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32년은 다양한 연호와 기년이 사용된 해이다. 북송, 요나라, 일본, 서하, 리 왕조 등 여러 국가에서 연호를 사용했으며, 고려에서는 국자감시를 실시하고 국사 편찬 사업을 완성했다. 주요 사건으로는 탕구트족의 이원호가 서평왕의 지위를 계승하고, 교황 요한 19세가 사망한 사건 등이 있다. 1032년에는 송 영종, 고산조 천황, 요 도종 등 여러 인물이 태어났으며, 아를의 콘스탄스, 부르고뉴의 루돌프 3세, 교황 요한 19세 등이 사망했다.
2. 연호
3. 기년
4. 사건
고려에서는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실시하고, 왕가도를 감수국사(監修國史)로, 황주량을 수국사(修國史)로 삼아 현종 때 시작한 국사 편찬 사업을 완성하였다.
봄에는 로마노스 3세 아르기로스 황제가 미카엘 프로토스파타리오스 장군이 이끄는 비잔티움 제국 원정군을 파견했다. 이 원정군에는 서방 보조군과 소아시아 정예군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칼라브리아(남부 이탈리아)의 비잔티움 방어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9월 6일에는 부르고뉴의 루돌프 3세가 후계자 없이 사망했다. 그는 자신의 모든 영토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콘라트 2세에게 유증하고, 부르고뉴 봉헌의 상징인 성 랜스와 성 모리스의 반지를 그에게 보냈다.[1][2] 블루아 백작 오도 2세는 샹파뉴 백작으로서 부르고뉴 왕국을 침략하여 왕국의 대부분을 자신의 것으로 차지했다.[2] 사보이 가문의 움베르토 1세의 도움으로 루돌프 3세의 미망인 에르망가르드 왕대비는 취리히로 피신했다.
겨울에는 콘라트 2세가 군대를 이끌고 샹파뉴로 진군하여 그 땅을 황폐화시켜 오도 2세로 하여금 강화를 청하고 부르고뉴를 포기할 것을 맹세하게 만들었다. 주교들은 콘라트가 부르고뉴를 장악하는 것을 막았다.[2]
키예프의 테오도시우스의 전기에서 쿠르스크(러시아)가 처음 언급되었다. 그는 키예프 페체르스크 수도원에서 수도사가 되었다 (대략적인 연대).
4. 1. 고려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실시하고, 왕가도를 감수국사(監修國史)로, 황주량을 수국사(修國史)로 삼아 현종 때 시작한 국사 편찬 사업을 완성하였다.4. 2. 동아시아 및 기타 지역
간지 | 임신 |
---|---|
일본 | 장원 5년, 황기 1692년 |
중국 | 북송 천성 10년, 명도 원년 |
요 | 중희 원년 |
서하 | 현도 원년 |
대리국 | 정치 6년 |
조선 | |
베트남 | 리조 천성 5년 |
불멸기원 | 489년 |
유대력 | 4792년 ~ 4793년 |
기타 | 티베트계 탕구트족의 이원호가 아버지의 죽음으로 서평왕의 지위를 계승 |
4. 3. 종교
5. 탄생
1032년에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태어났다.
- 2월 16일 - 송 영종, 중국 송나라의 황제 (사망 1067년)
- 9월 3일 - 고산조 천황, 일본 천황 (사망 1073년)
- 9월 14일 - 요 도종, 중국 요나라의 황제 (사망 1101년)
- 아베노 무네토, 일본 귀족이자 사무라이 (사망 1108년)
- 정호, 중국 신유학 철학자 (사망 1085년)
- 스코틀랜드의 도널드 3세 ('''더 페어'''), 스코틀랜드 왕 (추정 날짜)
- 우르젤 백작 에르멩골 3세 ('''아르멩골'''), 우르젤 백작 (사망 1065년)
- 고황후(송), 중국 황후이자 섭정 (사망 1093년)
- 거스 갓윈슨, 잉글랜드 귀족 (추정 날짜)
- 휴 드 그랑드메닐, 노르망디 전사이자 보안관 (사망 1098년)
- 오스번 핏츠오스번, 엑서터 주교 (추정 날짜)
- 투지 이칭, 중국 선종 불교 승려 (사망 1083년)
- 보헤미아의 브라티슬라프 2세 ('''브라티슬라프'''), 보헤미아 공작 (사망 1092년)
- 10월 19일 - 娟子내친왕, 헤이안 시대의 황족, 가모 사이인, 원준방의 정실 (사망 1103년)
- 아베 무네토, 헤이안 시대의 무장 (사망 1108년)
- 증요, 헤이안 시대의 천태종의 승려 (사망 1116년)
- 루라흐, 스코틀랜드 왕 (사망 1058년)
5. 1. 실존 인물
- 2월 16일 - 송 영종, 중국 송나라의 황제 (사망 1067년)
- 9월 3일 - 고산조 천황, 일본 천황 (사망 1073년)
- 9월 14일 - 요 도종, 중국 요나라의 황제 (사망 1101년)
