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마티보디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마티보디 1세는 1350년 아유타야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즉위한 인물이다. 그는 우통 왕자로 알려졌으며, 중국계라는 설이 있다. 라마티보디 1세는 내무부, 재무부, 왕실 재산부, 농업부 등 4개의 관청을 설립하고, 타이 법전을 제정했으며, 명나라와 동맹을 맺었다. 그는 아유타야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하고, 주변 지역을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했다. 그는 1352년 야소다라푸라를 공격하여 아들을 왕위에 올렸으나, 1357년 크메르족에게 왕위를 빼앗겼다. 그의 사후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했고, 그의 아들 라메수안과 수판나품 왕조 간의 갈등이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유타야 국왕 - 나레수안
나레수안은 16세기 아유타야 왕국의 왕으로 버마의 침략을 격퇴하고 왕국의 독립을 지켜낸 구국의 영웅이며, 버마에 인질로 잡혀 군사 훈련을 받은 경험을 바탕으로 뛰어난 전략과 용맹을 발휘하여 코끼리 전투에서 버마 왕세자와 결투한 일화로 유명하고, 영토 확장과 왕국 안정에 힘쓴 그의 업적은 현재까지 태국 사회에서 기념되고 있다. - 14세기 태국 사람 - 루타이
루타이는 시 인트라팃 왕의 손자이자 람캄행 왕의 아들이며, 람캄행 왕의 뒤를 이어 수코타이 왕조의 왕위를 계승했다. - 1314년 출생 - 이선장
이선장은 명나라 초 주원장의 참모로, 뛰어난 계략과 법가 사상으로 명나라 건국에 기여했으나, 호유용의 옥에 연루되어 숙청된 인물이다. - 1314년 출생 - 토크토아
원나라의 정치가 토크토아는 혜종 시기에 권력을 장악하여 국정을 주도하며 과거 제도 부활, 역사서 편찬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모함으로 실각하고 독살당해 그의 죽음 이후 원나라는 쇠퇴하였다.
라마티보디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우통, 라마티보디 1세 |
태국어 이름 | พระเจ้าอู่ทอง |
로마자 표기 | Rāmādhipatī |
다른 이름 | 우통 왕 สมเด็จพระรามาธิบดีที่ ๑ |
통치 | |
작위 | 아유타야의 왕 |
재위 | 1351년 3월 4일 ~ 1369년 |
왕조 | 우통 왕조 |
전임자 | 왕조 설립 |
후임자 | 라메수안 |
가족 | |
자녀 | 아유타야의 왕 라메수안 |
생애 | |
출생일 | 1314년 3월 10일 |
사망일 | 1369년 |
사망지 | 아유타야 왕국, 아유타야 |
기타 | |
언어 | 태국어 |
종교 | 상좌부 불교 |
2. 즉위 전 및 통치
1350년 즉위하기 전에는 우통(อู่ทองth, Uthong) 왕자로 알려져 있었다. 그의 출신 배경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란나를 세운 맹라이 왕의 후손이라는 설[10][6], 17세기 네덜란드인 예레미아스 판 블리트가 기록한 "유명한 전설"에 따라 중국에서 온 상인 출신이라는 설[7][8][11], 그리고 본래 수코타이 왕조 아래의 수판부리 지역 통치자였다는 설 등이 있다. 중국계 설에 따르면, 그는 무역으로 성공한 뒤 태국 만 연안의 펫차부리를 다스리다 아유타야 지역으로 옮겨왔다고 한다.[7][8]
수판부리 통치자였다는 설에 따르면, 1348년경 수판부리에 콜레라로 추정되는 역병이 크게 유행하자, 그는 새로운 근거지를 찾아 현재의 아유타야 지역으로 이동하여 1350년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고 아유타야 왕국을 세웠다. 이듬해인 1351년에는 스스로 '''라마티보디'''(รามาธิบดีth)라는 왕호를 사용하며 공식적으로 왕위에 올랐다.
