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락롱꾸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락롱꾸언은 베트남의 전설적인 인물로, 씩뀌 왕국의 2대 왕으로 묘사된다. 락롱꾸언은 낀즈엉브엉의 아들이자 염제 신농씨의 후손으로, 데라이의 딸 어우꺼와 결혼하여 100명의 아들을 낳았다고 전해진다. 그는 장남 훙브엉에게 반랑 왕국을 세우게 하고 왕위를 물려주었으며, 베트남에서는 음력 3월 10일을 락롱꾸언의 기념일로 정해 국경일로 기념한다. 락롱꾸언은 용의 종족과 선의 종족의 결합을 상징하며, 베트남 건국 신화의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락롱꾸언
기본 정보
이름락롱꿘
본명숭람
로마자 표기Lạc Long Quân
한자 표기貉龍君
통치 정보
칭호락롱꿘
아버지경즈엉브엉
어머니턴롱
배우자어우꺼
자녀100명의 아들과 딸
즉위기원전 2793년
퇴위기원전 2525년
전임경즈엉브엉
후임껀 왕조
생애
출생기원전 2825년, Xích Quỷ|찟꾸이
사망기원전 2525년, Xích Quỷ|찟꾸이
기타
왕조홍방 왕조

2. 생애

숭람과 어우꺼


락롱꾸언의 본명은 숭람이며, 낀즈엉브엉(Kinh Dương Vương)의 아들이다. 염제 신농씨의 후손으로, 부왕 경양왕의 뒤를 이어 기원전 2839년에 즉위하여 기원전 2439까지 재위하였다고 한다.

베트남의 전설적인 왕국인 씩뀌의 제 2대 왕으로, 데라이(Đế Lai)의 딸 또는 자신의 나라를 침략한 북방 국가 중국에서 납치한 왕비(또는 공주)인 어우꺼와 결혼하여 백 명의 아들이 탄생하였다고 한다. 이후 락롱꾸언은 장남 훙브엉에게 반랑 왕국을 세우게 하고 왕위를 잇게 했다. 훙브엉의 왕국은 18대를 이으며 존속되었다. 문랑 왕국은 기원전 3세기까지 베트남의 북부 지역에 있던 왕조로, 청동기 사회였으며, 반랑 왕조의 대표적인 유물로는 동고 등이 있다.

2. 1. 사후

베트남에서는 매년 음력 3월 10일을 락롱꾸언의 기념일로 정하여 국경일로 한다. 락롱꾸언의 유적이 있는 해양성 빈다(Bình Đà)에서 진행하는 락롱꾸언 추모 행사의 제물에는 100명의 아들을 상징하는 100개의 바인쯩(Bánh chưng)와 바인재오(Bánh dẻo), 그리고 그의 아들 100명을 상징하는 의자 100개를 준비한다.

3. 전설과 신화

락롱꾸언의 아버지는 낀즈엉 브엉이고, 어머니는 턴롱이다.[4] 15세기 문헌인 대월사기전서와 14세기 문헌인 영남척괴에는 어우꺼와 관련된 전설이 언급되어 있다.[5] 응오 시 리엔은 락롱꾸언의 아버지 낀즈엉 브엉과 어우꺼의 할아버지 데 응이가 형제라는 점을 들어, 두 조상 간의 관계가 원시적이었다고 언급했다.[6]

고대 베트남인의 신앙인 '''다오 모'''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타난다. '토지신'과 '산신' 사이에서 태어난 딸 '선농'은 '수신'과 '폭풍신'의 아들인 '용신'과 결혼했다. 두 가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용신은 폭풍신의 방해를 이겨내고 선농과 함께 살았다. 얼마 후 선농은 백 개의 알을 낳았고, 거기서 백 명의 아이들이 태어났다. 용신이 바다로 돌아간 후, 선농은 아이들을 데리고 산으로 가 남편을 기다렸다. 아이들은 흩어져 각지에 살면서 나라를 세우고 서로 연락하며 아버지의 귀환을 기다렸다.

경양왕과 신룡녀 사이에서 태어난[15] 락롱꾸언은 적귀국의 왕위를 이었다. 그는 데라이의 딸 어우꺼와 결혼하여 백 명의 아들을 낳았는데,[16] 이들은 백월의 조상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락롱꾸언은 물고기 마물을 처치하고, 구미호를 벼락으로 물리치고, 사악한 나무 정령을 퇴치하는 등 여러 요괴를 퇴치한 영웅이다.

