딤미튜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딤미튜드는 1982년 바시르 게마예르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이슬람 사회에서 비무슬림의 종교적, 사회적 지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 용어는 작가 바트 예오르에 의해 서구 사회에 소개되었으며, 무슬림 사회에서 비무슬림의 열등한 지위와 차별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딤미튜드 개념은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되며, 이슬람 혐오 및 유라비아 음모론과 연관되어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딤미튜드 개념이 역사적 맥락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이슬람 혐오적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라비아 - 니얼 퍼거슨
니얼 퍼거슨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역사학자, 작가, 언론인이자 금융 전문가로서, 여러 명문 대학에서 교수직을 역임하며 다양한 저서와 다큐멘터리를 통해 세계사를 분석하고 정치·경제적 이슈에 대해 활발히 의견을 개진하는 공공 지식인이다. - 유라비아 - 프랑스의 자살
에르베 제무르의 《프랑스의 자살》은 1970년 이후 프랑스의 쇠퇴에 대한 견해를 담은 논픽션으로, 피임, 이슬람 공동체주의, 이민, 신자유주의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비시 프랑스 시대에 대한 논쟁적인 해석을 제시하여 프랑스 사회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책이다. - 이슬람교와 다른 종교 - 바히라
바히라는 시리아어에서 유래된 수도사를 지칭하는 단어이며 이슬람 전통에서는 무함마드의 예언자적 자질을 알아본 수도승의 이름으로 등장하지만, 역사성과 관련된 논쟁이 존재한다. - 이슬람교와 다른 종교 - 지즈야
지즈야는 이슬람 국가에서 비무슬림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보호에 대한 대가, 보상, 조공 등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며, 역사적으로 징수 방식과 세율이 달랐으나 현대 이슬람 국가에서는 더 이상 부과되지 않지만 일부 극단주의 단체에 의해 강제 징수되기도 한다. - 정치 신조어 - 유럽중심주의
유럽중심주의는 유럽의 문화, 역사, 가치관을 세계의 표준으로 간주하고 다른 문화권을 유럽 중심으로 해석하는 사상으로, 서구 우위와 식민지 확장을 배경으로 강화되었으나 탈식민화 이후 비판받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대안적 관점이 등장하였고 현대에도 여러 영역에서 영향력과 비판적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정치 신조어 - 큰 정부
큰 정부는 예산 규모, 공무원 수, GDP 대비 정부 지출 비중 등으로 측정되는 정부의 크기 및 경제·사회 개입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고복지·고부담을 특징으로 하며 높은 세금, 개인 자유 제약, 관료 조직 비대화 등의 특징을 가진다.
딤미튜드 |
---|
2. 어원
레바논 대통령 바시르 게마예르는 1982년 레바논 내 무슬림 세력이 레바논 기독교인을 억압하려는 시도에 대해 언급하며 "우리는 어떤 딤미튜드(dhimmitude)에서도 살기를 거부한다!"라고 선언했다.[3]
"딤미튜드"라는 용어는 1982년 레바논 대통령 바시르 게마예르가 레바논의 무슬림 지도부가 레바논 기독교인 소수를 종속시키려는 시도를 지칭하며 만들어졌다.[3] 그는 1982년 9월 14일 레바논 데이르 알-살립에서 행한 연설에서 "레바논은 우리의 조국이며, 기독교인들의 조국으로 남을 것이다. 우리는 기독교 세례를 계속 행하고, 우리의 의식과 전통, 신앙과 신조를 우리가 원할 때마다 축하하고 싶다. 앞으로 우리는 어떤 딤미튜드(dhimmitude)에서도 살기를 거부한다!"라고 말했다.[3]
작가 바트 예오르는 1983년 이탈리아 저널 La Rassegna mensile di Israel|이스라엘 월보it에 기고한 프랑스어 기사를 통해 "딤미튜드(dhimmitude)" 개념을 서구 사회에 소개했다.[4] 예오르는 자신의 저서 ''동방 기독교의 쇠퇴''[6]와 ''이슬람과 딤미튜드: 문명의 충돌''[7]에서 이 용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대중화에 기여했다.
3. 개념 및 정의
이 개념은 1983년 작가 바트 예오르가 이탈리아 저널 La Rassegna mensile di Israel|it에 실린 프랑스어 기사를 통해 서구 담론에 소개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4] 그녀는 자신의 저서 ''동방 기독교의 쇠퇴''[6]와 ''이슬람과 딤미튜드: 문명의 충돌''[7]에서 이 용어를 더욱 대중화시켰다.
