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티슬라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스티슬라프는 846년 모라비아의 통치자가 된 인물이다. 그는 동프랑크 왕국에 대항하기 위해 불가리아, 비잔티움 제국 등과 교류하며, 비잔티움 제국에 선교사 파견을 요청하여 키릴로스와 메토디우스 형제가 슬라브어 문자를 보급하도록 했다. 그는 동프랑크 왕국과 결탁한 조카 스바토플루크에 의해 실각했으며, 1994년 체코슬로바키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풀다 연대기에 따르면, 라스티슬라프는 모라비아의 첫 번째 통치자로 알려진 모이미르 1세의 조카였다.[7][8] 846년 이전 그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지만,[9] 숙부 밑에서 루트비히 독일왕의 궁정에서 인질로 복무했을 가능성이 있다.[2]
846년 모이미르 1세가 사망한 후 왕위에 오른 라스티슬라프는 가톨릭을 수용하려는 자세를 보인 모이미르 1세와 달리, 동프랑크 왕국에 대항하기 위해 불가리아 제1제국, 비잔틴 제국 등과 접근했다.
라스티슬라프는 자신의 행동 자유를 늘리기 위해 영토 내 프랑크 선교사들의 활동을 제한하려 했다.[2] 862년경 로마에 먼저 접근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콘스탄티노폴리스에 현지 모라비아인들을 사제로 교육할 "교사"를 요청하면서 슬라브어로 활동할 수 있는 "교사"가 필요함을 강조했다.[28][2][29]
2. 초기 생애
846년에 모이미르 1세가 사망한 후 왕위에 올랐다. 라스티슬라프는 동프랑크 왕국에 대항하기 위해 불가리아 제1제국, 비잔틴 제국 등과 접근했다.[10]
3. 독립을 향한 투쟁
3. 1. 동프랑크 왕국과의 갈등
라스티슬라프 통치 초기 8년 동안은 모라비아가 동프랑크의 루도비크 2세에게 충성했기 때문에 반란 기록이 없었다.[2] 이 기간 동안 라스티슬라프는 동쪽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제1차 불가리아 제국과의 경계를 확립한 것으로 보인다.[12] 853년 서프랑크의 왕 카를 2세는 불가리아인을 매수하여 슬라브족(모라비아인으로 추정)과 동맹을 맺고 루도비크 2세의 왕국을 공격하게 했다.[13] 이 과정에서 루도비크 2세는 동부 변경백령 총독 라드보드를 폐위시켰고, 라드보드는 라스티슬라프와 동맹을 맺었다.[2][14] 이는 라스티슬라프가 프랑크족의 종주권에 도전할 만큼 충분히 강해졌음을 보여준다.[15]
855년 동프랑크 왕은 모라비아를 침공하기 위해 대규모 군대를 소집했다.[16][17] 그러나 그의 군대는 미쿨치체(현재 체코에 위치)로 추정되는 라스티슬라프의 요새 앞에서 좌초되었다.[18] 장기전에 대비하지 못한 왕은 철수해야 했고, 후퇴 중 모라비아 군대의 공격을 받아 격파되었다.[19][2] 라스티슬라프의 군대는 프랑크족을 추격하여 도나우강 유역의 많은 영토를 약탈했다.[20]
856년 루도비크 2세는 왕국의 남동부 변경백령 지휘권을 아들 바이에른의 카를로만에게 넘겨 모라비아를 제어하게 했다.[22] 858년 카를로만은 라스티슬라프를 상대로 원정을 이끌었지만 실패했고, 라스티슬라프는 계속 저항했다.[2] 카를로만은 아버지에게 대항하여 라스티슬라프와 동맹을 맺기까지 했다.[23]
861년 저지 판노니아의 슬라브족 "공작" 프리비나가 모라비아인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는데, 이는 카를로만이 이 지역을 라스티슬라프에게 양보했음을 시사한다.[25][26] 루도비크 2세는 아들과 라스티슬라프의 계속된 반란에 대응하여 불가리아의 보리스 1세와 동맹을 맺었다.[27] 왕은 라스티슬라프를 상대로 새로운 원정을 이끄는 척했지만, 마지막 순간에 카를로만을 공격하여 항복시켰다.[2]
4.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의 선교
863년, 라스티슬라프의 요청으로 테살로니키에서 슬라브 방언을 배운 콘스탄틴과 메토디우스 형제가 몇몇 제자들과 함께 모라비아에 도착했고, 콘스탄틴은 글라골 문자를 만들었다.[2][31] 프랑크 성직자들은 이들의 활동이 자신들의 영향력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했다.[32] 루트비히 2세는 콘스탄츠의 주교 솔로몬을 로마로 보내 파사우 교구가 모라비아인들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렸다.[33]
루트비히 2세는 불가리아의 보리스 1세와 함께 라스티슬라프에 대한 원정을 계획했으나, 보리스 1세가 마지막에 철수하면서 무산되었다.[34] 그러나 864년 8월, 루트비히 2세는 모라비아를 침공하여 도나우강을 건너 ''civitas Dowina'' (슬로바키아의 데빈 성으로 추정)를 포위했다.[36][37] 라스티슬라프는 기습을 당해 요새 안에 갇혔고, 결국 항복하여 포로를 넘겨주고 충성 서약을 했다.[2]
865년, 루트비히 2세는 "벤드족" (슬라브족)에 군대를 파견했고, 상부 판노니아의 백작 베르너가 라스티슬라프와 공모했다는 혐의로 소환되었다.[39][40] 866년 말, 콘스탄틴과 메토디우스는 모라비아를 떠나 베네치아로 갔다.[41]