라마티보디 1세는 즉위 후 국가의 기틀을 다지는 데 주력했다. 그는 국내적으로 행정 체계를 정비하고 법전을 마련하는 한편,[10] 대외적으로는 명나라와 동맹을 맺고[10] 인도, 페르시아 등 여러 나라와 교역하며 국가의 안정과 발전을 꾀했다. 또한 정복 활동을 통해 영토를 확장하고 주변 세력과 관계를 조율하며 왕국의 기반을 다졌다.[10][9]
2. 1. 주요 업적
수판부리의 통치자였던 우통 왕자(훗날 라마티보디 1세)는 1348년경 해당 지역에 콜레라로 추정되는 역병이 돌자 새로운 수도 건설을 결정했다. 그는 현재의 아유타야 지역으로 이동하여 1350년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고 아유타야 왕국을 세웠다. 이듬해 그는 รามาธิบดี|라마티보디th라는 왕호를 사용하며 공식적으로 왕위에 올랐다.라마티보디 1세는 국가 통치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여러 중요한 정책을 시행했다. 그는 국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문무를 아우르는 중앙 행정 조직을 정비했다. 특히 다음 4개의 주요 중앙 관청을 설립했다.[10]
관청 | 담당 업무 |
---|---|
내무부 (เวียง|위앙th, Wieng) | 행정 및 내무 |
재무부 (คลัง|클랑th, Klang) | 재정 및 국고 |
왕실 재산부 (วัง|왕th, Wang) | 왕실 관련 업무 및 재산 관리 |
농업부 (นา|나th, Na) | 농업 및 토지 관리 |
또한, 그는 타이 법전을 제정하여 법치주의의 기초를 다졌다.[10]
대외적으로는 명나라와 동맹을 맺어 안정적인 외교 관계를 구축했으며,[10] 중국, 인도, 페르시아 등 여러 나라와 활발히 무역하여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이러한 내정 정비와 외교 활동은 신생 왕국인 아유타야의 기틀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1. 1. 영토 확장
라마티보디 1세의 통치 영역은 코랏, 찬타부리, 타보이, 타닌타리, 테나세림, 그리고 말레이 반도의 상당 부분까지 확장되었다.[10]그는 남쪽으로 군대를 보내 말레이 반도 전역을 점령했는데, 이 지역은 당시 수코타이의 영토였기 때문에 수코타이와의 갈등을 유발했다. 수코타이의 리타이 왕은 크메르 왕조의 지원을 받아 아유타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오히려 라마티보디 1세는 크메르를 평정하고 자치를 인정하는 조건으로 영향력 아래 두었다. 1352년에는 크메르 제국의 수도였던 야소다라푸라를 포위 공격하여 이듬해 함락시키고 자신의 아들을 왕위에 앉혔으나, 크메르족은 1357년에 다시 왕위를 되찾았다.[9]
한편, 수코타이에 대해서는 군대를 보내 차이나트를 점령하기도 했으나, 이후 수코타이 왕 사이루타이가 반환을 요구하자 차이나트를 돌려주었다.
3. 왕조 간의 갈등
라마티보디 왕의 죽음 이후, 왕위를 둘러싼 분쟁이 시작되었다.[10] 처음에는 그의 아들인 라메수안이 아유타야의 왕이 되었으나, 이후 라마티보디의 처남이자 수판나품의 통치자였던 보롬마라차티랏 1세에게 왕위를 넘겨주었다.[10] 그러나 1388년, 라메수안은 보롬마라차티랏 1세의 아들 통란으로부터 아유타야를 되찾았다. 이후 보롬마라차티랏 1세의 조카인 인타라차가 1408년 다시 아유타야를 점령하여 수판나품 왕조가 권력을 잡게 되었다. 이 사건 이후 우통 왕조는 정치적 영향력을 잃고 16세기까지 아유타야의 여러 귀족 가문 중 하나로 남게 되었다.
4. 참고 문헌
- 와이어트, 데이비드 K., 『태국: 단편 역사』(Thailand: A Short History영어), 뉴헤이븐(예일 대학교), 2003.
- 스리삭 벌리포돔, 『셰이크 아마드 코미와 시암의 역사』(Sheikh Ahmad Qomi and the History of Siam영어), 이란 이슬람 도시 문화 센터, 방콕 1995, 209쪽.
- 플럽플렁 콩차나, 『아유타야의 페르시아인』(The Persians in Ayutthaya영어), 스리나카린위롯 대학교 아시아 태평양 연구소.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Ayutthaya: Siam in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List of monarchs Ayutthaya
http://www.royin.go.[...]
2013-12-03
[3]
웹사이트
เมื่อ "พระยาลิไทย" ถูกยึดอำนาจและโดนบังคับบวช : ขรรค์ชัย-สุจิตต์ ทอดน่องท่องเที่ยว
https://www.youtube.[...]
2023-05-17
[4]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5]
서적
A History of Ayutthaya: Siam in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The Siam Society Lecture: A History of Ayutthaya (28 June 2017)
https://www.youtube.[...]
2020-05-21
[7]
웹사이트
Jeremias van Vliet's DESCRIPTION of the KINGDOM of SIAM
https://thesiamsocie[...]
[8]
서적
Van Vliet's Siam
[9]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0]
서적
Lords of Life
Alvin Redman Limited
[1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켄브리지대학출판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