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이징 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징 군구는 1948년 창설되어 1955년 베이징 군구로 개명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인 베이징을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2016년 군사 개혁으로 북부전구와 중부전구로 분리되기 전까지, 톈안먼 사건에서 병력을 투입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베이징 위수구, 톈진 경비구, 허베이성, 산시성, 내몽골 군구 등을 관할했으며, 육군, 공군, 무장경찰대 등 다양한 부대를 예하에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징시 - 베이징 텔레비전
    베이징 텔레비전(BTV)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 위치한 방송국으로, 10개의 채널을 운영하며 1979년 설립 후 중국중앙텔레비전으로 개편되었다가 베이징 지역 방송을 위해 재설립되었고, 2020년 베이징 미디어 네트워크로 통합되었다.
  • 베이징시 - 베이징인민방송
    베이징인민방송은 1949년 개국하여 뉴스, 문화, 영어 등 다양한 채널을 운영하는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지역의 라디오 방송국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구 - 란저우 군구
    란저우 군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인민해방군의 7대 군구 중 하나였으며, 란저우시에 사령부를 두고 간쑤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산시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성을 관할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구 - 광저우 군구
    광저우 군구는 과거 중국 인민해방군의 7대 군구 중 하나로, 특정 지역을 관할하며 해군 및 공군을 예하에 두고 남중국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군구 개편으로 현재는 여러 전구로 재편되었다.
  • 2016년 해체된 단체 - 국민생활체육회
    국민생활체육회는 대한민국 생활 체육 장려 단체로서, 지역 생활체육회와 종목별 연합회 관리 및 지원, 생활 체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세계한민족축전 개최를 통해 국민의 건강 증진과 민족 화합에 기여한다.
  • 2016년 해체된 단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는 1972년 설치된 북한의 국가 권력 기관으로, 김정일 시대에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으나 김정은 시대에 국무위원회로 대체되어 폐지되었다.
베이징 군구
지도
기본 정보
이름 (중국어 간체)北京军区
이름 (병음)Běijīng Jūnqū
활동 기간1955년 ~ 2016년
소속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종류군구
명령 체계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본부베이징시

2. 역사

s=华北军区|nolabels=no|labels=no|한국어=화베이 군구중국어로 1948년 5월 9일에 창설되어 1955년 4월 14일에 13대군구 중 하나인 베이징 군구로 개명되었다.[8] 베이징-톈진 수비구(경진위성구)로도 불렸다.

1959년, 베이징-톈진 수비구가 베이징 위수구와 베이징 경비구로 분리되어 베이징 군구의 관할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962년, 스자좡의 보병학교가 베이징 군구로 넘겨져 베이징 보병학교로 개명되었다. 1966년, 문화대혁명 당시 화베이 생산건설병단이 창설되었고, 내몽골 군구의 우란푸 사령관 겸 정치위원이 숙청당했는데, 내몽골 군구는 베이징 군구의 관할 구역으로 편입되는 대신 그대로 살아남았다. 3년 뒤인 1969년에 내몽골에도 내몽골 생산건설병단이 창설되었다.

1974년, 베이징 군구에 군정간부학원와 보병학원이 설립되었다. 1977년, 총참모부 산하조직으로 이전하였다. 1979년,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의 부서를 통일함에 따라 베이징 군구의 조직구조가 간결해졌다. 1983년, 군구 안의 집단군 소속 장갑병, 포병, 공병부대를 베이징 군구 본부의 장갑병, 포병, 공병부대로 병합하였다. 1985년,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의 군(陸軍軍)이 집단군(集團軍)으로 재편성되었다.

1989년 4월 15일에 천안문 사건이 일어나, 6월 4일에 제6장갑사단에 의해 진압되었다.[5]

2016년 개편된 중국 인민해방군 5대 전구


深化國防和軍隊改革|한국어=2015년 중화인민공화국 군사 개혁중국어 계획 수립 및 2016년에 5대 전구 편제 도입에 따라 북부전구중부전구로 분리되었다.[9]

베이징 펑타이 구에 있는 군부대 입구의 기념비


베이징 군구는 수도 방어 외에도 이 지역의 수많은 군사 학교를 통해 지도자급 주요 인력을 훈련하는 임무도 수행한다.

