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그랑주 다항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그랑주 다항식은 주어진 점들을 지나는 차수가 k 이하인 유일한 다항식으로,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들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된다. 이 다항식은 수학, 특히 수치 해석에서 함수의 보간에 사용되며, 암호학과 같은 분야에서도 응용된다. 라그랑주 다항식은 각 데이터 점에 대해 해당 점에서는 1이고 다른 모든 점에서는 0이 되는 기저 함수를 구성하는 핵심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하며, 중점 형태를 사용하여 계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절점 변경 시 기저 다항식을 다시 계산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등간격 절점 사용 시 룬게 현상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간법 - 선형 보간법
선형 보간법은 두 점 사이의 값을 직선으로 추정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비선형 데이터에는 정확도가 낮아 다른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다. - 보간법 - 보외법
보외법은 수치 데이터가 없는 범위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외삽 방법이 존재하며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사전 지식에 따라 적용 방법을 선택한다. - 다항식 - 르장드르 다항식
르장드르 다항식은 르장드르 미분 방정식의 해로 정의되는 직교 다항식 계열로, 생성 함수, 로드리게스 공식, 또는 점화식을 통해 정의될 수 있으며, 물리학, 공학, 수치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다항식 - 행렬식
행렬식은 정사각 행렬에 대해 정의되는 값으로, 선형 방정식의 해를 구하고 선형 독립성을 확인하며 기저의 방향과 부피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가우스 소거법 등의 계산 기법과 가역성 판단, 고유값 연관성 등의 성질을 갖는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라그랑주 다항식 | |
---|---|
개요 | |
종류 | 다항식 보간 |
분야 | 수치해석학 |
정의 | |
목적 | 주어진 데이터 포인트를 통과하는 다항식 생성 |
특징 | 각 데이터 포인트를 정확히 통과하는 유일한 다항식 |
활용 | 함수 근사, 데이터 분석, 곡선 피팅 |
공식 | |
라그랑주 보간 공식 | L(x) = Σ[i=0 to n] yᵢ * ℓᵢ(x) |
기본 다항식 | ℓᵢ(x) = Π[j=0 to n, j≠i] (x - xⱼ) / (xᵢ - xⱼ) |
변수 설명 | "x: 보간할 x 값" "xᵢ, yᵢ: 주어진 데이터 포인트" "n: 데이터 포인트의 개수" |
장단점 | |
장점 | 구현 용이성 주어진 데이터를 정확하게 통과 |
단점 | 계산 복잡도 높음 (데이터 포인트 증가 시) 런게 현상 발생 가능성 |
활용 예시 | |
샤미르 비밀 공유 | 비밀 분산에 활용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보간법 뉴턴 보간법 스플라인 보간법 베지어 곡선 에르미트 보간법 |
2. 정의
k영어 + 1개의 데이터 점 가 주어졌을 때 (단, 모든 는 서로 다르다), 이 점들을 지나는 차수가 k영어 이하인 유일한 다항식을 '''라그랑주 보간 다항식'''이라고 한다. 라그랑주 다항식은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들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된다. 보간 다항식은 유일하다는 성질을 가진다.
2. 1.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
''k'' + 1개의 데이터 점 (x0, y0), ..., (xj, yj), ..., (xk, yk)가 주어지고, 이때 어떤 두 xj도 같지 않다고 가정한다. 라그랑주 형식의 보간 다항식은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된다.각 j에 대해,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 ℓj(x)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xi는 서로 같은 값을 가지지 않으므로, 이고, 위 표현은 잘 정의된다.
서로 다른 ''k'' + 1개의 노드 {x0, x1, ..., xk}가 주어지면, j ≠ m인 인덱스에 대해 xj ≠ xm을 만족한다. 이 노드들에 대한 차수가 ''k'' 이하인 다항식의 라그랑주 기저는, 각 차수가 ''k''이고 m ≠ j일 때 ℓj(xm) = 0이며 ℓj(xj) = 1의 값을 갖는 다항식 집합 {ℓ0(x), ℓ1(x), ..., ℓk(x)}이다. 크로네커 델타를 사용하면, 이를 ℓj(xm) = δjm으로 쓸 수 있다.
분자 은 노드 에서 ''k''개의 근을 갖는다. 반면, 분모 은 결과 다항식을 스케일링하여 ℓj(xj) = 1이 되도록 한다.