- 아베노 무네토, 일본 귀족이자 사무라이 (사망 1108년)
- 정호, 중국 신유학 철학자 (사망 1085년)
- 스코틀랜드의 도널드 3세, 스코틀랜드 왕 (추정 날짜)
- 우르젤 백작 에르멩골 3세, 우르젤 백작 (사망 1065년)
- 고황후(송), 중국 황후이자 섭정 (사망 1093년)
- 거스 갓윈슨, 잉글랜드 귀족 (추정 날짜)
- 휴 드 그랑드메닐, 노르망디 전사이자 보안관 (사망 1098년)
- 오스번 핏츠오스번, 엑서터 주교 (추정 날짜)
- 투지 이칭, 중국 선종 불교 승려 (사망 1083년)
- 보헤미아의 브라티슬라프 2세, 보헤미아 공작 (사망 1092년)
- 10월 19일 - 娟子내친왕, 헤이안 시대의 황족, 가모 사이인, 원준방의 정실 (사망 1103년)
- 아베 무네토, 헤이안 시대의 무장 (사망 1108년)
- 영종, 북송의 제5대 황제 (사망 1067년)
- 증요, 헤이안 시대의 천태종의 승려 (사망 1116년)
- 정호, 북송의 유학자 (사망 1085년)
- 도종, 요의 제8대 황제 (사망 1101년)
- 루라흐, 스코틀랜드 왕 (사망 1058년)
5. 2. 가상 인물
이 부분은 비어 있다. 내용을 추가해 달라.6. 사망
- 7월 28일 - 아를의 콘스탄스, 프랑스 왕비
- 7월 29일 - 슈바벤의 마틸다, 독일 공작 부인
- 9월 6일 - 부르고뉴의 루돌프 3세, 부르고뉴 왕국의 왕[1]
- 10월 4일 - 가스코뉴의 산초 6세, 가스코뉴 공국의 공작
- 아마드 마이만디, 가즈나 왕조의 베지르
- 아르슬란 야브구, 투르크족 추장이자 통치자
- 베즈프림, 폴란드 공작
- 콘스탄티누스 디오게네스, 비잔티움 장군
- 모레이의 길레 코엠가인, 스코틀랜드 모레이 지방의 왕
- 교황 요한 19세[3], 가톨릭 교회 교황
- 이씨 (987년 출생), 중국 황후이자 첩
- 리 더밍 (981년 출생), 중국 반란 지도자
- 오도 2세, 작센 동부 변경백
- 오토 오르세올로,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 베스프림, 폴란드 국왕 (* 986년/987년)
- 요한네스 19세, 제144대 로마 교황 (* 생년 미상)
6. 1. 실존 인물
- 7월 28일 - 아를의 콘스탄스(Constance of Arles), 프랑스 왕비
- 7월 29일 - 슈바벤의 마틸다(Matilda of Swabia), 독일 공작 부인
- 9월 6일 - 부르고뉴의 루돌프 3세(Rudolph III of Burgundy), 부르고뉴 왕국(Kingdom of Burgundy)의 왕[1]
- 10월 4일 - 가스코뉴의 산초 6세(Sancho VI William of Gascony), 가스코뉴 공국(Duchy of Gascony)의 공작
- 아마드 마이만디(Ahmad Maymandi), 가즈나 왕조의 베지르
- 아르슬란 야브구(Arslan Isra'il), 투르크족 추장이자 통치자
- 베즈프림(Bezprym) 또는 베스프림(Besfrim), 폴란드(Greater Poland) 공작
- 콘스탄티누스 디오게네스(Constantine Diogenes), 비잔티움 장군
- 모레이의 길레 코엠가인(Gille Coemgáin of Moray), 스코틀랜드 모레이 지방(Province of Moray)의 왕
- 교황 요한 19세(Pope John XIX), 가톨릭 교회(Catholic Church) 교황[3]
- 이씨(Consort Li (Zhenzong)) (987년 출생), 중국 황후이자 첩
- 리 더밍(Li Deming) (981년 출생), 중국 반란 지도자
- 오도 2세(Odo II, Margrave of the Saxon Ostmark), 작센 동부 변경백(Saxon Eastern March)
- 오토 오르세올로(Otto Orseolo) (또는 오토네(Ottone)),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 베스프림, 폴란드 국왕 (* 986년/987년)
- 요한네스 19세, 제144대 로마 교황 (* 생년 미상)
6. 2. 가상 인물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참조
[1]
웹사이트
Rudolf III king of Burgundy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5-14
[2]
서적
The Early History of the House of Savo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2
[3]
서적
A Dictionary of Pop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