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게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게톤은 푸에르토리코에서 시작되어 스페인어 레게와 푸에르토리코 음악이 결합된 음악 장르이다. 1990년대 초 푸에르토리코에서 시작되어 랩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2004년 "Oye Mi Canto"의 히트와 "Gasolina"의 국제적인 성공으로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 뎀 보우 리듬, 원 드롭 리듬과 같은 독특한 비트와 힙합과 유사한 랩, 반복되는 후렴구가 특징이며, 페레오라는 춤과 함께 즐겨진다. 가사 주제는 다양하며, 성적인 내용으로 논란이 되기도 한다. 대디 양키, 아이비 퀸, J 발빈 등 많은 아티스트들이 레게톤 음악을 선보이고 있다.

2. 음악적 특징

레게톤(Reggaeton)은 푸에르토리코에서 유행했던 스페인어 레게에 살사(Salsa), 봄바(Bomba), 플레나(Plena) 등 푸에르토리코 고유의 음악 장르가 결합되어 탄생한 음악이다. 1990년대 초 푸에르토리코의 클럽 등지에서 젊은이들이 스페인어을 하기 시작하면서 인기를 얻었고, 이후 스페인어권 국가로 확산되었다.

레게톤의 가사는 주로 스페인어로 되어 있으며, 멜로디를 가진 노래와 랩을 혼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는 힙합과 유사한 면이 있지만, 레게톤에서는 가수와 래퍼 모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레게에서 파생된 독특한 리듬 패턴(예: 뎀 보우)이 특징적으로 사용된다.

2000년대 들어 대디 양키(Daddy Yankee)의 "Gasolina"와 같은 곡들이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면서 레게톤은 국제적인 장르로 발돋움했다. 이후 많은 힙합, R&B 아티스트들이 레게톤 리믹스를 발표하거나 레게톤 아티스트와 협업했으며, 팝 음악에도 영향을 미쳐 샤키라(Shakira)의 "La Tortura", "Hips Don't Lie"와 같은 곡들에 레게톤 요소가 도입되기도 했다.

드물게 치카노 랩과 혼동되는 경우도 있다.

2. 1. 뎀 보우 (Dem Bow) 리듬

뎀 보우 리듬은 샤바 랭크스의 노래 "Dem Bow"에서 처음 주목받기 시작했다. 뎀 보우의 드럼이나 퍼커션 패턴은 드럼 머신을 통해 만들어진다. 레게톤에서 뎀 보우의 역할은 기본적인 퍼커션 패턴이 되는 것이다. 레게톤에서 사용되는 뎀 보우 리듬은 뱀뱀 리듬, 포코 리듬, 피버 피치 리듬, 빅-업 리듬과 같은 다른 리듬을 혼합하며, 여러 다른 리듬이 섞여 레게톤의 뎀 보우 리듬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레게톤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뎀 보우 리듬 또한 발달하고 있다. 새로운 레게톤 히트 음악은 더 가볍고 전자음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자면 "Permitame"과 "Pa' Que la Pases Bien"과 같은 노래를 들 수 있다.[17]

2. 2. 가사와 주제

레게톤의 가사는 힙합과 유사하다. 상당수 레게톤 아티스트는 멜로디가 있는 노래를 부르기보다 랩을 읊조리며, 레게톤 노래는 반복되는 후렴구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힙합과 달리, 레게톤에서는 노래와 랩을 섞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랩퍼뿐만 아니라 가수의 역할도 중요하다.

페레오의 예


대부분의 레게톤 곡은 남성 아티스트에 의해 작곡되지만, Ivy Queen, Mey Vidal, Adassa, La Sista, Glory와 같은 유명 가수를 포함하여 여성 아티스트가 만드는 레게톤 음악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가사의 주제는 다양하여 섹스, 춤, 사랑, 파티, 개인적인 경험, 인생 문제 등을 다룬다. 레게톤 노래의 가사는 은유적인 표현을 자주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대디 양키의 히트곡 Gasolina는 성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해석이 있어 일부에서는 부적절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또한, 일부 노래는 여성 편력적인 내용의 가사로 인해 논란이 되기도 한다.[18]