2. 2. 선형 결합
''k'' + 1개의 데이터 점 (x0, y0), ..., (xj, yj), ..., (xk, yk)가 주어졌을 때 (단, xj는 모두 서로 다른 값), 라그랑주 형식의 보간 다항식은 다음과 같은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들의 선형 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
이 식은 L(xi) = yi (i = 0부터 k까지)를 만족하여, 주어진 모든 점을 지난다. 에서 i = j 라면 모든 항이 1이 되고, j ≠ m 에 대해 이고, m ≠ j 일 때, 이며 의 값을 갖는다. 크로네커 델타를 사용하면 이를 으로 쓸 수 있다.
3. 증명
''L''(''x'')가 데이터를 적절히 보간하기 위해서는, 각 데이터 점 ''j''에 대해 ''k''차 이하의 다항식 ''L''(''x'')가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만약 이 조건이 모든 ''j''에 대해 성립한다면, 그 다항식은 보간 문제의 해답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이 다항식이 유일함을 증명하는 과정이다.
# 는 곱에서 ''k''개의 항을 포함하고 각 항은 x를 하나씩 포함하고 있으므로, ''L''(''x'')(''k''차 다항식의 합)는 ''k''차 다항식이어야 한다.
#
이 곱셈을 확장하면, 곱이 인 경우를 제외하기 때문에, 만약 라면 모든 항은 이 된다. (인 경우는 제외)
만약 주어진 점들을 지나는 차수가 k 이하인 다항식이 L(x)와 M(x) 두 개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L(x)-M(x)는 k+1개의 서로 다른 근을 가지는 k차 이하의 다항식이 되므로 0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L(x)=M(x)가 된다. 즉, 주어진 점들을 지나는 k차 이하의 다항식은 유일하다.
4. 주요 아이디어
라그랑주 보간법의 핵심 아이디어는 각 데이터 점에 대해, 해당 점에서는 1이고 다른 모든 점에서는 0이 되는 기저 함수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저 함수들의 선형 결합을 통해 주어진 모든 점을 지나는 다항식을 만들 수 있다.
서로 다른 개의 점 가 주어졌을 때, 이면 이다. 이 점들에 대한 차수가 이하인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 집합 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일 때
크로네커 델타를 사용하면, 으로 표현할 수 있다. 각 기저 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분자 은 에서 개의 근을 갖는다. 분모 은 이 되도록 다항식을 조정한다.
주어진 점들에서의 값 에 대해, 라그랑주 다항식은 다음과 같은 선형 결합으로 표현된다.
각 기저 다항식의 차수가 이므로, 합 의 차수는 이하이다. 또한 이므로, 이 다항식은 주어진 점들을 보간한다.
보간 다항식은 유일하다. 차수가 이하인 다항식 가 데이터를 보간한다고 가정하면, 는 개의 서로 다른 점 에서 0이다. 그러나 개 이상의 근을 갖는 차 이하의 다항식은 상수 0 함수뿐이므로, , 즉 이다.
5. 선형대수학적 관점
보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행렬의 역행렬을 구하는 선형대수학의 문제로 이어진다. 보간 다항식 에 대한 표준 단항식 기저를 사용하면, 계수 에 대해 를 풀기 위해 반데르몽드 행렬 의 역행렬을 구해야 한다. 더 나은 기저인 라그랑주 기저 를 선택하면 항등 행렬, 를 얻게 되는데, 이는 자체 역행렬이다. 즉, 라그랑주 기저는 자동으로 반데르몽드 행렬의 유사 행렬을 ''역전''시킨다.
이 구성은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와 유사하다. 정수를 소수로 나눈 나머지를 확인하는 대신, 선형식으로 나눌 때 다항식의 나머지를 확인한다.
또한, 차수가 클 때 고속 푸리에 변환을 사용하여 보간된 다항식의 계수를 구할 수 있다.
6. 중점(Barycentric) 형태
라그랑주 다항식은 중점(barycentric) 형태로 변형하면 계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중점 형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첫 번째 중점 형태: 라그랑주 다항식을 각 항의 공통 인수로 묶어 표현하는 방식이다.
- 두 번째 중점 형태 (실제 형태): 첫 번째 형태를 한 번 더 변형하여 계산의 효율성을 더욱 높인 방식이다. 이 형태는 분모와 분자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항을 상쇄시켜 계산 정확도를 높이는 장점도 있다.
