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샤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샤리아(شريعة)는 이슬람교의 종교적, 법적 규범 체계로, 아랍어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따라야 할 길"을 의미한다. 샤리아는 꾸란과 순나(무함마드의 언행록)를 기본으로 하며, 이슬람 법학자들의 해석과 합의를 통해 발전해 왔다. 샤리아는 개인의 신앙, 윤리,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적용되며, 법률, 가족,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샤리아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법학파(하나피, 말리키, 샤피이, 한발리 등)를 통해 해석되었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민주주의, 인권과의 관계, 여성 및 소수자 권리 문제 등과 관련하여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슬람 법학 - 피끄흐
    피끄흐는 이슬람 율법으로서 코란과 하디스를 주요 출처로 삼고 이즈마와 키야스를 보조 출처로 하여 이슬람 신자들이 삶의 모든 측면에서 따라야 할 규범과 지침을 포괄하며, 다양한 학파를 통해 체계화되어 형사법, 경제법, 가족법 등 여러 분야를 다룬다.
  • 샤리아 - 슈라
    슈라는 이슬람에서 무슬림 공동체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상의와 협의를 중시하는 원칙으로, 쿠란에 언급되며 무함마드가 실천하였으나, 칼리프 시대 이후 적용이 다양하게 변화했고 현대 무슬림 국가들에서 국가 체제에 따라 역할과 권한이 달라진다.
  • 샤리아 - 지즈야
    지즈야는 이슬람 국가에서 비무슬림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보호에 대한 대가, 보상, 조공 등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며, 역사적으로 징수 방식과 세율이 달랐으나 현대 이슬람 국가에서는 더 이상 부과되지 않지만 일부 극단주의 단체에 의해 강제 징수되기도 한다.
  • 이슬람교에 관한 - 무자헤딘
    무자헤딘은 아랍어로 지하드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초기에는 이슬람교 포교자를 지칭했으나 근대에는 침략에 저항하는 저항 운동을, 20세기에는 아프가니스탄 게릴라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지하디스트와 유사한 의미로 무장 단체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이슬람교에 관한 - 카바
    카바는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 있는 이슬람교의 가장 신성한 장소로, 이슬람 이전부터 아랍인들의 성역이었으며 무함마드에 의해 이슬람의 중심 성지가 되었고, 아브라함과 이스마엘이 건설했다는 기록이 있는 '검은 돌'을 포함한 여러 유물이 있는 곳이며, 하즈와 움라 순례의 중심지이다.
샤리아
구글 지도
정의 및 개요
정의이슬람의 종교적 법률 체계
어원아랍어 '샤리아' (شريعة), '물로 가는 길' 또는 '곧은 길'
목표이슬람 신자의 삶의 모든 측면을 규율하는 것
특징신성한 법으로 간주됨
도덕, 윤리, 사회적 행동, 개인 생활, 종교 의례, 형사 처벌 등 모든 영역을 포괄
이슬람 법학자들에 의해 해석되고 적용됨
주요 출처
코란이슬람의 신성한 경전, 샤리아의 근본적인 원칙 제공
순나무함마드의 언행 및 삶의 방식, 코란의 해석 및 적용에 대한 모범
이즈마 (합의)이슬람 법학자들의 합의, 종교적인 문제에 대한 공통된 의견
키야스 (유추)기존 법률 원칙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 코란과 순나에 근거한 논리적 추론
기타일부 학파에서는 '아클'(이성)과 같은 추가적인 원칙을 사용
주요 영역
개인 생활의례, 기도, 금식, 자선
식사, 옷차림, 결혼, 이혼, 상속 등
사회생활상거래, 계약, 형법, 가족법
개인 및 사회적 관계의 규범
형법절도, 살인, 간통 등 범죄에 대한 처벌 규정
국가 및 개인 간의 법적 분쟁 해결
법학 학파
수니파하나피파
말리키파
샤피이파
한발리파
시아파자파리파
샤리아의 적용
현대 사회모든 이슬람 국가에서 다양한 정도로 적용됨
일부 국가는 샤리아를 완전히 법률 체계로 채택
다른 국가는 형법이나 가족법 등 특정 영역에만 적용
다양한 해석과 현대적 적용 시도가 진행 중
논란일부 서구 국가 및 인권 단체는 샤리아의 일부 측면 (예: 형법)이 인권에 어긋난다고 비판
샤리아의 해석과 적용에 대한 의견 차이 존재
종교적 및 정치적 논쟁의 대상이 됨
정치적 의미일부 이슬람주의 단체는 샤리아를 국가의 기본 법률로 요구함
국가와 종교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견해 존재
참고 사항
용어피크흐 (이슬람 법학)는 샤리아의 실제 법률적 해석과 적용을 의미함
샤리아와 법샤리아는 이슬람 법률 체계의 원칙을 제공하며, 실제 법률은 피크흐를 통해 구체화됨
다양한 해석샤리아는 다양한 해석과 적용이 가능하며, 단일한 법률 체계로 볼 수 없음
관련 개념이슬람 법률, 이슬람 법학, 이슬람 법률가, 이슬람 사상

2. 어원 및 용례

아랍어 단어 ‘샤리아(شريعة)’는 어근 ‘š-r-ʕ’에서 유래한다.[17] 어원 연구에 따르면 이 단어는 종교적인 의미 없이 두 가지 주요 영역에서 나타난다. 목축이나 유목 환경을 묘사하는 글에서 ‘샤리아’와 그 파생어는 영구적인 물웅덩이나 해변에서 동물에게 물을 먹이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용례는 늘어나거나 길다는 개념과 관련이 있다.[17] 이 단어는 히브리어 ‘saraʿ’(שָׂרַע)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길" 또는 "경로"라는 의미의 기원일 가능성이 높다.[17] 일부 학자들은 "따라야 할 경로"를 나타내는 고대 아랍어 단어(히브리어 용어 할라카(["가야 할 길"])와 유사)라고 설명하거나,[17] "물웅덩이로 가는 길"[18][19] 이라고 주장하며, 건조한 사막 환경에서 물의 중요성으로부터 신성하게 정해진 삶의 방식에 대한 은유로 채택되었다는 주장을 펼친다.[19]

꾸란에서 šarīʿah|샤리아ar와 어원적으로 관련된 širʿah|시르아ar는 각각 한 번씩 등장하며, "길" 또는 "경로"라는 의미를 지닌다.[20][21] šarīʿah|샤리아ar라는 단어는 중세 시대 아랍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10세기 사아디야 가온이 번역한 토라의 아랍어 번역에서 Torah|토라he를 번역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였다.[17] 이와 유사한 용례는 기독교 저술가들에게서도 발견된다.[17] 아랍어 표현 Sharīʿat Allāh|샤리아트 알라ar (شريعة الله|신의 법ar)은 תורת אלוהים|토라트 엘로힘he (히브리어로 "신의 법") 및 신약성서(롬 7:22)의 그리스어 νόμος τοῦ θεοῦ|노모스 투 테우grc (신의 법grc)에 대한 일반적인 번역어이다.[22] 이슬람 문헌에서 šarīʿah|샤리아ar는 학자의 해석을 의미하는 fiqh|피크흐ar와는 대조적으로 예언자 또는 신의 법 또는 메시지를 나타낸다.[18]

19세기 후반/20세기 초의 오래된 영어권 법률 관련 저술에서는 샤리아를 나타내는 단어로 '''sheri'''가 사용되었다.[23] 이 단어는 프랑스어 변형어인 chéri|셰리프랑스어와 함께 1800년대 후반 주요 이슬람 국가였던 오스만 제국 시대에 사용되었는데, 튀르키예어 şer'(i)|셰르(이)tr에서 유래했다.[24]

2. 1. 현대적 용법

아랍어를 사용하는 중동 지역 사람들은 '샤리아(sharīʿah)'라는 단어를 예언자의 종교 전체를 지칭하는 데 사용한다.[16] 예를 들어, '샤리아트 무사(sharīʿat Mūsā)'는 모세의 율법 또는 모세의 종교를 의미하며, '샤리아투나(sharīʿatu-nā)'는 어떤 일신교 신앙을 가리켜 "우리의 종교"를 의미할 수 있다.[16] 이슬람 담론 내에서 '샤리아(šarīʿah)'는 무슬림의 삶을 지배하는 종교 규정을 가리킨다.[16] 많은 무슬림에게 이 단어는 단순히 "정의"를 의미하며, 정의와 사회 복지를 증진하는 모든 법을 샤리아에 부합한다고 생각한다. 샤리아는 네 문 중 첫 번째이며, 수피즘과 수피즘의 영향을 받은 이슬람 분파(예: 이스마일파, 알라위파)에서 신으로 가는 길의 가장 낮은 단계이다. 샤리아에서 타리카로, 거기서 마르리파로, 마지막으로 하키카에 도달해야 한다.

얀 미셸 오토(Jan Michiel Otto)는 담론에서 샤리아라는 용어가 전달하는 네 가지 의미를 구분하여 이해의 진화 단계를 요약한다.

  • 신성하고 추상적인 샤리아: 샤리아는 인간에 의한 다양한 구체적인 해석에 충분한 여지를 남기는 다소 추상적인 개념이다.
  • 고전적 샤리아: 이것은 무함마드 이후 첫 두 세기 동안 종교 학자들이 편찬한 이슬람 규칙, 원칙 및 사례의 집합체이며, '이지티하드'를 포함한다.
  • 역사적 샤리아(들): 이것은 자유 해석의 문이 닫힌 이후 현재까지 1000년이 넘는 역사 동안 전체 무슬림 세계에 걸쳐 개발되고 전승된 모든 원칙, 규칙, 사례 및 해석의 전체 집합체를 포함한다.
  • 현대적 샤리아(들): 이것은 현재 개발되고 적용되는 원칙, 규칙, 사례 및 해석의 전체 범위를 포함한다. 이주, 현대화, 새로운 정보 및 통신 기술은 고전적 샤리아의 법학 학교의 지배력을 감소시켰다.


19세기 후반 유럽 용어에서 차용된 관련 용어인 القانون الإسلامي|al-qānūn al-islāmīar (이슬람법)는 현대 국가의 맥락에서 법 체계를 가리키는 데 무슬림 세계에서 사용된다.

2. 2. 어원

아랍어 단어 ''šarīʿah''의 주된 의미는 어근 ''š-r-ʕ''에서 유래한다.[17] 어원 사전 연구에 따르면 이 단어는 종교적 함축 없이 두 가지 주요 영역에서 나타날 수 있다. 목축이나 유목 환경을 묘사하는 텍스트에서 ''šarīʿah''와 그 파생어는 영구적인 물웅덩이 또는 해변에서 동물에게 물을 먹이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용례는 늘어나거나 길다는 개념과 관련이 있다.[17] 이 단어는 히브리어 ''saraʿ'' שָׂרַע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길" 또는 "경로"라는 의미의 기원일 가능성이 높다.[17] 일부 학자들은 이것을 "따라야 할 경로"를 나타내는 고대 아랍어 단어(히브리어 용어 할라카(["가야 할 길"])와 유사)라고 설명하거나,[17] "물웅덩이로 가는 길"[18][19] 이라고 주장하며, 건조한 사막 환경에서 물의 중요성으로부터 신성하게 정해진 삶의 방식에 대한 은유로 채택되었다는 주장을 펼친다.[19]

꾸란에서 šarīʿah|샤리아ar와 그와 어원적으로 관련된 širʿah|시르아ar는 각각 한 번씩 등장하며, "길" 또는 "경로"라는 의미를 지닌다.[20][21] šarīʿah|샤리아ar라는 단어는 중세 시대 아랍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10세기 사아디야 가온(Saʿadya Gaon)이 번역한 토라의 아랍어 번역에서 Torah|토라he를 번역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였다.[17] 이와 유사한 용례는 기독교 저술가들에게서도 발견된다.[17] 아랍어 표현 Sharīʿat Allāh|샤리앗 알라ar (شريعة الله|신의 법ar)은 תורת אלוהים|토랏 엘로힘he (히브리어로 "신의 법") 및 신약성서(롬 7:22)의 그리스어 νόμος τοῦ θεοῦ|노모스 투 테우grc (신의 법grc)에 대한 일반적인 번역어이다.[22] 이슬람 문헌에서 šarīʿah|샤리아ar는 학자의 해석을 의미하는 fiqh|피크흐ar와는 대조적으로 예언자 또는 신의 법 또는 메시지를 나타낸다.[18]

19세기 후반/20세기 초의 오래된 영어권 법률 관련 저술에서는 샤리아를 나타내는 단어로 '''sheri'''가 사용되었다.[23] 이 단어는 프랑스어 변형어인 chéri|셰리프랑스어와 함께 — 1800년대 후반 주요 이슬람 국가였던 오스만 제국 시대에 사용되었는데, 튀르키예어 şer'(i)|셰르(이)tr에서 유래했다.[24]

2. 3. 종교 문헌에서의 사용

šarīʿah|샤리아ar라는 단어는 중세 시대 아랍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10세기 사아디야 가온이 번역한 토라의 아랍어 번역에서 Torah|토라he를 번역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였다.[17] 이와 유사한 용례는 기독교 저술가들에게서도 발견된다.[17] 아랍어 표현 Sharīʿat Allāh|샤리아트 알라ar (شريعة الله|신의 법ar)은 תורת אלוהים|토라트 엘로힘he (히브리어로 "신의 법") 및 신약성서(롬 7:22)의 그리스어 νόμος τοῦ θεοῦ|노모스 투 테우grc ()에 대한 일반적인 번역어이다.[22]

꾸란에서 šarīʿah|샤리아ar와 그와 어원적으로 관련된 širʿah|시르아ar는 각각 한 번씩 등장하며, "길" 또는 "경로"라는 의미를 지닌다.[20][21]

이슬람 문헌에서 šarīʿah|샤리아ar는 학자의 해석을 의미하는 fiqh|피크흐ar와는 대조적으로 예언자 또는 신의 법 또는 메시지를 나타낸다.[17]

19세기 후반/20세기 초의 오래된 영어권 법률 관련 저술에서는 샤리아를 나타내는 단어로 '''sheri'''가 사용되었다.[23] 이 단어는 프랑스어 변형어인 chéri|셰리프랑스어와 함께 — 1800년대 후반 주요 이슬람 국가였던 오스만 제국 시대에 사용되었는데, 튀르키예어 şer'(i)|셰르(이)tr에서 유래했다.[24]

3. 역사적 기원

샤리아는 이슬람교의 율법 체계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과정을 거쳐 발전해 왔다.

이븐 아비 사이드의 <리사라>는 일반적인 법학서 중 하나로, 신학, 종교적 의무, 희사, 순례, 제물, 혼인, 매매계약, 유산, 형벌, 상속, 사회적 규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피크흐는 이슬람 법학을 의미하며, 법학의 이론적 원리를 연구하는 '우술 알 피크흐'와 판결을 상세히 설명하는 '푸루 알 피크흐'로 나뉜다.

3. 1. 전통적인 관점

전통적으로 무슬림들은 샤리아의 주요 계율이 예언자 무함마드로부터 직접 전해졌다고 믿는다. 무함마드의 동료(사하바, 예언자의 동료)들은 그의 행적을 모범으로 삼아 하디스 형태로 후대에 전달했다.[41]

아부 하니파, 말리크 이븐 아나스, 알샤피이, 아흐마드 이븐 한발과 같은 초기 법학자들은 이러한 하디스를 바탕으로 샤리아를 체계화했다. 이들의 노력으로 수니파에서는 4대 법학파(마드하브)가 형성되었다.[42]

고전 피크흐(fiqh, 이슬람 법학)에서 판단의 근거는 크게 꾸란과 하디스를 의미하는 망쿨라트(manqūlāt)와 이즈마, 키야스, 이즈티하드등을 의미하는 악리야트(aqliyyāt)로 나뉜다.[37] 악리야트 중 일부는 칼람(이슬람 형이상학)과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의 산물로 간주된다.[38]

수니파는 인간의 이성은 신이 주신 선물이며 최대한 활용해야 하지만, 이성만으로는 선과 악을 구분하기에 불충분하며, 합리적 논증은 꾸란과 무함마드순나(sunnah, 무함마드의 행적과 가르침)에 계시된 초월적 지식에서 내용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보았다. 꾸란과 순나 외에도 고전 수니파 피크흐 이론은 법학적 합의(이즈마)와 유추 추리(키야스)를 법의 근원으로 인정한다.

3. 2. 수정주의적 관점

이그나츠 골드치허, 조셉 샤흐트 등 현대 학자들은 수정주의적 관점을 제시했다. 이들은 초기 무슬림 사회의 법적 필요성과 관행이 샤리아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이들에 따르면, 꾸란과 하디스는 법적 근거 중 하나로만 여겨졌다. 법학자의 개인적인 의견, 정복민의 법적 관행, 칼리파의 결정 또한 유효한 근거로 사용되었다.[60][61][62][63][64]

하디스의 경우, 그 진위 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으며, 후대에 생성되었다는 주장도 있다.[65][66][67] 초기 이슬람 학자들은 하디스 전승자들의 신뢰성을 평가하여 진위 여부를 판단하려 했다.[53][54]

알샤피이는 고전적인 법 이론을 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꾸란과 무함마드순나를 샤리아의 주요 근거로 확립하고, 이즈마(합의)와 키야스(유추)를 보조적인 근거로 제시했다.