2. 3. 페레오 (Perreo) 춤

페레오(Perreo)는 레게톤 음악과 연관이 있는 푸에르토리코의 춤이다. 이 춤은 주로 여성이 앞에 서고 남성이 여성의 등 뒤에 밀착하여 몸을 문지르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페레오'라는 단어는 스페인어로 '개'를 의미하는 Perro|페로es에서 유래했으며, '개의 형태'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페레오 춤의 동작 때문에 선정성에 대한 비판이 있으며, 푸에르토리코 현지에서도 이와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2. 4. 원 드롭 (One Drop) 리듬

원 드롭(One Drop)은 레게 음악의 특징적인 리듬 중 하나이다. 네 마디 중 세 번째 마디에 스네어 드럼과 베이스 드럼이 함께 연주되고, 첫 번째 마디의 강박을 비워두는 것이 특징이다.[12] 이 '빠진' 첫 박자가 독특한 리듬감을 만들어낸다. 이 리듬은 레게톤의 뿌리가 되는 스페인어권 레게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의 곡 '원 드롭'은 이 리듬의 대표적인 예시이다.[12]

2. 4. 1. 변형

레게 리듬의 기본 형태 중 하나인 원 드롭(One Drop)은 네 마디 중 세 번째 마디에 스네어 드럼과 베이스 드럼이 함께 연주되고, 첫 번째 마디는 비워두는 것이 특징이다. 첫 마디의 강박이 빠지면서 독특한 느낌을 만들어낸다.[12] 예를 들어, 일반적인 록 드럼 패턴과 비교하면 원 드롭은 세 번째 박자에 스네어 드럼의 클릭(크로스 스티킹)과 베이스 드럼이 동시에 들어가는 형태를 보인다.

이 원 드롭 리듬에서 변형된 주요 리듬은 다음과 같다.

  • 로커스 (Rockers): 원 드롭과 유사하지만, 8분 음표마다 꾸준히 베이스 드럼이 연주된다. 종종 원 드롭보다 느린 템포로 연주된다.[4]
  • 스테퍼스 (Steppers): 기본적으로 원 드롭과 같으나, 4분 음표마다 꾸준히 베이스 드럼이 들어간다. 이 리듬의 대표적인 예는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의 노래 원 드롭(One Drop)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노래 가사에서도 이 리듬을 언급한다.


원 드롭 리듬의 대표적인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드러머 칼턴 배럿은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의 앨범 ''레전드(Legend)''의 여러 곡에서 이 리듬을 연주했다.

아티스트앨범곡명비고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레전드노 우먼, 노 크라이[3]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레전드쓰리 리틀 버즈[3]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레전드겟 업, 스탠드 업[3]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레전드웨이팅 인 베인[3]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레전드스터 이트 업[3]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레전드원 러브/피플 겟 레디[3]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레전드아이 샷 더 셰리프[3]
피터 토시리걸라이즈 잇리걸라이즈 잇[8]
스틸 펄스트루 데모크라시하이어 댄 하이[8]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엑소더스엑소더스[8]
더 업세터스아콜로지원 스텝 더브1976 [13]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라스타맨 바이브레이션크레이지 볼드헤드1976 [13]



스테퍼스 리듬의 대표적인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아티스트앨범곡명비고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레전드이즈 디스 러브[3]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레전드엑소더스[3]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레전드버펄로 솔저[3]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레전드새티스파이 마이 소울[3]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레전드재밍[3]
버닝 스피어맨 인 더 힐스라이온[8]



원 드롭 스타일은 레게 외 장르에서도 영향을 미쳤다. 프랭크 자파의 "Lucille Has Messed My Mind Up", 러시의 "The Spirit of Radio", 피시의 "You Enjoy Myself" 등은 원 드롭 리듬을 각자의 방식으로 변형하여 사용한 예시이다.[14]

3. 역사

레게톤의 뿌리는 푸에르토리코에서 유행하던 스페인어 레게살사, 봄바(Bomba), 플레나(Plena)와 같은 푸에르토리코 전통 음악이 결합된 것이다.

1992년경, 푸에르토리코의 수도 산후안 등지의 클럽에서 젊은이들이 스페인어로 을 하기 시작하며 인기를 얻었고, 점차 다른 스페인어권 국가로 퍼져나갔다.

