량광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량광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40년 쓰촨성 몐양 시 싼타이 현에서 태어났다. 1958년 중국인민해방군에 입대하여 군 생활을 시작했으며, 1959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2002년 인민해방군 총참모장, 2008년 국무위원 겸 국방부장을 역임했다. 2009년에는 북한과 일본을 방문하여 외교 활동을 펼쳤다. 2012년 은퇴 후, 2024년 11월 12일 베이징에서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난 대학 동문 - 옌롄커
옌롄커는 중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신실주의'라는 독자적인 문학 기법으로 탐구하며 현대 중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친 소설가이자 비평가이다. - 몐양시 출신 - 랴오이우
랴오이우는 중국의 작가, 시인, 음악가로서, 불우한 어린 시절과 톈안먼 광장 시위 비판 시로 투옥된 후 사회 하층민의 삶을 기록하며 중국 사회의 어두운 면을 폭로하다가 독일로 망명하여 작품 활동을 이어가며 국제적인 상을 수상했다. - 몐양시 출신 - 리쯔치
중국의 콘텐츠 크리에이터이자 사업가인 리쯔치는 전통 음식, 수공예, 자연 풍경을 담은 영상으로 유명하며, 식품 브랜드 론칭과 인민 선택상 수상, 중화전국청년연합회 위원 지명 등의 활동을 했으나 소속사와의 분쟁으로 활동을 중단했다가 복귀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 훙쉐즈
훙쉐즈는 중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 초기부터 홍군, 국공 내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며, 이후 중국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장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했다.
량광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량광례 |
원어 이름 | 梁光烈 |
출생일 | 1940년 12월 9일 |
출생지 | 중화민국 쓰촨성 몐양시 싼타이현 |
사망일 | 2024년 11월 12일 |
사망지 | 베이징, 중국 |
소속 정당 | 중국 공산당 |
모교 | 허난 대학 |
경력 | |
복무 기간 | 1958년–2013년 |
최종 계급 | [[파일:PLAGeneral r.png|48px]] 상장 |
지휘 | 국방부 (1998–2003) 인민해방군 총참모부 (2002–2007) 난징 군구 (1999–2002) 선양 군구 (1997–1999) 제54집단군 (1990–1993) 제20집단군 (1985–1990) |
관직 | |
직함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위원 |
총리 | 원자바오 |
임기 시작 | 2008년 3월 17일 |
임기 종료 | 2013년 3월 16일 |
직함 1 | 제10대 국방부장 |
총리 1 | 원자바오 |
임기 시작 1 | 2008년 3월 17일 |
임기 종료 1 | 2013년 3월 16일 |
이전 | 차오강촨 |
이후 | 창완취안 |
직함 2 | 인민해방군 총참모부 총장 |
임기 시작 2 | 2002년 11월 |
임기 종료 2 | 2007년 |
이전 2 | 푸취안유 |
이후 2 | 천빙더 |
2. 생애
량광례는 1940년 12월 쓰촨성 몐양 시 싼타이 현에서 태어났다. 1958년 중국인민해방군에 입대하여 군 생활을 시작했고, 1959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1963년에는 신양보병학교, 1984년부터 1986년까지는 허난대학에서 정치이론 통신교육을 받았다.
(군 경력과 정치 경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024년 11월 12일 베이징에서 83세(중국 관례에 따라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2. 1. 군 경력
량광례는 1958년 1월 중국인민해방군에 입대하여 군 생활을 시작했다. 쓰촨성 몐양 시 싼타이 현 출신으로, 처음에는 육군 제1군 제1사단 제2연대 공병대대에서 전사로 복무했다. 1959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1960년 장교가 되어 소대장으로 임명되었다. 1963년에는 인민해방군 신양보병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1964년 제1사단으로 돌아와 사령부 참모 등을 역임했다.1970년, 량광례는 우한 군구(당시 광저우 군구 관할) 사령부 참모로 승진했고, 1974년에는 우한 군구 사령부 작전부 부부장이 되었다. 1979년 육군 제20군 제58사단 부사단장을 거쳐, 1981년에는 제58사단 사단장이 되었다. 1983년에는 육군 제20군 부군장에 임명되었고, 1985년에는 제20집단군 군장이 되었다. 1984년부터 1986년까지는 허난대학에서 정치이론과 통신교육을 받았다.
1990년, 량광례는 육군 제58집단군 군장에 올랐으며, 1995년에는 베이징 군구 부사령원을 맡았다. 1997년에는 선양 군구 사령원으로 승진했고, 1999년에는 난징 군구 사령원과 당위원회 부서기를 겸임했다.
2002년 11월, 량광례는 인민해방군 총참모장에 임명됨과 동시에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발탁되었다.[7] 2003년 3월에는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을 겸하면서 당 중앙위원직에 올랐다. 2008년 3월,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과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재임되었고, 국무위원 겸 국방부장이 되었다.

1989년 6월, 량광례는 제20군을 이끌고 베이징에서 계엄령을 집행하여 천안문 사건을 진압했다.
