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51년은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연호가 사용된 해로, 고려에서는 충정왕이 폐위되고 공민왕이 즉위했으며, 원나라에서는 홍건적의 난이 발발하여 쇠퇴의 조짐을 보였다. 일본에서는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북조에 항복하면서 북조가 일시적으로 멸망했으며, 영국에서는 반역죄법이 제정되었다. 또한, 동남아시아에서는 라마티보디 1세가 아유타야 왕국을 건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51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연도 | 1351년 |
14세기 | |
십 년대 | 1350년대 |
세기 | 14세기 |
천년기 | 제2천년기 |
기년법 | |
간지 | 신묘년 (辛卯年) |
일본 | 쇼헤이(正平) 6년 |
서력 기원 | 1351년 |
2. 연호
3. 주요 사건
- 3월 23일 - 피루즈 샤 투글럭이 무함마드 투글럭의 뒤를 이어 델리 술탄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이때 신드주(오늘날 파키스탄의 일부)의 사마 왕조가 술탄국으로부터 분리 독립하였다.
- 핀란드 반타 지역이 최초로 언급된다(''헬싱에''로).
- 3월 15일(관응 2년/정평 6년 2월 17일) -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아시카가 요시나오와 다카시 나오스케를 무찌름 (우치데하마 전투).
- 11월 13일(관응 2년/정평 6년 10월 24일) -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남조에 항복하고, 북조가 일시적으로 멸망함(정평일통).
3. 1. 한국
3. 2. 중국
3. 3. 일본
3. 4. 유럽
- 1351년 1월 14일 -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가 영국 법에서 반역죄를 정의하는 1351년 반역죄법을 제정한다. 이 법은 21세기에도 폐지되지 않고 남아 있다.[1][2]
- 2월 - 1351년 노동자 법령이 잉글랜드 의회에 의해 제정되어 흑사병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 3월 26일 - 브르타뉴 계승 전쟁: 삼십인 전투 – 프랑스 왕국과 잉글랜드 왕국에서 각각 선발된 30명의 기사들이 브르타뉴 공국의 통치권을 결정하기 위해 싸운다. 기욤 드 몽토방의 무관의 활약으로 프랑스-브르타뉴 연합군의 승리가 확실시된다.
- 4월 1일 - 백년 전쟁: 생트 전투 – 프랑스군이 잉글랜드군에게 패배한다.[4]
- 4월 8일 - 백년 전쟁: 타유부르 전투 – 프랑스군이 잉글랜드군에게 패배한다.[5]
- 5월 1일 - 취리히가 구 스위스 연방에 가입한다.
3. 5. 동남아시아
รามธิบดีที่ ๑|라마티보디 1세th 왕이 오늘날 태국에 아유타야 왕국을 건설하였다.[3] 그는 상좌부 불교를 국교로 선포하기 시작하였다.3. 6. 기타
- 1351년 1월 14일 –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가 영국 법에서 반역죄를 정의하는 1351년 반역죄법을 제정한다. 이 법은 21세기에도 폐지되지 않고 남아 있다.[1][2]
- 2월 – 1351년 노동자 법령이 잉글랜드 의회에 의해 제정되어 흑사병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 3월 4일 – 웃통(라마티보디 1세) 왕이 오늘날 태국에 아유타야 왕국을 건설한다.[3] 그는 상좌부 불교를 국교로 선포하기 시작한다.
- 3월 23일 – 피루즈 샤 투글럭이 무함마드 투글럭의 뒤를 이어 델리 술탄국의 통치자가 된다. 이때 신드주(오늘날 파키스탄의 일부)의 사마 왕조가 술탄국으로부터 분리 독립한다.
- 3월 26일 – 브르타뉴 계승 전쟁: 삼십인 전투 – 프랑스 왕국과 잉글랜드 왕국에서 각각 선발된 30명의 기사들이 브르타뉴 공국의 통치권을 결정하기 위해 싸운다. 기욤 드 몽토방의 무관의 활약으로 프랑스-브르타뉴 연합군의 승리가 확실시된다.