6. 1. 중점 가중치(Barycentric weight)
각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은 세 부분의 곱으로 다시 쓸 수 있다. 모든 기저 다항식에 공통적인 함수 , 노드 특정 상수 (''중점 가중치(barycentric weight)''라고 함) 및 에서 로의 변위를 나타내는 부분이다.[4]합에서 를 묶어내면, 이른바 ''첫 번째 중점(barycentric) 형태''로 라그랑주 다항식을 쓸 수 있다.
가중치 가 미리 계산되었다면, 각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 를 개별적으로 평가하는 데 가 필요한 것에 비해 연산만 필요하다.
중점(barycentric) 보간 공식은 또한 각 , 를 로 나누고 새로운 을 위와 같이 구성하여 새로운 노드 을 통합하도록 쉽게 업데이트할 수 있다.
임의의 에 대해, 이다. 왜냐하면 상수 함수 은 데이터 }를 보간하는 차수 의 고유한 다항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 중점(barycentric) 공식을 더욱 단순화할 수 있다.
이것은 중점(barycentric) 보간 공식의 ''두 번째 형태'' 또는 ''실제 형태''라고 불린다.
이 두 번째 형태는 계산 비용과 정확도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의 평가를 피한다. 분모 의 각 항을 계산하는 작업은 이미 를 계산하는 데 수행되었으므로, 분모의 합을 계산하는 데 개의 덧셈 연산만 필요하다. 노드 중 하나에 가까운 평가점 의 경우, catastrophic cancelation이 일반적으로 값 에 문제가 되겠지만, 이 양은 분자와 분모 모두에 나타나며 두 개가 상쇄되어 최종 결과에 좋은 상대적 정확도를 남긴다.
이 공식을 사용하여 노드 중 하나에서 를 평가하면 부정형 가 발생한다. 컴퓨터 구현은 이러한 결과를 로 대체해야 한다.
각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은 중점(barycentric) 형태로도 쓸 수 있다.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을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이는 '''중심 가중치'''(barycentric weight)[10]를 로 정의하면 간단하게
로 쓸 수 있는데, 이를 중심 라그랑주 보간의 "제1형"이라고 부른다.
이 형태의 다항식 보간을 고려하는 것의 이점은 보간 다항식 를 평가할 때, 가중치 가 사전에 알려져 있다면 으로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라그랑주 기저 를 개별적으로 계산하는 것은 이 소요된다). 또 다른 중심형 보간의 이점으로, 새로운 절점 의 추가도 각 를 로 나누고, 새로운 를 계산하는 것만으로 쉽게 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더욱이 제1형을 단순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상수 함수 의 중심 보간 를 계산한 다음, 을 로 나누면, 얻는
은 주어진 절점에서의 보간성을 잃지 않는다. 이 보간 다항식을 중심 보간 다항식의 "제2형" 또는 "진정한 형태"라고 한다. 진정한 중심 보간 다항식은 의 각 절점에서 평가할 때 라그랑주 기저 를 평가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6. 2. 첫 번째 중점 형태
각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 는 모든 기저 다항식에 공통적인 함수 , 노드 특정 상수 (barycentric weight라고 함) 및 에서 로의 변위를 나타내는 부분의 곱으로 다시 쓸 수 있다.[4]:
합에서 를 묶어내면, 라그랑주 다항식을 ''첫 번째 barycentric 형태''로 쓸 수 있다.
:
가중치 가 미리 계산되었다면, 각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 을 개별적으로 평가하는 데 가 필요한 것에 비해 연산만 필요하다.
barycentric 보간 공식은 또한 각 , 를 로 나누고 새로운 을 위와 같이 구성하여 새로운 노드 을 통합하도록 쉽게 업데이트할 수 있다.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을 를 사용하여 로 다시 쓸 수 있다. 이는 barycentric weight영어[10]를 로 정의하면 간단하게 로 쓸 수 있는데, 이를 중심(重心) 라그랑주 보간의 "제1형"이라고 부른다.
이 형태의 다항식 보간을 고려하는 것의 이점은 보간 다항식 를 평가할 때, 가중치가 사전에 알려져 있다면 으로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라그랑주 기저 를 개별적으로 계산하는 것은 이 소요된다). 또 다른 중심형 보간의 이점으로, 새로운 절점 의 추가도 각 를 로 나누고, 새로운 를 계산하는 것만으로 쉽게 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6. 3. 두 번째 중점 형태 (실제 형태)
각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 는 세 부분의 곱으로 다시 쓸 수 있다. 모든 기저 다항식에 공통적인 함수 , 노드 특정 상수 (barycentric weight라고 함) 및 에서 로의 변위를 나타내는 부분이다.[4]:
합에서 를 묶어내면, 라그랑주 다항식을 첫 번째 barycentric 형태로 쓸 수 있다.