3. 3. 이슬람 이전의 영향

샤리아 법과 의례는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 종교의 관행에 영향을 받았다. 하즈(성지순례), 살라트(예배), 자카트(종교부금) 등의 의례는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에서 기원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히잡 명령은 노예와 자유 여성을 구별하는 관행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다. 키사스는 이슬람 이전 아랍 사회에서 부족 간 갈등 해결에 사용된 관행이었다.

초기 이슬람 법학은 종교적 계율과 행정적 관행이 결합되어 발전했다는 중간적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 정복 지역의 이슬람 이전 법과 관습은 샤리아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초기 법학 연구 모임에서 학파가 형성되었으며, 이슬람 초기 3세기 동안 모든 법학파는 이슬람 법의 근거를 꾸란과 하디스에 두어야 한다는 점을 받아들였다.

4. 전통 법학 (피크흐)

피크흐(Fiqh)는 이슬람 법학으로, 단순한 법적 규범뿐만 아니라 윤리적 기준까지 다루며, 무엇이 합법적이고 불법적인지, 그리고 도덕적으로 옳고 그른지를 규정한다.[334]

샤리아 판결은 "다섯 가지 결정"(al-aḥkām al-khamsa)으로 알려진 다음 다섯 가지 범주로 나뉜다.[334]


  • 의무(''farḍ'' 또는 ''wājib''): 반드시 해야 하는 행위.
  • 권장(''mandūb'' 또는 ''mustaḥabb''): 하면 좋은 행위.
  • 중립(''mubāḥ''):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행위.
  • 비난(''makrūh''): 하지 않는 것이 좋은 행위.
  • 금지(''ḥarām''):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행위.[334]


금지된 행위를 하거나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죄 또는 범죄가 된다. 비난받는 행위는 피해야 하지만, 죄가 되거나 법정에서 처벌받지는 않는다. 비난받는 행위를 피하고 권장되는 행위를 하면 사후 세계에서 보상을 받지만, 중립적인 행위는 신의 심판을 받지 않는다. 법학자들은 ''ḥalāl'' 용어가 처음 세 가지 범주 또는 처음 네 가지 범주를 포함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334] 법적 및 도덕적 판결은 행위가 필요에 의해 저질러졌는지(''ḍarūra'')와 "행위는 의도에 따라 [평가된다]"는 법률 격언에 표현된 기본적인 의도(''니야'')에 달려 있다.[334]

하나피 학파에서는 파르드와 와지브를 구분한다. 파르드 규칙을 부과하려면 다음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93]

1. 나스: 꾸란 구절만 증거로 허용되며, 하디스는 허용되지 않는다.

2. 주제를 언급하는 본문의 표현은 다른 해석을 허용하지 않을 만큼 명확하고 정확해야 한다.

와지브는 이 조건들 중 두 번째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상황에 사용된다.[93]

하지만 이러한 구분은 모든 상황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피는 5번의 매일 기도를 파르드로 보지만, 꾸란주의자나 시아파와 같은 일부 종교 단체는 같은 구절에서 2번 또는 3번[94][95][96][97] 기도하라는 명령이 명확하게 나와 있다고 주장한다(5번이 아님). 또한 종교 문헌에서 와지브는 피크흐의 정의를 표현하지 않고 모든 종류의 종교적 요구 사항에 널리 사용된다.

무스타파 외즈튀르크와 같은 학자는 파즐루르 라흐만 말릭의 영향을 받아 꾸란 구절들이 역사적 맥락에서 계시되었으며, 아흐캄이 본질과 종교의 목적에 속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알-사르카시는 태어날 아이의 부권 결정이 추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결정하고, 오늘날 이러한 이해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 질문한다.

4. 1. 법학 원리 (우술 알 피크흐)

고전 이슬람 법학은 신뢰할 수 있는 종교적 자료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새로운 상황에 대한 판단을 도출하기 위해 언어학적, 수사학적 도구를 사용한다. 여기에는 망쿨라트(manqulat, 꾸란과 하디스)와 악리야트('aqliyyat, 이즈마, 끼야스 등)의 개념이 포함된다.

합리적인 방법의 적용 범위를 둘러싼 논쟁도 있었다. 초기 이슬람 시대에는 합리주의자(무타질라)와 전통주의자(아흘 알-하디스) 사이에 갈등이 있었다. 수니파의 관점에서는 이성과 계시를 조화롭게 사용한다.

이븐 아비 사이드가 편찬한 <리사라>는 법학서의 한 예시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순서내용
제1장신학적 문제
제2장~24장종교적 의무
제25장~27장희사(喜捨)
제28장순례
제29장제물·수렵·할례·금지된 음식
제30장지하드
제31장서약
제32장∼33장혼인·이혼·별거수당
제34장매매계약
제35장유산·담보·차금(借金)·불법취득
제37장살상·형벌
제38장증인
제39장상속법
제40장각종 종교적 의무
제41장할례·삭발·의복
제42장음식
제43장사회적 규칙·코란 독송(讀誦)
제44장의술·주부(呪符)·노예에 대한 관용
제45장꿈·노름 등


4. 1. 1. 샤리아의 근원

샤리아의 근원은 다음과 같다.

  • '''꾸란'''
  • '''순나''' (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 하디스를 통해 알 수 있음)
  • '''이즈마''' (이슬람 법학자들의 합의)
  • '''끼야스''' (꾸란과 하디스에서 유추하여 새로운 사건에 적용)


이슬람 법학파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이 네 가지를 바탕으로 이슬람 국가 운영에서부터 무슬림 개인의 행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법을 해석한다. 샤리아는 법 조항 형태로 명확하게 정리된 것이 아니어서, 모든 법 규정을 모아놓은 "샤리아 법전"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위에 언급된 순서대로 중요하게 여겨진다. 즉, 꾸란의 판단이 가장 중요하고, 꾸란만으로 판단이 어려울 때는 순나, 순나로도 어려울 때는 이즈마나 끼야스를 고려한다. 그러나 어떤 법학파는 이즈마나 끼야스 자체를 인정하지 않거나, 그 방법과 효력에 제한을 두기도 한다.

시아파에서는 이맘만이 샤리아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다고 믿으며, 법학자를 포함한 일반 신자들의 해석보다 이맘의 해석을 우선시한다. 따라서 시아파 하디스는 역대 이맘의 언행도 포함한다.

샤리아는 꾸란과 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순나)을 바탕으로 하며, 이슬람 법학자들이 법을 해석한다. 이슬람 법학이라는 학문 체계도 존재하며, 예언자 무함마드 시대부터 1000년 이상 법 해석에 대한 논의가 이어져 왔다. 법 해석 권한은 이슬람 법학자에게만 있으며, 칼리프가 독단적으로 법을 해석할 수 없다. 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록은 하디스라고 불리며, 거짓 정보가 섞이지 않도록 정보 출처가 반드시 기록된다. 이슬람 국가에서 샤리아에 따른 재판에서는 과거 판례나 법학자의 견해(파트와), 조리 등도 참고 자료로 사용된다.

4. 1. 2. 이지티하드

이지티하드는 꾸란과 순나(무함마드의 언행)에 명시되지 않은 문제에 대해 독립적인 법률적 판단을 내리는 것을 의미한다.[90] 이슬람 초기에는 이지티하드가 널리 사용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슬람 법학자들은 이지티하드의 자격 요건을 엄격하게 규정하고 그 범위를 제한했다.

이지티하드를 하는 사람을 무즈타히드라고 부르며, 이들은 꾸란, 하디스, 이즈마(학자들의 합의), 키야스(유추) 등 이슬람 법의 원천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갖춰야 했다.[91] 또한 아랍어, 이슬람 신학, 법학 방법론 등에도 능통해야 했다. 이러한 엄격한 조건 때문에 이지티하드를 할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였다.

대부분의 무슬림은 이지티하드를 할 자격이 없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무즈타히드의 판결을 따르는 타클리드(모방)를 해야 했다. 타클리드는 이슬람 법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일반 무슬림들이 법률 전문가의 지식에 의존하여 종교적 의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이지티하드는 특정한 상황에서는 여전히 필요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거나 기존의 법률적 판결이 더 이상 적용될 수 없는 경우에는 이지티하드를 통해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야 했다.[92]

역사적으로 이지티하드의 범위와 적용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일부 학자들은 이지티하드의 문이 닫혔다고 주장하며, 더 이상의 독립적인 법률적 판단은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지티하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슬람 법이 시대와 상황에 맞게 발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3]

현대에 들어와 이지티하드는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슬람 세계가 서구 문명과 접촉하고 새로운 사회적, 경제적 문제에 직면하면서, 이슬람 법의 현대적 해석과 적용이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많은 이슬람 개혁가들은 이지티하드를 통해 이슬람 법을 현대화하고, 이슬람 사회의 발전을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수니파시아파는 이지티하드에 대해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수니파는 이지티하드의 자격 요건을 엄격하게 규정하고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시아파는 이지티하드를 더 개방적으로 허용하고 무즈타히드의 역할을 강조한다.[94][95][96][97]

샤리아에는 이지티하드 외에도 이스티흐산(법률적 선호), 이스티슬라흐(공익), 이스티샤브(관습)와 같은 법률적 추론 방법들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이지티하드가 적용될 수 없는 경우에 법률적 판단을 내리는 데 사용된다.

샤리아의 근원은 위계질서가 있다. 꾸란이 최상위 권위를 가지며, 그 다음으로 순나, 이즈마, 키야스 순으로 권위를 가진다. 이슬람 법학자들은 이러한 근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법률적 판단을 내린다.

무타 결혼(임시 결혼)은 샤리아에서 논쟁적인 문제 중 하나이다. 수니파는 무타 결혼을 금지하지만, 시아파는 특정 조건 하에서 허용한다. 이러한 차이는 꾸란과 하디스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4. 1. 3. 아흐캄 알 샤리아 (판결 유형, 분류)

피크흐는 법적 규범뿐만 아니라 윤리적 기준에도 관심을 두고, 무엇이 합법적이고 불법적인지뿐만 아니라 도덕적으로 옳고 그른 것을 확립하려고 한다. 샤리아 판결은 "다섯 가지 결정"(al-aḥkām al-khamsa)으로 알려진 다섯 가지 범주 중 하나에 속한다: 의무(''farḍ'' 또는 ''wājib''), 권장되는 것(''mandūb'' 또는 ''mustaḥabb''), 중립(''mubāḥ''), 비난받는 것(''makrūh''), 그리고 금지된 것(''ḥarām'').[93]

금지된 행위를 하거나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것은 죄 또는 범죄이다.[93] 비난받는 행위는 피해야 하지만, 죄가 되거나 법정에서 처벌받는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93] 비난받는 행위를 피하고 권장되는 행위를 하는 것은 사후 세계에서 보상의 대상이 되는 반면, 중립적인 행위는 신의 심판을 받지 않는다.[93] 법학자들은 ''ḥalāl''이라는 용어가 처음 세 가지 범주 또는 처음 네 가지 범주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93] 법적 및 도덕적 판결은 행위가 필요에 의해 저질러졌는지(''ḍarūra'')와 법률 격언 "행위는 의도에 따라 [평가된다]"에서 표현된 기본적인 의도(''니야'')에 달려 있다.[93]

하나피 피크흐는 "파르드"와 "와지브"를 구분한다. 하나피 피크흐에서 파르드 규칙을 부과하려면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1. 나스(꾸란 구절만 증거로 허용, 하디스는 불가) 2. 주제를 언급하는 본문의 표현은 다른 해석을 허용하지 않을 만큼 명확해야 한다. 와지브는 이러한 조건 중 두 번째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상황에 사용된다.[93]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모든 상황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피는 5번의 매일 기도를 파르드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꾸란이 종교적 근원임을 의심하지 않는 꾸란주의자 및 시아파와 같은 일부 종교 단체는 같은 구절에서 2번 또는 3번[94][95][96][97] 기도하라는 명령이 명확하게 나와 있다고 추론한다(5번이 아님). 또한 종교 문헌에서 와지브는 피크흐의 정의를 표현하지 않고 모든 종류의 종교적 요구 사항에 널리 사용된다.

분류 및 라벨은 그것을 만드는 사람들과 집단의 이해에 따라 형성된 상대적인 성격을 갖는다. 예를 들어, 아울리야의 존재와 기적을 믿는 것은 알-타하위 및 나사피[98][99]와 같은 많은 저명한 수니 신조 저술가들에 의해 정통 이슬람의 "조건"으로 제시되며 전통적인 수니파와 시아파에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성인의 무덤에 대한 존중과 방문 표현과 함께 살라피즘, 와하비즘, 이슬람 근대주의와 같은 청교도적이고 부흥주의적인 이슬람 운동에 의해 용납할 수 없는 이단으로 여겨진다.[100]

13세기 노예 시장, 예멘의 노예 제도 시대. 이슬람의 첩에 대한 견해 참조.


약 6개의 구절이 공공장소에서 여성의 복장에 대해 다룬다.[101] 무슬림 학자들은 이러한 구절을 이해하는 방법에 대해 의견이 달랐으며, 일부는 히잡이 이행해야 할 명령(파르드)이라고 말한다.[102] 다른 학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107]

꾸란에 있는 샤리아 이해에 따라 노예와 첩의 지위를 결정하는 진술은 ''ma malakat aymanuhum'' 또는 ''milk al-yamin''[109], 즉 "네 오른손이 소유한 자들"을 의미한다. 오늘날 샤리아는 노예에게 많은 권리를 부여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예 제도를 근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자주 말해진다. 그러나 여성 노예의 성적 사용은 그들의 "재산" 정의 내에서 고려되었으며,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무제한적인 성적 사용과 물리적 착취가 율마에 의해 전통적인 이슬람 법에서 승인되었다.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개인, 집단, 기관, 사건, 상황, 신념 및 관행에 "특정한" 특별한 종교적 결정으로, 일반적으로 판단의 승인/불승인을 포함하는 것을 파트와라고 한다. 타지르 형벌은 키사스 및 후두드 법 외부에 있으며 성문화되지 않았으며, 그 재량과 시행은 판사 또는 정치 당국의 주도권과 권한 하에 있다.[93] 무스타파 외즈튀르크는 이슬람 신조의 또 다른 발전을 지적하며, 신학자에 따라 탁피르의 조건을 결정하는 것과 같은 아흐캄의 변화를 가져온다. 초기 무슬림들은 신이 살아 있다고 믿었다. 하늘에 아흐마드 이븐 한발이 말했듯이, "알라가 어디에나 있다고 말하는 자는 이단이며, 불신자이며, 회개하도록 권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죽여야 한다." 이러한 이해는 나중에 변화하여 "신에게 장소를 할당할 수 없으며 신은 어디에나 있다"는 이해로 이어진다.[112]

개인과 관련된 판결은 개인적이며, 예를 들어 이슬람 키사스 또는 보상 결정에서 법학자는 성별, 자유, 종교 및 사회적 지위와 같은 "개인적 라벨"을 고려해야 한다. 무민, 카피르, 무스타민, 딤미, 배교자 등 유사한 구분은 범죄자의 신원 확인과 같은 사법 조항의 설립에 근본적인 가치를 지닌 증언 관행에도 적용된다. 이슬람 설교자들은 아달라의 중요성을 끊임없이 강조하며, 재판에서 판사는 재판받는 사람들 사이의 평등을 관찰할 것으로 기대되지 않지만, 공정하거나 균형 있게 행동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통적인 피크흐는 법적 및 종교적 책임이 루슈드로 시작된다고 밝힌다.

4. 2. 법학 분야 및 세부 사항 (푸루 알 피크흐)

피크흐는 단순한 법적 규범 외에도 윤리적인 기준까지 다루며, 무엇이 합법적이고 불법적인지 뿐만 아니라 도덕적으로 옳고 그른지를 규정하려 한다.[334] 샤리아 판결은 "다섯 가지 결정"(al-aḥkām al-khamsa)으로 알려진 다섯 가지 범주로 나뉜다.

# 의무 (''farḍ'' 또는 ''wājib'')

# 권장 (''mandūb'' 또는 ''mustaḥabb'')

# 중립 (''mubāḥ'')

# 비난 (''makrūh'')

# 금지 (''ḥarām'')[334]

금지된 행위를 하거나 의무적인 행위를 하지 않는 것은 죄 또는 범죄이다. 비난받는 행위는 피해야 하지만, 죄가 되거나 법정에서 처벌받는 것은 아니다. 비난받는 행위를 피하고 권장되는 행위를 하는 것은 사후 세계에서 보상을 받지만, 중립적인 행위는 신의 심판을 받지 않는다. 법학자들은 ''ḥalāl'' 용어가 처음 세 가지 또는 처음 네 가지 범주를 포함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 법적 및 도덕적 판결은 행위가 필요에 의해 저질러졌는지(''ḍarūra'')와 "행위는 의도에 따라 [평가된다]"는 법률 격언에 표현된 기본적인 의도(''니야'')에 달려 있다.