어느 날, 락롱꾸언은 어우꺼에게 "나는 용의 종족이고, 너는 선의 종족이다. 우리는 물과 불처럼 서로 어울릴 수 없다."라고 말하며 함께 살기 어려움을 토로했다. 결국 50명의 아들은 어머니를 따라 산속 퐁쩌우로, 나머지 50명은 락롱꾸언과 함께 남해에 남았다.[16] 장남은 왕위를 이어받아 훙브엉(반랑국)이라 칭하고, 베트남 최초의 왕조인 반랑국을 건국했다.[17]

노이 빈 다 사원


푸토에 있는 락롱꽌 사원

3. 1. 어우꺼와의 만남과 백 명의 아들



락롱꾸언은 염제 신농씨의 후손이자 낀즈엉브엉(Kinh Dương Vương)의 아들로, 베트남의 전설적인 왕국 씩뀌의 제2대 왕이었다. 그는 데라이(Đế Lai)의 딸 어우꺼와 결혼하여 백 명의 아들을 낳았다.[7]

16세기 신화 계보 Hùng Vương sự tích ngọc phả cổ truyềnvi에 따르면, 락롱꽌은 낀즈엉 브엉과 하늘, 바다를 다스리는 용 여신 롱 마우 턴 롱의 아들이었다. 그는 데 라이의 딸인 어우 꺼와 결혼했고, 어우 꺼는 백 개의 알이 든 자루를 낳았으며 거기에서 백 명의 아들이 태어났다.[7]

어느 날, 락롱꽌은 어우꺼에게 자신은 용의 후손이고 어우꺼는 선녀의 후손이므로, 불과 물은 조화롭게 함께 살 수 없다고 고백했다. 결국 부부는 자녀들을 나누어, 50명의 아들은 어머니를 따라 북쪽 산악 지역으로, 나머지 50명은 아버지를 따라 남쪽으로 갔다. 이 아이들이 베트남인의 조상이 되었으며, 장남은 어우꺼를 따라 퐁쩌우(푸토)로 가서 락롱꽌의 후계자가 되어 훙브엉으로 통치했다. 이는 베트남 역사상 가장 오래된 이혼 이야기이다.[7]

경양왕과 신룡녀 사이에서 태어난[15] 락롱꾸언은 의 왕위를 이었다. 그는 의 딸 를 아내로 맞아 백 명의 아들을 낳았으며,[16] 이 아들들이 백월의 조상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락롱꾸언은 어우꺼에게 "나는 용의 종족이고, 너는 선의 종족이다. 우리는 물과 불처럼 서로 어울릴 수 없다. 함께 사는 것을 계속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래서 50명의 아들은 어머니를 따라 산속 퐁쩌우로 가고, 나머지 50명의 아들은 락롱꾸언과 함께 남해에 남았다.[16] 장남은 왕위를 이어받아 이라 칭하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의 왕조인 반랑국을 건국했다.[17]

3. 2. 요괴 퇴치

락롱꾸언은 여러 요괴들을 물리친 영웅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 그는 물고기 마물 응으띤(Ngư Tinh)을 큰 입에 금속을 던져 넣어 죽이고, 사람을 사냥하던 여우 정령 호띤(Hồ Tinh)을 벼락으로 처치했다. 또한, 사악한 나무 정령을 도끼를 사용하여 퇴치하는 등 다양한 요괴 퇴치 설화를 가지고 있다.[16]

3. 2. 1. 응으띤(Ngư Tinh) 퇴치

락롱꾸언 시대에 반랑 사람들은 미개하고 고립되어 있었다. 동해에는 응으띤(Ngư Tinh)이라고 불리는 거대한 물고기가 나타났다. 이 물고기는 수 세기 동안 살아왔으며, 입이 너무 커서 한 입에 어부 10명을 태운 배 한 척을 통째로 삼킬 수 있었다. 물고기가 헤엄칠 때마다 파도가 하늘을 찌를 듯이 솟아올라 그 길에 우연히 걸린 많은 배를 침몰시켰고, 그 지역을 지나가는 모든 사람들은 물고기의 다음 식사가 되었다. 응으띤은 바다 밑의 큰 동굴에 살고 있었고, 동굴 위에는 바다를 두 구역으로 나누는 거대한 산이 있었다.[1]

