랄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랄리는 핀란드 민속에서 등장하는 인물로, 12세기 스웨덴의 헨리 주교를 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랄리는 헨리 주교의 반지를 훔치려다 손가락과 두피가 뜯겨 나간 후 도망치다 익사했다고 전해진다. 랄리는 핀란드 민속에서 중요한 인물로, 조각상이나 그림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핀란드 지명에도 흔히 등장한다. 역사적으로는 헨리 주교의 실존 여부와 관련하여 논란이 있으며, 랄리는 핀란드 민족주의와 관련하여 재해석되기도 했다. 랄리와 헨리 주교의 이야기는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랄리 | |
---|---|
라울리 | |
설명 | 12세기 핀란드의 전설적인 인물 |
관련 인물 | |
관련 인물 | 헨리 주교 |
2. 전설
이야기는 핀란드의 첫 번째 기독교 선교사 중 한 명인 헨리 주교의 원정에서 시작된다. 헨리 주교는 일행과 함께 어느 집에 들렀는데, 그 집에는 안주인 케르투만 있었다. 헨리 주교는 일행을 위해 음식과 건초를 요구했지만, 케르투는 이를 거절했다. 굶주린 헨리 주교와 일행은 강제로 음식과 건초를 가져갔지만, 떠나기 전에 대가를 지불했다.[4][5]
케르투의 남편 랄리가 돌아와 이 소식을 듣고, 주교가 자신의 집을 약탈했다는 말에 격분하여 주교를 뒤쫓는다. 랄리는 쾨윌리외 호수의 얼어붙은 얼음 위에서 헨리 주교를 따라잡아 도끼로 쳐 죽인다.[4][5]
랄리는 헨리 주교의 미트라를 뽐내기 위해 썼다가 미트라가 머리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자 두피가 찢겨 나갔고, 값비싼 반지를 훔치기 위해 주교의 손가락을 잘랐다가 손가락이 찢겨 나가는 벌을 받았다. 숲으로 도망친 랄리는 생쥐나 쥐에게 쫓겨 나무 위로 올라갔다가 히이리예르비 호수에 떨어져 익사했다. 주교의 시신은 하인들이 수습하여 소가 끄는 대로 남쪽으로 옮겼고, 소가 멈춘 곳에 핀란드의 첫 번째 교회가 세워졌다.[5]
이 전설은 핀란드 민요 "헨리킨 수르마"(Henrik in Surma|헨리의 살해fi)에 담겨 있다. 이 시에는 그리스도의 말하는 조각상 등이 등장하며, 시의 한 버전은 핀란드 민요 모음집 ''칸텔레타르''에서 찾을 수 있다.[4][5]
2. 1. 배경
헨리 주교는 핀란드의 첫 번째 기독교 선교사 중 한 명으로, 핀란드 원정을 떠났다. 원정 도중 헨리 주교 일행은 한 집에 머물게 되었는데, 그 집에는 안주인 케르투만 있었다. 헨리 주교는 일행이 먹을 음식과 말에게 먹일 건초를 요구했지만, 케르투는 이를 거절했다. 굶주린 헨리 주교와 일행은 강제로 음식과 건초를 가져갔지만, 떠나기 전에 대가를 지불했다.[4][5]2. 2. 랄리의 분노와 헨리 주교 살해
핀란드의 첫 번째 기독교 선교사 중 한 명인 헨리 주교가 원정을 떠났을 때의 이야기이다. 여행 중 헨리 주교는 일행과 함께 한 집에 들렀는데, 집에는 안주인 케르투만 있었다. 헨리 주교는 음식을 요구했지만, 케르투는 이를 거절했다. 굶주린 헨리 주교와 일행은 강제로 음식과 건초를 가져갔지만, 떠나기 전에 대가를 지불했다.[4][5]케르투의 남편 랄리가 돌아와 이 소식을 듣게 된다. 케르투는 랄리에게 주교가 자신의 집을 약탈했다고 거짓말을 했다. 랄리는 격분하여 주교를 뒤쫓아 쾨윌리외 호수의 얼어붙은 호수 위에서 헨리 주교를 따라잡아 도끼로 살해했다.[4][5]
2. 3. 랄리의 최후
랄리는 헨리 주교의 미트라를 뽐내기 위해 쓰고, 값비싼 반지를 훔치려고 주교의 손가락을 잘랐다. 그러나 미트라는 랄리의 머리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았고, 랄리가 그것을 벗으려고 하자 두피가 함께 뜯겨 나갔다. 마찬가지로 주교의 반지를 빼내려고 하자 손가락도 찢겨 나갔다.[5]랄리는 숲으로 도망쳐 생쥐나 쥐에게 쫓겨 나무 위로 올라갔다. 랄리는 나무에서 히이리예르비 호수에 떨어져 익사했다. 주교의 시신은 그의 하인들이 수습하여 소가 끄는 대로 남쪽으로 옮겨졌다. 소가 멈춘 곳에 핀란드의 첫 번째 교회가 세워졌다.[5]