하나피 피크흐는 "파르드"와 "와지브"를 구분한다. 하나피 피크흐에서는 파르드 규칙을 부과하는 데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1. 나스 (꾸란 구절만 증거로 허용, 하디스는 불가)

2. 주제를 언급하는 본문의 표현은 다른 해석을 허용하지 않을 만큼 명확하고 정확해야 한다.

와지브라는 용어는 이러한 조건 중 두 번째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상황에 사용된다.[93]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모든 상황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피는 5번의 매일 기도를 파르드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오늘날 존재하는 꾸란이 종교적 근원이라는 것을 의심하지 않는 꾸란주의자 및 시아파와 같은 일부 종교 단체는 같은 구절에서 2번 또는 3번[94][95][96][97] 기도하라는 명령이 명확하게 나와 있다고 추론한다. 5번이 아니다. 또한 종교 문헌에서 와지브는 피크흐의 정의를 표현하지 않고 모든 종류의 종교적 요구 사항에 널리 사용된다.

분류 및 라벨은 그것을 만드는 사람들과 집단의 이해에 따라 형성된 상대적인 성격을 갖는다. 예를 들어, 아울리야의 존재와 기적을 믿는 것은 알-타하위 및 나사피[98][99]와 같은 많은 저명한 수니 신조 저술가들에 의해 정통 이슬람의 "조건"으로 제시되며 전통적인 수니파와 시아파에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성인의 무덤에 대한 존중과 방문 표현과 함께 살라피즘, 와하비즘, 이슬람 근대주의와 같은 청교도적이고 부흥주의적인 이슬람 운동에 의해 용납할 수 없는 이단으로 여겨진다.[100]

약 6개의 구절이 공공장소에서 여성의 복장에 대해 다룬다.[101] 무슬림 학자들은 이러한 구절을 이해하는 방법에 대해 의견이 달랐으며, 일부는 히잡이 이행해야 할 명령(파르드)이라고 말한다.[102] 다른 학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107]

꾸란에 있는 샤리아 이해에 따라 노예와 첩의 지위를 결정하는 진술은 ''ma malakat aymanuhum'' 또는 ''milk al-yamin''[109] 즉, "네 오른손이 소유한 자들"을 의미한다. 오늘날 샤리아는 노예에게 많은 권리를 부여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예 제도를 근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자주 말해진다. 그러나 여성 노예의 성적 사용은 그들의 "재산" 정의 내에서 고려되었으며,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무제한적인 성적 사용과 물리적 착취가 율마에 의해 전통적인 이슬람 법에서 승인되었다.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개인, 집단, 기관, 사건, 상황, 신념 및 관행에 "특정한" 특별한 종교적 결정으로, 일반적으로 판단의 승인/불승인을 포함하는 것을 파트와라고 한다. 타지르 형벌은 키사스 및 후두드 법 외부에 있으며 성문화되지 않았으며, 그 재량과 시행은 판사 또는 정치 당국의 주도권과 권한 하에 있다.[334]

개인과 관련된 판결은 개인적이며, 예를 들어 이슬람 키사스 또는 보상 결정에서 법학자는 성별, 자유, 종교 및 사회적 지위와 같은 "개인적 라벨"을 고려해야 한다. 무민, 카피르, 무스타민, 딤미, 배교자 등 유사한 구분은 범죄자의 신원 확인과 같은 사법 조항의 설립에 근본적인 가치를 지닌 증언 관행에도 적용된다. 이슬람 설교자들은 아달라의 중요성을 끊임없이 강조하며, 재판에서 판사는 재판받는 사람들 사이의 평등을 관찰할 것으로 기대되지 않지만, 공정하거나 균형 있게 행동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통적인 피크흐는 법적 및 종교적 책임이 루슈드로 시작된다고 밝힌다.

서양의 법은 금지와 의무의 체계로 성립되어 있지만, 이슬람법에서는 금지와 의무의 체계뿐만 아니라, 더욱 세분화되어 있다.

# 해야 하는 것(의무), 와지브 (wasib/fard)

# 하는 것이 좋은 것(추천), 만두브 (mandub/mustahabb)

#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것(허용), 할랄(Halal) (halal)

# 하지 않는 것이 좋은 것(기피), 마크루프 (makruh)

# 해서는 안 되는 것(금지), 하람(Haram) (haram)[334]

예를 들어, 여성에게 구혼하는 것은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것(허용), 절도나 간통, 음주, 도박은 해서는 안 되는 것(금지)에 해당한다.[334]

4. 3. 법학 학파

수니파 이슬람에는 네 개의 주요 법학 학파(마드하브)가 있는데, 하나피 학파, 말리키 학파, 샤피이 학파, 한발리 학파이다. 이 학파들은 각각 창시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는데, 하나피 학파는 아부 하니파, 말리키 학파는 말리크 이븐 아나스, 샤피이 학파는 무함마드 이븐 이드리스 알 샤피이, 한발리 학파는 아흐마드 이븐 한발을 따서 지어졌다. 각 학파는 꾸란과 하디스를 해석하는 방법론에서 차이를 보이며, 이슬람법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판결에 영향을 미친다.

자히리 학파는 다우드 알자히리가 창시한 학파로, 꾸란과 하디스의 명백한 의미만을 따르고 유추나 개인적인 의견을 배제하는 것이 특징이다. 시아파 이슬람에는 자파리 학파가 대표적이며, 자이드 학파와 이스마일 학파도 존재한다. 이들은 수니파와는 다른 법원과 해석 방법을 따른다. 이바디 학파는 카와리즈파에서 유래한 학파로, 독자적인 법학 체계를 가지고 있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오스만 제국의 메젤레 법전과 같이 전통적인 마드하브 체계에 얽매이지 않는 법 제정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많은 무슬림 국가들은 헌법과 법률에 샤리아의 일부를 포함시키면서도, 유럽식 법 체계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마드하브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국가가 법을 제정하고 시행하는 주체가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타카유르는 여러 학파의 견해 중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하며, 탈피크는 여러 학파의 견해를 조합하여 새로운 견해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현대에는 이슬람법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타나고 있다. 무스타파 외즈튀르크와 같은 학자는 파즐루르 라흐만 말릭의 영향을 받아 꾸란 구절들이 역사적 맥락에서 계시되었으며, 아흐캄이 본질과 종교의 목적에 속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알-사르카시는 태어날 아이의 부권 결정이 추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결정하고, 오늘날 이러한 이해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 질문한다.

5. 근대 이전 이슬람 법체계

근대 이전 이슬람 사회에서 샤리아는 중요한 법률 체계였다. 샤리아는 종교 학자들과 사법 기관을 통해 운영되었다.

이븐 아비 사이드가 편찬한 <리사라>는 이슬람 법학의 다양한 내용을 보여주는 마리키 법학파의 법학서이다. <리사라>는 신학, 종교적 의무, 자선, 순례, 제물, 수렵, 할례, 금지된 음식, 지하드, 서약, 혼인, 이혼, 별거수당, 매매계약, 유산, 담보, 차용증, 불법 취득, 살상, 형벌, 증인, 상속, 의복, 음식, 사회 규칙, 꾸란 독송, 의술, 주술, 노예, 꿈, 노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샤리아는 사회적 지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었다. 남성과 여성, 무슬림과 비무슬림, 자유민과 노예는 서로 다른 법적 지위를 가졌다.[118] 여성은 상속 및 증언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었고, 경우에 따라 여성의 증언은 남성의 절반으로 취급되기도 했다.[118]

이슬람 통치 지역(다르 알 이슬람(دار الإسلام))에 거주하는 비무슬림은 딤미(ذمي)로서 일정한 권리를 보장받았지만, 여러 제한과 법적 불평등을 겪었다.[118] 딤미는 지즈야(جزية)라는 특별 세금을 납부해야 했으며, 종교 의례 및 교회 신축 등에 제한이 있었다.

5. 1. 법학자

샤리아는 전통적으로 무프티(mufti)들에 의해 해석되었다. 초기 이슬람 사회에서 무프티는 다른 직업을 가진 법률 전문가였다. 이들은 평신도나 판사의 질문에 대해 파트와(fatwa, 법적 의견)를 발표했다. 파트와는 법정에서 유지되었으며, 권위 있는 법적 의견과 모순되지 않는 한 유지되었다. 법학자의 지위는 학문적 명성에 따라 결정되었다.[1] 저술가인 법학자들의 고전 법률 저서는 주로 무프티들의 파트와를 기반으로 했다. 파트와는 특정 사건에만 유효한 법정 판결과 달리 법적 선례로 기능했다.[2]

12세기부터 무슬림 통치자들은 대중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 급여를 받는 무프티를 임명했다.[3] 수 세기 동안 수니파 무프티들은 국가 관료 체제에 통합되었지만, 이란의 시아파 법학자들은 근대 초기부터 자율적인 권한을 주장했다.[4]

울루그베크 마드라사(1422년 설립)


이슬람법은 처음에는 모스크와 개인 주택에서 연구되었다. 교사는 학생들의 도움을 받아 법률 논문에 대한 주석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이해도를 검토했다. 이 전통은 10세기와 11세기에 확산된 마드라사(''madrasa'')에서 계속되었다.[5][6] 마드라사는 법률 연구에 전념하는 고등 교육 기관이었지만, 신학, 의학, 수학과 같은 다른 과목도 제공했다. 마드라사는 와크프(waqf, 자선 기부)에 의해 유지되었는데, 와크프는 교수의 급여, 학생들의 장학금, 건설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지불했다. 코스가 끝나면 교수는 학생의 해당 과목에 대한 능력을 증명하는 면허(ijaza)를 부여했다.[6] 법률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예비 연구, 특정 마즈하브(madhhab)의 교리, 법적 논쟁에 대한 훈련으로 구성된 커리큘럼을 이수하고, 마지막으로 논문을 작성하여 가르치고 파트와를 발표할 수 있는 면허를 받았다.[3][5]

5. 2. 법원

카디는 카디 법정(''마흐카마'') 혹은 샤리아 법정을 담당했다. 카디들은 이슬람법에 대해 훈련을 받았지만, 반드시 파트와를 발부할 수 있는 수준까지는 아니었다. 법정 직원들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여러 보조원들을 포함했다.[1] 판사들은 이론적으로는 판결에 있어 독립적이었지만, 통치자에 의해 임명되었고, 종종 그들의 이익이 걸려 있는 경우 통치 엘리트의 압력을 받았다.[2] 카디의 역할은 증거를 평가하고, 사건의 사실을 확립하며, 이슬람 법학의 적용 가능한 판결에 따라 평결을 내리는 것이었다.[3] 카디는 법이 사건에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 불분명한 경우 무프티에게 팻와를 요청해야 했다.[4]

이슬람 법 이론은 사법과 공법의 구분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법정 절차는 민사 및 형사 사건 모두 동일했으며, 사건의 원고가 피고에 대한 증거를 제시해야 했다. 주요 증거 유형은 구두 증인 증언이었다. 형사 사건에 대한 증거 기준은 매우 엄격하여, 명백한 사건의 경우에도 유죄 판결을 받기가 어려웠다.[5]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이러한 엄격한 절차적 규범 때문에 카디 법정이 초기 단계에서 형사 사건에 대한 관할권을 상실하고, 대신 다른 유형의 법정에서 처리되었다는 점을 믿고 있다.[6]

사디와 수피승이 판사 앞에서 다툼을 해결하기 위해 가는 모습 (16세기 페르시아 미니어처).


만약 고발이 카디 법정에서 평결로 이어지지 않으면, 원고는 통치자의 의회가 관리하는 ''마잘림'' 법정이라는 다른 유형의 법정에서 그것을 추구할 수 있었다.[7] ''마잘림''(문자 그대로 잘못, 불만) 법정은 샤리아 법정이 해결할 수 없는 잘못, 즉 정부 관리에 대한 불만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슬람 법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출석했고, 판사가 종종 통치자의 대리인으로 법정을 주재했다.[8] ''마잘림'' 평결은 샤리아의 정신에 부합해야 했지만, 법의 문자나 카디 법정의 절차적 제한에는 구애받지 않았다.[9]

범죄 예방 및 수사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경찰(''슈르타'')은 자체 법정을 운영했다.[10] 마잘림 법정과 마찬가지로, 경찰 법정은 샤리아의 규칙에 구애받지 않았고 재량에 따른 처벌을 내릴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11] 공공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또 다른 기관은 ''무흐타시브''(시장 감찰관)으로, 경제 거래에서의 사기와 공공 도덕에 대한 위반을 방지하는 임무를 맡았다.[12] ''무흐타시브''는 이러한 유형의 범죄를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지방 관습에 따라 처벌을 내렸다.[13]

5. 3. 사회정치적 맥락

근대 이전 이슬람 사회는 혈연관계와 지역 공동체를 중심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개인 간의 갈등은 종종 집단 간의 갈등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법정 소송은 최후의 수단으로 여겨졌고, "화해는 최고의 판결이다"(''al-sulh sayyid al-ahkam'')라는 법률 격언처럼 비공식적인 중재와 화해가 강조되었다.[57] 법정 분쟁에서 카디(qadis)는 법 이론보다는 분쟁 당사자들이 이전의 사회적 관계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결과를 얻는 데 더 큰 관심을 가졌다.[57][159]

샤리아는 통치 왕조가 아닌 종교 학자들에 의해 제정되었으며, 율마(ulema)(종교 학자)들은 공동체 문제 관리에 참여하고 통치자에 대한 무슬림 인구의 대표자 역할을 했다.[166] 군사 엘리트들은 종교적 정당성을 위해 율마에게 의존했으며, 율마는 종교 기관 운영을 위해 통치 엘리트의 지원에 의존하는 상호 의존적인 관계가 형성되었다.[225][166]

샤리아는 공법의 여러 영역에 몇 가지 조항만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에, 무슬림 통치자들은 이슬람 법학자들의 관할권 밖에서 다양한 경제, 형사 및 행정법을 제정할 수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15세기부터 오스만 술탄이 공포한 ''카눈''이 있다. 무굴 제국 황제 아우랑제브(재위 1658~1707)는 하나피 파트와(fatwas)와 이슬람 법원의 결정을 기반으로 한 파타와-에-알람기리(Fatawa-e-Alamgiri)를 발표하여 인도 아대륙의 모든 종교 공동체에 적용했다.

알-파타와 알-'알람기리야(al-Fatawa al-'Alamgiriyyah) 사본

5. 3. 1. 여성, 비무슬림, 노예

고전적인 샤리아는 사회적 지위에 따라 남성과 여성, 무슬림과 비무슬림, 자유민과 노예를 구분하여 법을 적용하였다.[118]

1890년대 술탄국에서 아랍인 주인에 의해 통나무 운반형에 처해진 잔지바르 어린이 노예


압둘 하미드 2세의 총감(1912)


전통적인 이슬람 법은 가장이 있는 가부장적 사회를 전제로 하였다.[118] 여성은 일반적으로 상속 및 증언 규칙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었다. 어떤 경우에는 여성의 증언이 남성의 증언의 절반으로 취급되기도 하였다.[118] 남편에게 부과된 재정적 의무는 일방적 이혼을 억제하는 역할을 했으며, 이혼 소송에서 아내에게 재정적 지렛대를 제공하기도 했다.[118] 여성들은 샤리아 법정에서 원고와 피고 양쪽 모두로 활동했지만, 일부 여성은 남성 친척을 통해 변론을 선택하기도 했다.[118]

샤리아는 무슬림 공동체의 문제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었다.[118] 이슬람 지배하에 거주하는 비무슬림은 딤미라는 법적 지위를 가졌으며, 지즈야 세금 납부를 조건으로 여러 보호, 제한, 자유, 법적 불평등을 겪었다.[118] 딤미 공동체는 내부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법적 자치권을 가졌다. 서로 다른 종교 집단 간의 분쟁은 샤리아 법원의 관할이었으며,[118] 비무슬림 증인의 증언은 형사 사건에서 무슬림에게 불리하게 사용될 수 없거나[118] 아예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18]

이러한 법적 체계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시행되었다. 어떤 곳에서는 종교에 관계없이 모든 주민이 동일한 법정을 사용하기도 했다.[118] 무굴 제국 황제 아우랑제브는 무슬림에게만 적용되던 조항을 포함한 이슬람 법을 모든 신민에게 적용했지만, 그의 전임자와 후임자 중 일부는 지즈야를 폐지하기도 했다.[118] 오스만 제국의 기록에 따르면, 비무슬림 여성들은 결혼, 이혼, 재산 문제에서 기독교 및 유대교 법원보다 샤리아 법원에서 더 유리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때 샤리아 법원에 사건을 제기했다.[118]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스만 제국에서 비무슬림은 이슬람 법원을 이용할 가능성이 더 높거나 더 낮을 수 있었다. 예를 들어, 1729년 갈라타의 이슬람 법원에서는 비무슬림이 관련된 사건이 2%에 불과했지만, 1789년에는 비무슬림이 사건의 30%를 차지했다.[119] 오스만 법정 기록은 또한 이전에 비무슬림이었던 여성들이 이슬람 법정을 이용한 것을 보여준다.[120] 오스만 제국에서는 비무슬림이 무슬림을 소유하거나 비무슬림 남성이 무슬림 여성과 결혼하는 것이 불법이었기 때문에,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것은 원치 않는 배우자나 주인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선택지였을 것이다.[120] 그러나 이는 이전 공동체로부터 외면당하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았다.[120]

고전적인 피크흐는 노예 제도를 합법적인 제도로 인정하고 규제했다.[118] 노예에게 특정한 권리와 보호를 부여하여 그리스와 로마 법에 비해 지위를 향상시켰고, 노예가 될 수 있는 상황을 제한했다.[118] 그러나 노예는 상속이나 계약을 체결할 수 없었고, 여러 면에서 주인의 의지에 따라야 했다.[118] 노예의 노동과 재산은 주인의 소유였으며, 주인은 미혼 노예에 대한 성적 복종권도 가졌다.[118]

일부 집단에 대한 공식적인 법적 불평등에도 불구하고, 샤리아는 정의의 보편적 원칙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샤리아 법정의 역사적 관행에서 농민들은 억압적인 지주에 맞서 거의 항상 승소했고, 비무슬림은 종종 지방 주지사와 같은 강력한 인물을 포함한 무슬림과의 분쟁에서 승소했다.[118] 가족 문제에서 샤리아 법원은 여성이 남편의 위반에 대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곳으로 여겨졌다.[118]

이슬람법에서 이슬람이 통치하는 지역(다르 알 이슬람(دار الإسلام))에 거주하는 비무슬림은 짐미(ذمي)로서 일정한 권리 보장을 받았다. 그들은 자신의 종교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생명권과 재산권도 보장되었다. 하지만 신앙의 자유는 근현대의 그것에 비하면 제한이 엄격했다. 짐미는 신앙의 내적 유지(양심의 자유)는 완전히 보장되지만, 신앙의 표현(종교적 표현·결사의 자유)에는 엄격한 제한이 있었고, 무슬림 앞에서 2등 시민으로 조용히 행동해야 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제한이 있었다.

