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악스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이악스기는 고원생대의 한 지질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부시벨트 복합 암체와 같은 대규모 관입이 형성되었으며, 휴로니안 빙하기가 종료되었다.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소연평도에서 발견된 석류석-각섬석 화강편마암은 라이악스기 말기에 형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원생대 - 시데로스기
 시데로스기는 25억~23억 년 전의 지질 시대로, 줄무늬상 철광층 형성, 대산소화 사건, 휴로니안 빙하기 등을 특징으로 하며 생명체 진화에 영향을 미쳤다.
- 고원생대 - 오로세이라기
 오로세이라기는 고원생대의 세 번째 기로, 약 20억 5,000만 년에서 18억 년 전까지이며, 대륙 규모의 조산 운동과 산소량 증대, 소행성 충돌, 초대륙 컬럼비아 형성 등의 특징을 보인다.
- 기 (지질학) - 계 (층서학)
 계 (층서학)는 지질 시대를 나누는 단위로 기(Era)를 세분화한 것이며, 특정 시대의 지층과 화석을 기준으로 지구 역사를 세밀하게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기 (지질학) - 석탄기
 석탄기는 고생대 시기 중 하나로, 바리스칸 조산 운동과 판게아 형성 과정을 겪었으며, 식물과 곤충, 양서류가 번성하고 석탄이 형성되었으며, 석탄기 말에는 생물 다양성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 지질학에 관한 - 석탄
 석탄은 식물이 지하에서 석탄화 과정을 거쳐 생성된 고체 연료로, 산업 혁명 이후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었으며, 탄소 함량에 따라 등급이 나뉘고 화력 발전, 제철 등에 사용되지만, 연소 과정에서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 지질학에 관한 -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은 곤드와나 대륙 분열로 형성되어 인도판과 오스트레일리아판으로 나뉘며, 인도판이 유라시아판과 충돌하여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을 형성했고, 주변 판들과 복잡한 경계를 이루어 지진과 쓰나미가 자주 발생한다.
| 라이악스기 | 
|---|
2. 지질학적 사건
라이악스기 동안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부시벨트 복합 암체와 같은 대규모 관입 활동이 있었다. 이는 당시 지구 내부의 활발한 마그마 활동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2. 1. 휴로니안 빙하기 종료
휴로니안 빙하기는 이 기 후기인 21억 년 전에 종료되었다.3. 한반도의 라이악스기
한반도에서는 인천광역시 소연평도에서 고원생대 라이악스기 말기에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석류석-각섬석 화강편마암이 발견된다. 이 암석의 형성과 변성 과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을 참고하라.
3. 1. 소연평도 화강편마암
인천광역시 소연평도에 분포하는 석류석-각섬석 화강편마암에 대해 SHRIMP 저어콘 U-Pb 연대 측정을 실시한 결과, 이 암석은 고원생대 라이악스기 말기에 해당하는 약 20억 5600만 년 전(2056±13 Ma)에 형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당시 한반도 지역의 판 내부에서 알칼리 화강암질 또는 석영몬조니암질 마그마가 관입하여 굳어진 후, 고생대 후기(약 3억 7400만 년 전, 374±240 Ma)에 광역 변성작용을 거친 것으로 해석된다.4.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New Precambrian time scale
 
1991-06-01
 
[2] 
웹사이트
 
Rhyacian Period
 
http://stratigraphy.[...] 
2006-01-05
 
[3] 
논문
 
Status on Divisions of the International Geologic Time Scale
 
[4] 
논문
 
The Paleoproterozoic Snowball: A climate disaster triggered by the evolution of oxygenic photosynthesis
 
http://authors.libra[...] 
2005-08
 
[5] 
서적
 
The Geologic Time Scale 2012
 
Elsevier
 
[6] 
논문
 
Geochronology of the Palaeoproterozoic Kautokeino Greenstone Belt, Finnmark, Norway: Tectonic implications in a Fennoscandia context
 
http://www.geologi.n[...] 
[7] 
논문
 
A molecular timescale for eukaryote evolution with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red algal-derived plastids
 
[8] 
논문
 
Palaeoproterozoic oxygenated oceans following the Lomagundi–Jatuli Event
 
2020-04
 
[9] 
서적
 
The geologic time scale 2012
 
Elsevier
 
2012
 
[10] 
논문
 
Hydrothermal seawater eutrophication triggered local macrobiological experimentation in the 2100 Ma Paleoproterozoic Francevillian sub-basin
 
https://linkinghub.e[...] 
2024-08
 
[11] 
뉴스
 
https://phys.org/new[...] 
[12] 
문서
 
基底年代の数値では、この表と本文中の記述では、異なる出典によるため違う場合もある。
 
[13] 
문서
 
百万年前
 
[14] 
문서
 
「始生代」の新名称、日本地質学会が2018年7月に改訂
 
[15] 
웹사이트
 
地質系統・年代の日本語記述ガイドライン
 
http://www.geosoci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