- 4월 1일 – 백년 전쟁: 생트 전투 – 프랑스군이 잉글랜드군에게 패배한다.[4]
- 4월 8일 – 백년 전쟁: 타유부르 전투 – 프랑스군이 잉글랜드군에게 패배한다.[5]
- 5월 1일 – 취리히가 구 스위스 연방에 가입한다.
- 11월 26일 – 스코우 천황이 일본 북조의 3대 천황직에서 물러난다.
4. 탄생
1351년에는 여러 인물들이 태어났다. 이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주요 인물
- 10월 16일 - 지안 갈레아초 비스콘티, 밀라노 공작 (1402년 사망)
- 11월 1일 - 레오폴트 3세, 오스트리아 공 (1386년 사망)
- 브와디스와프 2세 야기에우워 - 폴란드 왕국 야기에우워 왕조의 창시자 (1434년 사망)
- 프랑스의 잔 - 공주 (1371년 사망)
- 상스기 아키사다 - 남북조 시대의 무장, 센고쿠 상스기씨의 당주 (1380년 사망)
- 카지미에시 4세 - 포메라니아 스웁스크 공 (1377년 사망)
- 쿠스노키 마사카츠 -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쿠스노키씨의 당주 (1400년 사망)
- 산죠 기네코 - 고엔유 천황의 후궁 (1407년 사망)
- 피에르 다이 - 프랑스의 기독교 신학자 (1420년 사망)
- 토키 요리마사 -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미노 수호 (1414년 사망)
- 히노 나리코 - 무로마치 막부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의 정실 (1405년 사망)
- 후시미노미야 에이닌 친왕 -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황족 (1416년 사망)
- 미하일 팔레올로고스 - 트라키아·자고라 데스포테스 (1376년 사망)
- 요프스트 폰 메렌 - 모라비아 변방 백작, 룩셈부르크 공,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독일 왕 (1411년 사망)
- 추정 – 야기에우워 2세 - 리투아니아 대공 겸 폴란드 국왕 (1434년 사망)
5. 사망
1351년에 사망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1월 28일 - 지바 사다타네: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무장, 지바 씨 제11대 당주. (* 1292년)
- 2월 13일 - 고노 모로후유(粉河盛冬): 일본 장군.
- 2월 13일 - 다카시 시즈후유: 남북조 시대 무장, 수호. (* 생년 미상)
- 2월 15일 - 각여: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정토진종의 승려. (* 1271년)
- 3월 18일 - 하타케야마 쿠니우지: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무장, 오슈 간료. (* 생년 미상)
- 3월 20일 -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 델리 술탄.
- 3월 24일 - 다카시 나오타다: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무장. (* 생년 미상)
- 3월 24일 - 다카시 요시: 남북조 시대 무장. (* 생년 미상)
- 3월 24일 - 다카시 야스: 남북조 시대 무장. (* 생년 미상)
- 3월 24일 - 다카시 나츠: 남북조 시대 무장. (* 생년 미상)
- 3월 25일 - 고노 모로나오(粉河師直): 일본 사무라이.
- 3월 25일 - 고노 모로야스(粉河盛康): 일본 사무라이.
- 4월 25일 - 니조 후지코: 여관·가인·고다이고 천황 측실. (* 생년 미상)
- 5월 4일 - 아카마쓰 노리모토: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무장, 수호. (* 생년 미상)
- 5월 24일 - 아부 알-하산 알리 이븐 우스만: 모로코 술탄. (1297년 출생)
- 6월 20일 - 마르가레타 에브너: 독일 수녀. (1291년 출생)
- 9월 26일 - 토키와이노미야 쓰네아키라 친왕: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황족. (* 1303년)
- 10월 20일 - 무소 소세키: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임제종의 선승. (* 1275년)
- 11월 15일 - 요안나 폰 피르트: 오스트리아 공작 부인.