2. 1. 역대 사령관

이름재임 기간
양청우1955년 4월 ~ 1958년 9월
양용1958년 9월 ~ 1963년 6월
정위산1963년 6월 ~ 1971년 1월
리더성1971년 1월 ~ 1973년 12월
천시롄1973년 12월 ~ 1980년 1월
친지웨이1980년 1월 ~ 1987년 11월
저우이빙1987년 11월 ~ 1990년 4월
왕청빈1990년 4월 ~ 1993년 12월
리라이주1993년 12월 ~ 1997년 11월
리신량1997년 11월 ~ 2002년 1월
주치2002년 1월 ~ 2007년 7월
팡펑후이2007년 7월 ~ 2012년 10월
장스보2012년 10월 ~ 2014년 12월
쑹푸쉬안2014년 12월 ~ 2016년


2. 2. 역대 정치위원

이름재임 기간
주량재1955년 4월 ~ 1958년 11월
뢰전주1958년 11월 ~ 1959년 10월
료한생1959년 10월 ~ 1960년 11월
리쉐펑1960년 11월 ~ 1971년 1월
사부치1971년 1월 ~ 1972년 3월
기등규1972년 3월 ~ 1977년 9월
친지웨이1977년 9월 ~ 1980년 1월
위안성핑1980년 1월 ~ 1982년 10월
푸총비1982년 10월 ~ 1985년 6월
양바이빙1985년 6월 ~ 1987년 11월
류전화1987년 11월 ~ 1990년 4월
장궁1990년 4월 ~ 1992년 11월
구산칭1992년 11월 ~ 1996년 11월
두톄환1996년 11월 ~ 2003년 12월
푸팅구이2003년 12월 ~ 2009년 12월
류푸롄2009년 12월 ~


3. 편제

2016년 기준으로 베이징 군구의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다.[7]


  • 지휘부
  • 사령관
  • 부사령관
  • 지역 참모장
  • 정치위원: 푸팅구이
  • 부 정치위원
  • 정치부 부장
  • 본부 부서
  • 본부 대대

3. 1. 군사구역

베이징 군구는 허베이성 군구, 베이징시 (베이징 위수구), 내몽골 자치구(동사맹 제외) 군구, 산시성 군구, 톈진시 (톈진 경비구)를 관할한다.

3. 2. 육군

국방부 장관실의 2016년 중국 인민해방군의 군사력 보고서에 기반한 군구별 집단군의 위치


제27, 38, 65집단군은 모두 허베이성에 본부를 두고 있었다.

부대
통신연대
공병연대
화학방호연대
제80차량화보병여단
제82차량화보병여단
제188기계화보병여단
제235기계화보병여단
제7장갑여단
포병여단
방공여단


부대
통신연대
공병연대
화학방호연대
전자전여단
제8육군항공여단
특종작전여단
제112기계화보병사단
제113기계화보병사단
제6장갑사단
포병여단
방공여단


부대
통신연대
공병연대
화학방호연대
제85교량연대
제70차량화보병여단
제193경기계화보병여단
제194기계화보병여단
제195기계화보병여단
제196차량화보병여단
제1장갑여단
포병여단
방공여단


  • 베이징 군구 사령부 직할 부대

부대
특수작전부대
제?독립자동차화보병여단
제?독립고사포여단


  • 베이징 위수구

부대
경위 제1사단
경위국 중앙 경위단
中国人民解放军仪仗大队|중국 인민해방군 의장대대중국어
경위 제3사단


3. 3. 공군

3. 4. 무장경찰대


  • 무장경찰 제81사단 (톈진) (구 제27집단군 제81사단)
  • 무장경찰 제114사단 (허베이성 바오딩) (구 제38집단군 제114사단)
  • 무장경찰 제187사단 (산시성 위츠) (구 제63집단군 제187사단)

4. 기타

베이징 군구에 소속된 조직들은 종종 "전우"(战友|zhànyǒu중국어)라는 별칭을 사용했는데, 여기에는 전우 문공단(战友文工团|zhànyǒuwéngōngtuán중국어)과 《전우보》(战友报|zhànyǒubào중국어) 등이 포함되었다.[1]

참조

[1] 서적 RAND 1992
[2] 웹사이트 Orbats - Scramble http://www.scramble.[...] 2017-07-28
[3]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06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4] 서적 A Glossary of Political Term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hinese University Press 1995
[5] 웹사이트 GlobalSecurity.org - Beijing Military Region, Beijing Military Area Command http://www.globalsec[...]
[6] 서적 China's Elite Politics: Governance and Democratization, Volume 17 World Scientific
[7] 웹사이트 http://www.giga-hamb[...] 2012-03-01
[8] 서적 中国人民解放军大事典 天津人民出版社 1993
[9] 뉴스 2016年军改:设立中部战区 《人民军队》休刊 https://web.archive.[...] 新浪新闻综合 2016-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