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피스는 1997년 출시된 엠게임의 온라인 게임으로, 어둠의 성전으로 시작하여 다크세이버, 네오 다크세이버, 라피스로 이어지는 MMORPG이다. 2005년 '네오 다크세이버'를 개선한 '라피스'가 출시되었으며, 이후 2008년 '라피스데이' 선포 등 다양한 업데이트와 이벤트를 진행했다. 2014년에는 모바일 게임 '드래곤&라피스'가 출시되었고, 2021년까지 시나리오가 업데이트되었다. 게임 시스템으로는 공성전, 시나리오, 프리미엄 시스템, 틱 시스템, 다양한 직업, 칭호 시스템 등이 있으며, 일본, 중국, 대만 등 해외에도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략 롤플레잉 게임 - 마리오 + 래비드 반짝이는 희망
    마리오와 래비드 캐릭터를 활용한 턴제 전술 게임 《마리오 + 래비드 반짝이는 희망》은 스파크를 구출하고 우주를 구하기 위해 다양한 영웅들로 팀을 구성하여 자유로운 이동과 스파크를 활용한 전략적인 전투를 펼치며 다섯 개의 행성을 탐험하는 모험을 제공하고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전략 롤플레잉 게임 - 파이널 판타지 택틱스 어드밴스
    《파이널 판타지 택틱스 어드밴스》는 스퀘어가 개발한 턴제 전략 RPG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으로, 3차원 등각 투영 맵에서 턴 방식 전투, 풍부한 캐릭터 육성 시스템, 독특한 '법률 시스템'을 통해 전략적인 전투를 펼치며, 이발리스라는 판타지 세계를 배경으로 독창적인 스토리를 제공하여 높은 평가를 받고 후속작의 기반을 마련했다.
  •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 거상
    거상은 다양한 부대를 활용한 전투, 용병 고용 및 장수 전직, 환수·신수 소환, 아이템 연마, 무도장 시스템, 경제 시스템, 상단 시스템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온라인 게임이다.
  •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 길드워 2
    길드워 2는 아레나넷이 개발하고 엔씨소프트가 배급하는 MMORPG로, 5개의 종족과 9개의 직업을 선택하여 캐릭터를 생성하고, PvE, PvP, WvW 전투, 제작, 탐험, 레이드 콘텐츠와 엘더 드래곤과의 전투를 중심으로 티리아 대륙의 운명을 다루는 핵심 스토리를 즐길 수 있다.
라피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라피스 온라인
원제목네오다크세이버V2
장르MMORPG
플랫폼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98 / XP
개발사프로시드
배급사엠게임
서비스 시작일 (대한민국)2005년 1월 19일
서비스 시작일 (일본)2006년 5월 18일
서비스 종료일 (일본)2014년 5월 29일
이용 등급전체 이용가
과금 방식기본 무료 (아이템 과금)
플레이다인 플레이
미디어다운로드
입력 장치키보드, 마우스
온라인 게임1
시스템 요구 사양
CPU인텔 Pentium III 450MHz 이상
메모리윈도우 2000/XP: 128MB 이상
관련 정보
이전 작품어둠의 성전(1997~1998)
다크세이버(1998~2004)➞닥세월드(2003~2006)
네오 다크세이버(2002~2005)

2. 역사

1997년 4월 25일, 메닉스(현 엠게임)는 세계 최초의 SRPG 온라인 게임인 '어둠의 성전'을 출시했다.[1] 1998년 8월 12일, '어둠의 성전'은 MMOSRPG로 변화하며 '다크세이버'로 이름을 바꾸었다.[1] 다크세이버는 해외 시장에도 진출하여, 2000년 11월에는 중국,[1] 2001년 3월 27일에는 일본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1]

2001년 11월 22일부터 2002년 3월 26일까지 '네오 다크세이버'의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거쳐 2002년 4월 2일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2003년 1월 27일, '네오 다크세이버'는 무료화되었고, 전작인 '다크세이버'는 '''닥세월드'''라는 이름으로 무료화되어 별도의 게임으로 운영되었다. 2003년 5월 2일에는 '네오 다크세이버'가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지만, 메이플스토리에 밀려 쇠퇴하기 시작했다.