2012년 말, 중국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에서 량광례는 은퇴했으며, 창완취안 장군이 그의 뒤를 이었다.[3]
2. 2. 정치 경력
량광례는 쓰촨성 몐양 시 싼타이 현에서 태어나 1958년 중국인민해방군에 입대하여 군 생활을 시작했다. 1959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고, 1960년 장교가 되어 소대장으로 복무했다. 1963년 인민해방군 신양보병학교를 다녔으며, 1964년 제1사단 사령부 참모 등을 역임했다.1970년 우한 군구 사령부 참모, 1974년 우한 군구 사령부 작전부 부부장을 거쳐 1979년 육군 제20군 제58사단 부사단장, 1981년 제58사단 사단장이 되었다. 1983년 육군 제20군 부군장, 1985년 제20집단군 군장을 역임했다. 1984년부터 1986년까지 허난대학에서 정치이론과 통신교육을 받았다. 1990년 육군 제58집단군 군장에 올랐고, 1995년 베이징 군구 부사령원을 맡았다. 1997년에 선양 군구 사령원으로 승진했으며, 1999년에는 난징 군구 사령원과 당위원회 부서기를 맡았다.
2002년 11월, 인민해방군 총참모장직을 맡으면서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발탁되었으며, 2003년 3월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을 겸하면서 당 내의 중앙위원직에 올랐다. 2008년 3월,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과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국무위원겸 국방부장이 되었다.
1989년 6월에는 제20군을 이끌고 베이징에서 계엄령을 집행하여 천안문 사건을 진압했다. 2012년 말 중국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은퇴했고, 창완취안 장군이 그의 뒤를 이었다.[3]
3. 외교 활동
2009년 11월, 량광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일본을 차례로 방문했다. 먼저 11월 22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김영춘 인민무력부장, 김정일 총서기와 회담했다. 이어 11월 26일 일본으로 건너가 27일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 기타자와 도시미 방위대신과 회담을 갖고, 방위 교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문제, 중국 해군과 해상자위대의 공동 훈련 등에 대해 논의했다. 11월 30일에는 해상 자위대 사세보 기지를 방문하여 이지스함을 시찰했다. 중국 국방부장의 일본 방문은 2007년 8월 차오강촨 이후 2년 만이었다. 량광례는 12월 1일까지 일본에 머무른 뒤 타이를 방문했다.
3.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방문 (2009)
2009년 11월 22일, 량광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인민무력부장 김영춘과 회담하였고, 11월 25일에는 김정일 총서기와 회담하였다.[1]3. 2. 일본 방문 (2009)
2009년 11월 26일, 량광례는 일본을 방문했다. 27일에는 일본 수상 관저에서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와 회담을 가졌고, 일본 방위성에서 기타자와 도시미 방위대신과 회담을 가졌다. 이 회담에서 양측은 방위 교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문제, 그리고 중국 해군과 해상자위대의 공동 훈련 실시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1] 11월 30일에는 해상 자위대 사세보 기지를 방문하여 이지스함 초카이호를 시찰했다.[1] 이러한 중국 국방부장의 일본 방문은 2007년 8월 차오강촨 이후 2년 만이었다.[1] 량광례는 12월 1일까지 일본에 체류한 후, 타이를 방문했다.[1]4. 사망
참조
[1]
뉴스
梁光烈同志生平
http://www.news.cn/2[...]
News.cn
2024-11-18
[2]
웹사이트
China's Who's Who
http://www.chinatoda[...]
[3]
논문
China’s Midterm Jockeying: Gearing Up for 2012 (Part 3: Military Leaders)
http://www.brookings[...]
[4]
뉴스
梁光烈同志逝世
http://www.news.cn/2[...]
News.cn
2024-11-12
[5]
웹사이트
梁光烈同志生平
http://www.news.cn/2[...]
2024-11-18
[6]
웹사이트
1988年恢復軍銜制后授予上将軍銜、警銜情况
http://news.xinhuane[...]
[7]
웹사이트
十六大授権発布:中国共産党第十六届中央委員会第一次全体会議広報(名単)
http://news.xinhuane[...]
[8]
웹사이트
中華人民共和国全国人民代表大会公告(十届一次第4号)
http://www.npc.gov.c[...]
[9]
웹사이트
中国共産党第十七届中央委員会第一次全体会議公報
http://news.xinhuane[...]
[10]
웹사이트
中華人民共和国全国人民代表大会公告(十一届第4号)
http://www.npc.gov.c[...]
[11]
웹사이트
中華人民共和国主席令(十一届第2号)
http://www.npc.gov.c[...]
[12]
웹사이트
梁光烈同志逝世-新华网
http://www.news.cn/2[...]
2024-11-12
[13]
뉴스
중국 국방부장, 미국 방문 시작
http://korean.cri.cn[...]
2012-05-05
[14]
웹사이트
梁光烈同志生平
http://www.news.cn/2[...]
2024-11-18
[15]
웹사이트
梁光烈同志逝世
http://www.news.cn/2[...]
2024-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