2. 4. 관련 민요
이 전설은 핀란드 민요인 "헨리킨 수르마"(Henrik in Surma|헨리의 살해fi)에 담겨 전해진다. 이 시에는 그리스도의 말하는 조각상과 같은 등장인물이 등장하며, 시의 한 버전은 오래된 핀란드 민요 모음집인 ''칸텔레타르''에서 발견된다.[4][5]3. 역사적 배경
헨리 주교와 랄리에 대한 전설은 역사적 사실 여부가 불분명하며, 특히 헨리 주교의 역사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3. 1. 헨리 주교의 역사성 논란
헨리 주교에 대한 기록이 부족하여 역사학자 투오마스 헤이킬래(Tuomas Heikkilä)는 이 전설을 허구로 간주했다.[12] 그러나 언어학자 미코 헤이킬래(Mikko Heikkilä)는 새로운 연구를 통해 헨리 주교가 실존 인물이며, 12세기 초에 살해된 독일인 선교사 하인리히(Heinrich)를 기반으로 한 인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핀란드인들이 "헤이나리키"라고 부른 하인리히라는 이름의 선교사가 전설 속의 헨리 주교가 등장하기 불과 수십 년 전에 살해되었다는 기록을 발견했다. 미코 헤이킬래에 따르면 허구의 인물인 헨리 주교는 대부분 하인리히를 기반으로 했지만, 끔찍하게 살해당한 것으로 알려진 스웨덴의 에릭 9세의 전설과 혼합되었다.[13][14][15] 투오마스 헤이킬래는 미코 헤이킬래가 다양한 출처를 자유롭게 결합했다며 이러한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16]4. 문화적 의의
랄리는 핀란드 민속에서 잘 알려진 인물로, 헨리 주교의 발치에 엎드린 모습으로 묘사된다.[6] ''수우렛 수오말라이셋''(100명의 위대한 핀란드인)에서 14번째로 위대한 핀란드인으로 선정되었다.[7] 랄리는 일반적으로 악당으로 여겨졌지만, 20세기에는 제국주의와 북방 십자군의 강제 개종에 맞서는 반역적인 이교도로 여겨지기도 했다.[7]
4. 1. 핀란드 민족주의와 랄리
랄리는 핀란드 민속에서 잘 알려진 인물이다. 그는 나무 조각상에서 주교 헨리의 발치에 엎드린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랄리"라는 이름은 핀란드에서 흔하지 않다. "라우렌티우스"의 형태일 수 있으며, 곰을 지칭하는 이름이라고도 한다(전통적으로 동물의 실제 이름을 언급하는 것을 피했기 때문에 별칭이 사용되었다). 또한, 핀란드 지명에서 "랄리"는 피르칼라 등에서 나타나는데, 그곳에는 "랄리"라는 지명과 피해야르비 호수 해안에 "랄린 라흐티"(랄리 만)가 있다.[6]텔레비전 시리즈 ''수우렛 수오말라이셋''(100명의 위대한 핀란드인)에서 랄리는 14번째로 위대한 핀란드인으로 선정되었다. 랄리는 그의 아내와 함께 일반적으로 악당으로 여겨졌지만, 20세기에는 제국주의와 북방 십자군의 강제 개종에 맞서는 반역적인 이교도로 여겨지기도 했다.[7]
4. 2. 예술 작품 속 랄리와 헨리 주교
랄리는 핀란드 민속에서 잘 알려진 인물로, 나무 조각상에서 주교 헨리의 발치에 엎드린 모습으로 묘사되었다.[6] 알베르트 에델펠트(Albert Edelfelt)의 그림(1877)에서는 랄리가 헨리 주교를 살해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15세기 이소퀴뢰 교회 제단화에는 헨리가 랄리를 밟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으며,[6] 노우시아이넨 교회에는 헨리를 살해하고 그의 주교관을 쓰고 있는 랄리의 장식 패널(1420년경)이 있다.[6]현대 대중문화에서 랄리와 헨리의 호수에서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핀란드 메탈 밴드 문소로우의 노래 '쾨일리ön예르벤 야엘라'(Köyliönjärven jäällä)의 주제가 되기도 했다.[11]
