dilbert' Comic After Creator's Rant About Black 'Hate Groups'
https://www.nytimes.[...]
2023-02-26
[19]
뉴스
Poll: Only 54% of black people think it's 'OK to be white'
https://www.washingt[...]
2023-03-06
[20]
뉴스
Newspapers Pull "Dilbert" After Creator Scott Adams Calls Black People a "Hate Group"
https://www.motherjo[...]
2023-02-25
[21]
웹사이트
We are dropping the Dilbert comic strip because of creator Scott Adams' racist rant: Letter from the Editor
https://www.clevelan[...]
2023-02-24
[22]
뉴스
'Dilbert' Dropped by Washington Post, LA Times as More Papers Condemn Scott Adams' Racist Rant
https://www.thewrap.[...]
2023-02-25
[23]
뉴스
Los Angeles Times ceases publication of 'Dilbert'
https://www.latimes.[...]
2023-02-25
[24]
뉴스
Why The Atlanta Journal-Constitution will no longer run 'Dilbert'
https://www.ajc.com/[...]
2023-02-25
[25]
뉴스
E-N drops 'Dilbert' because of creator's comments about Black Americans
https://www.expressn[...]
2023-02-25
[26]
뉴스
Letter from the Editor: Why we are no longer running the comic strip 'Dilbert'
https://www.oregonli[...]
2023-02-25
[27]
뉴스
The bewildering descent of Scott Adams and 'Dilbert'
https://www.washingt[...]
2023-03-06
[28]
학술지
How "Dilbert" Practically Wrote Itself
http://blogs.hbr.org[...]
2013-10-18
[29]
웹사이트
The Loser Decision
http://dilbertblog.t[...]
The Dilbert blog
2007-07-23
[30]
만화
Dilbert
https://web.archive.[...]
Universal UClick
2012-09-09
[31]
웹사이트
Dilbert Comic Strip on 2014-10-13 | Dilbert by Scott Adams
https://web.archive.[...]
[32]
웹사이트
Dilbert.com
https://dilbert.com/[...]
[33]
뉴스
India's Supreme Court turns the clock back with gay sex ban
https://www.reuters.[...]
2013-12-11
[34]
웹사이트
Dilbert Comic Strip on 2014-02-07 | Dilbert by Scott Adams
http://dilbert.com/s[...]
[35]
웹사이트
India's Supreme Court overturns sodomy ban in a landmark ruling
https://www.lgbtqnat[...]
2018-09-06
[36]
웹사이트
Dilbert Presents Black Character, Gets Dragged
https://www.dailycar[...]
2022-05-03
[37]
문서
Seven years of Defective People — page 184, "Elbonians"
[38]
웹사이트
Dilbert.com 2016-11-23
https://dilbert.com/[...]
2016-11-23
[39]
서적
Dilbert 2.0: 20 Years of Dilbert
https://books.google[...]
Andrews McMeel Publishing
2008-10-21
[40]
웹사이트
Dilbert.com 1990-04-02
https://web.archive.[...]
2018-04-24
[41]
웹사이트
Dilbert.com 1991-10-14
https://web.archive.[...]
2018-04-24
[42]
서적
Current Trends in Management
https://books.google[...]
Nirali Prakashan
[43]
서적
Encyclopedia of Politics, the Media, and Popular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
[44]
서적
The Trouble with Dilbert: How Corporate Culture Gets the Last Laugh
https://archive.org/[...]
Common Courage Press
1997
[45]
웹사이트
Dilbert comic strip for February 2, 1998
https://web.archive.[...]
Dilbert.com
2013-06-30
[46]
웹사이트
Comics at 100.
http://www.zippythep[...]
2016-09-12
[47]
웹사이트
Dilbert comic strip for May 18, 1998
http://dilbert.com/s[...]
Dilbert.com
2013-06-30
[48]
웹사이트
Dilbert comic strip for 19 May 1998 from the official Dilbert comic strips archive
https://dilbert.com/[...]
Dilbert.com
2009-09-11
[49]
웹사이트
Zippy the Pinhead comic strip for 20 September 1998 from the official Zippy the Pinhead comic strips archive
http://zippythepinhe[...]
zippythepinhead.com
2009-12-06
[50]
웹사이트
Savage Dragonbert
http://www.javaonthe[...]
