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르미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르미움은 현재의 스렘스카 미트로비차 부지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로마 제국 시대에 중요한 군사적, 전략적 중심지였다. 기원전 4세기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일리리아인과 켈트족이 거주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판노니아 속주의 수도였으며, 293년 사두정치 수립 이후에는 로마 제국의 4개 수도 중 하나가 되었다. 4세기 말에는 고트족의 지배를 받았고, 이후 훈족, 동고트족, 게피드족 등 다양한 민족의 지배를 거쳤다. 582년 아바르족에 의해 파괴되었고, 1167년에는 시르미움 전투가 벌어졌다. 시르미움은 여러 로마 황제의 출생지 또는 통치 지역이었으며, 기독교 주교좌가 있던 곳이기도 하다. 현재 시르미움 유적에서는 고고학적 발견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유적 - 감지그라드
    세르비아 자예차르 인근의 감지그라드는 로마 황제 갈레리우스가 어머니 로물라를 기리기 위해 건설한 펠릭스 로물리아나 궁전 단지를 포함하는 고대 로마 유적지로, 유럽에서 중요한 후기 로마 유적 중 하나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로마 황제 길의 관광 명소이자 스파 리조트가 위치한 곳이다.
시르미움
일반 정보
위치현대의 세르비아 (스렘스카미트로비차)
지역판노니아
유형정착지
건설 시기기원전 4세기 이전
폐허 시기582년
문화일리리아인
켈트족
로마인
비잔틴
상태폐허
공개 여부
지정국가: 세르비아
유형: 탁월한 중요성을 지닌 고고학 유적지
지정일: 1948년
번호: http://spomenicikulture.mi.sanu.ac.rs/spomenik.php?id=695 АН 106
시르미움 황궁 유적
시르미움 황궁 유적
역사
관련 시기일리리아인
켈트족
로마 제국
비잔틴 제국
추가 정보
웹사이트해당 사항 없음

2. 역사

시르미움 근처에서 발견된 황금 로마 투구; 노비 사드의 보이보디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thumb

스렘스카 미트로비차 방문자 센터에 있는 시르미움의 축척 모형.


시르미움 유적은 현대 스렘스카 미트로비차에 있으며, 베오그라드(로마의 싱기두눔)에서 서쪽으로 55km 떨어져 있다. 고고학자들은 시르미움에서 기원전 5,000년경 조직적인 인간 생활 흔적을 발견했다.[5]

시르미움은 기원전 4세기부터 일리리아인켈트족이 거주했으며, 이후 로마 제국에 편입되어 판노니아 속주의 중요 군사 및 전략 중심지가 되었다. 로마 황제들은 시르미움에서 전쟁 원정을 준비하기도 했다. 시르미움은 판노니아 속주 분할과 사두정치 시기를 거치며 로마 제국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성장했다.

4세기 말 고트족 지배 이후, 시르미움은 여러 이민족 지배를 거쳐 동로마 제국에 병합되었다가, 판노니아 아바르족에 의해 파괴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시르미움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2. 1. 초기 역사 (기원전 4세기 ~ 기원후 1세기)

기원전 4세기 시르미움에는 일리리아인켈트족[6]이 거주했다. 판노니아-일리리아인 아만티니[7]와 켈트족 스코르디시[8]가 이곳에 살았다. 트리발리 왕 시르무스의 이름은 나중에 시르미움 지명의 어원이 되었지만, 두 단어는 뿌리가 다르며 나중에 합쳐졌다. 시르미움이라는 이름은 "흐름, 흐르는 물, 습지"를 의미하며, 사바 강의 위치를 나타낸다.

기원전 14년경, 로마 집정관 마르쿠스 비니키우스는 켈트족 스코르디시를 동맹으로 삼아 시르미움을 점령했다.[9][10]

2. 2. 로마 제국 시대 (기원후 1세기 ~ 4세기 말)

서기 1세기에 시르미움은 로마 식민지 지위를 얻었고, 판노니아 속주의 중요한 군사적, 전략적 중심지가 되었다.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클라우디우스 2세는 시르미움에서 전쟁 원정을 준비했다.[9][10]

103년에 판노니아는 판노니아 수페리오르판노니아 인페리오르 두 개의 속주로 분할되었고, 시르미움은 판노니아 인페리오르의 수도가 되었다. 296년에 디오클레티아누스는 판노니아를 판노니아 프리마, 판노니아 발레리아, 판노니아 사비아, 판노니아 세쿤다의 4개 속주로 재편성했으며, 시르미움은 판노니아 세쿤다의 수도가 되었다. 그는 이들을 노리쿰달마티아와 합쳐 판노니아 교구를 설립했으며, 시르미움 또한 그 수도였다.

