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브라도라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래브라도라이트는 캐나다 래브라도 반도에서 처음 발견되어 이름 붙여진 장석 광물이다. 마피크 화성암에서 산출되며, 현무암과 반려암에서 흔히 발견된다. 래브라도레센스라고 불리는 각색 광학 효과를 보이며, 이는 혼합성 간극에서 발생하는 상 석출 박편 구조에 의해 나타난다. 높은 정도의 라브라도레센스를 보이는 일부 보석 종류는 스펙트롤라이트라고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망상 규산염 광물 - 회장석
회장석은 사장석 고용체 시리즈의 칼슘이 풍부한 내성분이며, 마그마암 등에서 산출되고 달 고지대의 대부분을 이루는 광물이다. - 망상 규산염 광물 - 준장석
준장석은 장석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나 이산화 규소 함량이 적은 광물 그룹으로, 하석, 칼륨하석, 회하석, 백류석, 방소다석, 남방석, 투방석, 청금석, 방비석 등이 있으며 남방석, 청금석, 투방석, 방소다석은 소다라이트 그룹을 이룬다. - 장석군 - 조장석
알바이트는 삼사정계에 속하는 판상 결정형 광물로, 비중은 약 2.62, 모스 경도는 6~6.5이며 결정쌍정을 보이고 화강암 등에서 산출되며, 준보석, 보석, 유리 및 세라믹 제조에 사용된다. - 장석군 - 정장석
정장석은 칼륨 종단원(KAlSi₃O₈)을 주성분으로 하는 장석질 화성암의 구성 광물이며,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유리, 세라믹 제조, 연마재 등에 사용된다. - 삼사정계 광물 - 장석
장석은 규산염 광물의 일종으로, 알루미늄과 규소의 3차원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함유된 원소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고, 화성암 분류 및 점토광물 생성에 사용되며, 유리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삼사정계 광물 - 조장석
알바이트는 삼사정계에 속하는 판상 결정형 광물로, 비중은 약 2.62, 모스 경도는 6~6.5이며 결정쌍정을 보이고 화강암 등에서 산출되며, 준보석, 보석, 유리 및 세라믹 제조에 사용된다.
래브라도라이트 | |
---|---|
일반 정보 | |
![]() | |
분류 | 아둘라레센스, 골격 규산염 광물 |
화학식 | (Ca,Na)(Al,Si)4O8, 여기서 Na는 30-50%이고 Ca는 50–70%이다. |
결정계 | 삼사정계 |
결정족 | 피나코이드 결정족(overline{1}) (동일 헤르만-모갱 기호) |
단위포 | a = 8.155 Å, b = 12.84 Å, c = 10.16 Å; α = 93.5°, β = 116.25°, γ = 89.133°; Z = 6 |
색상 | 회색, 회백색, 갈색, 녹색, 옅은 녹색, 파란색, 주황색, 분홍색, 노란색, 무색 |
결정형 | 전형적으로 얇고 판상형 결정, 마름모꼴 단면, 줄무늬, 괴상 |
쌍정 | 앨바이트, 페리클라인, 칼즈바드, Baveno, 또는 Manebach 쌍정 법칙에 따라 일반적이다. |
쪼개짐 | {001}에서 완전, {010}에서 덜 완전, 거의 90°로 교차; {110}에서 뚜렷함 |
깨짐 | 고르지 않음에서 조개껍데기 모양 |
모스 굳기계 | 6–6.5 |
광택 | 유리질에서 쪼개짐 면에서 진주 광택 |
굴절률 | nα = 1.554–1.563, nβ = 1.559–1.568, nγ = 1.562–1.573 |
광학적 성질 | 이축성 (+) |
복굴절 | δ = 0.008–0.010 |
2V | 측정값: 85° |
분산 | 없음 |
흡수 | 해당 없음 |
조흔색 | 흰색 |
비중 | 2.68 ~ 2.72 |
투명도 | 반투명에서 투명 |
기타 특징 | Labradorescence (무지개 현상, Schiller 효과) |
2. 산출
래브라도라이트는 캐나다 래브라도 네인 근처 폴스 아일랜드(Paul's Island)가 지질학적 표준 산출지이며, 폴란드, 노르웨이, 핀란드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다.[2] 특히 마다가스카르, 중국, 호주, 슬로바키아, 미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현무암과 반려암에서 가장 흔한 장석 변종이며, 사장암이나 각섬암에서도 발견된다.[4] 감람석, 휘석, 각섬석, 자철석과 함께 산출되는 경우가 많다.[1] 래브라도라이트라는 이름은 캐나다 래브라도 반도에서 산출되기 때문에 붙여졌다.