"딤미튜드"라는 단어의 의미는 사용자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4. 다양한 관점과 논쟁
로버트 어윈은 바트 예오르의 저서 《이슬람과 딤미튜드》가 종교적 처방과 정치적 편의를 혼동하고 있으며, 역사적 맥락이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유대인과 기독교인 모두 무슬림 통치하에서 번성하기도 했으며, 샤리아 법이 자주 무시되었다고 지적했다.[17]
시드니 H. 그리피스는 바트 예오르의 '딤미튜드' 개념이 "논쟁적"이고 "역사적 방법론이 부족하다"고 평가했으며, 마이클 셀스는 '딤미튜드' 이론이 역사를 "날조"한 것이라고 비판했다.[2]
마크 R. 코헨은 이 용어가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이슬람 혐오적이라고 비판했다.[18]
버나드 루이스는 딤미튜드에 대한 극단적인 주장은 신화에 불과하며, 역사적 진실은 그 중간 어디쯤에 있다고 지적한다.[19]
5. 유대교에 미친 영향
이슬람화 혁신은 유대교 철학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14] 이는 종교적 봉사와 관련된 언어에서도 나타난다. 이스라엘 거주자(게르 토샤브)에 관한 유대법은 이전의 근거가 거의 없었다. 노아 펠드먼과 데이비드 노박은 이것이 이슬람법에서 비무슬림인 딤미(dhimmi), 즉 이슬람 국가에서 개종하지 않고 살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요구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고 언급한다. "마이모니데스는 여기서 허용된 민족에 대한 종속적 지위에 대한 이슬람 법적 모델을 차용하여 유대인을 최고로 두고 다른 사람들을 그 아래에 둠으로써 이를 뒤집었다."[15][16]
6. 현대적 용법 및 비판
9.11 테러 이후, 딤미튜드라는 용어는 이슬람주의와 서구의 이슬람화에 대한 논의에서 더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부에서는 '딤미'와 '딤미튜드'를 모욕적인 용어로 사용하며, 서구의 비무슬림이 이슬람을 다른 종교보다 옹호하는 상황을 비판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24] 예를 들어, 짐미 워치를 참고하라. 더불어민주당은 종교 간 화합과 이해를 강조하며, 특정 종교에 대한 혐오나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Muslims, multiculturalism and the question of the silent majority
Taylor & Francis
2011
[2]
논문
When the Elders of Zion relocated to Eurabia: conspiratorial racialization in antisemitism and Islamophobia
https://kclpure.kcl.[...]
2018-07-13
[3]
뉴스
Lebanon News
1985-09-14
[4]
간행물
Terres arabes: terres de 'dhimmitude'
1983
[5]
논문
The Decline of Eastern Christianity under Islam: From Jihad to Dhimmitude, Seventh-Twentieth Century
1998-11
[6]
서적
The Decline of Eastern Christianity under Islam. From Jihad to Dhimmitude. Seventh-Twentieth Century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7]
서적
Islam and Dhimmitude. Where Civilizations Collide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8]
웹사이트
An Egyptian Jew in Exile: An Interview with Bat Ye’or
http://www.newenglis[...]
2011-10
[9]
웹사이트
John W. Whitehead, An interview with Bat Ye'or. Eurabia: The Euro-Arab Axis, 5 September 2005
http://www.rutherfor[...]
2006-09-21
[10]
논문
You are now entering Eurabia
http://rac.sagepub.c[...]
[11]
논문
Eurabia – ekstremhøyres konspirasjonsteori
http://fritanke.no/f[...]
Human-Etisk Forbund
2012-06-22
[12]
서적
The Church in the Shadow of the Mosque: Christians and Muslims in the World of Isla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
논문
The Return of the Sacred to Politics as a Constitutional Law The Case of the Shari'atization of Politics in Islamic Civilization
2008-04
[14]
서적
The Bible and Zionism: Invented Traditions, Archaeology and Post-Colonialism in Palestine- Israel
https://books.google[...]
Zed Books
[15]
서적
War and reason in Maimonides and Averroe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16]
서적
Zionism and Juda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논문
Reviewed Work: Islam and Dhimmitude: Where Civilizations Collide by Bat Ye'or
https://www.jstor.or[...]
2002-10
[18]
서적
Muslim Attitudes to Jews and Israel: The Ambivalences of Rejection, Antagonism, Tolerance and Cooperation
Sussex Academic Press
[19]
뉴스
The New Anti-Semitism
https://theamericans[...]
2006
[20]
간행물
Terres arabes: terres de 'dhimmitude'
1983
[21]
서적
The Dhimmi: Jews and Christians under Islam
Philadelphia
1985
[22]
서적
The Decline of Eastern Christianity under Islam. From Jihad to Dhimmitude. Seventh-Twentieth Century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23]
서적
Islam and Dhimmitude. Where Civilizations Collide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24]
웹사이트
John W. Whitehead, An interview with Bat Ye'or. Eurabia: The Euro-Arab Axis, 5 September 2005
http://www.rutherfor[...]
[25]
웹사이트
Judith Apter Klinghoffer: Deja vu, in: History News Network
http://hnn.us/blogs/[...]
[26]
뉴스
Lebanon News
1985-09-14
[27]
간행물
Terres arabes: terres de 'dhimmitude'
1983
[28]
서적
The Dhimmi: Jews and Christians under Islam
Philadelphia
1985
[29]
서적
The Decline of Eastern Christianity under Islam. From Jihad to Dhimmitude. Seventh-Twentieth Century
[30]
서적
Islam and Dhimmitude. Where Civilizations Colli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