2004년 9월10월에 클로즈 베타 서비스를, 2004년 12월 20일에 프리 오픈 서비스를 실시하여 2005년 1월 19일 '라피스'가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였다.[1] 2005년 3월 31일, 네오다크세이버와 통합하여 하나의 '라피스'가 되었다. 2006년 2월 1일, 닥세월드는 라피스에 집중하기 위해 서비스를 종료하여 8년간의 다크세이버-닥세월드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다크세이버 외전인 '''클로버 스퀘어'''는 2004년 5월 4일부터 12월 30일까지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거쳤고, 2005년 1월 6일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메이플스토리와 비슷한 게임 스타일을 지녔지만, 2006년 5월 30일에 서비스를 종료하였다.

2008년 4월 21일부터 5월 14일까지 다크세이버 10주년과 네오 다크세이버 정식 오픈 5주년을 기념하는 이벤트가 진행되었고, 5월 2일은 '라피스데이'로 선포되었다. 2008년 12월 18일에는 '천자문 시스템'이 추가되고, 4년 만에 시나리오 11이 업데이트되었다.

2017년 4월 12일, 라피스의 20주년을 맞이해 "라피스, 드디어 20살! 성인이 되다!"라는 제목으로 이벤트가 진행되었다.

2014년 12월 23일, '라피스' IP를 활용한 모바일 게임 '드래곤&라피스 for kakao'가 출시되었다.[1] 2017년 5월 iOS 버전 서비스가 종료되었고, 2018년에는 안드로이드 버전 서비스도 종료되었다.

2. 1. 어둠의 성전과 다크세이버 (1997~2001)

1997년 4월 25일, 메닉스(현 엠게임)는 세계 최초의 SRPG 온라인 게임인 '어둠의 성전'을 출시했다.[1] 당시에는 룸 방식의 네트워크 RPG였으며, 텍스트 기반 통신 환경에서도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1] 1998년 8월 12일, '어둠의 성전'은 전체 필드와 시나리오 확장 등을 통해 MMOSRPG로 탈바꿈하며 '다크세이버'로 서비스명을 변경했다.[1] 다크세이버는 해외 시장에도 진출하여, 2000년 11월에는 중국,[1] 2001년 3월 27일에는 일본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1]

연도사건
1997년 4월 25일어둠의 성전 오픈 베타 서비스 시작
1998년 8월 12일어둠의 성전, 다크세이버로 서비스 변경
2000년 11월다크세이버 중국 서비스 오픈
2001년 3월 27일다크세이버 일본 서비스 오픈


2. 2. 네오 다크세이버와 닥세월드 (2002~2004)

2001년 11월 22일부터 2002년 3월 26일까지 '네오 다크세이버'의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거쳐 2002년 4월 2일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네오 다크세이버'는 2003년 2월3월에 각각 중국과 대만으로 진출하였다. 2003년 1월 27일에는 정액제에서 유료 아이템을 제외한 게임의 전체 기능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변경되었다. 2003년 5월 2일에는 '네오 다크세이버'가 1년간의 오픈 베타 서비스를 마치고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하지만, 2003년에 출시된 메이플스토리에 밀려 쇠퇴하기 시작한다.

2003년 1월 27일 '네오 다크세이버'가 무료화되면서 전작인 '다크세이버'는 '''닥세월드'''라는 이름으로 무료화되어 별도의 게임으로 따로 운영되었다.

주요 연혁


2. 3. 라피스와 클로버 스퀘어 (2005~2007)

2004년 9월10월에 클로즈 베타 서비스를, 2004년 12월 20일에 프리 오픈 서비스를 실시하여 2005년 1월 19일 '라피스'가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였다.[1] 오픈 베타 이후에는 '''위즐'''이라는 요정을 도입하여 게임 이용을 더 쉽게 하였고, 2005년 3월 31일에는 전작인 네오다크세이버와 통합하여 하나의 '라피스'가 되었다. 2007년 4월에는 UI 개편에 이어 2007년 12월 대규모 업데이트를 실시해 서버 통합과 9단 캐릭터, 사냥터 개편을 단행하였다.

한편, 다크세이버 외전격인 '''클로버 스퀘어'''가 2004년 5월 4일부터 12월 30일까지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2005년 1월 6일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클로버 스퀘어는 라피스와 달리 횡스크롤형 액션 RPG로 메이플스토리와 비슷한 게임 스타일을 지녔다. 하지만 2005년 5월 4일부로 개발을 중단하여 회사 내부 사정으로 인해 2006년 5월 30일에 서비스를 종료하였다.