  • 교회 신축이 원칙적으로 금지되고, 수리나 증축에도 제한이 있었다.
  • 종교 의례 중 일부는 무슬림의 감정을 해친다는 이유로 금지되었다.
  • 자신의 종교적 신념을 무슬림 앞에서 공공연히 주장할 경우, 이슬람·무함마드에 대한 비판으로 사형에 처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그 외에도 짐미는 지즈야(جزية)라는 특별한 세금을 내야 했고, 시대와 지역에 따라 의복 등에 특별한 표식을 하게 하거나, 말을 타는 것이 금지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짐미의 생명권은 무슬림의 생명권보다 가볍게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고, 하나피 학파(حنفية)를 제외하고는 짐미를 죽인 무슬림에게 사형이 선고되지 않았다.

현재 많은 국가에서 짐미 제도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지만, 이슬람 국가를 자칭하는 일부 국가에서는 아직도 비무슬림에 대한 엄격한 정책이 시행되는 경우가 있다.

6. 현대적 법 개혁

식민 통치 시대와 현대 국가 시대에 걸쳐 이슬람 법, 즉 샤리아는 큰 변화를 겪었다. 19세기 오스만 제국무굴 제국 등 이슬람 세계가 유럽 열강의 식민 지배를 받으면서, 샤리아는 유럽식 법률로 대체되거나 그 영향을 받아 변화하기 시작했다.

영국의 식민 지배를 받은 인도에서는 1772년 워런 헤이스팅스가 이슬람 법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샤리아를 해석하려 했으나, 아랍어 원전 해석의 어려움으로 인해 하나피 법학파의 '알히다야'(الهداية|al-Hidayaar)를 페르시아어영어로 번역하여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샤리아는 법전 형태로 변형되었고, 18세기 말에는 형법이 영국 보통법으로 완전히 대체되면서 앵글로-무함마드 법(Anglo-Muhammadan Law)이 형성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19세기 탄지마트 개혁을 통해 샤리아의 영향력을 줄이고 세속 법원 시스템을 도입했다. 1869년부터 1876년 사이에는 메첼레라는 민법전을 제정하여 하나피 법학파의 법 조항들을 성문화했다. 1917년에는 가족법을 개혁하여 모든 종교 집단에게 적용되는 단일 법전을 만들었고, 1923년 튀르키예 공화국 수립 후 1924년에는 샤리아 법원이 폐지되었다.

식민지 시대 이후 무슬림 국가들에서는 샤리아의 역할과 적용 범위가 크게 변화했다. 전통적인 이슬람 법원은 점차 유럽식 법원으로 대체되거나 그 영향을 받았지만, 가족법 영역에서는 샤리아 규칙이 대체로 유지되었다. 현대 샤리아 기반 법률은 성문화와 국가 통제 강화라는 특징을 보인다.

이슬람 법률 개혁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 타카유르(Takhayyur): 여러 이슬람 법학파의 견해 중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방식.
  • 탈피크(Talfiq): 여러 법학파의 견해를 조합하여 새로운 법률을 만드는 방식.
  • 공익(Public interest) 고려: 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해 샤리아 규칙을 유연하게 해석하는 방식.
  • 행정법(Administrative law) 변경: 샤리아의 기본 원칙은 유지하면서 절차적, 행정적 측면을 수정하는 방식.
  • 네오-이지티하드(Neo-ijtihad): 현대 사회의 문제에 맞춰 샤리아를 새롭게 해석하는 방식.


무함마드 압두와 같은 자유주의 개혁 사상가들은 샤리아를 현대 사회에 맞게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압드 엘-라작 엘-산후리는 유럽의 민법과 샤리아를 융합하여 새로운 법률 체계를 만들었다. 이집트, 이라크, 모로코 등 여러 국가에서 민법 개혁이 이루어졌지만, 상속법과 같은 일부 영역에서는 샤리아 규칙을 변경하기 어려웠다.

20세기 후반, 이슬람 세계에서는 이슬람 부흥 운동이 일어나면서 샤리아 시행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슬람주의자들은 샤리아를 통해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 서구의 부패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믿었지만, 샤리아의 구체적인 내용, 특히 후두드 형벌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았다. 이슬람화 운동은 여러 이슬람 국가에서 법률 개혁으로 이어졌으며, 경제, 금융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쳤다.

6. 1. 식민 통치 하에서

19세기 오스만 제국무굴 제국을 비롯한 이슬람 세계는 유럽 열강의 식민 지배를 받으면서 큰 변화를 겪었다. 이 과정에서 이슬람 법 체계는 유럽식 법률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특히 상업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상업법과 형법 분야에서 유럽의 규정이 도입되었다.

영국의 식민 지배를 받은 인도에서는 법 개혁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1772년, 워런 헤이스팅스는 이슬람 법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힌두교도와 무슬림에게 각각 힌두법과 이슬람법을 적용하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슬람법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는 대부분의 이슬람 법률 서적이 아랍어로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헤이스팅스는 하나피 법학파의 권위 있는 법률서인 '알히다야'(الهداية|al-Hidayaar)를 페르시아어로 번역하도록 지시했다. 이후 1776년에는 찰스 해밀턴이 이 페르시아어 번역본을 다시 영어로 번역했다. 이 번역본은 영국 판사들이 샤리아를 해석하는 데 사용되었고, 이 과정에서 샤리아는 법전 형태로 변형되었다.

18세기 말, 영국은 인도의 형법을 이슬람 법 체계에서 영국 보통법으로 완전히 대체했다. 이로써 앵글로-무함마드 법(Anglo-Muhammadan Law)이 형성되었는데, 이는 샤리아의 일부 내용을 포함했지만 실제로는 영국 법의 일부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이슬람 법학자들의 역할을 축소시켰고, 이슬람 법 체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6. 2.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은 19세기 탄지마트 개혁을 통해 와크프(자선 기부)를 국가 통제하에 두면서 샤리아의 영향력을 줄이고 세속 법원 시스템을 도입했다.[1] 이는 종교 기관의 재정적 독립성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1]

1869년부터 1876년 사이에 오스만 제국은 메첼레라는 민법전을 제정했다.[1] 이는 유럽 대륙법의 영향을 받은 최초의 샤리아 기반 법전으로, 하나피 법학파의 법 조항들을 성문화한 것이었다.[1] 메첼레는 샤리아 법원과 세속 법원 모두에서 사용되었으며, 전통적인 이슬람 법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1]

1917년 오스만 제국은 가족법을 개혁하여 모든 종교 집단(무슬림, 유대인, 기독교인)에게 적용되는 단일 법전을 만들었다.[1] 이 법전은 이슬람 근대주의자들의 영향을 받아 여성의 권리를 일부 향상시켰다.[1]

1923년 튀르키예 공화국이 수립된 후, 1924년 샤리아 법원은 폐지되었다.[1]

6. 3. 국민 국가

식민지 시대 이후 무슬림 국가들에서 샤리아의 역할과 적용 범위는 크게 변화했다. 이러한 변화는 법적 제도와 사회 구조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전통적인 이슬람 법원은 점차 유럽식 법원으로 대체되거나 그 영향을 받아 변화했다. 이 과정에서 법원 절차와 법 집행 방식도 유럽식 모델을 따르게 되었다. 그러나 가족법(혼인, 이혼, 상속 등) 영역에서는 샤리아 규칙이 대체로 유지되었다. 이는 가족 관계가 종교적, 문화적 정체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대 샤리아 기반 법률은 전통적인 샤리아와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성문화(codification), 즉 법 조문화이다. 전통적으로 샤리아는 법학자들의 해석에 따라 유동적으로 적용되었지만, 현대에는 명확한 법 조문 형태로 고정되었다. 또한, 국가의 통제 강화도 중요한 특징이다. 과거에는 법학자들이 독립적으로 샤리아를 해석하고 적용했지만, 현대에는 국가가 법 제정과 집행을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샤리아의 권위와 적용 범위를 둘러싼 논쟁을 낳고 있다.

이슬람 법률 개혁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 타카유르(Takhayyur): 여러 이슬람 법학파의 견해 중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방식.
  • 탈피크(Talfiq): 여러 법학파의 견해를 조합하여 새로운 법률을 만드는 방식.
  • 공익(Public interest) 고려: 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해 샤리아 규칙을 유연하게 해석하는 방식.
  • 행정법(Administrative law) 변경: 샤리아의 기본 원칙은 유지하면서 절차적, 행정적 측면을 수정하는 방식.
  • 네오-이지티하드(Neo-ijtihad): 현대 사회의 문제에 맞춰 샤리아를 새롭게 해석하는 방식.


무함마드 압두와 같은 자유주의 개혁 사상가들은 샤리아를 현대 사회에 맞게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슬람의 초기 정신으로 돌아가 이성적이고 진보적인 해석을 통해 사회 발전을 이루어야 한다고 믿었다.

압드 엘-라작 엘-산후리는 이집트, 이라크 등 여러 아랍 국가의 민법 제정에 큰 영향을 미친 법학자이다. 그는 유럽의 민법과 샤리아를 융합하여 새로운 법률 체계를 만들었다.

이집트, 이라크, 모로코 등 여러 국가에서 민법 개혁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개혁은 샤리아의 일부 조항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법률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일부다처제를 제한하거나, 여성의 이혼 청구권을 확대하거나, 아동 결혼을 금지하는 등의 개혁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속법과 같은 일부 영역에서는 샤리아 규칙을 변경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이는 상속법이 꾸란에 명시된 내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종교적 권위가 강하기 때문이다.

6. 4. 이슬람화

20세기 후반, 이슬람 세계에서는 이슬람 부흥 운동이 일어나면서 샤리아 시행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러한 이슬람주의 운동은 서구 열강의 식민 지배와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불평등 심화, 전통적 가치관의 쇠퇴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해 발생했다. 특히 이란의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와 같은 시아파 지도자들은 이슬람 혁명을 통해 서구의 영향력을 배제하고 이슬람 율법에 따른 통치를 주장하며 큰 영향을 미쳤다.[37]

이슬람주의자들은 샤리아를 이슬람 사회의 근간으로 여기고, 이를 통해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 서구의 부패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샤리아의 구체적인 내용, 특히 후두드 형벌(절도, 간통 등에 대한 신체적 형벌)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았다. 일부에서는 후두드 형벌이 지나치게 가혹하며 현대 사회에 부적합하다고 비판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이를 신성한 율법의 일부로 간주하며 엄격하게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7]

샤리아의 완전한 시행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일부 이슬람 국가에서는 샤리아를 헌법과 법률의 주요 원천으로 삼고 모든 영역에 걸쳐 시행하려 노력하는 반면, 다른 국가에서는 샤리아를 개인의 신앙과 가족법 등 특정 영역에만 제한적으로 적용하고 있다.[37]

이슬람화 운동은 여러 이슬람 국가에서 법률 개혁으로 이어졌다. 이란 혁명은 샤리아를 기반으로 한 이슬람 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졌으며, 수단, 파키스탄 등 다른 국가에서도 후두드 형벌을 포함한 이슬람 법률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법률 개혁은 종종 인권 침해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37]

이슬람화 운동은 법률뿐만 아니라 경제, 금융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쳤다. 이슬람 경제학은 이자를 금지하는 샤리아 원칙에 따라 이자 없는 금융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시도로 발전했다. 이슬람 은행은 이자 대신 이익과 손실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현대 금융 시장에서 점차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37]

7. 현대적 적용

현대 무슬림 세계에서 샤리아 적용 방식은 다양하다. 과거 무슬림들은 샤리아를 신이 내린 법으로 여겼으나, 현대에는 인권 침해 요소를 비판하며 세속 법을 지지하는 사람도 많다.

근대 이전 이슬람 사회는 샤리아가 법의 근간이었지만, 실제로는 지배자의 세속 법( 카눈 )이나 지역 관습( 우르프 )도 함께 쓰였다. 그러나 서구 법 체계 도입 후 샤리아 적용 범위는 좁아졌다.

오늘날 알바니아, 터키 등은 로마법 기반 법을 채택해 샤리아를 폐지했고, 레바논, 시리아 등은 가족법 등에만 샤리아가 남았다. 반면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은 샤리아 또는 그 영향을 강하게 받은 법으로 통치한다. 이집트처럼 세속화되었지만 헌법에 샤리아를 주요 법원으로 명시한 나라도 있다.[335]

이븐 아비 사이드의 <리사라>는 신학, 종교 의무, 혼인, 매매, 유산, 형벌 등 다양한 분야를 다뤄, 샤리아가 이슬람 사회 전반에 영향을 줬음을 보여준다.

7. 1. 무슬림 다수 국가

각 지역에서의 샤리아 적용 현황
무슬림 다수 국가는 샤리아를 법 체계에 적용하는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세속주의 국가: 알바니아와 터키와 같이 로마법에 기반한 법률을 채택하여 샤리아를 폐지한 국가들이다. 레바논, 시리아 등은 가족법 등 일부에만 샤리아의 흔적이 남아있다.
  • 샤리아 중심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은 샤리아 또는 샤리아의 강한 영향을 받은 법률과 헌법으로 통치하는 국가들이다.
  • 혼합형 국가: 이집트처럼 정치와 법제는 세속화되었지만, 헌법에서 샤리아를 주요 법원으로 명시하여 이슬람 국가의 성격을 유지하는 국가들이다.[335]


말레이시아에서는 무슬림에게만 음주를 처벌하는 법률이 있지만, 실제 기소되는 사례는 드물어 사문화되고 있다. 돼지고기할랄이 아닌 식품을 판매하는 상점도 비무슬림이 비무슬림을 대상으로 영업하는 경우에는 소비자보호법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무슬림끼리라도 종파에 따라 법률이 다른 경우가 많다. 와하비즘이 주류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시아파 주민은 시아파 법원에서 시아파 법률에 따른 재판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시아파에게는 형법과 혼인, 상속, 와끄프에 관한 권한만 인정되며, 와하비파 주민과의 소송에서는 와하비파 법이 우선 적용된다.

가해자가 무슬림이 아니더라도 피해자가 무슬림이면 샤리아가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대로 피해자가 비무슬림이고 가해자가 무슬림인 경우, 서구 법에서 범죄 행위라도 샤리아에서 정당 행위라면 무죄가 되는 경우가 많다.

샤리아에 근거한 형벌(예: 태형)은 세속주의자나 다른 종교, 서구 국가들로부터 비난을 받지만, 비세속주의 무슬림들로부터는 지지를 받는다. 많은 이슬람 국가에서 엄격한 형벌이 유지되는 배경에는 국민들의 지지가 있기 때문이다.