락롱꾸언은 사람들을 돕기 위해 물고기를 처치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거대한 배를 만들고, 불타는 사람 모양의 금속 조각을 만든 다음, 응으띤의 둥지로 곧장 항해했다. 락롱꾸언은 사람 모양의 금속 조각을 들고 응으띤을 속이려 했다. 응으띤은 그것을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입을 벌려 불타는 금속을 삼키려 했다. 락롱꾸언은 불타는 금속을 응으띤의 입 속으로 던졌다. 응으띤의 목은 타들어갔고, 몸부림치며 락롱꾸언의 배를 침몰시키려 했다. 락롱꾸언은 칼을 뽑아 괴물을 베어 세 조각으로 만들었다.[1]

3. 2. 2. 호띤(Hồ Tinh) 퇴치

응우띤(Ngư Tinh)을 처치한 후, 락롱꾸언(Lạc Long Quân)은 롱비엔(Long Biên)으로 내려갔다. 그곳에는 "여우 괴물" 또는 "여우 정령"을 뜻하는 베트남어인 호띤(Hồ Tinh)이라고 불리는 천 년 묵은 구미호가 살고 있었다. 그 여우는 롱비엔 서쪽의 바위산 아래 깊은 동굴에 살았다. 이 여우는 종종 인간으로 변신하여 마을 남녀들을 유인한 다음 동굴로 데려가 잡아먹었다. 이 여우는 롱비엔에서 떤비엔(Tản Viên)산까지 수세기 동안 사람들을 괴롭혔고, 마을 사람들은 여우를 너무 두려워하여 평화롭게 살기 위해 집과 농장을 떠나 다른 곳으로 가야 했다.[1]

락롱꾸언은 칼을 들고 그 짐승의 굴로 가서, 앞서 응우띤을 처치했을 때처럼 그 짐승을 처치하기로 했다. 락롱꾸언이 동굴에 도착하자 여우는 인간의 냄새를 맡고 자신의 영역을 침범하는 자가 누구인지 맞서기 위해 굴에서 나왔다. 짐승을 본 락롱꾸언은 마법을 사용하여 바람과 천둥의 힘을 불러 호띤을 가두었고, 3일 후 짐승은 약해져 공격자에게서 도망치려 했다. 락롱꾸언은 악마 여우를 붙잡아 목을 베었다. 락롱꾸언은 동굴로 내려가 아직 살아있는 모든 사람들을 구출하여 롱비엔으로 돌려보냈다.[1]

3. 3. 베트남 건국 신화: 용과 선녀의 후손



16세기 신화적 계보 Hùng Vương sự tích ngọc phả cổ truyềnvi에 따르면, 락롱꽌은 낀즈엉브엉과 하늘과 바다를 다스리는 용 여신 롱 마우 턴 롱의 아들이다. 그는 여섯 번째 염제 데라이의 딸인 어우꺼와 결혼했다. 어우꺼는 백 개의 알이 들어 있는 자루를 낳았고, 거기에서 백 명의 아들이 태어났다. 어느 날 꽌은 그녀에게 "나는 용의 후손이고, 당신은 띠엔(선녀)의 후손입니다. 불과 물은 조화롭게 함께 살 수 없습니다."라고 고백했다. 그들은 자녀들을 나누었다. 50명의 아들은 어머니를 따라 북쪽 산악 지역으로 갔고, 나머지 50명은 아버지를 따라 남쪽으로 가서 살았다. 이 아이들이 베트남인의 조상이다. 장남은 어우꺼를 따라 퐁쩌우(푸토성)로 가서 꽌의 후계자가 되었고, 훙브엉으로 통치했다. 이것은 베트남 역사상 가장 오래된 이혼 이야기이다.[7]

4. 유적과 숭배

베트남에서는 매년 음력 3월 10일을 락롱꾸언의 기념일로 정하여 국경일로 한다. 락롱꾸언의 유적이 있는 해양성 빈다(Bình Đà)에서 락롱꾸언 추모 행사가 진행되는데, 제물에는 100명의 아들을 상징하는 100개의 바인쯩(Bánh chưng)과 바인재오(Bánh dẻo), 그리고 의자 100개를 준비한다.[12]

4. 1. 노이 빈 다 사원 (Nội Bình Đà Temple)