2. 1. 산출 환경
래브라도라이트는 캐나다 래브라도의 네인 마을 근처 폴스 아일랜드(Paul's Island)가 지질학적 표준 산출지이다. 폴란드, 노르웨이, 핀란드를 비롯한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며, 마다가스카르, 중국, 호주, 슬로바키아, 미국에서 두드러지게 분포한다.[2]래브라도라이트는 마피크 화성암에서 산출되며, 현무암과 반려암에서 가장 흔한 장석 변종이다. 드물게 발견되는 사장암 덩어리는 거의 전적으로 래브라도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다.[4] 각섬암에서도 발견되며, 일부 퇴적물의 쇄설성 성분으로도 존재한다. 화성암에서 흔히 함께 발견되는 광물로는 감람석, 휘석, 각섬석, 자철석이 있다.[1] 래브라도라이트는 캐나다의 라브라도르 반도에서 산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2. 2. 공생 광물
래브라도라이트는 마피크 화성암에서 산출되며, 현무암과 반려암에서 가장 흔한 장석 변종이다. 드물게 발견되는 사장암 덩어리는 거의 전적으로 래브라도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다.[4] 또한 변성암인 각섬암에서도 발견되며, 일부 퇴적물의 쇄설성 성분으로도 존재한다. 화성암에서 흔히 함께 발견되는 광물로는 감람석, 휘석, 각섬석, 자철석이 있다.[1]3. 래브라도레센스 (Labradorescence)
라브라도라이트는 라브라도레센스(labradorescence영어)라고 알려진 각색 광학 효과(실러)를 보일 수 있다. 이 효과는 4대 로드 레이리(Robert Strutt, 4th Baron Rayleigh)(1923)와 뵈길(1924)이 그 기원과 원인을 밝히는데 기여했다.[5][6][7]
이 광학 현상은 뵈길 혼합성 간극에서 발생하는 상 석출 박편 구조 때문에 나타난다.[8] 박편 분리가 128nm에서 252nm 사이일 때 이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박편이 반드시 평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8] 또한, 박편 구조는 장거리 질서가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9]
박편 분리는 특정 조성의 사장석에서만 발생하는데, 특히 칼슘질 라브라도라이트(50~70% 아노르사이트)와 바이타운석 (화학식: (Ca0.7-0.9,Na0.3-0.1)[Al(Al,Si)Si2O8]영어, 즉, 약 70~90%의 아노르사이트 함량)에서 잘 나타난다.[10][11] 사장석을 함유한 암석이 매우 느리게 냉각되는 것 또한 박편 분리에 필요한 조건이다. 느린 냉각은 Ca, Na, Si, Al 이온이 사장석을 통해 확산되어 박편 분리를 생성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라브라도라이트가 라브라도레센스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올바른 조성을 갖지 않았거나, 너무 빨리 냉각되었거나, 또는 둘 다일 수 있다), 라브라도레센스를 보이는 모든 사장석이 라브라도라이트인 것도 아니다(바이타운석일 수 있다).
스펙트롤라이트는 높은 정도의 라브라도레센스를 보이는 일부 보석 종류의 라브라도라이트를 칭하는 이름이다.
3. 1. 정의
라브라도라이트는 라브라도레센스(labradorescence)로 알려진 각색 광학 효과(또는 ''실러'')를 보일 수 있다. '라브라도레센스'라는 용어는 오베 발타사르 뵈길(Ove Balthasar Bøggild)이 만들었으며, 그는 라브라도라이트화(labradorization)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5]
라브라도라이트화는 한 방향(드물게 두 방향)으로 배향된 아미세경면에서 빛이 특이하게 반사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면들은 단순한 지수로 표현될 수 있는 위치에 절대 있지 않으며, 현미경으로도 직접 관찰할 수 없습니다.영어
이 효과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이해에는 4대 로드 레이리(Robert Strutt, 4th Baron Rayleigh) (1923)과 뵈길(1924)이 기여했다.[5][6][7]
이 광학 현상의 원인은 뵈길 혼합성 간극에서 발생하는 상 석출 박편 구조이다.[8] 이 효과는 박편 분리가 128nm에서 252nm 사이일 때 볼 수 있다. 박편은 반드시 평행할 필요는 없다.[8] 그리고 박편 구조는 장거리 질서가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9]
박편 분리는 특정 조성의 사장석에서만 발생한다. 칼슘질 라브라도라이트(50~70% 아노르사이트)와 바이타운석 (화학식: , 즉, 약 70~90%의 아노르사이트 함량)이 특히 이를 잘 보여준다.[10][11] 박편 분리에 필요한 또 다른 조건은 사장석을 함유한 암석의 매우 느린 냉각이다. 느린 냉각은 Ca, Na, Si, Al 이온이 사장석을 통해 확산되어 박편 분리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모든 라브라도라이트가 라브라도레센스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올바른 조성을 갖지 않았거나, 너무 빨리 냉각되었거나, 또는 둘 다일 수 있다), 라브라도레센스를 나타내는 모든 사장석이 라브라도라이트인 것도 아니다(바이타운석일 수 있다).