7. 1. 1. 헌법

과거 무슬림들 사이에서는 샤리아가 신이 정한 절대적인 계율이며, 올바른 삶의 방식을 제시하는 것으로 널리 여겨졌다. 따라서 현재에도 비세속적 무슬림들 사이에서는 샤리아가 모든 무슬림이 지켜야 할 보편적인 규범이며, 샤리아에 대한 복종은 이슬람에 대한 신앙과 동의어라는 주장이 강하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터키를 포함한 동유럽과 다른 지역의 이민 무슬림들을 중심으로 샤리아의 인권 침해성을 비판하고 세속 법을 옹호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근대 이전 이슬람 세계에서는 명목상으로 샤리아가 법 체계의 근간이 되었지만, 현실적으로는 지배자가 정한 세속 법(카누운)이나 지역적 관습(아다 또는 우르프, 예를 들어 아프가니스탄의 파슈툰족 사이에서 사용되는 파슈툰왈리 등)도 널리 병용되었다. 근대에 들어 서구 법 체계의 유입으로 샤리아의 적용 범위가 좁아지고, 그 권위는 한때 크게 저하되었다.

현재 이슬람권에서도 알바니아와 터키 등에서는 로마법 기원의 법률을 채택하여 샤리아는 폐지되었다. 다른 이슬람권 국가들 중 레바논, 시리아 등 세속주의 국가에서는 가족법 등 일부에만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아프가니스탄을 비롯한 국가에서는 샤리아 또는 샤리아의 강한 영향을 받은 법률·헌법에 따른 통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집트와 같이 정치·법제에서 일정 수준의 세속화가 진행되었지만, 샤리아를 헌법에서 주요 법원으로 하는 등 이슬람 국가적인 측면도 유지하고 있는 중간적인 국가도 적지 않다.[335]

7. 1. 2. 가족법

대부분의 무슬림 국가에서 가족법은 샤리아의 영향을 받는다. 이는 샤리아가 신이 정한 법이며, 무슬림의 삶 전반을 규율하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근대 이전 이슬람 세계에서는 샤리아가 법 체계의 근간이었으나, 현실적으로는 지배자의 세속 법(카눈)이나 지역 관습(우르프)도 함께 적용되었다.

근대에 들어 서구 법 체계가 유입되면서 샤리아의 적용 범위는 좁아졌지만, 여전히 많은 무슬림 국가에서 가족법 영역에 샤리아가 남아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은 샤리아 또는 샤리아의 강한 영향을 받은 법률로 통치하며, 이집트와 같이 세속화되었지만 헌법에서 샤리아를 주요 법원으로 하는 국가도 있다.[335]

현대에는 샤리아 기반 가족법에 대한 개혁 요구도 있다. 터키 등 일부 국가에서는 샤리아를 폐지하고 세속 법을 도입했지만, 여전히 많은 무슬림들은 샤리아를 보편적 규범으로 여기며, 샤리아 준수를 신앙과 동일시하기도 한다. 그러나 샤리아의 인권 침해 요소를 비판하고 세속 법을 옹호하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7. 1. 3. 형법

샤리아는 이슬람교의 율법으로, 형법 체계도 포함하고 있다. 이슬람 세계에서는 서구 법과 이슬람 법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다양한 방식이 나타나고 있다.

샤리아의 형벌에는 후두드타지르가 있다. 후두드는 코란에 명시된 특정 범죄에 대한 고정된 처벌로, 예를 들어 절도죄에는 손목 절단, 간통죄에는 투석형 등이 있다.[338] 이러한 후두드 처벌은 현대 사회에서 인권 침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338]

타지르는 코란에 명시되지 않은 범죄에 대한 처벌로, 판사의 재량에 따라 결정된다. 이란에서는 절도죄의 경우 후두드 형벌보다는 판사의 재량형(타지르형)으로 1년에서 5년의 금고형이 부과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알려져 있다.[338] 하지만, 아마디네자드 정권 출범 이후에는 참수형이나 투석형 등이 증가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338]

이슬람 형법은 현대 사회에서 여러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여성과 비무슬림에 대한 차별적인 조항, 노예 제도 인정, 가혹한 형벌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그러나 이슬람 세계에서는 샤리아의 엄격한 적용을 요구하는 국민들의 지지가 높기 때문에, 샤리아 체제가 유지되고 있는 경우도 있다.

7. 1. 4. 재산법

샤리아는 재산에 대한 권리, 즉 '물크'를 인정한다. 이는 개인이 특정 재산을 소유하고, 사용하며, 이익을 얻고, 처분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샤리아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재산을 취득할 수 있다.[335]

  • 선점: 다른 사람이 소유하지 않은 것을 먼저 차지하는 것이다.
  • 계약: 매매, 증여, 임대차 등 당사자 간의 합의를 통해 재산을 주고받는 것이다.
  • 상속: 사망한 사람의 재산을 친족 관계에 따라 받는 것이다.
  • 출산: 가축의 새끼나 농작물의 수확물처럼, 이미 소유한 재산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이익을 얻는 것이다.
  • 노동의 대가: 노동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임금이나 보수를 받는 것이다.


샤리아에는 재산과 관련된 특별한 개념들이 있다.

  • 와크프: 자선 목적으로 재산을 기부하는 행위로, 종교 시설이나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데 사용된다. 와크프된 재산은 판매하거나 양도할 수 없다.[335]
  • 마와트: 누구에게도 속하지 않은 황무지를 개간하여 소유권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 모타사루프: 다른 사람의 재산을 위임받아 관리하고 사용하는 사람을 말한다.

7. 2. 법원 절차

샤리아 법정에서는 전통적으로 변호사 없이 원고와 피고가 직접 자신을 변호한다. 재판은 판사가 담당하며, 판사는 증거를 심문하고 증인을 신문하며 판결을 내린다. 형사 사건에서는 엄격한 증거 기준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하두드 범죄(예: 간통, 절도)의 경우 매우 엄격한 증거가 필요하며, 과학적 증거나 정황 증거는 제한적으로만 사용된다.[119]

7. 2. 1. 증거 및 증언

샤리아에서 형사 사건과 민사 사건의 증거 규칙은 차이를 보인다. 하두드 범죄(예: 간통, 절도)의 경우, 엄격한 증거 요건이 적용된다. 전통적으로 무슬림 남성 증인의 증언이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여성 증인의 역할은 제한적이었다. 어떤 법학파에서는 여성의 증언을 아예 인정하지 않거나, 남성 증인 두 명과 동등하게 취급하기도 했다.[119] 과학적 증거나 정황 증거는 제한적으로만 사용되었다.

민사 사건에서는 여성 증언의 동등성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일부 법학파는 여성의 증언을 남성과 동등하게 인정했지만, 다른 법학파는 여전히 제한을 두었다.[119] 서면 계약은 증거로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특히 채무 분쟁에서 그러했다. 구두 계약도 인정되었지만, 서면 계약이 더 강력한 증거로 간주되었다. 맹세는 증거가 부족한 경우 사용될 수 있었는데, 당사자 중 한 명이 맹세를 거부하면 상대방에게 유리한 판결이 내려지기도 했다.

7. 2. 2. 디야

디야(دية)는 피해자 또는 피해자의 상속인에게 가해자가 지불해야 하는 혈족보상금이다. 이슬람 법학에서 디야는 살인, 신체 상해, 재산 피해의 경우에 적용된다.[1]

고전 이슬람 법학에서는 피해자가 무슬림 남성 자유민인 경우와 비교하여 다른 범주의 사람들에 대한 디야의 가치를 다르게 평가한다. 예를 들어, 무슬림 여성의 디야는 무슬림 남성의 절반으로 평가된다.[1] 딤미(비무슬림)의 디야는 무슬림의 디야보다 적게 평가되는 경우가 많다.[1]

현대 국가들은 고전적인 디야 규칙을 다양한 방식으로 다룬다. 일부 국가에서는 법정에서 디야 금액을 결정할 때 피해자의 종교, 성별, 사회적 지위에 따라 차등을 두기도 한다.[1]

7. 3. 파트와의 역할

현대 무슬림 사회에서 파트와(fatwa)의 역할은 여러 변화를 겪었다. 전통적으로 샤리아는 무프티(mufti)라고 불리는 법률 전문가들에 의해 해석되었다. 초기 이슬람 사회에서 무프티들은 사적으로 활동하며, 평신도나 판사의 질문에 대해 법적 의견을 제시하는 역할을 했다. 이들의 파트와는 법정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했다.[338] 시간이 지나면서 무슬림 통치자들은 무프티를 임명하여 대중의 질문에 답하게 했고, 이는 무프티가 점차 국가 관료 체제에 통합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란의 시아파 법학자들은 근대 초기부터 자율적인 권한을 주장하며 다른 모습을 보였다.

파트와는 종교 의식, 일상생활, 그리고 현대 사회의 문제들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븐 아비 사이드가 편찬한 <리사라>의 목차는 신학적 문제, 종교적 의무, 희사, 순례, 제물, 혼인, 매매 계약, 유산, 형벌, 증인, 상속법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현대의 파트와는 여러 논쟁에 직면해 있다. 이지티하드(ijtihad, 독립적인 법률 해석)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면서 자격 미달자의 파트와 발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일부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은 자신들의 목적을 위해 파트와를 남용하는 사례도 있다.

현대에 들어서 인터넷과 미디어는 파트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터넷은 파트와의 접근성을 높였지만, 동시에 익명성과 정보의 과잉으로 인해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7. 4. 히스바의 역할

히스바는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의 한 부분으로, "선을 명하고 악을 금하라"는 원칙에 따라 무슬림 공동체의 의무를 규정하는 제도이다. 이슬람 사회에서 시장 감독관이나 공공 질서 담당관을 의미하는 무흐타시브는 히스바의 원칙에 따라 시장에서 사기를 단속하고, 공공장소에서 이슬람 율법을 준수하도록 감독하는 역할을 맡았다.

현대 사회에서 히스바는 국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히스바 위원회가 종교 경찰 역할을 하며, 이란에서는 바시즈 민병대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나이지리아의 일부 주에서는 히스바 위원회가 샤리아 법 집행을 담당한다.

이러한 종교 경찰 조직의 활동은 때때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02년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서 발생한 여학교 화재 사건에서 종교 경찰이 여학생들의 복장이 이슬람 율법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구조를 방해하여 더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는 비판을 받았다.[1] 또한 히스바는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2]

히스바는 인터넷 검열의 근거로 사용되기도 한다. 파키스탄에서는 히스바 법안을 통해 인터넷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미디어에서 이슬람 율법에 어긋나는 내용을 금지하려는 시도가 있었다.[3] 이는 신앙 기반 검열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7. 5. 무슬림 소수 국가

샤리아는 무슬림 공동체의 문제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었다.[119] 이슬람 지배하에 거주하는 비무슬림은 딤미의 법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지즈야 세금 납부를 포함한 여러 가지 보호, 제한, 자유 및 법적 불평등을 수반했다.[119] 딤미 공동체는 내부 문제를 심판할 법적 자치권을 가졌다.[119] 두 개의 서로 다른 종교 집단의 당사자들이 관련된 사건은 샤리아 법원의 관할권에 속했다.[119]

샤리아 운용은 개인주의에 따른다. 즉, 무슬림이라면 세계 어디를 가더라도 샤리아가 적용된다(단, 하나피 학파만은 다른 해석을 취한다). 반면, 비무슬림이라면, 비록 이슬람권(다르 알 이슬람)에 체류·거주하고 있더라도, 직접적으로 샤리아가 적용되는 일은 없다. 다만, 비무슬림과 무슬림 사이에 발생한 어떤 관계나 문제에 대해서는 샤리아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샤리아는 이슬람권에서 비무슬림의 지위에 관한 규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슬람에서의 국제법은 무슬림과 비무슬림 사이의 관계에 관한 법이며, 유럽적인 국제법과 같이 국가 간의 관계에 관한 법과는 위치가 다르다.

8. 지지와 반대

샤리아에 대한 지지와 반대 입장은 이슬람권 내외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지지자들은 샤리아를 신의 계시로 보며 모든 무슬림이 따라야 할 보편적 규범으로 여기지만,[335] 반대자들은 인권 침해 요소, 특히 여성, 비무슬림, 노예 등에 대한 차별적 조항을 문제 삼는다.[119][120]

근대 이전 이슬람 세계에서 샤리아는 법 체계의 근간이었으나, 실제로는 지배자의 세속 법( 카누운 )이나 아프가니스탄파슈툰왈리와 같은 지역 관습(아다 또는 우르프)도 함께 사용되었다. 근대 이후 서구 법 체계가 유입되면서 샤리아의 적용 범위는 좁아졌고, 알바니아, 터키는 로마법 기반 법률을 채택, 레바논, 시리아 등 세속주의 국가에서는 가족법 등 일부에만 샤리아가 남아있다.

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에서는 샤리아가 여전히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이집트처럼 샤리아를 헌법상 주요 법원으로 명시하는 국가도 있다.[335]

8. 1. 지지

퓨 리서치 센터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많은 무슬림 국가에서 샤리아를 지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샤리아 지지자들은 주로 가족법과 재산 분쟁에 샤리아를 적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러나 절도범의 손을 자르거나 간통한 사람에게 돌을 던지는 것과 같은 가혹한 처벌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양하다.[335]

샤리아 지지자들은 샤리아를 신의 말씀으로 정의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샤리아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며, 때로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08년 캔터베리 대주교는 샤리아 법원의 일부 측면을 영국 법 체계에 통합할 것을 제안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그는 다른 종교 법원도 영국 법 체계에 통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미국의 종교 중재 시스템이 샤리아 법원과 유사하게 통합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335]

8. 2. 반대

서구 사회에서는 샤리아에 대한 비판과 우려가 존재한다. 샤리아 반대 운동은 샤리아가 여성과 비무슬림, 자유민과 노예를 차별하며, 인권 침해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여성의 상속 및 증언에 대한 불평등, 일방적 이혼에 대한 억제력 부족, 딤미의 법적 지위에 따른 차별, 노예 제도 인정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한다.[119][120]

일부에서는 샤리아와 테러리즘의 연관성을 주장하기도 한다. 또한, 일부 정치인들은 샤리아 법 금지를 주장하기도 한다.

터키를 포함한 동유럽과 다른 지역의 이민 무슬림들을 중심으로 샤리아의 인권 침해성을 비판하고 세속 법을 옹호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알바니아와 터키 등에서는 로마법 기원의 법률을 채택하여 샤리아는 폐지되었다. 다른 이슬람권 국가들 중 레바논, 시리아 등 세속주의 국가에서는 가족법 등 일부에만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하지만, 샤리아 반대자들이 지역 관습과 종교를 혼동하는 경향이 있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아프가니스탄의 파슈툰족 사이에서 사용되는 파슈툰왈리와 같은 지역적 관습이 샤리아와 혼동될 수 있다.

9. 현대적 논쟁과 논란

샤리아는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논쟁과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과거 무슬림들 사이에서는 샤리아가 신성한 계율이며 올바른 삶의 방식을 제시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비세속적 무슬림들은 샤리아가 모든 무슬림이 따라야 할 보편적인 규범이며, 샤리아에 대한 복종이 이슬람 신앙과 같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터키를 포함한 동유럽과 다른 지역의 이민 무슬림들을 중심으로 샤리아의 인권 침해성을 비판하고 세속 법을 옹호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근대 이전 이슬람 세계에서는 샤리아가 법 체계의 근간이었지만, 실제로는 지배자가 정한 세속 법(카누운)이나 지역적 관습(아다 또는 우르프, 예를 들어 아프가니스탄의 파슈툰족 사이에서 사용되는 파슈툰왈리)도 널리 사용되었다. 근대에 서구 법 체계가 도입되면서 샤리아의 적용 범위가 좁아지고 권위가 약화되었다.

현재 이슬람권에서도 알바니아와 터키 등에서는 로마법 기원의 법률을 채택하여 샤리아를 폐지했다. 레바논, 시리아 등 세속주의 국가에서는 가족법 등 일부에만 샤리아의 흔적이 남아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에서는 샤리아 또는 샤리아의 강한 영향을 받은 법률·헌법에 따른 통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집트와 같이 정치·법제에서 세속화가 진행되었지만, 샤리아를 헌법에서 주요 법원으로 하는 등 이슬람 국가적인 측면을 유지하는 국가도 많다.[335]

샤리아와 관련된 주요 논쟁 및 논란은 다음과 같다:


  • 민주주의와의 양립성: 샤리아와 민주주의의 양립 가능성은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된다. 샤리아를 해석하는 문화적 입장에 따라 민주주의에 대한 선호도에 차이가 나타난다.
  • 인권과의 양립성: 샤리아는 인권과 관련하여 여러 논란을 야기한다. 특히 세계인권선언(UDHR)과의 충돌, 신성모독, 배교, LGBT 권리, 여성, 노예 제도, 테러리즘 등과 관련된 문제가 제기된다.

9. 1. 민주주의와의 양립성

샤리아와 민주주의의 양립 가능성은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는 주제이다. 샤리아를 해석하는 문화적 입장에 따라 민주주의에 대한 선호도에 차이가 나타난다.