닥세월드 또한 2006년 2월 1일에 라피스에 집중하기 위해 서비스를 종료하게 되어 8년간의 다크세이버-닥세월드 서비스가 끝나게 되었다.

라피스 주요 연혁



클로버 스퀘어, 닥세월드 주요 연혁


2. 4. 라피스의 부활과 재몰락, 그리고 리턴 (2008~현재)

2008년 4월 21일부터 5월 14일까지 다크세이버 10주년과 네오 다크세이버 정식 오픈 5주년을 기념하는 첫 생일 이벤트가 진행되었고, 5월 2일은 '라피스데이'로 선포되었다. 2008년 12월 18일에는 교육용 콘텐츠인 '천자문 시스템'이 추가되고, 4년 만에 시나리오 11이 업데이트되었다.

2009년에는 '영어 컬랙팅 시스템'이, 2010년에는 캐릭터 삭제 기능이 추가되었다. 2011년부터 '라피스 카니발 이벤트'가 정기적으로 개최되기 시작했다. 2014년 1월 23일에는 10단 캐릭터 이미지, 신규 맵, 신규 스킬 등이 추가되며 최대 레벨 제한이 해제되었다. 2015년 6월 17일에는 '시공의 균열 던전 1층'이 업데이트되며 '다크세이버' 시절 몬스터가 등장했다.

2017년 4월 12일, 라피스의 20주년을 맞이해 "라피스, 드디어 20살! 성인이 되다!"라는 제목으로 이벤트가 진행되었다.

2019년2021년에는 각각 시나리오 12화와 13화가 업데이트되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2008년 4월 21일 ~ 5월 14일라피스 10주년 이벤트 진행 (5월 2일 : 라피스데이 선포)
2008년 12월 18일천자문 시스템 업데이트 및 시나리오 11 추가
2009년 7월 23일영어 컬랙팅 시스템 오픈
2010년 8월 12일캐릭터 삭제 기능 추가
2011년 8월 4일신규지역 아이스 브랜드 추가, 무한의 보옥 추가, 캐릭터 밸런싱 개편
2011년 10월 15일라피스 카니발 이벤트 시작
2014년 1월 23일10단 캐릭터 이미지 추가, 신규 지역 무한회랑 지역 추가, 최대 레벨 100으로 변경, 신규 100레벨 스킬 추가
2015년 1월 29일VIP 프리미엄 추가
2015년 6월 17일시공의 균열 던전 1층 업데이트
2017년 4월 12일해상도 변경 및 20주년 이벤트 진행
2019년 8월 22일시나리오 12화 업데이트
2021년 8월 5일시나리오 13화 업데이트


2. 5. 드래곤&라피스 (2014~2018)

2014년 12월 23일, '라피스' IP(지적재산권)를 활용한 모바일 게임 '드래곤&라피스 for kakao'가 출시되었다.[1] '드래곤&라피스'는 200여 종의 용사를 수집하고 육성하는 실시간 전략 RPG였다.[1] 2015년 1월에는 '초월' 업데이트를 통해 창병 캐릭터가 추가되었다. 2017년 5월 iOS 버전 서비스가 종료되었고, 2018년에는 안드로이드 버전 서비스도 종료되었다. 2019년에는 일본판 버전인 'Gem Knights'도 서비스를 종료했다.

연도사건
2014년 12월 23일드래곤&라피스 for kakao 출시
2015년 1월 1일드래곤&라피스 for kakao : 초월 업데이트
2015년 5월 8일드래곤&라피스 for kakao : 초월 iOS 버전 출시
2016년 1월 14일드래곤&라피스의 일본판 버전인 Gem Knights 일본 출시
2017년 5월드래곤&라피스 for kakao : 초월 iOS 버전 서비스 종료
2018년드래곤&라피스 for Kakao :초월 안드로이드 버전 서비스 종료
2019년Gem Knights 서비스 종료


3. 게임 시스템

라피스 온라인은 세계 최초로 MMOSRPG라는 혁신적인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후 버전을 거듭하면서 ‘틱’이라는 독특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게임의 몰입도를 더욱 높였다.[1]