2004년, 푸에르토리코계 미국인 래퍼 N.O.R.E.가 발표한 "Oye Mi Canto"가 큰 성공을 거두면서 레게톤은 대중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원래 힙합 음악을 하던 N.O.R.E.는 자신의 뿌리인 푸에르토리코 문화와 관련된 레게톤에 일찍부터 관심을 보였다. 특히 "Oye Mi Canto"에 피처링으로 참여했던 대디 양키가 같은 해 발표한 "Gasolina"가 세계적인 히트를 기록하면서, 레게톤의 인기는 뉴욕미국을 넘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이후 많은 힙합, R&B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곡에 레게톤 리믹스를 포함시키거나 푸에르토리코 출신 레게톤 아티스트를 피처링으로 참여시키는 등 장르 간의 교류가 활발해졌다. 음반사들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라틴 음악 전문 레이블을 설립하거나 신인 아티스트를 발굴하여 미국 시장에 소개하고 있다. 아티스트들 역시 레게톤의 요소를 받아들이는 경우가 늘어났는데, 콜롬비아 출신의 샤키라가 발표하여 성공한 "La Tortura"나 "Hips Don't Lie"는 레게톤이 팝 음악에 미친 영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간혹 치카노 랩과 혼동되기도 한다.

4. 주요 아티스트

2004년 푸에르토리코계 미국인 래퍼 N.O.R.E.가 발표한 "Oye Mi Canto"는 레게톤 장르가 대중적인 주목을 받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본래 힙합 아티스트였으나, 자신의 뿌리인 푸에르토리코와 관련된 레게톤에 일찍부터 관심을 보였다. 이 곡에 피처링으로 참여했던 대디 양키(Daddy Yankee)는 이후 "Gasolina"를 세계적으로 히트시키며 레게톤의 인기를 뉴욕미국을 넘어 전 세계로 확산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 외에도 레게톤 장르를 대표하는 주요 아티스트들은 다음과 같다.


  • 아이비 퀸(Ivy Queen)
  • 돈 오마르(Don Omar)
  • 위신 이 얀델(Wisin & Yandel)
  • 테고 칼데론(Tego Calderón)
  • J 발빈(J Balvin)
  • 배드 버니(Bad Bunny)
  • 핏불(Pitbull (rapper))
  • DJ 플라제로(DJ Playero)
  • DJ 넬슨(DJ Nelson)
  • 볼티오(Voltio)
  • 헥토르 엘 파드레(Héctor el Father)
  • 토니 타치(Tony Touch)
  • 비코 C(Vico C)
  • 자이온 & 레녹스(Zion & Lennox)
  • 카예 13(Calle 13)
  • 니나 스카이(Nina Sky)

5. 한국에서의 레게톤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참조

[1] 서적 Drums For Dummies 2011
[2] 서적 Dub: Soundscapes and Shattered Songs in Jamaican Reggae Wesleyan University 2007
[3] 서적 Drum Set Styles Encyclopedia 2010
[4] 서적 2011
[5] 서적 The Drummer's Bible: How to Play Every Drum Style from Afro-Cuban to Zydeco 2004
[6] 뉴스 Feel it in Carlie's One Drop http://www.jamaicaob[...] JamaicaObserver.com 2016-04-03
[7] 웹사이트 Carlton Barrett http://www.manik.sk/[...]
[8] 웹사이트 The Greatest Reggae Beats On Record http://www.drummagaz[...] 2011-07-21
[9] 서적 The Album: A Guide to Pop Music's Most Provocative, Influential, and Important Creations ABC-CLIO 2012
[10] 뉴스 Winston Grennan – Background musician with foreground players https://www.theguard[...] Guardian.co.uk 2000-11-08
[11] 뉴스 Winston Grennan, 56, Jamaican Drumm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0-11-04
[12] 간행물 Bass Culture: Dub Reggae's Low-End Legacy Bass Player 1996-11
[13] 서적 Music and Familiarity: Listening, Musicology and Performance Routledge 2016
[14] 간행물 20 Crossover Hits Modern Drummer 2012-08
[15] 웹인용 AskMen.com - "5 Things You Didn't Know About Reggaeton" http://www.askmen.co[...] 2007-09-27
[16] 뉴스 Puerto Rico shakes to a new beat http://news.bbc.co.u[...] BBC News
[17] 서적 Reggaeton Part I. Mapping Reggaeton From Música Negra to Reggaeton Latino & Narrative: Editor's Notes / Wayne Marshall http://www.dukeupres[...] Duke University Press 2009
[18] 웹인용 - "Denuciation to Instituto Canario de la Mujer" http://www.gobcan.es[...] 2007-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