하위 섹션에서 샤리아와 민주주의의 관계에 대한 무슬림들의 다양한 견해, 이슬람 정치 이론, 그리고 유럽 인권 재판소의 판결 등을 다루고 있으므로, 이 섹션에서는 이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제시한다.

9. 1. 1. 일반적인 무슬림의 견해

현대 무슬림 사회에서는 샤리아와 민주주의의 관계에 대해 다양한 관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관점은 크게 네 가지 주요 태도로 분류할 수 있다.[119]

  • 민주적 사상 지지: 일부 무슬림은 민주주의를 지지하며, 샤리아가 민주주의와 양립할 수 있다고 본다.
  • 선거 지지 및 도덕적 반대: 일부는 선거를 통한 정치 참여는 지지하지만, 특정 법안이나 정책에 대해서는 종교적, 도덕적 이유로 반대한다.
  • 전통적 이슬람 제도 옹호: 샤리아에 기반한 전통적인 이슬람 제도를 옹호하며, 민주주의보다는 이슬람 법학에 따른 통치를 선호하는 무슬림도 있다.
  • 종교의 사적 영역 제한: 종교는 개인의 사적인 영역에 한정되어야 하며, 공적인 영역에서는 세속적인 법과 제도가 우선해야 한다고 믿는 무슬림도 존재한다.


여론 조사에 따르면, 대다수 무슬림은 민주적 가치와 종교적 원칙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120]

9. 1. 2. 이슬람 정치 이론

이슬람교의 샤리아는 이슬람 사회를 규율하는 법체계로,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마리키 법학파의 이븐 아비 사이드가 편찬한 <리사라>는 샤리아 법학서의 한 예시이며, 종교적 의무, 희사, 순례, 지하드, 혼인, 매매계약, 유산, 형벌, 증인, 상속법, 사회적 규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119]

고전적인 샤리아는 남성과 여성, 무슬림과 비무슬림, 자유민과 노예를 구분하여 민사 분쟁 및 형법 적용에 차등을 두었다. 가부장적 사회를 전제로 한 전통 이슬람 법은 여성에게 상속 및 증언에서 불리한 규칙을 적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남편에게 부과된 재정적 의무는 일방적 이혼을 억제하고, 이혼 소송에서 아내에게 재정적 지렛대를 제공하기도 했다. 여성들은 샤리아 법정에서 원고와 피고로 활동했지만, 일부는 남성 친척을 통해 변론을 선택하기도 했다.

샤리아는 무슬림 공동체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이슬람 지배하의 비무슬림(딤미)은 지즈야 세금 납부와 함께 여러 보호, 제한, 자유, 법적 불평등을 겪었다. 딤미 공동체는 내부 문제에 대한 법적 자치권을 가졌지만, 종교 집단 간 분쟁은 샤리아 법원의 관할이었다. 비무슬림 증인의 증언은 형사 사건에서 제한되거나 받아들여지지 않기도 했다.

이러한 법적 체계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시행되었다. 무굴 제국의 아우랑제브 황제는 모든 신민에게 이슬람 법을 부과했지만, 그의 전임자와 후임자 중 일부는 지즈야를 폐지하기도 했다. 오스만 제국에서는 비무슬림 여성들이 결혼, 이혼, 재산 문제에서 더 유리한 결과를 기대하며 샤리아 법원을 이용하기도 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비무슬림의 이슬람 법원 이용 빈도는 달라졌다. 예를 들어 1729년 갈라타의 이슬람 법원에서는 비무슬림 관련 사건이 2%였지만, 1789년에는 30%로 증가했다.[119] 오스만 법정 기록은 이전에 비무슬림이었던 여성들이 이슬람 법정을 이용한 것을 보여준다.[120] 오스만 제국에서는 비무슬림이 무슬림을 소유하거나 비무슬림 남성이 무슬림 여성과 결혼하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것은 원치 않는 배우자나 주인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었다.[120] 그러나 이는 이전 공동체로부터의 소외를 야기할 수 있었다.[120]

고전 피크흐는 노예 제도를 합법적으로 인정하고 규제했다. 노예에게 특정 권리와 보호를 부여하여 그리스와 로마 법에 비해 지위를 향상시켰지만, 노예는 상속이나 계약 체결이 불가능했고 여러 면에서 주인의 의지에 종속되었다. 노예의 노동과 재산은 주인이 소유했으며, 주인은 미혼 노예에 대한 성적 복종권도 가졌다.

일부 집단에 대한 공식적인 법적 불능은 샤리아를 정의의 보편적 원칙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는 법 문화와 공존했다. 샤리아 법원의 역사적 관행에서 농민들은 억압적인 지주에 맞서 "거의 항상" 승소했고, 비무슬림은 종종 지방 주지사와 같은 강력한 인물을 포함한 무슬림과의 분쟁에서 승소했다. 가족 문제에서 샤리아 법원은 여성이 남편의 위반에 대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곳으로 여겨졌다.

9. 1. 3. 유럽 인권 재판소

유럽 인권 재판소는 레파당 금지 사건에서 샤리아가 민주주의 원칙과 양립할 수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119] 재판소는 소수자 권리 보호와 차별 금지 원칙을 강조했지만,[119] 샤리아의 의미를 명확하게 정의하지는 않았다.[119] 이 판결에 대해 법학자들의 비판적인 분석도 제시되고 있다.[119]

9. 2. 인권과의 양립성

샤리아는 인권과 관련하여 여러 논란을 야기한다. 특히 세계인권선언(UDHR)과의 충돌이 두드러진다. 이슬람 국가들은 UDHR의 세속적 성격을 비판하며, 종교적 가치를 반영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카이로 선언이다. 카이로 선언은 샤리아에 기반하여 인권을 정의하며, UDHR과는 다른 내용을 담고 있다.

샤리아와 관련하여 인권 침해 요소로 지적되는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종교 비판 금지: 샤리아는 신성모독을 엄격하게 금지하며, 이는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 언론의 자유 제한: 샤리아는 종교적 가치에 반하는 언론 활동을 제한할 수 있다.
  • 소수 민족 박해: 딤미와 같이 샤리아는 비무슬림에 대한 차별을 제도화하여 소수 민족 박해로 이어질 수 있다.
  • 여성 불평등: 샤리아는 상속, 증언 등에서 여성에게 불리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어 여성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 노예 제도: 샤리아는 노예 제도 자체를 인정한다.
  • 테러리즘: 일부 극단주의자들은 샤리아와 지하드 교리를 이용하여 테러를 정당화한다. 알카에다 이데올로그들은 고전적인 피크흐(fiqh)에서 지하드가 이슬람 통치자에게 불복종하거나 이슬람의 적과 싸우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현대 학자들은 지하드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한다. 유수프 알 카라다위, 술라이만 알 알완, 하미드 빈 압달라 알 알리 등 학자들마다 자살 폭탄 테러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많은 이슬람 학자들은 테러 행위를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317]


샤리아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보다는 집단의 상호 의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개인의 권리를 강조하는 현대 인권 개념과 충돌하는 지점이다.

샤리아와 인권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바삼 티비는 샤리아가 인권 개념과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반면, 아브델 알-하킴 카니는 샤리아가 인권을 보장한다고 주장한다.

9. 2. 1. 신성모독

고전적인 피크흐에서 신성모독은 신, 무함마드, 또는 이슬람에서 신성하게 여기는 어떤 것을 저주하거나, 믿음에 의문을 제기하거나, 경멸하는 것을 포함한다.[342] 일부 하나피 학파 학자들은 신성모독에 대한 처벌을 규정하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징역, 벌금, 채찍질, 사지 절단, 교수형, 참수 등 다양한 처벌을 규정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형에 처했다.

현대 이슬람권에서는 국가별로 신성모독에 대한 법률이 다르다. 어떤 나라에서는 신성모독이 범죄로 간주되어 사형에 처해질 수 있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징역형이나 벌금형에 처해진다.

자유주의 무슬림 지식인들은 신성모독법이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고, 종교적 소수자들을 박해하는 데 사용된다고 비판한다.[332] 이들은 신성모독법이 이슬람 협력 기구(OIC)와 같은 이슬람 국가들에 의해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고 반대 의견을 억누르는 도구로 악용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유엔과 국제 사회는 신성모독법에 대해 다양한 입장을 보인다. 일부는 신성모독법이 국제 인권법에 위배된다고 주장하며 폐지를 요구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종교적 감정을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앰네스티와 같은 인권 단체들은 신성모독법이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고 종교적 불관용을 조장한다고 비판한다.[341]

파키스탄의 신성모독법은 특히 논란이 많다. 이 법은 종종 소수 종교 집단을 박해하고 개인적인 복수를 위해 악용된다. 2011년에는 파키스탄 펀자브 주지사 살만 타시르가 신성모독법 개정을 요구하다 암살당했고, 연방 소수민족부 장관 샤바즈 밧티도 신성모독법에 반대하다 암살당했다.

9. 2. 2. 배교

알-바카라 2:256절과 같이 신앙의 자유에 대한 언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슬람에서 배교는 전통적으로 무거운 범죄로 간주되어 왔다.[339] 이는 예언자 무함마드가 배교자를 살해하라고 명령했다는 하디스 기록에 근거한다.[340]

초기 이슬람 법학자들은 배교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대한 입장을 취했다. 하나피 학파는 여성 배교자의 경우, 재입교할 때까지 금고형에 처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후대 법학자들은 배교에 대해 더욱 엄격한 해석을 내놓았다. 대부분의 학파는 이슬람에서 이탈하는 행위, 즉 배교를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로 규정했다.

현대에 이르러 일부 이슬람 국가에서는 여전히 배교자를 사형에 처하는 경우가 있다. 수단아프가니스탄에서는 배교자에 대한 사형 집행이 확인되어 국제앰네스티 등 국제 인권 단체의 비판을 받고 있다.[341][332]

반면, 모로코 종교청과 미국 이슬람 평의회 등 자유주의적, 진보적인 이슬람 학자들은 배교자 처형을 과거의 관습으로 간주하고, 해당 하디스는 배교 자체가 아니라 스파이 행위를 처벌한 것이라고 해석하며, 배교에 대한 처벌은 불필요하다는 파트와를 발표하기도 했다.[342]

9. 2. 3. LGBT 권리

근대 이전 이슬람 사회에서는 이슬람권의 소년애와 같이 성인 남성과 소년 사이의 동성애가 존재하기도 했으나, 근대에 들어 이슬람법의 동성애 금지 규정을 엄격하게 시행해야 한다는 해석이 널리 퍼졌다. 현재 샤리아(샤리아법)가 적용되는 지역과 국가에서는 동성애를 태형의 처벌 대상으로 간주하고 있다.[333]

9. 2. 4. 여성

샤리아에서 여성의 지위와 권리는 다양한 논쟁의 대상이다. 고전적인 샤리아는 남성과 여성, 무슬림과 비무슬림, 자유민과 노예를 구분하여 민사 분쟁 규칙과 형법 적용에 차이를 두었다.[119]

여성은 일반적으로 상속 및 증언 규칙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었다. 어떤 경우에는 여성의 증언이 남성의 절반으로 취급되기도 했다.[119] 남편에게 부과된 재정적 의무는 일방적 이혼을 억제하는 역할을 했고, 이혼 소송에서 아내에게 재정적 지렛대를 제공하기도 했다.[119] 여성들은 샤리아 법정에서 원고와 피고로 활동했지만, 일부는 남성 친척을 통해 변론을 선택하기도 했다.[119]

오스만 제국의 기록에 따르면, 비무슬림 여성들은 결혼, 이혼, 재산 문제에서 기독교 및 유대교 법원보다 샤리아 법원에서 더 유리한 결과를 기대하며 사건을 제기하기도 했다.[119] 오스만 법정 기록은 이전에 비무슬림이었던 여성들이 이슬람 법정을 이용한 것을 보여준다.[120] 오스만 제국에서는 비무슬림이 무슬림을 소유하거나 비무슬림 남성이 무슬림 여성과 결혼하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것은 원치 않는 배우자나 주인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선택지였다.[120]

이슬람법상 무슬림 남성은 유대교도나 기독교도와 같은 특정 일신교 여성과 결혼할 수 있지만, 아내를 이슬람교로 개종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여성이 비무슬림 남성과 결혼하는 것은 법적으로 금지되었으며, 남성에게 이슬람교로의 개종이 요구되었다. 여성이 남성을 개종시키지 않고 결혼한 사실이 발각될 경우, 간통으로 간주되어 처벌을 받는 경우가 있었다.[332]

9. 2. 5. 노예 제도



샤리아는 노예에 관한 규정을 두어 노예 제도 자체를 인정한다. 예언자 무함마드도 노예를 소유했었기 때문에, 노예 소유를 악으로 규정하면 무함마드가 악인이 된다는 논리가 있어, 현대에도 노예 제도를 악으로 명확하게 규정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슬람 국가에서는 노예 제도의 폐지가 늦었으며, 모리타니에서는 1980년까지 노예 제도가 존속했다.[336]

하지만, 맘루크 왕조와 같이 노예 출신 왕조도 존재하며, 서구의 노예 제도와는 차이가 있다. 압둘라(신의 종)와 같은 이름이 널리 쓰이며, 노예보다는 시종이라는 의미가 강하고, 생존권[336], 소송권[337] 등이 보장되었다. 무함마드의 흑인 노예 빌랄 빈 라바프는 이슬람교 초기 성인 중 한 명이며, 그의 직계 자손인 하바시 가문의 칭호는 "예언자 무함마드의 교우인 흑인 노예"일 정도로, 흑인 노예가 고귀한 가문이 되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로 아랍 사회에서는 노예라는 단어에 유럽이나 극동 지역처럼 부정적인 인식이 없다.

노예 해방은 선행으로 장려되었고, 주인이 사망하면 노예 신분에서 해방되는 등, 유럽처럼 신분이 종신되거나 자손에게 이어지지 않았다. 노예 획득 수가 감소하면서 노예 수도 줄어, 경작지와 수자원이 부족한 아라비아 반도에서는 농노제가 발달하지 않았다. 16세기에는 노예 인구가 매우 적었고, 노예 소유는 극소수 권력자에게만 한정되었다. 실질적인 노예는 부족 외부에서 고용된 외국인 노동자와 같았으며, 고액의 급여와 우대를 받는 경우가 많았다. 노예가 군인이나 관료가 되면서 노예 왕조가 탄생하는 등, 노예가 오히려 높은 신분이 되기도 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1962년에 노예 제도를 금지했지만, 부족 해체 정책과 함께 시행되어 부족들의 반발을 샀다. 그들은 노예 제도가 코란에서 인정된 것이라 주장했고, 결국 신규 노예만 금지하고 기존 노예는 희망에 따라 유지하는 것으로 타협했다. 현재 노예는 권력자의 심복이라는 의미가 강하며, 법적으로 자유민인 출장 노동자인 외국인 노동자가 현대의 실질적인 노예가 되었다.

이슬람 사회에서 유럽식 농노제는 이집트가 이슬람에 정복당하고 나일 강 유역의 비옥한 땅을 얻게 되면서 시작되었고, 정복당한 이집트인들이 농노가 되었다. 이 시스템은 서쪽으로 전파되어 모리타니가 최서단이 되었다. 기후 때문에 이집트의 농노제는 시나이 반도 동쪽으로 확산되지 않았다.

아라비아 반도에서는 초기부터 노예 매매가 축소되었지만, 이집트에서 동쪽의 아프리카 대륙 북부 지역을 정복한 이슬람은 북부 주민을 노예로 삼아 유럽인에게 팔았고, 대부분 아메리카 대륙으로 수출되었다. 따라서 이슬람 국가에서도 시나이 반도를 경계로 노예 제도가 크게 다르다.

9. 2. 6. 테러리즘

일부 극단주의자들은 샤리아와 지하드 교리를 이용하여 테러를 정당화한다. 알카에다 이데올로그들은 고전적인 피크흐(fiqh)에서 지하드가 이슬람 통치자에게 불복종하거나 이슬람의 적과 싸우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현대 학자들은 지하드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한다. 유수프 알 카라다위, 술라이만 알 알완, 하미드 빈 압달라 알 알리 등 학자들마다 자살 폭탄 테러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많은 이슬람 학자들은 테러 행위를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317]

10. 다른 법체계와의 비교

샤리아는 할라카(유대교 율법)처럼 계시된 법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이슬람의 피크흐는 랍비 유대교의 법적 해석과 유사하며, 파트와는 랍비의 레스폰사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초기 이슬람 법과 영국의 관습법은 채무, 침탈 금지, 배심원 제도 등에서 유사점을 보인다. 판례와 유추 추론 방식, 신탁법과 대리 제도 역시 비슷하게 발전했다. 국제 해양법 발전에도 이슬람의 영향이 있었다고 평가된다.[1]

반면, 법인, 유한 책임 등 서구 법 체계의 일부 개념은 샤리아에 존재하지 않았다. 이자 금지 조치는 기록 보관과 회계 도입을 지연시켰다는 주장도 있다.[2]

10. 1. 유대교 율법

샤리아는 할라카(유대교 율법)와 여러 면에서 유사하다. 두 종교 모두 계시된 법에 중심적인 위치를 둔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슬람에서는 공식적인 텍스트 계시(꾸란)와 더불어 구전된 예언 전통(하디스)이 있으며, 유대교에서는 타나크(히브리 성경)와 구전 율법(미슈나, 탈무드)이 이에 해당한다.