- 12월 30일 - 이시카와 아키모토: 남북조 시대 무장, 무쓰 이시카와 씨 제15대 당주. (* 생년 미상)
- 이지치 스즈키: 남북조 시대 무장. (* 생년 미상)
- 한산동: 원말 난의 수령, 백련교의 지도자. (* 생년 미상)
- 콘스탄치아 오폴스카: 브로츠와프 공 헨리크 4세의 비. (* 1256년/1265년?)
- 충정왕: 제30대 고려 국왕. (* 1338년)
- 레오노르 데 구즈만: 카스티야 왕 알폰소 11세의 애첩. (* 1310년)
- 도와이 이에유키: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토요우케 다이진구의 신관. (* 1256년)
5. 1. 주요 인물
사망일 | 이름 | 직업 및 출생/사망 년도 |
---|---|---|
2월 13일 | 고노 모로후유(粉河盛冬) | 일본 장군 |
3월 20일 |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 | 델리 술탄 |
3월 25일 | 고노 모로나오(粉河師直) | 일본 사무라이 |
3월 25일 | 고노 모로야스(粉河盛康) | 일본 사무라이 |
5월 24일 | 아부 알-하산 알리 이븐 우스만 | 모로코 술탄 (1297년 출생) |
6월 20일 | 마르가레타 에브너 | 독일 수녀 (1291년 출생) |
11월 15일 | 요안나 폰 피르트 | 오스트리아 공작 부인 |
1월 28일 | 지바 사다타네 |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무장, 지바 씨 제11대 당주 (* 1292년) |
2월 13일 | 다카시 시즈후유 | 남북조 시대 무장, 수호 (* 생년 미상) |
2월 15일 | 각여 |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정토진종의 승려 (* 1271년) |
3월 18일 | 하타케야마 쿠니우지 |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무장, 오슈 간료 (* 생년 미상) |
3월 24일 | 다카시 나오타다 |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무장 (* 생년 미상) |
3월 24일 | 다카시 요시 | 남북조 시대 무장 (* 생년 미상) |
3월 24일 | 다카시 야스 | 남북조 시대 무장 (* 생년 미상) |
3월 24일 | 다카시 나츠 | 남북조 시대 무장 (* 생년 미상) |
4월 25일 | 니조 후지코 | 여관·가인·고다이고 천황 측실 (* 생년 미상) |
5월 4일 | 아카마쓰 노리모토 |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무장, 수호 (* 생년 미상) |
9월 26일 | 토키와이노미야 쓰네아키라 친왕 |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황족 (* 1303년) |
10월 20일 | 무소 소세키 |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임제종의 선승 (* 1275년) |
12월 30일 | 이시카와 아키모토 | 남북조 시대 무장, 무쓰 이시카와 씨 제15대 당주 (* 생년 미상) |
이지치 스즈키 | 남북조 시대 무장 (* 생년 미상) | |
한산동 | 원말 난의 수령, 백련교의 지도자 (* 생년 미상) | |
콘스탄치아 오폴스카 | 브로츠와프 공 헨리크 4세의 비 (* 1256년/1265년?) | |
충정왕 | 제30대 고려 국왕 (* 1338년) | |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 | 투글루크 왕조의 제2대 군주 (* 생년 미상) | |
레오노르 데 구즈만 | 카스티야 왕 알폰소 11세의 애첩 (* 1310년) | |
도와이 이에유키 |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 토요우케 다이진구의 신관 (* 1256년) |
참조
[1]
서적
The Rights of Persons, According to the Text of Blackstone: Incorporating the Alterations Down to the Present Time
(Unspecified)
[2]
간행물
The Treason Act 1351
[3]
서적
A History of Ayutthaya: Siam in the Early Modern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5-11
[4]
서적
"Saintes, Battle of (1351)"
Greenwood
[5]
백과사전
Battle of Taillebourg, 8 April 1351
http://www.historyof[...]
2015-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