4. 3. 지명과 유적
"랄리"라는 이름은 핀란드에서 흔하지 않지만, 핀란드 지명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피르칼라에는 "랄리"라는 지명과 피해야르비 호수 해안에 "랄린 라흐티"(랄리 만)가 있다.[6]사타쿤타에는 랄리의 오두막과 랄리의 묘비라는 두 개의 중요한 유물이 있다. 전설에 따르면 이 두 곳은 랄리가 주교를 죽인 후 피신한 곳이라고 한다. 랄리의 오두막은 쾨일리외의 ''로오틴눔미''에 있다. 돌무더기가 한때 집이었다는 실제 고고학적 증거는 없지만, 민간 전승에 따르면 그렇다고 한다. 랄리의 추정 오두막에서 13km 떨어진 곳에는 랄리의 묘비가 있는데, 이는 히이리얘르비 호수 근처의 바위로 랄리의 눈물로 아직도 축축하다고 한다.[8] 이 지역은 랄리의 농장이라고 불린다.[8]
5. 핀란드의 기독교화
헨리 주교는 핀란드에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해 원정을 떠났다. 헨리 주교 일행은 여행 중 한 집에 머물게 되었는데, 그 집에는 랄리의 아내인 케르투만이 있었다. 헨리 주교는 케르투에게 음식과 건초를 부탁했지만 거절당했다. 헨리 주교와 일행은 어쩔 수 없이 음식과 건초를 가져갔지만, 떠나기 전에는 그 대가를 지불했다. 하지만 케르투는 남편 랄리에게 헨리 주교가 집을 약탈했다고 거짓말을 했고, 분노한 랄리는 헨리 주교를 쫓아가 쾨울리외엔예르비에서 도끼로 살해했다.[4][5]
랄리는 헨리 주교의 미트라를 썼다가 두피가 벗겨지고, 반지를 빼려다 손가락이 잘리는 벌을 받았다. 숲으로 도망친 랄리는 쥐들에게 쫓겨 나무 위로 올라갔지만, 결국 히이리예르비 호수에 빠져 죽었다. 헨리 주교의 시신은 하인들이 수습하여 소달구지에 싣고 남쪽으로 옮겼으며, 소가 멈춘 곳에 핀란드의 첫 번째 교회가 세워졌다.[5]
이 전설은 핀란드 민요 "헨리킨 수르마"(헨리의 살해)에 담겨 있으며, 칸텔레타르에서 이 시의 한 버전을 찾을 수 있다.
5. 1. 관련 인물
이름 | 설명 |
---|---|
헨리 | 핀란드의 첫 번째 기독교 선교사 중 한 명으로, 스웨덴의 첫 번째 십자군 원정에 참여했다. 랄리에게 살해당했다.[4][5] |
케르투 | 헨리 주교 일행이 방문한 집의 안주인. 랄리의 아내이다. |
토마스 | 핀란드 지역에서 활동한 주교이다. |
로둘프 | 핀란드 지역에서 활동한 주교이다. |
풀코 | 핀란드 지역에서 활동한 주교이다. |
베로 | 핀란드 지역에서 활동한 주교이다. |
알렉산데르 3세 | 핀란드 기독교화와 관련된 교황이다. |
인노첸시오 3세 | 핀란드 기독교화와 관련된 교황이다. |
그레고리오 9세 | 핀란드 기독교화와 관련된 교황이다. |
안데르스 | 핀란드 지역에서 활동한 대주교이다. |
발레리우스 | 핀란드 지역에서 활동한 대주교이다. |
비르예르 야를 | 핀란드 기독교화와 관련된 인물이다. |
세르기우스 | 핀란드 기독교화와 관련된 인물이다. |
에릭 왕 | 핀란드 기독교화와 관련된 인물이다. |
5. 2. 관련 장소
코케매키쾨윌리외
노우시아이넨
코로이넨
투르쿠 대성당
5. 3. 관련 사건
핀란드의 첫 기독교 선교사 중 한 명인 헨리 주교는 원정 중 한 집에 들렀는데, 안주인 케르투는 주교 일행의 음식과 건초 요구를 거절한다. 굶주린 헨리 주교와 일행은 강제로 음식과 건초를 가져갔지만, 떠나기 전에 대가를 지불했다. 케르투는 남편 랄리에게 주교가 자신의 집을 약탈했다고 거짓말을 했고, 분노한 랄리는 주교를 추격하여 쾨울리외엔예르비에서 헨리 주교를 도끼로 살해한다.[4][5]랄리는 헨리 주교의 미트라를 썼다가 두피가 찢겨 나가고, 반지를 빼내려다 손가락이 찢겨 나가는 벌을 받았다. 이후 숲으로 도망쳐 쥐에게 쫓겨 나무 위로 올라갔다가 히이리예르비 호수에 떨어져 익사한다. 헨리 주교의 시신은 하인들이 수습하여 소를 통해 남쪽으로 옮겨졌고, 소가 멈춘 곳에 핀란드의 첫 번째 교회가 세워졌다.[5]
이 전설은 핀란드 민요 "헨리킨 수르마"(헨리의 살해)에 담겨 있으며, 칸텔레타르에서 이 시의 한 버전을 찾을 수 있다. 이 사건은 핀란드-노브고로드 전쟁, 스웨덴의 첫 번째 십자군, 스웨덴의 두 번째 십자군, 스웨덴의 세 번째 십자군과 관련이 있다.