Javaonthebrain.com
2013-06-30
[51]
서적
Popular Stories and Promised Lands: Fan Cultures and Symbolic Pilgrim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Alabama Press
2007
[52]
웹사이트
Dilbert.com - DNRC - Read the Newsletter
https://web.archive.[...]
2002-08-11
[53]
웹사이트
PHB
http://catb.org/jarg[...]
2022-01-28
[54]
뉴스
Dilbert Creator Fools Execs With Soap Story
https://archive.seat[...]
Associated Press
1997-11-16
[55]
웹사이트
Dilbert Creator Fools Executives
https://web.archiv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97-11-15
[56]
간행물
The Dilbert Doctrines: An Interview with Scott Adams
http://www.reason.co[...]
Reason
1999-02
[57]
뉴스
Fred Dust: Designing for Dilbert
https://web.archive.[...]
CNN Career
2001-08-28
[58]
뉴스
Scott Adams: Dilbert's Ultimate Cubicle
http://www.cnn.com/2[...]
CNN Career
2001-08-28
[59]
웹사이트
Dilbert Ultimate House
http://www.dilbert.c[...]
2004-10-01
[60]
웹사이트
Dilbert's Ultimate House Completed
https://www.building[...]
2005-01-01
[61]
간행물
Dilbert Creator Scott Adams Reveals The Simple Formula That Will Double Your Odds Of Success
https://www.forbes.c[...]
2013-10-23
[62]
웹사이트
The Artistic History of Webcomics — A Webcomics Examiner Roundtable
http://webcomicsrevi[...]
The Webcomics Examiner
[63]
뉴스
Scott Adams Hands "Dilbert" Pen to Fans
https://web.archive.[...]
2008-04-18
[64]
웹사이트
National Cartoonists Society
https://www.national[...]
[65]
웹사이트
1997 Harvey Award Nominees and Winners
http://www.hahnlibra[...]
2023-01-23
[66]
웹사이트
Max und Moritz Award since 1984
https://www.comic-sa[...]
2017-11-27
[67]
뉴스
TELEVISION REVIEW; Just Made For People Who Hate Their Jobs
https://www.nytimes.[...]
1999-01-25
[68]
웹사이트
Dilbert' comic strip removed from nearly 80 papers, author says
https://wpde.com/new[...]
2022-09-21
[69]
웹사이트
Dan Roberts Joins KOLW as Brand Manager/Afternoon Host - RadioInsight
https://radioinsight[...]
2022-03-31
[70]
웹사이트
Dilbert Animated Calendar
https://web.archive.[...]
2009-12-10
[71]
웹사이트
The Dilbert Blog: Movies and Dilbert
https://dilbertblog.[...]
2022-07-01
[72]
웹사이트
Exclusive: Ken Kwampis to Direct Live-Action Dilbert Movie
https://www.pajiba.c[...]
Pajiba
2022-07-01
[73]
웹사이트
Ken Kwapis to Helm Live-Action DILBERT Movie
https://collider.com[...]
Collider
2022-07-01
[74]
웹사이트
Ken Kwapis To Direct Live-Action Dilbert Movie?
https://www.slashfil[...]
/Film
2022-07-01
[75]
웹사이트
'Dilbert' creator Scott Adams talks new book and why he backs Donald Trump
https://www.mercuryn[...]
The Mercury News
2022-07-01
[76]
웹사이트
In memory of the Dilberito, a stomach-ruining Dilbert tie-in once called "the blue jeans of food"
https://www.avclub.c[...]
2024-08-23
[77]
뉴스
Dilbert
http://dilbert.com/s[...]
2008-04-24
[78]
뉴스
Bosses fire worker who put up 'Dilbert' comic
http://desmoinesregi[...]
2007-12-20
[79]
뉴스
Dilbert
http://dilbert.com/s[...]
2010-04-25
[80]
웹사이트
Dilbert's Changed Look Explained
http://blog.dilbert.[...]
2016-03-26
[81]
뉴스
SAM
http://www.journalno[...]
[82]
뉴스
SAM
http://www.journaln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