덕 꾸옥 선조가 승천한 후, 문관과 백성은 국가 선조를 숭배하기 위해 사당을 지었는데, 현재 국가 기념물인 노이 사원은 빈다, 빈민, 탄오아이, 하노이에 있다. 현재 사원에는 락롱꿘 국가 선조의 조각상, 뱃놀이 축제에 참석하는 무관, "박 비엣의 조상"이라는 의미를 가진 4글자 대문자 "VI BÁCH VIỆT TỔ"를 포함한 많은 귀중한 골동품이 보존되어 있다.[12]

300px

230px

과거 봉건 왕조 시대에 빈다 마을 사람들은 축제를 열었고, 황제는 조정에서 온 문관과 이 지역의 많은 장군 및 코뮌을 보내 축제를 조직하고 국가 선조를 기리기 위해 향을 바쳤다. 1032년, 리 태종 황제는 락롱꿘을 기리는 칙령을 내렸다.[12] 6세기 동안 왕조의 16명의 황제가 직접 빈다에 가서 국가 선조의 의식을 거행했다. "Khai Quốc Thần"(이 제물은 노이 빈다 사원과 국립 역사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음)으로 락롱꿘을 기리는 16개의 칙령이 있었다.[12]

과거부터 현재까지 축제 때마다 항상 흥 사원 - 푸토의 '투 쯔' 그룹이 성조에게 향을 바치고 노이 사원의 첫 번째 향 제단에서 향행렬을 요청하여 음력 3월 10일에 성조가 흥 사원 축제에 참석하도록 존경스럽게 맞이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12]

국가 유물인 노이 사원과 국가 선조 묘는 신성한 땅 빈다에 위치하며 락 홍 후손들이 국가 선조를 숭배하는 영원한 장소가 될 것이다.[12] 270px

5. 평가

응우옌 왕조 국사관은 흠정월사통감 cương목에서 락롱꾸언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13][14]

"옛 역사를 살펴보면, '홍방씨기'에 나오는 경양왕(Kinh Dương Vương), 락롱꾸언(Lạc Long Quân)은 본래 상고 시대, 홍황 시대부터 유래되었으며, 저자는 무(無)에서 유(有)를 만들어 냈고, 신뢰성이 부족할까 두려워 당나라 소설가 유의전과 결부시켜 이를 증거로 삼았다."

뜨득 황제는 이러한 역사관을 되풀이하며, 경양왕과 락롱꾸언을 "소, 귀신, 뱀 신, 기준 없는 신화에 관한 이야기"로 간주하고 공식 역사에서 삭제했다.

작가 리암 크리스토퍼 켈리(Liam Christopher Kelley)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수 세기 동안 그들[역사가들]이 만들어낸 전통은 자연스러운 것이 되었다. 사실, 지난 반세기 동안 민족주의의 영향으로 그 발명된 전통은 변경할 수 없는 사실이 되었고, 되고 있다."

6. 현대의 락롱꾸언

베트남의 대부분의 도시에는 락롱꾸언과 어우꺼의 이름을 딴 주요 도로가 있다. 이 도로들은 보통 서로 직각으로 교차한다.[8] 락롱꾸언은 초등 교육[9]과 일부 대중적인 종교적 믿음에서 신으로 등장한다.[10][11]

참조

[1] 문서 Ngô Thì Sĩ, Việt sử Tiêu án
[2] 서적 An Unashamed Defense of Coffee
[3] 서적 Saigon: A History
[4] 논문 The Birth of Vietna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서적 The Birth of Vietna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웹사이트 History of Greater Vietnam http://www.nomfounda[...]
[7] 웹사이트 Linh Nam Chich Quai, Dai Viet Su Ky Toan Thu https://web.archive.[...]
[8] 서적 Vietnam Country Map Periplus Travel Maps
[9] 서적 Education As a Political Tool in Asia
[10] 서적 Engaging the Spirit World: Popular Beliefs and Practices in Modern Vietnam
[11] 서적 Modernity and Re-Enchantment: Religion in Post-Revolutionary Vietnam
[12] 웹사이트 Bình Đà miền di tích http://vovworld.vn/v[...]
[13] 문서 Khâm định Việt sử thông giám cương mục
[14] 문서 Khâm định Việt sử thông giám cương mục
[15] 문서 『大越史記全書』外紀巻之一 鴻厖氏紀 涇陽王
[16] 문서 『大越史記全書』外紀巻之一 鴻厖氏紀 貉龍君
[17] 문서 『嶺南摭怪』巻之一 鴻龐氏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