이슬람 법학의 피크흐는 랍비 유대교의 법적 해석과 유사하며, 파트와(법적 판결)는 랍비의 레스폰사(Responsa)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다만, 이슬람 법학의 키야스(유추)는 탈무드 법의 엄격한 해석 규칙과는 차이를 보인다.

10. 2. 서구 법체계

초기 이슬람 법과 영국의 관습법은 채무, 침탈 금지, 배심원 제도, 마드라사와 법률 학교의 유사성 등 여러 면에서 비슷하다. 판례와 유추 추론 방식도 유사하게 발전했으며, 신탁법과 대리 제도 역시 비슷한 점을 보인다. 국제 해양법 발전에도 이슬람의 영향이 있었다고 평가된다. 고전 이슬람 법 학위와 중세 유럽 학위의 유사성도 주목할 만하며, 막디시는 이러한 주장을 펼쳤다.[1]

반면, 서구 법 체계의 일부 개념(법인, 유한 책임 등)은 샤리아에 존재하지 않았다. 이자 금지 조치는 기록 보관과 회계 도입을 지연시켰다는 주장도 있으며, 티무르 쿠란과 지아우딘 사르다르가 이러한 견해를 제시했다.[2]

참조

[1] 서적 The Shari'a and Islamic Criminal Justice in Time of War and Pe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0-17
[2] 웹사이트 British & World English: sharia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2-04
[3] 서적 Islamic Law: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Islamic Law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Sharia - The Islamic Law https://books.google[...] GRIN Verlag 2012-06-09
[6] 서적 Women in Muslim family law Syracuse University Press
[7] 백과사전 Islamic Law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1-29
[8] 서적 The Iranian Constitutional Revolution and the Clerical Leadership of Khurasani Syracus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The System of Rule in Islam https://www.deoband.[...] 2010-06-20
[10] 서적 In God's Path. The Arab Conquests and the Creation of an Islamic Empire
[11] 서적 God's Caliph: Religious Authority in the First Centuries of Islam
[12] 웹사이트 https://dergipark.or[...] 2024-08
[13] 서적 Religious Human Rights in Global Perspective: Religious Perspectives BRILL
[14] 학술지 Religion, State Power, and Domestic Violence in Muslim Societies: A Framework for Comparative Analysis
[15] 서적 Arab and western conceptions of democracy; in Democracy, war, and peace in the Middle East Indiana University Press
[16] 학술지 Path to the Universal Self in Haji Baktash Walî: Four Doors - Forty Stations https://spiritualpc.[...] Association for Spiritual Psychology and Counseling 2016-10-01
[17] 서적 Understanding Islamic Law – From Classical to Contemporary AltaMira Press
[18] 서적 Shari'ah Law: An Introduction Oneworld Publications 2008
[19] 서적 The Spirit of Islamic Law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 참고문헌
[21] 참고문헌
[22] 서적 Wörterbuch der griechisch-arabischen Übersetzungen des neunten Jahrhunderts
[23] 학술지 Corps de Droit Ottoman Stevens and Sons 1905-10
[24] 서적 The First Ottoman Experiment in Democracy 2019-09-15
[25] 학술지 Islamic Law; the impact of Joseph Schacht http://www.soerenker[...] 1978
[26] 서적 Rethinking tradition in modern Islamic thought https://www.scribd.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Origins of Muhammadan Jurispru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The Origins of Muhammadan Jurispru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Origins of Muhammadan Jurispru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The Origins of Muhammadan Jurispru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Islamic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32] 서적 The Origins of Muhammadan Jurispru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Speaking in God's Name: Islamic Law, Authority and Women https://books.google[...] Oneworld Publications 2014-10-01
[34] 서적 Women and Gender in Islam Yale University Press
[35] 서적 Hijab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Islamic World
[36] 논문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in the pre-Islamic Arab Society https://www.jstor.or[...] 2011
[37] 웹사이트 Principles of Islamic Jurisprudence https://nou.edu.ng/c[...] 2024-03-12
[38] 웹사이트 USUL-FIQH https://www.iefpedia[...] 2024-03-12
[39] 웹사이트 Principles of Islamic Jurisprudence https://nou.edu.ng/c[...] 2024-03-12
[40] 웹사이트 USUL-FIQH https://www.iefpedia[...]
[41] 서적
[42] 논문 Decline of Mu'tazilite Thought: The Heritage of Conflict between Ahl Al-Hadith and Mu'tazilites
[43] 웹사이트 The Mihna. Deconstruction and reconsideration of the Mu'tazilite role in the "Inquisition https://pluriel.fuce[...] 2024-03-12
[44] 웹사이트 Coran créé ou incréé https://tareqoubrou.[...] 2024-03-12
[45] 서적 The Muhammadan Revelation Al-Saadawi Publications
[46] 서적
[47] 서적 Islamic Theories of Abrogation
[48] 웹사이트 Albalagh.net http://www.albalagh.[...] Albalagh.net 2002-04-28
[49] 웹사이트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in the pre-Islamic Arab Society | SADIK KIRAZLI | download https://web.archive.[...] 2022-01-31
[50] 웹사이트 Tahir Wasti http://ndl.ethernet.[...]
[51] 웹사이트 Surah Al-Baqarah – 282 https://quran.com/en[...] 2024-12-16
[52] 논문 Islamic Inheritance System: A Socio-Historical Approach
[53] 간행물 European Scientific Journal 2014-05
[54] 서적 Crime and Punishment in Islamic Law: Theory and Practice from the Sixteenth to the Twenty-First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55] 웹사이트 Tahir Wasti http://ndl.ethernet.[...]
[56] 웹사이트 https://www.alhakam.[...]
[57] 웹사이트 https://ejournal.um.[...]
[58] 논문 From Textuality to Universality: The Evolution of Ḥirābah Crimes in Islamic Jurisprudence https://aljamiah.or.[...] 2021-05-24
[59] 논문
[60] 백과사전 Sunna Brill 1997
[6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0-12-05
[62]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Modern Written Arabic https://giftsofknowl[...]
[63] 웹사이트 Sunnah https://archive.toda[...]
[64] 서적 The Origins of Muhammadan Jurispru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59
[65] 웹사이트 Hadis & Sünnet: Şeytani Bidatler https://web.archive.[...]
[66] 서적 İslam Nasıl Yozlaştırıldı: Vahyin Dininden Sapmalar, Hurafeler, Bid'atlar 2015
[67] 웹사이트 Appendix 19, Hadith & Sunna: Satanic Innovations https://www.masjidtu[...]
[68] 서적 Understanding Islamic Law: From Classical to Contemporary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69] 서적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Islamic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70] 논문 The Legal Principles of Muhammad B. Ismāʿīl Al-Bukhārī and Their Relationship to Classical Salafi Islam 2006
[71] 서적 Islamic Modernism, Nationalism, and Fundamentalism: Episode and Discours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2] 서적 al-Mustaṣfā min ʿilm al-ʾuṣūl SIDRA
[73] 서적 Die Maximen der islamischen Jurisprudenz
[74] 서적 Der Diskurs über maqāṣid aš-šarīʿa
[75] 웹사이트 https://files.eric.e[...]
[76] 논문 Human Rights Violations Under the Sharia'a : A Comparative Study of the Kingdom of Saudi Arabia and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77] 서적 Emerging From Darkness: Ghazzali's Impact on the Western Philosophers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78] 백과사전 Ijtihad Oxford University Press
[79] 백과사전 Taqlid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3-06
[80] 일반
[81] 웹사이트 The concept of Ijtihad in the history of Islamic Jurisprudence | Dr. Steven Masood https://stevenmasood[...] 2024-11-01
[82] 학술지 Was the Gate of Ijtihad Closed? http://www.jstor.org[...] 1984-03
[83] 학술지 Ijtihād against Madhhab: Legal Hybridity and the Meanings of Modernity in Early Modern Daghestan https://www.jstor.or[...] 2015-01
[84] 서적 REVIVAL AND REFORM IN ISLAM: A Study of Islamic Fundamentalism One World Publications Oxford
[85] 서적 The Iranian Constitutional Revolution and the Clerical Leadership of Khurasani Syracuse University Press
[86] 웹사이트 https://www.elevenjo[...]
[87] 웹사이트 https://classic.aust[...]
[88] 웹사이트 mutah https://www.britanni[...]
[89]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Search Results - temporary marriage (page 1) - Sunnah.com - Sayings and Teachings of Prophet Muhammad (صلى الله عليه و سلم) https://sunnah.com/s[...] 2024-08-01
[90] 서적 Early Mālikī Law: Ibn ʻAbd Al-Ḥakam and His Major Compendium of Jurisprudence Brill
[91] 서적
[92] Youtube 3 Çarpıcı Örnek: Kurban, Kölelik ve Allah Tasavvuru
[93] 웹사이트 https://brill.com/di[...]
[94] 서적 Islamic Modernism in India and Pakistan 1857–1964
[95] 웹사이트 Ek 15 – Dini Görevler: Tanrı'dan Bir Armağan https://web.archive.[...] 2021-05-30
[96] 서적 Türkiye Diyanet Vakfı İslâm Ansiklopedisi; Quran: A Reformist Translation
[97] 웹사이트 10. How Can we Observe the Sala Prayers by Following the Quran Alone? - Edip-Layth - quranix.org http://quranix.org/a[...] 2023-08-14
[98] 학술지 Faithful Dissenters: Sunni Skepticism about the Miracles of Saints
[99] 서적 In the Vicinity of the Righteous Brill
[100]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Islam
[101] 서적 Creative Conformity: The Feminist Politics of U.S. Catholic and Iranian Shi'i Women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02] 웹사이트 Is Hijab a Qur'anic Commandment? https://islamonline.[...] Islamonline.net 2003-10-09
[103] 학술지 Hijab dar Iran az Enqelab-e Eslami ta payan Jang-e Tahmili http://www.magiran.c[...] Muassasah-e Shi’ah Shinasi 2007-03
[104] 웹사이트 قانون مجازات اسلامی (Islamic Penal Code), see ‌ماده 102 (article 102) http://rc.majlis.ir/[...] Islamic Parliament Research Center 2016-10-12
[105] 서적 Women's Rights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Progress Amid Resistanc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06] 서적 Space, Culture, and the Youth in Iran: Observing Norm Creation Processes at the Artists' House https://books.google[...] Springer
[107] 뉴스 Opinion: As Muslim women, we actually ask you not to wear the hijab in the name of interfaith solidarity https://www.washingt[...] 2015-12-21
[108] 웹사이트 "Örtünmek Allah'ın emri değil" http://www.haberturk[...] haberturk.com 2008-05-28
[109] 웹사이트 https://www.alhakam.[...]
[110] 서적 Al-Mabsut
[111] 서적 Jame'a al-Maqasid
[112] 웹사이트 bir söyleşide yaptığı ilgili açıklama https://www.youtube.[...] 2016-08-15
[113] 웹사이트 https://sunnah.com/b[...]
[114] 웹사이트 Obligatory Charity Tax (Zakat). Sahih al-Bukhari 1399, 1400. Book 24, Hadith 5. Vol. 2, Book 24, Hadith 483 https://sunnah.com/b[...]
[115] 간행물 İslam Hukukunda Namaz Kılmayanın Hükmü https://dergipark.or[...] 2021
[116] 서적 The Middle East, a brief history of the last 2000 years Simon and Schuster 1995
[117] 서적 Islam in Modern History 1957
[118] 간행물 Islamic Law; the impact of Joseph Schacht http://www.soerenker[...] 1978
[119] 간행물 The Legal Recourse of Minorities in History: Eighteenth-Century Appeals to the Islamic Court of Galata 2005
[120] 간행물 Islamic Conversion Narratives of Women: Social Change and Gendered Religious Hierarchy in Early Modern Ottoman Istanbul 2004-08
[121] 법률 Refah Partİsİ (The Welfare Party) And Others V. Turkey 2003-02-13
[122] 웹사이트 EuGH - Gegen Scheidungen nach Scharia-Recht https://www.sueddeut[...] 2017-09-14
[123] 웹사이트 https://rwi.lu.se/wp[...]
[124] 뉴스 Greece Scraps Compulsory Shariah for Muslim Minority https://www.nytimes.[...] 2018-01-10
[125] 뉴스 Brunei to Punish Adultery and Gay Sex With Death by Stoning https://www.nytimes.[...] 2019-03-28
[126] 뉴스 Brunei Shariah law applies death sentence for homosexuality https://www.dw.com/e[...] 2019-03-27
[12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Oxford Academic 2017-05-10
[128] 간행물 Outlines of Muhammadan Law. By Asaf A. A. Fyzee.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1949. xvi and 443 pp. 25s.] 1951-03
[129] 웹사이트 Qatar: The Duality of the Legal System http://ddc.aub.edu.l[...]
[130] 법률 Saudi Arabia Basic Industries Corp. v. Mobil Yanbu Petrochemical Co. https://caselaw.find[...] 2005-01-14
[131] 간행물 Mixed Jurisdictions: Common Law v. Civil Law (Codified and Uncodified)
[132] 서적 Domestic Workers in Saudi Arabia and the Emirates
[133] 서적 The Application of Islamic Criminal Law in Pakistan Brill Academic
[134] 간행물 Human Rights and Shariah Penal Code in Northern Nigeria
[135] 서적 Punishment In Islamic Law American Trust Publications
[136] 서적 Handbook of Transnational Crime and Justice Sage publications
[137] 서적 Introduction to Islamic Law International Islamic Publishers
[138] 간행물 Punishment in Islamic Law: A Critique of the Hudud Bill of Kelantan, Malaysia
[139] 간행물 The rights of a rape victim in Islamic Law http://irep.iium.edu[...]
[140] 간행물 DNA Evidence in Pakistani Courts: An Analysis https://sahsol.lums.[...] 2017-01-30
[141] 논문 Two Women, One Man: Knowledge, Power, and Gender in Medieval Sunni Legal Thought
[142] 서적 Intent in Islamic Law: Motive and Meaning in Medieval Sunnī Fiqh Brill Academic 2005
[143] 서적 Sharia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Egyptian Oxford University Press
[144] 서적 The Long Divergence: How Islamic Law Held Back the Middle Ea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5] 웹사이트 Explaining the Economic Trajectories of Civilizations – Musings on the Systemic Approach http://www.usc.edu/s[...] 2014-10-20
[146] 서적 Islamic Criminal Law and Procedure – An Introduction Praeger Publishers
[147] 간행물 Trying Times – The Prosecution of Terrorists in the Central Criminal Court of Iraq 2006-04
[148] 논문 An Unjust Doctrine of Civil Arbitration: Sharia Courts in Canada and England https://web.stanford[...] 2016-07-18
[149]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and Islamic Cultures: Family, Law and Politics Brill
[150] 서적 Religious Pluralism and Islamic Law: Dhimmis and Others in the Empir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151] 서적 The Application of Islamic Criminal Law in Pakistan https://books.google[...] Brill 2017-06-17
[15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riminal Law
[153]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06, U.S. State Department https://2001-2009.st[...] 2008-10-17
[154] 웹사이트 Saudi Arabia 2012,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https://2009-2017.st[...] State Department of the U.S. Government
[155] 웹사이트 Migrant Communities in Saudi Arabia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156] 웹사이트 Saudi Arabia https://2009-2017.st[...]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US State Department
[157] 웹사이트 Movies http://www.rawa.us/m[...] Revolutionary Association of the Women of Afghanistan (RAWA)
[158] 서적 In Custody: Law, Impunity and Prisoner Abuse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Sage Publishing India
[159] 웹사이트 Iran's Basij Force – The Mainstay Of Domestic Security http://www.rferl.org[...] 2009-01-15
[160] 논문 Hisbah and Sharia Law Enforcement in Metropolitan Kano
[161] 논문 Religious Freedom Implications of Sharia Implementation in Aceh, Indonesia http://ir.stthomas.e[...]
[162] 웹사이트 Who are Islamic 'morality police'? https://www.bbc.com/[...] 2016-04-22
[163] 서적 Apostasy
[164] 논문 Apostasy and Public Policy in Contemporary Egypt: An Evaluation of Recent Cases from Egypt's Highest Courts https://openaccess.l[...]
[165] 논문 Apostasy in Egypt: Contemporary Cases of Ḥisbah
[166] 서적 In the name of God – Faith based internet censorship in majority Muslim countries Routledge
[167] 웹사이트 The Sharia Courts https://www.justice.[...]
[168] 웹사이트 India http://www.law.emory[...] Law.emory.edu
[169] 뉴스 Revealed: UK's first official sharia courts The Sunday Times 2008-09-14
[170] 웹사이트 Inside Britain's Sharia courts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3-04-07
[171] 논문 How could English courts recognize Shariah? http://ir.stthomas.e[...]
[172] 서적 The World's Muslims: Religion, Politics and Society http://www.pewforum.[...] The Pew Forum on Religion & Public Life
[173] 웹사이트 The World's Muslims: Religion, Politics and Society. Chapter 1: Beliefs About Sharia https://www.pewforum[...] 2013-04-30