  • '''틱 시스템''': 전투 시 흐르는 ‘시간’과 같은 개념이다. 유저는 공격이나 이동 등 어떠한 행동을 하기 위해 일정량의 틱이 필요하며, 틱 관리가 전투의 승패를 결정한다. 이 틱 시스템을 얼마나 잘 이용하느냐에 따라 같은 레벨의 유저라도 실력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1]


캐릭터는 마우스로 이동하며, F1~F12 키를 이용하여 단축키를 사용할 수 있다. ZXCVB/ASDFG 키를 통해 스킬과 아이템을 사용하고, Caps Lock 키로 슬롯 체인저를 사용할 수 있다. Print Screen 키로 스크린샷을 촬영할 수 있다.[1]

기능
F1도움말
F2몬스터 잡은 횟수창 (전투 시 동맹 관리)
F3용병창
F4인벤토리
F5스킬창
F6능력치/스탯
F7펫 정보
F8퀘스트
F9친구
F10천자문 카드, 영어 카드 확인창
F11채팅창
F12선물의 집
Print Screen스크린샷



2016년 11월 30일부터 2개의 채널(히아데스, 아캄)이 운영되고 있다.[1]

3. 1. 특징


  • '''세계 최초의 온라인 SRPG''': 라피스 온라인은 세계 최초로 MMOSRPG게임이라는 혁신적인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후 버전을 거듭하면서 ‘틱’이라는 라피스 온라인만의 독특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게임의 몰입도를 더욱 높였다.
  • '''틱 시스템''':‘틱’ 시스템이란 전투 시 흐르는 ‘시간’과 같은 것이다. 유저는 공격이나 이동 등 어떠한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틱이 필요하며 틱의 관리가 전투의 승패를 결정한다. 이 틱 시스템을 얼마나 잘 이용하느냐에 따라 같은 레벨의 유저라도 실력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 '''다양한 직업''': 라피스 온라인은 기본 직업군 10개의 클래스에 11개에 달하는 등급이 있다. 거기에 [성별]이라는 시스템이 더해져 220개에 달하는 다양한 직업이 있다.

3. 2. 조작법

캐릭터는 마우스로 이동하며, F1~F12 키를 이용하여 단축키를 사용할 수 있다. ZXCVB/ASDFG 키를 통해 스킬과 아이템을 사용하고, Caps Lock 키로 슬롯 체인저를 사용할 수 있다. Print Screen 키로 스크린샷을 촬영할 수 있다.[1]

기능
F1도움말
F2몬스터 잡은 횟수창 (전투 시 동맹 관리)
F3용병창
F4인벤토리
F5스킬창
F6능력치/스탯
F7펫 정보
F8퀘스트
F9친구
F10천자문 카드, 영어 카드 확인창
F11채팅창
F12선물의 집
Print Screen스크린샷


3. 3. 채널

2016년 11월 30일부터 2개의 채널(히아데스, 아캄)이 운영되고 있다.[1]

3. 4. 용어


  • '''세계 최초의 온라인 SRPG''' : 라피스 온라인은 세계 최초로 MMOSRPG라는 혁신적인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후 버전을 거듭하면서 ‘틱’이라는 라피스 온라인만의 독특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게임의 몰입도를 더욱 높였다.
  • '''틱 시스템''' : 틱 시스템이란 전투 시 흐르는 ‘시간’과 같은 것이다. 유저는 공격이나 이동 등 어떠한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틱이 필요하며 틱의 관리가 전투의 승패를 결정한다. 이 틱 시스템을 얼마나 잘 이용하느냐에 따라 같은 레벨의 유저라도 실력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 '''다양한 직업''' : 라피스 온라인은 기본 직업군 10개의 클래스에 11개에 달하는 등급이 있다. 거기에 성별이라는 시스템이 더해져 220개에 달하는 다양한 직업이 있다.
  • '''골드''' : 골드는 라피스에서 쓰이는 화폐이다. 몬스터를 사냥하거나, 물건을 팔 때, 금화를 주울 때와 퀘스트를 완료할 때 얻을 수 있으며, 골드로 무기, 방어구, 물약 등을 살 수 있다.
  • '''경험치''' : 경험치는 몬스터를 사냥하거나, 퀘스트를 완료할 때 얻을 수 있다. 경험치가 100%에 이르면 레벨업을 하는데, 어빌리티 포인트(AP)와 스킬포인트(SP)를 얻는다. 자신의 레벨보다 높은 몬스터를 잡으면 경험치 보너스를 주고, 반대로 자신의 레벨보다 낮은 몬스터를 잡으면 경험치 페널티를 받는다. 현재 최대 레벨은 120이다.
  • '''클래스''' : 일정 레벨이 되면 클래스 체인지를 하게 되는데, 모습이 바뀌고, 스킬을 배울 수 있고, 구입 가능 용병이 바뀌고, HP와 MP가 증가한다. 2014년 1월 23일에는 10단 클래스가 추가되었다.