293년에 사두정치가 수립되면서 로마 제국은 4개 부분으로 분할되었고, 시르미움은 4개의 수도(트리어, 메디올라눔, 니코메디아) 중 하나로 부상하여 황제 갈레리우스의 수도가 되었다. 318년에 프라이토리아 관구가 설립되면서 일리리쿰 관구의 수도는 시르미움이 되었으며, 379년까지 유지되었다. 서쪽의 일리리쿰 교구인 판노니아(시르미움 포함)는 분리되어 이탈리아 관구에 합류하여 일리리쿰 교구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일리리쿰의 동쪽 부분은 동로마(비잔틴) 제국 아래에서 테살로니카를 새로운 수도로 하여 별도의 관구로 남았다.

이 도시에는 황궁, 경마장, 조폐창, 원형 극장, 극장, 그리고 많은 작업장, 공중 목욕탕, 사원, 공공 궁전, 고급 빌라도 있었다. 고대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이 도시를 "도시의 영광스러운 어머니"라고 불렀다. 시르미움의 조폐창은 살로나의 조폐창과 디나르 알프스 산맥의 은광과 비아 아르젠타리아를 통해 연결되었다.

4세기 말에 시르미움은 고트족의 지배를 받았다.

2. 3. 로마 제국 쇠퇴와 이민족 지배 (4세기 말 ~ 6세기 말)

4세기 말, 시르미움은 고트족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이후 다시 동로마 제국에 병합되었다. 441년에는 훈족이 시르미움을 정복하였으며, 그 후 1세기 이상 동고트족, 게피드족 등 다양한 부족들의 차지가 되었다. 504년에는 테오도리크 대왕 휘하의 동고트 백작 피차스가 시르미움을 점령하기도 했다. 잠시 동안 시르미움은 게피드 왕국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으며, 쿠니문드 왕은 그곳에서 금화를 주조하기도 하였다. 567년 이후 시르미움은 다시 동로마 제국의 영토로 반환되었다. 그러나 582년, 판노니아 아바르족이 시르미움을 정복하고 파괴하였다.[5]

2. 4. 중세 시대 (7세기 이후)

이 도시는 1167년에 시르미움 전투가 일어난 곳이기도 하다. 이 전투에서 마누엘 1세 콤네노스가 파견한 로마 군대는 헝가리 군대를 결정적으로 격파하여 헝가리를 위성 국가로 만들었다.[11]

3. 로마 황제

시르미움 및 그 주변 지역에서 출생하거나 통치한 로마 황제는 다음과 같다.

황제재위 기간출생/통치/사망 관련
데키우스249년–251년시르미움 출생
헤레니우스 에트루스쿠스251년시르미움 출생
호스틸리아누스251년시르미움 출생
클라우디우스 2세268년–270년시르미움 출생, 평생의 대부분을 그곳에서 보냄
퀸틸루스270년시르미움 출생
아우렐리아누스270년–275년시르미움 출생, 그곳에서 황제로 선포됨
프로부스276년–282년시르미움 출생
막시미아누스285년–310년시르미움 근처 출생
콘스탄티우스 2세337년–361년시르미움 출생
그라티아누스367년–383년시르미움 출생



통일 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테오도시우스 1세는 시르미움에서 황제가 되었다. 로마의 찬탈자인 인게누우스와 레갈리아누스는 260년에 시르미움에서 황제를 선포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를 포함한 많은 다른 로마 황제들이 시르미움에 머물렀으며, 그는 ''명상록''의 일부를 이 도시에서 썼을 수도 있다.[11]

4. 기독교 주교

3세기 시르미움에는 기독교 공동체가 있었다. 3세기 말, 시르미움에는 주교가 있었는데, 아마도 모든 판노니아 주교들의 대주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초로 알려진 주교는 이레네오스로, 304년 디오클레티아누스 박해 때 순교했다.[12] 이후 5세기와 6세기에는 주교좌가 잊혀졌다. 448년에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주교가 언급되었다. 마지막으로 알려진 주교는 594년 교황 서한에 언급되었으며, 그 후에는 도시 자체가 거의 언급되지 않았고 주교좌는 아마도 휴지 상태가 된 것으로 보인다.[12]

335년 티레 공의회 이후 시르미움은 아리우스주의 운동의 거점이 되었고 많은 논란의 장소가 되었다. 347년과 358년 사이에 시르미움 공의회가 4번 열렸으며, 다섯 번째 공의회는 375년 또는 378년에 열렸다. 이 모든 공의회는 아리우스 논쟁을 다루었다.[12]

5. 고고학적 발견

시르미움 유적은 현대의 스렘스카 미트로비차 부지에 남아 있으며, 베오그라드에서 서쪽으로 55km 떨어져 있다. 고고학자들은 시르미움 부지에서 기원전 5,000년경부터 조직적인 인간 생활의 흔적을 발견했다.[5] 이 도시는 기원전 4세기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원래 일리리아인켈트족[6] (판노니아-일리리아인 아만티니[7]와 켈트족 스코르디시[8])이 거주했다.