[174] 웹사이트 Conference Call Transcript: The World's Muslims: Religion, Politics and Society https://www.pewforum[...] 2013-04-30
[175] 서적 Misquoting Muhammad
[176] 뉴스 Why Shariah? https://www.nytimes.[...] 2017-02-23
[177] 뉴스 Sharia law 'could have UK role' http://news.bbc.co.u[...] 2008-07-04
[178] 웹사이트 Killing for religion is justified, say third of Muslim students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08-07-26
[179] 웹사이트 Michael J. Broyde http://law.emory.edu[...] 2017-07-03
[180] 웹사이트 Sharia in America https://www.washingt[...] Volokh Conspiracy, via Washington Post 2017-07-03
[181] 간행물 The Nation http://www.thenation[...] 2015-12-10
[182] 서적 Heaven on Earth: A Journey Through Shari'a Law from the Deserts of Ancient Arabia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20-11-21
[183] 뉴스 The War On Sharia Started Long Before You Ever Heard 'Ground Zero Mosque' http://talkingpoints[...] Talking Points Memo 2010-09-23
[184] 뉴스 Don't Ignore Sharia's Advance http://www.freerepub[...] 2015-12-10
[185] 뉴스 Cameron steps into Sharia law row http://news.bbc.co.u[...] 2008-02-26
[186] 뉴스 Germany won't tolerate 'Sharia police' http://www.dw.com/en[...] 2014-09-06
[187] 뉴스 Quebec gives thumbs down to Shariah law http://www.cbc.ca/ne[...] 2017-07-31
[188] 웹사이트 Religious Arbitration in Ontario – Making the Case Based on the British Example of the Muslim Arbitration Tribunal https://www.law.upen[...] 2012-03-14
[189] 서적 Scapegoating Islam: Intolerance, Security, and the American Muslim https://books.google[...] ABC-CLIO 2017-01-13
[190] 웹사이트 Oklahoma International and Sharia Law, State Question 755 (2010) https://ballotpedia.[...] 2021-03-19
[191] 간행물 Sharīʻa, Islamism and Arab support for democracy https://doi.org/10.1[...] 2020-04-04
[192] 웹사이트 Most Muslims Want Democracy, Personal Freedoms, and Islam in Political Life https://www.pewgloba[...] 2019-04-17
[193] 웹사이트 Majorities See Religion and Democracy as Compatible https://news.gallup.[...] 2019-04-17
[194] 서적 Sociology of religions: perspectives of Ali Shariati 2008
[195] 논문 #추가적인 정보 필요
[196] 간행물 Human Rights, Religion and Democracy: The Refah Party Case http://projects.esse[...] 2019-04-16
[197] 간행물 Refah Partisi (The Welfare Party) and Others v. Turkey http://www.icnl.org/[...]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Not-for-Profit Law 2003-02-13
[198] 웹사이트 Hearing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http://www.echr.coe.[...] 2004-01-22
[199] 웹사이트 ECHR press release Refah Partisi (2001) http://www.echr.coe.[...] Echr.coe.int 2012-04-04
[200] 서적 Refah Revisited: Strasbourg's Construction of Islam, in Islam, Europe and emerging legal issues 2012
[201] 간행물 Understanding Sharia in the West Brill
[202] 간행물 Human Rights, Religion and Democracy: The Refah Party Case http://projects.esse[...] 2019-04-16
[203] 서적 Encyclopedia of Human Righ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04] 간행물 Islam and Human Rights: Congruence or Dichotomy 1990
[205] 서적 Progressive Muslims: On Justice, Gender, and Pluralism Oneworld 2016-07-20
[206] 간행물 'Western' versus 'Islamic' Human Rights Conceptions?: A Critique of Cultural Essentialism in the Discussion on Human Rights
[207] 서적 Islamic Law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08] 서적 Religion and Human Rights: Competing Claims?: Competing Claims? Routledge
[209] 간행물 Defaming Human Rights 2009
[210] 논문 #추가적인 정보 필요
[211] 논문 The Return of the Sacred to Politics as a Constitutional Law The Case of the Shari'atization of Politics in Islamic Civilization
[212] 논문 The Desacralisation of Power in Islam
[213] 서적 Blasphemy against the Prophet
[214] 서적 Crucified Again
[215] 논문 Blasphemy against the Prophet Muhammad and his companions (sabb al-rasul, sabb al-sahabah): The introduction of the topic into shafi'i legal literature and its relevance for legal practice under Mamluk rule
[216] 서적 Freedom of Religion, Apostasy and Islam Ashgate Publishing Company
[217] 서적 Religious Offence and Human Rights: The Implications of Defamation of Reli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8] 백과사전 Blasphemy: Islamic Concept Thomson Gale
[219] 서적 As-Sarim al-Maslul 'ala Shatim ar-Rasul (al-Sārim al-Maslūl 'ala Shātim al-Rasūl) Dar-ibn Hazm
[220] 서적 Never Wholly Other: A Muslima Theology of Religious Plur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21] 백과사전 Blasphemy: Islamic Concept Macmillan Reference
[222] 논문 Speak No Evil: Apostasy, Blasphemy and Heresy in Malaysian Syariah Law
[223] 백과사전 Blasphemy Infobase Publishing
[224] 웹사이트 The Invented Islam – 'Punishment for Blasphemy' http://thesharia.com[...]
[225] 웹사이트 An Anti-Blasphemy Measure Laid to Rest http://www.nationalr[...] 2011-03-31
[226] 웹사이트 University of Minnesota Human Rights Library http://hrlibrary.umn[...]
[227] 서적 The Rushdie Fatwa and After: A Lesson to the Circumspect Palgrave Macmillan
[228] 웹사이트 Bad-mouthing: Pakistan's blasphemy laws legitimise intolerance https://www.economis[...] 2014-11-29
[229] 웹사이트 Blasphemy: Dangerous words https://www.economis[...] 2015-01-07
[230] 웹사이트 What are Pakistan's blasphemy laws? https://www.bbc.com/[...] 2014-11-06
[231] 서적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Islamic Political Though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2] 웹사이트 Which countries still outlaw apostasy and blasphemy? http://www.pewresear[...] 2014-05-28
[233] 논문 Apostasy in Islam 1976
[234] 서적 The Middle East, a Brief History of the Last 2000 Years https://books.google[...] Touchstone Books 1995
[235] qref
[236] 서적 Islam: the key concep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37]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Isla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38] 서적 Sharī'a: Theory, Practice and Transform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39] 서적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Islamic political though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240] 서적 Peace-Building by, between, and beyond Muslims and Evangelical Christians Lexington Books
[241] 뉴스 In Kabul, a Test for Shariah https://www.nytimes.[...] 2006-03-26
[242] 뉴스 What Islam says on religious freedom http://news.bbc.co.u[...] 2006-03-27
[243] 웹사이트 Sudan woman faces death for apostasy https://www.bbc.com/[...] 2014-05-15
[244]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Contemporary Islamic Thought Blackwell Publishing 2006
[245] 논문 The Law of Apostasy
[246] 서적 What Everyone Needs to Know About Isla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4-18
[247] 서적 The Qur'an: An Encyclopedia
[248] 서적 The Great Theft: Wrestling Islam from the Extremists HarperOne
[249] 웹사이트 UN rights office deeply concerned over Sudanese woman facing death for apostasy https://www.un.org/a[...] 2014-05-16
[250] 웹사이트 Saudi Arabia: Writer Faces Apostasy Trial https://www.hrw.org/[...] 2012-02-13
[251] 서적 Human Rights Diplomac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52] 웹사이트 Laws Criminalizing Apostas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53] 웹사이트 Laws Criminalizing Apostas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54] 웹사이트 Apostasy http://www.oxfordisl[...]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55] 학술지 The Law of Apostasy
[256] 백과사전 Liwāṭ Brill
[257] 백과사전 Homosexuality in Islamic Law http://www.iranicaon[...] 2019-04-09
[258] 학술지 Radical Islam, Tolerance, and the Enlightenment 2018
[259] 학술지 Oppression and Subalternity: Homosexual and Transgender in Islam https://books.google[...] 2020-12-18
[260] 학술지 Sexuality and Islam 2010-05-13
[261] 서적 A History of Islamic Socie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2] 서적 Islam and the Acceptance of Homosexuality Praeger
[263] 뉴스 How homosexuality became a crime in the Middle East https://www.economis[...] 2024-05-09
[264] 학술지 Islam and Homosexuality: Religious Dogma, Colonial Rule, and the Quest for Belonging https://scholarship.[...] 2019-04-09
[265] 뉴스 How homosexuality became a crime in the Middle East https://www.economis[...] 2019-04-09
[266] 웹사이트 The Death Penalty in Afghanistan https://www.deathpen[...] Death Penalty Worldwide 2017-08-25
[267] 뉴스 Analysis – Here are the 10 countries where homosexuality may be punished by death https://www.washingt[...] 2019-04-09
[268] 웹사이트 MENA Gender Equality Profile – Status of Girls and Women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UNICEF (October 2011) http://www.unicef.or[...] 2016-03-22
[269] 백과사전 Nikāḥ Brill
[270] 서적 What Went Wrong?
[271] 학술지 The Status of Women in Islam 1971-09
[272] 뉴스 Why Shariah? https://www.nytimes.[...] 2011-09-17
[273] 학술지 Why Muslims Rebel 2006-09
[274] 학술지 The Islamic Inheritance System: a Socio-Historical Approach
[275] 서적 Misquoting Muhammad: The Challenge and Choices of Interpreting the Prophet's Legacy Oneworld Publications
[276] 웹사이트 Surah 4:34 (An-Nisaa), Alim – Translated by Mohammad Asad, Gibraltar (1980) http://www.alim.org/[...] 2013-07-29
[277] 웹사이트 Salhi and Grami (2011), Gender and Violence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Florence (Italy), European University Institute http://www.eui.eu/De[...]
[278] 서적 What Men Owe to Women: Men's Voices from World Religions SUNY
[279] 서적 Legal Practice and Cultural Diversity Ashgate
[280] 학술지 'De Minimis Non Curat Lex': The Clitoris, Culture and the Law
[281] 서적 Islam in Southeast Asia: Political, Social and Strategic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https://archive.org/[...]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82] 학술지 Family Arbitration Using Sharia Law: Examining Ontario's Arbitration Act and its Impact on Women
[283] 서적 CEDAW and Muslim Family Laws: In Search of Common Ground http://www.musawah.o[...] Musawah 2016-07-18
[284] 학술지 The Tension between Women's Rights and Religious Rights: Reservations to Cedaw by Egypt, Bangladesh and Tunisia
[285] 뉴스 Lebanon – IRIN, United Nations Office of Humanitarian Affairs (2009) http://www.irinnews.[...] 2009-09-22
[286] 웹사이트 UAE: Spousal Abuse never a Right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0-10-19
[287] 서적 Encyclopedia of Domestic Violence Taylor & Francis
[288] 웹사이트 Canadian Muslims Launch Annual White Ribbon Campaign http://iqra.ca/2013/[...] 2013-11-15
[289] 웹사이트 Call to Action to Eradicate Domestic Violence http://iqra.ca/2011/[...] 2011-11-16
[290] 웹사이트 Muslim Council of Britain urges Imams to speak out against domestic abuse this Friday https://mcb.org.uk/p[...] 2014-03-19
[291] 학술지 Imams rally against domestic violence in the UK https://www.aljazeer[...]
[292] 서적 Crime and Punishment in Islamic Law: A Fresh Interpre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93] 학술지 Rape: A Problem of Crime Classification in Islamic Law 2010-01-01
[294] 서적 What Went Wrong?
[295] 웹사이트 Slavery in Islam http://www.bbc.co.uk[...]
[296] 학술지 Islamic and Western Values
[297] 서적 Marriage and slavery in early Islam Harvard University Press
[298] 서적 Slaves Into Workers: Emancipation and Labor in Colonial Sudan University of Texas Press
[299] 서적 Women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Indiana University Press
[300] 서적 Uncovering the History of Africans in Asia Brill Academic 2008
[301] 서적 Transformations in Slavery: A History of Slavery in Afric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302] 서적 Slavery and Sexual Ethics in Islam, in Beyond Slavery: Overcoming Its Religious and Sexual Legacies Palgrave Macmillan 2010-10-15
[303] 백과사전 Umm al-Walad http://www.oxfordisl[...] Oxford University Press
[304] 서적 Pirates, Terrorists, and Warlords: The History, Influence, and Future of Armed Groups Around the World Skyhorse Publishing
[305] 웹사이트 Seven Prohibited Industries in Islamic Financial Investments https://www.dummies.[...]
[306] 웹사이트 Shariah-Compliant Funds https://www.investop[...]
[307] 학술지 Shariah-compliant FinTech in the banking industry 2018-08-01
[308] 백과사전 Jihād http://www.oxfordisl[...] Oxford University Press
[309] 백과사전 D̲j̲ihād Brill
[310] 웹사이트 Jihad vs. Crusade https://www.wsj.com/[...] Opinionjournal.com 2001-09-27
[311] 학술지 Parity of Muslim and Western Concepts of Just War
[312] 서적 Islam: The Religion and the People Pearson Prentice Hall
[313] 서적 Islam: The Religion and the People Pearson Prentice Hall
[314] 서적 Sharī'a: Theory, Practice, Transforma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5] 뉴스 Controversial preacher with 'star status' http://news.bbc.co.u[...] 2004-07-07
[316] 웹사이트 Islamic Statements Against Terrorism http://kurzman.unc.e[...] 2017-01-13
[317] 논문 The Challenge of Fragmentation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Regarding the Protection of Civilians – An Islamic Perspective https://ore.exeter.a[...] School of Law, University of Bedfordshire
[318]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the Islamic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9] 논문 The Islamic Origins of the Common Law 1999-06-01
[320] 뉴스 Is English law related to Muslim law? http://news.bbc.co.u[...] 2008-09-24
[321] 논문 Book Review: ''The Justice of Islam'' by Lawrence Rosen
[322] 서적 Islamic Finance: Law, Economics, and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3] 논문 The Influence of the Islamic Law of Waqf on the Development of the Trust in England: The Case of Merton College http://scholarship.l[...] 1988-04-01
[324] 논문 Islamic Law: Its Relation to Other Legal Systems 1978-03-01
[325] 논문 Book Reviews: Hassan S. Khalilieh, ''Admiralty and Maritime Laws in the Mediterranean Sea (ca. 800–1050): The "Kitāb Akriyat al-Sufun" vis-à-vis the "Nomos Rhodion Nautikos"''
[326] 논문 Scholasticism and Humanism in Classical Islam and the Christian West
[327] 백과사전 Degrees, or Ijaza https://books.google[...] Routledge
[328] 논문 The Absence of the Corporation in Islamic Law: Origins and Persistence 2005-09-01
[329] 논문 The logic of financial westernization in the Middle East
[330] 논문 Why the Middle East is Economically Underdeveloped: Historical Mechanisms of Institutional Stagnation 2004-06-01
[331] 뉴스 The Long Divergence: How Islamic Law Held Back the Middle East, By Timur Kuran https://www.independ[...] 2011-01-28
[332] 웹사이트 キリスト教から改宗拒んだ女性に死刑判決 スーダン https://www.cnn.co.j[...] 2019-04-06
[333] 웹사이트 イスラム法のむち打ち刑、初めて仏教徒に執行 インドネシア https://www.afpbb.co[...] 2019-04-06
[334] 서적 世界はこのままイスラーム化するのか 幻冬舎新書
[335] 웹사이트 教えて! 尚子先生「イスラム原理主義」とはなんですか? https://diamond.jp/a[...] 2019-04-06
[336] 하디스 4736 - السنن الصغرى
[337] 논문 Fugitives and factotums: slaves in early sixteenth-century Istanbul
[338] 뉴스 マシュハドで4人の窃盗常習犯に対して斬手刑が執行 http://www.el.tufs.a[...] 東京外国語大学 2007-09-13
[339] 웹사이트 Is Apostasy a Capital Crime in Islam? https://www.islamici[...] 2015-01-01
[340] 하디스 聖戦
[341] 웹사이트 アフガニスタン:改宗で死刑、今すぐ司法改革が必要 https://www.amnesty.[...] 2006-03-24
[342] 웹사이트 イスラム教の背教は死罪に値しない モロッコの宗教当局が新たな見解 https://www.christia[...] 2017-02-10
[343] 웹사이트 http://www.etc-graz.[...]
[34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gedik.ed[...] 2021-03-18
[34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dergiler.anka[...] 2021-03-18
[34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tez.sdu.edu.t[...] 2021-03-18
[34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yeditepe.edu[...] 2021-03-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