4. 1. 슬라브어 전례 도입의 의의
성 키릴과 메토디우스 형제는 테살로니키(그리스)에서 사용되는 슬라브 방언을 배워 863년 모라비아에 도착했다.[2][31] 이들은 슬라브어로 가르치고 신성한 미사를 드리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콘스탄틴은 슬라브 문자를 만들었다.[2] 교황 하드리아노 2세는 성경의 슬라브어 번역을 승인하고, 슬라브어 제자들을 사제로 성별했으며, 로마의 교회에서 슬라브어 전례를 부르는 것을 허용했다.[42][43]
5. 말년
868년 초, 루트비히 독일왕의 아들 카를만은 라스티슬라프와 두 번의 성공적인 전투를 벌여 전리품을 가지고 돌아왔다.[44] 그해 8월, 루트비히 독일왕은 다시 모라비아를 침공할 계획을 세웠지만, 갑자기 병이 났다.[2] 루트비히 독일왕의 막내 아들인 카를 3세는 라스티슬라프의 요새로 진격하여 그의 모든 요새를 불태우고, 보물을 빼앗았으며, 그에게 대항하는 모든 사람들을 전투에서 물리쳤다.[45] 그 무렵, 『풀다 연대기』에 따르면, 라스티슬라프는 이전에 자신의 "옛 도시"를 조카인 스바토플루크에게 넘겨주었고, 체코의 미쿨치체로 추정되는 "형언할 수 없는 요새"에서 통치했다.[2] 869년 교황 하드리아노 2세는 일리리쿰 대교구를 부활시키기로 결정하고, 라스티슬라프, 스바토플루크, 프리비나의 아들 코첼이 통치하는 영토에 거주하는 모든 슬라브족의 교황 특사이자 시르미움 (스렘스카 미트로비차, 세르비아)의 대주교인 메토디우스를 성성했다.[2][46]
한편, 스바토플루크는 라스티슬라프가 모르는 사이에 카를만과 협상하여 그의 인격과 왕국에 대한 카를만의 주권을 받아들였다.[47] 라스티슬라프는 조카의 배신을 알고 "격노"하여, 연회에서 암살자들을 시켜 스바토플루크를 목 졸라 죽이도록 했다.[48] 그러나 스바토플루크는 이 계획을 경고받고, 매사냥을 하는 척하며 죽음을 피했다.[2] 라스티슬라프가 병사들과 함께 조카를 쫓아나서자, 스바토플루크는 삼촌을 붙잡아 묶어 카를만에게 보냈다.[49]
라스티슬라프는 레겐스부르크 (루트비히의 수도)로 호송되었고, 그동안 카를만은 라스티슬라프의 왕국을 침략하여 그의 모든 요새를 정복했다.[50] 루트비히 독일왕은 라스티슬라프를 무거운 쇠사슬에 묶여 그에게 데려오도록 했다.[51] 모인 프랑크족, 바이에른족, 슬라브족이 라스티슬라프의 반역죄를 선고하여 사형에 처했지만, 루트비히 독일왕은 그의 형벌을 눈을 멀게 하고 투옥하는 것으로 감형했다.[52] 라스티슬라프는 감옥에서 죽었다.[53] 1994년 프레쇼프의 체코 슬로바키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추대되었다.[54]
6. 사후
869년, 교황 하드리아노 2세는 일리리쿰 대교구를 부활시키기로 결정하고, 시르미움 (스렘스카 미트로비차, 세르비아)의 대주교이자 라스티슬라프, 스바토플루크, 프리비나의 아들 코첼이 통치하는 영토에 거주하는 모든 슬라브족의 교황 특사로 메토디우스를 성성했다.[2][46]
한편, 스바토플루크는 라스티슬라프 몰래 카를만과 협상하여 그의 인격과 왕국에 대한 카를만의 주권을 받아들였다.[47] 라스티슬라프는 조카의 배신에 분노하여 연회에서 암살자들을 시켜 스바토플루크를 죽이려 했다.[48] 그러나 스바토플루크는 이 계획을 미리 알고 매사냥을 하는 척하며 죽음을 피했다.[2] 라스티슬라프가 병사들과 함께 조카를 쫓아가자, 스바토플루크는 삼촌을 붙잡아 묶어 카를만에게 보냈다.[49]
라스티슬라프는 레겐스부르크 (루트비히의 수도)로 호송되었고, 그동안 카를만은 라스티슬라프의 왕국을 침략하여 그의 모든 요새를 정복했다.[50] 루트비히 독일왕은 라스티슬라프를 무거운 쇠사슬에 묶여 그에게 데려오도록 했다.[51] 모인 프랑크족, 바이에른족, 슬라브족은 라스티슬라프의 반역죄를 선고하여 사형에 처했지만, 국왕은 그의 형벌을 눈을 멀게 하고 투옥하는 것으로 감형했다.[52] 라스티슬라프는 감옥에서 죽었다.[53]
체코슬로바키아 정교회는 1994년에 라스티슬라프를 성인으로 추대하였다.[54][56][57]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인용
[37]
인용
[38]
인용
[39]
인용
[40]
인용
[41]
인용
[42]
인용
[43]
인용
[44]
인용
[45]
인용
[46]
인용
[47]
인용
[48]
인용
[49]
인용
[50]
인용
[51]
인용
[52]
인용
[53]
인용
[54]
서적
The Slavs, Great Moravia and Us: Canonisation of Prince Rastislav
https://www.academia[...]
Academia.edu
2013-10-31
[55]
인용
[56]
웹사이트
Святой Ростислав князь Моравский / Поместные Церкви // проект портала Православие.Ru
http://www.pravoslav[...]
[57]
웹사이트
Rastislav of Moravia - OrthodoxWiki
http://orthodoxwik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