1971년 병원 건설 중,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유피테르 신전에서 80개 이상의 제단이 발견되었다. 시르미움에는 사바 강을 가로지르는 아드 바산티(Ad Basanti) 다리와 아르테미다(Artemida) 다리, 이렇게 두 개의 다리가 있었다. 서기 313년 이후 시르미움은 중요한 기독교 중심지가 되었다. 지금까지 성 이레네오, 성 데메트리우스, 성 시네노트에게 헌정된 8개의 초기 기독교 교회가 발견되었다.

1972년 새로운 스렘스카 미트로비차 무역 센터 공사 중, 한 노동자가 실수로 오래된 로마 항아리를 깨뜨렸는데, 이는 시르미움 고대 정착지 부지에서 약 2m 깊이에 있었다. 로마 가옥 벽 안에서 가죽 주머니에 담긴 33개의 금 로마 동전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수세기 전에 부유한 로마 가족이 숨겨둔 저축일 가능성이 높다. 시르미움에서 주조된 이 희귀한 발견물 중에는 서기 4세기 후기 로마 제국 시대의 가장 가치 있는 사례로 여겨지는 4개의 콘스탄티우스 2세 시대 동전이 있었다.

시르미움 인근의 글라치(Glac)에서는 궁전이 발굴되고 있는데,[13] 이집트와 펠로폰네소스에서 온 적색 및 녹색 반암, 튀니지, 그리스, 이탈리아에서 온 대리석과 같은 호화로운 건축 자재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시르미움에는 로마의 히포드롬도 있었다.[15][16][17] 폭 150m, 길이 450m에 달하는 거대한 건물은 스렘스카 미트로비차 시내 중심부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으며, 시르미움의 오래된 '황제의 궁전' 바로 옆에 있다.

6. 유명 거주민

시르미움과 그 주변 지역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들의 출생지 또는 거주지였다.

트라야누스 데키우스, 시르미움 인근 부달리아 마을에서 태어난 로마 황제(249–251)

  • 트라야누스 데키우스: 로마 황제(재위 249년 ~ 251년). 시르미움 인근 부달리아 마을에서 태어났다.[5]
  • 총독: 발레리우스 리키니우스, 아프리카누스, 메살라, 페트로니우스 프로부스, 아우렐리우스 빅토르, 레온티우스
  • 주교: 이레네우스, 돔누스, 에우테리우스, 포티누스, 게르미니우스, 아네미우스, 코르넬리우스, 라우렌티우스, 세바스티아누스
  • 성인: 시르미움의 아나스타시아[1], 시르미움의 파우스타[2]

6. 1. 총독

다음은 시르미움의 총독 목록이다.

이름재임 기간비고
발레리우스 리키니우스308년 ~ 314년판노니아 관구 총독
아프리카누스355년판노니아 세쿤다 속주 총독
메살라373년판노니아 세쿤다 속주 총독
페트로니우스 프로부스374년시르미움 총독
아우렐리우스 빅토르369년판노니아 세쿤다 속주 총독, 《로마사》 저자
레온티우스426년시르미움 총독


6. 2. 주교


  • 이레네우스 (304년 사망)
  • 돔누스 (335년경 폐위),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참석
  • 에우테리우스 (347년 활동)
  • 포티누스 (345년경-351년), 아리우스파 주교
  • 게르미니우스 (351년-376년경)
  • 아네미우스 (376년경-392년경)
  • 코르넬리우스 (392년경 – 404년 이후)
  • 라우렌티우스 (401년-417년)
  • 세바스티아누스 (594년 활동)

6. 3. 성인

시르미움의 아나스타시아[1], 시르미움의 파우스타[2]

참조

[1] 웹사이트 Mesto Sremska Mitrovica, upoznaj Srbiju http://www.upoznajsr[...] 2014-10-01
[2] 웹사이트 SREMSKA MITROVICA IN ROMAN TIMES http://voiceofserbia[...] 2014-10-01
[3] 서적 Cities of the Classical World Allen Lane
[4] 서적 Ancient Rome, the Archaeology of the Eternal City
[5] 웹사이트 SREMSKA MITROVICA IN ROMAN TIMES http://voiceofserbia[...] 2014-10-01
[6] 웹사이트 Mesto Sremska Mitrovica, upoznaj Srbiju http://www.upoznajsr[...] 2014-10-01
[7] 간행물 SRCE.hr http://hrcak.srce.hr[...] 2006-12-08
[8] 웹사이트 VML.de http://vml.de/e/deta[...] 2014-10-01
[9] 서적 The provincial at Rome: and, Rome and the Balkans 80BC-AD14 https://books.google[...]
[10]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10 https://books.google[...]
[11] 서적 Marcus Aurelius Da Capo Press
[12] 서적 Les origines chrétiennes dans les provinces danubiennes de l'Empire romain https://books.google[...] E. de Boccard
[13] 웹사이트 Archaeological Site Glac https://glac-project[...]
[14] 문서 Historia Romana, De Caesaribus
[15] 서적 Sirmium https://books.google[...] 2014-10-01
[16] 서적 Roman Circuses https://books.google[...] 1986-01
[17] 서적 Bradt Travel Guide Serbia https://books.google[...] 2014-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