:
가중치 가 미리 계산되었다면, 각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 을 개별적으로 평가하는 데 가 필요한 것에 비해 연산만 필요하다.
barycentric 보간 공식은 새로운 노드 을 통합하도록 쉽게 업데이트할 수 있다. 각 ()를 로 나누고 새로운 을 위와 같이 구성하면 된다.
임의의 에 대해, 이다. 왜냐하면 상수 함수 은 데이터 를 보간하는 차수 의 고유한 다항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 barycentric 공식을 더욱 단순화할 수 있다.
:
이것은 barycentric 보간 공식의 두 번째 형태 또는 실제 형태라고 불린다.
이 두 번째 형태는 계산 비용과 정확도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의 평가를 피할 수 있다. 분모 의 각 항을 계산하는 작업은 이미 를 계산하는 데 수행되었으므로, 분모의 합을 계산하는 데 개의 덧셈 연산만 필요하다. 노드 중 하나에 가까운 평가점 의 경우, catastrophic cancelation이 일반적으로 값 에 문제가 되겠지만, 이 양은 분자와 분모 모두에 나타나며 상쇄되어 최종 결과에 좋은 상대적 정확도를 남긴다.
이 공식을 사용하여 노드 중 하나에서 를 평가하면 부정형 가 발생한다. 컴퓨터 구현은 이러한 결과를 로 대체해야 한다.
각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은 barycentric 형태로도 쓸 수 있다.
:
7. 오차항
주어진 함수 ''f''를 노드 에서 차수 의 다항식으로 보간할 때, 나머지 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6]
:
여기서 는 나눗셈 차이 표기법이다. 또는, 나머지는 복소 평면에서 다음과 같은 선적분으로 표현할 수 있다.
:
나머지는 다음과 같이 제한될 수 있다.
:
는 노드에서 0이다. 점 에서 를 찾기 위해 새로운 함수 를 정의하고 을 선택한다. 여기서 는 주어진 에 대해 결정해야 할 상수이다. 가 와 사이(경계 포함)에 개의 0(모든 노드와 에서)을 갖도록 를 선택한다. 가 번 미분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와 는 다항식이므로 무한히 미분 가능하며, 는 번 미분 가능하다. 롤의 정리에 의해, 는 개의 0을 갖고, 는 개의 0을 갖는다. 은 1개의 0, 즉
8. 도함수
라그랑주 보간 다항식의
:
각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
\ell_j(x) &= \prod_{\begin{smallmatrix}m = 0\\ m\neq j\end{smallmatrix}}^k \frac{x-x_m}{x_j-x_m}.
\end{aligned}
첫 번째 도함수는 곱의 규칙을 통해 구한다.
:
\ell_j'(x) &= \sum_{\begin{smallmatrix}i=0 \\ i\not=j\end{smallmatrix}}^k \Biggl[ \frac{1}{x_j-x_i}\prod_{\begin{smallmatrix}m=0 \\ m\not = (i , j)\end{smallmatrix}}^k \frac{x-x_m}{x_j-x_m} \Biggr]
\\[5mu]
&= \ell_j(x)\sum_{\begin{smallmatrix}i=0 \\i\not=j\end{smallmatrix}}^k \frac{1}{x-x_i}.
\end{align}
두 번째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
\ell_j''(x)
&= \sum_{\begin{smallmatrix}i=0 \\ i\ne j\end{smallmatrix}}^{k} \frac{1}{x_j-x_i} \Biggl[ \sum_{\begin{smallmatrix}m=0 \\ m\ne(i,j)\end{smallmatrix}}^{k} \Biggl( \frac{1}{x_j-x_m}\prod_{\begin{smallmatrix}n=0 \\ n\ne(i,j,m)\end{smallmatrix}}^{k} \frac{x-x_n}{x_j-x_n} \Biggr) \Biggr]
\\[10mu]
&= \ell_j(x)
\sum_{0 \leq i < m \leq k}
\frac{2}{(x-x_i)(x - x_m)}
\\[10mu]
&= \ell_j(x)\Biggl[\Biggl(\sum_{\begin{smallmatrix}i=0 \\i\not=j\end{smallmatrix}}^k \frac{1}{x-x_i}\Biggr)^2-\sum_{\begin{smallmatrix}i=0 \\i\not=j\end{smallmatrix}}^k \frac{1}{(x-x_i)^2}\Biggr].