3. 5. 육성

라피스 온라인은 레벨, 경험치, 스탯 등 다양한 요소를 통해 캐릭터를 성장시키는 육성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레벨(LeVel)'''은 캐릭터의 기본적인 강함을 나타내는 수치로, 높을수록 강하고 경험이 많은 캐릭터임을 의미한다. 경험치를 쌓아 레벨을 올리면 캐릭터가 강해지며, 현재 레벨 상한은 75이다.

'''경험치(EXPerience)'''는 몬스터를 사냥하거나 퀘스트를 완료하면 얻을 수 있는 수치이다. 몬스터나 퀘스트마다 획득할 수 있는 경험치가 다르며, 경험치 게이지가 100%가 되면 레벨이 오른다.

레벨이 오를 때마다 주어지는 레벨 보너스 포인트를 사용하여 STR(힘), DEX(민첩), CON(체력), INT(지능), WIS(지혜), REG(저항) 등의 스탯을 올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기나 방어구의 필요 스탯에 맞춰 할당한다. 레벨 보너스는 통상 2포인트(클래스 업 시 3포인트), 스킬은 통상 1포인트(레벨 10, 20, 30... 에서는 2포인트)를 얻는다.

3. 6. 시스템


  • '''공성전''' : 라피스 온라인은 매주 토요일 오후 5시에 공성전을 시작한다. 대규모 전투인 공성전은 용병시스템을 통해 길드나 성주 측에 가입이 되어있지 않은 유저도 아무 곳에나 참여가 가능하다.
  • '''시나리오''' : 라피스 온라인의 스토리를 전투로 구성한 시스템이다. 2021년 8월까지 13화까지 업데이트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프리미엄 시스템''' : 라피스 온라인에서 특별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2021년 현재 울트라 프리미엄, 헌터 프리미엄, VIP 프리미엄으로 나뉘어 있다.
  • '''천자문 시스템과 영어 컬랙팅 시스템''' : 몬스터 사냥으로 얻어지는 천자문(알파벳) 카드를 모아 시험을 치거나 모든 천자문(알파벳) 카드를 모으면 다양한 보상을 지급함으로 게임과 교육의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다. 천자문 시스템은 2008년 12월에, 영어 컬랙팅 시스템은 2009년 7월에 업데이트되었다.
  • '''칭호 시스템''' : 칭호 시스템은 2009년 4월 23일에 추가된 시스템이다. 칭호를 얻기 위해서는 특정 퀘스트를 완료해야 한다. 칭호를 착용하면 능력치 혜택이 있다.
  • '''킬 카운트 시스템''' : 특정 NPC에게서 킬 카운트 시작 아이템을 구입하여 사용한 후 단축키 F2로 사냥 몬스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2009년 7월 8일에 업데이트되었다.
  • '''차원금고 시스템''' : 2009년 9월 10일에 추가된 같은 계정에 들어있는 다른 캐릭터의 창고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차원금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선물의 집에서 판매하는 열쇠가 필요하다.
  • '''지크프리드 신전''' : 사군토 평원에서 입장이 가능한 레벨별로 사냥터가 나뉘어 있는 던전 지역이다. 프리미엄 유저는 무료로 입장이 가능하며, 일반 유저는 입장권을 구입해야 한다.