높은 정도의 라브라도레센스를 보이는 일부 보석 종류의 라브라도라이트는 스펙트롤라이트라고 한다.
3. 2. 원리
라브라도라이트는 라브라도레센스(labradorescence)로 알려진 각색 광학 효과(또는 ''실러'')를 보일 수 있다. '라브라도레센스'라는 용어는 오베 발타사르 뵈길(Ove Balthasar Bøggild)이 만들었으며, 그는 라브라도라이트화(labradorization)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5]
라브라도라이트화는 한 방향(드물게 두 방향)으로 배향된 아미세경면에서 빛이 특이하게 반사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면들은 단순한 지수로 표현될 수 있는 위치에 절대 있지 않으며, 현미경으로도 직접 관찰할 수 없습니다.
이 효과의 기원과 원인에 대한 이해에는 4대 로드 레이리(Robert Strutt, 4th Baron Rayleigh) (1923)과 뵈길(1924)이 기여했다.[5][6][7]
이 광학 현상의 원인은 뵈길 혼합성 간극에서 발생하는 상 석출 박편 구조이다.[8] 이 효과는 박편 분리가 128nm에서 252nm 사이일 때 볼 수 있다. 박편은 반드시 평행할 필요는 없다.[8] 그리고 박편 구조는 장거리 질서가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9]
박편 분리는 특정 조성의 사장석에서만 발생한다. 칼슘질 라브라도라이트(50~70% 아노르사이트)와 바이타운석 (화학식: (Ca0.7-0.9,Na0.3-0.1)[Al(Al,Si)Si2O8]영어, 즉, 약 70~90%의 아노르사이트 함량)이 특히 이를 잘 보여준다.[10][11] 박편 분리에 필요한 또 다른 조건은 사장석을 함유한 암석의 매우 느린 냉각이다. 느린 냉각은 Ca, Na, Si, Al 이온이 사장석을 통해 확산되어 박편 분리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모든 라브라도라이트가 라브라도레센스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올바른 조성을 갖지 않았거나, 너무 빨리 냉각되었거나, 또는 둘 다일 수 있다), 라브라도레센스를 나타내는 모든 사장석이 라브라도라이트인 것도 아니다(바이타운석일 수 있다).
3. 3. 스펙트롤라이트 (Spectrolite)
라브라도레센스를 보이는 보석 등급의 라브라도라이트 중 일부는 스펙트롤라이트라고 부른다.4. 갤러리
참조
[1]
문서
Handbook of Mineralogy
http://rruff.geo.ari[...]
[2]
웹사이트
Mindat.org
http://www.mindat.or[...]
[3]
웹사이트
Webmineral data
http://webmineral.co[...]
[4]
서적
Manual of Mineralogy
Wiley
[5]
논문
On the Labradorization of the Feldspars
https://web.archive.[...]
2015-04-02
[6]
논문
The structure of labradorite and the origin of its iridescence
https://www.research[...]
1950-07
[7]
논문
Studies of Iridescent Colour and the Structure Producing it. III. The Colours of Labrador Felspar
The Royal Society
1923-04-03
[8]
논문
Relation Between Labradorescence and Internal Structure of Labradorite
https://web.archive.[...]
2021-11-06
[9]
논문
On the origin of the colour of labradorite
[10]
논문
Exsolution lamellar structure causes of iridescence in labradorite: evidence from TEM
https://web.archive.[...]
2021-11-06
[11]
서적
23. Electron-optical study of a schiller labradorit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2]
서적
学術用語集 地学編
https://jglobal.jst.[...]
日本学術振興会
[13]
문서
Handbook of Mineralogy
http://rruff.geo.ari[...]
[14]
웹사이트
Mindat.org
http://www.mindat.or[...]
[15]
웹사이트
Webmineral data
http://webmineral.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