참조
[1]
DNB
Henry (fl.1150)
[2]
서적
Handbook for Travellers in Russia, Poland, and Finland
https://archive.org/[...]
J. Murray, [etc., etc.]
[3]
서적
The History of Sweden
https://archive.org/[...]
R. Bentley
[4]
웹사이트
Legenda piispa Henrikistä ja Lallista
http://opinnot.inter[...]
Otavan Opisto
2019-02-09
[5]
웹사이트
Puoli seitsemän: 2 Legendat - Piispa Henrik ja Lalli
https://areena.yle.f[...]
Yle
2019-09-11
[6]
National Land Survey of Finland
Lalli ja Lallin lahti
https://asiointi.maa[...]
[7]
웹사이트
Talonpoika Lalli - Paha pakana vai vihainen viljelijä?
https://www.tiede.fi[...]
Tiede
2019-02-09
[8]
서적
Joki ja sen väki – Kokemäen ja Harjavallan historia jääkaudesta 1860-luvulle, Kokemäen ja Harjavallan kaupungit ja seurakunnat
Kokemäen ja Harjavallan kaupungit ja seurakunnat
2007
[9]
웹사이트
Hiirijärven kylä Karhuseudun suistoissa
http://meka.tv/suist[...]
2006-12-18
[10]
문서
Lallin itkukivi
http://www.raumakuva[...]
[11]
Genius Lyrics
Moonsorrow – Köyliönjärven jäällä (Pakanavedet II)
https://genius.com/M[...]
[12]
뉴스
Historiantutkija kyseenalaistaa piispa Henrikin olemassaolon
https://www.ts.fi/uu[...]
Turun Sanomat
2019-02-09
[13]
서적
Kuka oli herra Heinäricki? - piispa Henrikin arvoitus
Tampere University Press
2016
[14]
뉴스
Ratkesiko 900 vuoden takainen murha? – talonpoika Lalli tappoikin ehkä saksalaisen Heinrichin
https://www.ts.fi/uu[...]
Turun Sanomat
2017-01-25
[15]
뉴스
Uusi tutkimus: Lalli ei surmannutkaan piispa Henrikiä, vaan herra Heinärikin - historialliset kaimat ovat menneet legendassa sekaisin
https://www.iltaleht[...]
Iltalehti
2017-01-21
[16]
뉴스
Tappoiko Lalli piispan sijaan saksalaisen lähetyssaarnaajan? Uusi tulkinta Suomen kuuluisimmasta surmasta
https://www.is.fi/ko[...]
Iltasanomat
2017-01-27
[17]
DNB
Henry (fl.1150)
[18]
서적
Handbook for Travellers in Russia, Poland, and Finland:
https://books.google[...]
J. Murray, [etc., etc.]
[19]
서적
The History of Sweden
https://books.google[...]
R. Bent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