3. 7. 전투 시스템


  • '''세계 최초의 온라인 SRPG''': 라피스 온라인은 세계 최초로 MMOSRPG라는 혁신적인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후 버전을 거듭하면서 '틱'이라는 라피스 온라인만의 독특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게임의 몰입도를 더욱 높였다.
  • '''틱 시스템''': '틱' 시스템은 전투 시 흐르는 '시간'과 같다. 유저는 공격이나 이동 등 어떠한 행동을 하기 위해 일정량의 틱이 필요하며, 틱 관리가 전투의 승패를 결정한다. 이 틱 시스템을 얼마나 잘 이용하느냐에 따라 같은 레벨의 유저라도 실력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 '''공성전''': 라피스 온라인은 매주 토요일 오후 5시에 공성전을 시작한다. 대규모 전투인 공성전은 용병 시스템을 통해 길드나 성주 측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유저도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 '''시나리오''': 라피스의 스토리를 전투로 구성한 시스템이다. 2021년 8월까지 13화까지 업데이트되었다.
  • '''시련의 동굴''': 2008년 12월 18일에 추가된 전투 시스템으로, 1층부터 100층까지 등장하는 몬스터를 퇴치하고 보상을 받는 시스템이다.
  • '''에이션트 엔트''': 매주 화, 목, 토, 일요일에 생성되는 워프 게이트를 통해 강력한 보스 몬스터와 전투를 벌이는 시스템이다. 최대 참여인원 40명인 대규모 전투는 높은 난이도와 다양한 보상을 제공하여 많은 유저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2009년 2월 12일 정식 오픈하였으며, 2012년 10월 18일에는 차원의 틈새를 통해 36~75레벨 전용 에이션트 엔트 던전이 추가되었다.
  • '''망각의 숲 지하묘지 던전''': 2010년 4월 29일에 정식 오픈한 던전이다. 던전 클리어 시 마계의 광석을 획득할 수 있다. 마계의 광석은 사군토 항구 무역선 내의 NPC에게 아이템과 교환이 가능하며, 원래 88레벨 이상이 입장 가능하였으나, 2010년 8월 26일 업데이트로 76레벨로 조정되었다. 또한 2012년 9월 20일에는 46~75레벨 전용 지하묘지 - 초보가 추가되었다.
  • '''이공간형 특수 몬스터''': 2010년 7월 29일에 추가된 시스템으로 이공간을 통해 사냥이 가능하다. 레벨마다 전투존이 다르며, 클리어 후에는 특별한 아이템(낡은 주머니, 상자)을 지급한다.
  • '''동장군 슬리트''': 2011년 8월 4일에 추가된 시스템으로 특정 칭호를 착용하여야 전투가 가능하다. 76레벨 이상의 유저가 이용 가능하다. 또한 2012년 8월 30일에는 56~75레벨 전용 동장군 슬리트 - 초보가 추가되었다.
  • '''시공간 왜곡 전투 시스템''': 마을에 침공한 몬스터들을 쓰러뜨리는 대규모 전투 시스템이며, 매주 화, 목, 토요일에 진행할 수 있다. 클리어 시 르네의 보석상자를 받게 되며, 그 보석상자 안에는 르네의 반지가 들어있다. 2012년 7월 5일에 정식 오픈하였다.
  • '''체스 백작의 저택''': 2013년 1월 24일에 정식 오픈한 던전 지역이다. 4개의 던전 스테이지가 존재한다.
  • '''시공의 균열''': 2015년 6월 17일 업데이트된 전투 시스템으로, 다크세이버에 존재했던 몬스터가 등장하며 아스토니아 장비 재료를 획득할 수 있다.


라피스 온라인에서는 최대 4명의 PC로 파티를 구성할 수 있다. 파티 중에는 마을이나 항구를 제외하고는 파티 리더의 PC를 따라다니며, 동시에 파티 리더가 접촉한 몬스터와 전투를 하게 된다.

경험치도 파티 중에는 몇 % 증가한다. 전투에서 얻은 아이템은 파티 리더부터 순서대로 1개씩 넘겨주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파티를 통해 레벨을 올리는 것을 돕거나, 시나리오 진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함께 시나리오를 진행할 수도 있다.

4. 커뮤니티

라피스 온라인에서는 다른 플레이어들과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한다.


  • '''파티:''' 최대 4명의 플레이어가 파티를 맺어 함께 사냥하거나 퀘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파티 채팅을 통해 파티원끼리 대화할 수 있으며, 채널이 달라도 가능하다.[1]
  • '''가문:''' 다른 MMORPG의 길드와 같은 개념으로, 가문을 만들거나 가입하여 가문전, 공성전 등에 참여할 수 있다.[1]
  • '''친구 목록:''' 친해진 플레이어를 등록하여 접속 상태나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채팅:''' 일반 채팅, 귓속말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화할 수 있다.