\end{align}
세 번째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
\ell_j'''(x)
&= \ell_j(x)
\sum_{0 \leq i < m < n \leq k}
\frac{3!}{(x-x_i)(x - x_m)(x - x_n)}
\end{align}
더 높은 차수의 도함수도 이와 유사하게 구할 수 있다.
이러한 공식은 노드나 노드 근처에서는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라그랑주 다항식을 멱 기저(power basis) 형태로 변환하여 도함수를 계산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9. 유한체(Finite Fields)에서의 응용
라그랑주 다항식은 유한체에서도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샤미르의 비밀 공유 방식과 같은 암호학에서 응용된다.
10. 예제
다른 예로,
xi | yi = f(xi) |
---|---|
1 | 1 |
2 | 4 |
3 | 9 |
각 노드의 바리 중심 가중치는 다음과 같다.
w_0 = (1-2)^{-1}(1-3)^{-1} = \tfrac12 w_1 = (2-1)^{-1}(2-3)^{-1} = -1 w_2 = (3-1)^{-1}(3-2)^{-1} = \tfrac12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ell_0(x) = \frac{x - 2}{1 - 2}\cdot\frac{x - 3}{1 - 3} = \tfrac12x^2 - \tfrac52x + 3 \ell_1(x) = \frac{x - 1}{2 - 1}\cdot\frac{x - 3}{2 - 3} = -x^2 + 4x - 3 \ell_2(x) = \frac{x - 1}{3 - 1}\cdot\frac{x - 2}{3 - 2} = \tfrac12x^2 - \tfrac32x + 1
따라서 라그랑주 보간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
L(x) = 1\cdot\frac{x - 2}{1 - 2}\cdot\frac{x - 3}{1 - 3}
+ 4\cdot\frac{x - 1}{2 - 1}\cdot\frac{x - 3}{2 - 3}
+ 9\cdot\frac{x - 1}{3 - 1}\cdot\frac{x - 2}{3 - 2}
= x^2
이는 두 번째 바리 중심 형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L(x) = \frac
{\displaystyle \sum_{j=0}^2 \frac{w_j}{x-x_j}y_j}
{\displaystyle \sum_{j=0}^2 \frac{w_j}{x-x_j}}
= \frac
{\displaystyle \frac{\tfrac12}{x - 1} + \frac{-4}{x - 2} + \frac{\tfrac92}{x - 3}}
{\displaystyle \frac{\tfrac12}{x - 1} + \frac{-1}{x - 2} + \frac{\tfrac12}{x - 3}}
11. 주의사항
라그랑주형 보간은 절점 $x_k$를 변경할 때마다 라그랑주 기저 다항식을 모두 다시 계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실용적인 목적에서는 중점형 라그랑주 보간 (후술)이나 뉴턴 보간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등간격 절점에 대한 라그랑주 보간은 원래 함수 위아래로 진동하는 다항식을 생성하며, 절점 수가 증가할수록 룬게 현상으로 인해 발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체비쇼프 노드를 사용하여 보간점을 선택하면 완화할 수 있다.[9]
참조
[1]
서적
Leçons Elémentaires sur les Mathématiques
[1]
서적
Oeuvres de Lagrange
Gauthier-Villars
[1]
서적
Lectures on Elementary Mathematics
Open Court
[2]
논문
Problems concerning interpolations
https://archive.org/[...]
[3]
논문
A chronology of interpolation: from ancient astronomy to modern signal and image processing
http://bigwww.epfl.c[...]
[4]
논문
Barycentric Lagrange Interpolation
https://people.maths[...]
[5]
서적
Scientific Computing with MATLAB
https://books.google[...]
Springer
[6]
간행물
AS ref
[7]
웹사이트
Interpolation
https://sam.nitk.ac.[...]
2017-02-15
[8]
간행물
A chronology of interpolation: from ancient astronomy to modern signal and image processing
[9]
간행물
Scientific Computing with MATLAB
https://books.google[...]
Springer
[10]
논문
Barycentric Lagrange Interpolation
[11]
문서
Abramowitz and Stegun, "Handbook of Mathematical Functions," p.8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