4. 1. 파티

라피스 온라인에서는 최대 4명의 플레이어가 파티를 구성하여 함께 사냥하거나 퀘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파티를 맺고 있는 PC와는 '''파티 채팅'''을 이용하여 대화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채팅 말풍선은 표시되지 않는다.[1] 채널이 달라도 파티원과 대화가 가능하다.[1]

4. 2. 가문

라피스에는 다른 MMORPG의 길드와 같은 개념인 가문이 존재한다. 가문을 직접 만들거나, 다른 가문에 가입할 수 있다. 가문 활동을 통해 가문전이나 공성전 등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다.[1]

4. 3. 친구 목록

Lapis영어 온라인에서는 친해진 플레이어끼리 서로 등록하여 접속 상태,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4. 4. 채팅

라피스 온라인에서는 일반 채팅, 귓속말, 파티 채팅, 길드 채팅 등 다양한 방식으로 대화할 수 있다.

5. 이벤트


  • '''라피스 데이 이벤트''': 1997년 다크세이버 오픈 베타 서비스 개시를 기념하기 위해 10주년을 맞이한 2008년부터 매년 4월마다 진행하는 이벤트이다.
  • '''라피스 카니발 이벤트''': 2011년 10월 15일부터 매주 토, 일요일에 열리는 이벤트이다. 2015년 2월 7일부터 시즌 3으로 변경하여 진행하고 있다.
  • '''보물찾기 이벤트''': 2010년 8월부터 수시로 진행되는 이벤트로, 몬스터 사냥 후 쪽지(당첨, 꽝)를 모아 아이템으로 교환하는 방식이다. 태양의 정기를 모아 반지를 얻을 수도 있다.
  • '''채광 이벤트''': 수시로 진행되며, 채광을 통해 다양한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 '''출석체크 이벤트''': 출석을 통해 아이템을 얻는 이벤트로, 수시로 진행된다.
  • '''선물의 집 이벤트''': 선물의 집에서 아이템을 구입한 금액에 따라 선물상자와 프리미엄 효과를 받을 수 있다.
  • '''접속시간 이벤트''': 2015년 4월 15일부터 한시적으로 진행 중인 이벤트로, 접속 시간에 따라 얻은 ON-TIME 코인을 모아 여러 아이템과 교환할 수 있다.
  • '''대련왕 선발전''': 저단과 고단으로 나뉘어 진행되는 대련왕 선발 대회이다. 우승자는 마을 동상에 이름이 새겨지는 영광과 함께 게임 내 단 하나뿐인 레어반지를 얻을 수 있었다. 2008년 여름과 겨울, 총 2회 진행되었으며, 현재는 밸런스 문제로 개최되지 않는다.
  • '''가을맞이 이벤트''': 2008년 가을에 진행된 이벤트로, "한 글자만 모아라", "스타 이벤트", "호박 이벤트", "비밀텐트 이벤트", "경험치,드롭율 보너스 이벤트", "채광 이벤트" 등이 진행되었다.
  • '''카오시아 습격 이벤트''': 2008년 12월에 추가된 이벤트로, 카오시아를 침공하는 몬스터를 퇴치하는 이벤트이다. 수시로 진행되었으나, 현재는 진행되지 않는다.
  • '''기타 이벤트''': 게임 마스터(GM)가 불규칙적으로 개최하는 축제와 같은 이벤트로, 얻기 힘든 레어 아이템을 입수하거나 기간 한정 특수 펫이 출시되는 등 다양한 이벤트가 기획된다.
  • '''공성전''': 카오시아 마을 동쪽에 있는 "무한성"의 지배권을 두고 가문 간에 벌어지는 집단전이다. 매주 수요일, 토요일 밤 8시부터 진행되었으나, 현재는 아이템 부정 증식(치트) 문제로 중단된 상태이다.

6. 해외 수출

다크세이버는 2000년 중국, 2001년 일본에 진출했다.[1] 2003년에는 네오 다크세이버가 중국대만에 진출했다.[1] 라피스는 2006년 일본 서비스를 시작했으나, 2014년 서비스가 종료되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