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스테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스테네스는 군사적 능력과 명성을 갖춘 인물로, 마케도니아 통치에 반대하며 그리스의 자유를 옹호했다. 그는 기원전 329/8년에 아티카의 향촌 사령관으로 복무했고,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에는 그리스 용병을 모아 그리스 도시들을 해방 전쟁에 참여시켰다. 레오스테네스는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테르모필레 인근에 연합군을 집결시켰고, 보이오티아 군을 격파했다. 안티파트로스와의 전투에서 승리 후 라미아를 포위했으나, 공성 무기 부족으로 봉쇄에 의존하다가 돌에 맞아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연합 그리스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아테네인들은 그의 죽음을 애도하고 공공 장례를 치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미아 전쟁 - 안티필로스
안티필로스는 알렉산드로스 3세 사후 라미아 전쟁에서 그리스 도시들의 반(反) 마케도니아 세력에 맞선 마케도니아 섭정 안티파트로스를 지칭하는 것으로, 그는 전쟁에서 승리하여 마케도니아의 지배를 강화했다. - 기원전 323년 사망 - 알렉산드로스 대왕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56년경 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나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교육받고 20세에 왕위를 계승하여 그리스 통일, 페르시아 제국 정복, 인도 원정 등을 통해 광대한 제국을 건설하고 헬레니즘 문화 확산에 기여했으나 32세에 요절하여 제국은 분열되었다. - 기원전 323년 사망 - 스타테이라 2세
아케메네스 왕조 다리우스 3세의 딸 스타테이라 2세는 이수스 전투 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포로가 되었다가 그의 두 번째 아내가 되었으나, 알렉산드로스 사후 록사네에 의해 살해당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 아테나이의 장군 - 알키비아데스
알키비아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활약한 고대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뛰어난 능력과 파란만장한 생애로 인해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아테나이의 장군 - 투키디데스
투키디데스는 기원전 5세기 아테네의 역사가이자 장군으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집필을 위해 망명 생활을 했으며, 그의 책은 객관적인 서술과 정치적 통찰력으로 후대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레오스테네스 | |
---|---|
기본 정보 | |
본명 | Λεωσθένης Λεωσθένους Κεφαλῆθεν (레오스테네스 레오스테누스 케팔ē덴) |
출생 | 기원전 4세기 |
사망 | 기원전 322년 |
출신 도시 | 케팔레 |
경력 | |
직업 | 장군 |
복무 시기 | 라미아 전쟁 |
활동 | |
참전 | 펠로폰네소스 전쟁 라미아 전쟁 |
2. 군사 활동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레오스테네스는 그리스 도시 국가들을 설득하여 마케도니아에 대항하는 연합군을 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 그는 아이톨리아를 시작으로 데모스테네스 등의 웅변가들의 도움을 받아 로크리스, 포키스, 도리스, 테살리아인들, 펠로폰네소스의 여러 국가들을 연합군에 합류시켰다. 레오스테네스는 만장일치로 연합군의 총사령관에 임명되어 테르모필레 인근에 군대를 집결시켰다. 보이오티아인들은 테베의 부활을 두려워하여 마케도니아와 동맹을 맺고 아테네 군의 합류를 막으려 했으나, 레오스테네스는 이들을 격파했다.
마케도니아의 장군 안티파트로스는 병력 열세에도 불구하고 북쪽에서 진격해 왔으나, 테르모필레 근처 첫 전투에서 패배하고 라미아로 후퇴했다. 레오스테네스는 라미아를 포위했지만, 공성 무기와 기술자 부족으로 공격이 좌절되자 봉쇄 작전을 펼쳤다.[3] 그러나 포위 중 마케도니아 군의 기습으로 레오스테네스는 머리에 돌을 맞아 부상을 입고 사흘 뒤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그리스 연합군에게 큰 타격을 주었으며, 파우사니아스는 그의 죽음을 연합군 실패의 주요 원인으로 보았다. 반면 포키온은 "레오스테네스는 짧은 기간에는 매우 적합했지만, 긴 기간에는 적합하지 않았다"라고 평가했다.
2. 1. 초기 경력
레오스테네스는 처음 언급될 때, 군사적으로 인정받는 능력과 명성을 가진 장교였지만, 마케도니아 통치에 반대하며 그리스의 자유를 옹호하는 사람이었다는 것이 확실하다.[3] 비문에 따르면 기원전 329/8년에 그는 아티카의 수비대와 국경 순찰을 책임지는 향촌 사령관으로 복무했다. 기원전 324/3년과 323/2년에는 아테네 해군의 유지에 관여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기 직전, 레오스테네스는 알렉산드로스의 명령에 따라 아시아의 여러 사트라프들이 해산시킨 대규모 그리스 용병들을 모아 타이내럼 곶으로 데려왔다.[3]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망 소식이 아테네에 도달하자, 레오스테네스는 이 8,000명의 병사들을 고용하기 위해 타이내러스로 급파되었다. 여러 도시 국가의 의회에 연설한 아테네 사절들과 함께, 레오스테네스는 많은 그리스 도시들을 그리스 해방의 대의에 참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 그는 먼저 아이톨리아로 달려가 그 지역의 사람들을 설득하여 마케도니아에 대항하는 그리스 해방 전쟁에 참여하게 했다. 데모스테네스와 같은 뛰어난 웅변가들의 영향으로, 로크리스, 포키스, 도리스, 많은 테살리아인들과 펠로폰네소스의 여러 국가들이 그들의 모범을 따랐다. 레오스테네스는 만장일치로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테르모필레 인근에 이 연합군을 집결시켰다. 보이오티아인들은 테베의 부활과 새로 획득한 토지를 잃을까 두려워,[3] 마케도니아와 동맹을 유지하며 아테네 군이 연합군에 합류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군대를 모았다. 그러나 레오스테네스는 그의 군대의 일부를 이끌고 아테네를 지원하기 위해 서둘러 보이오티아 군을 완전히 격파했다.
2. 2. 용병 모집 및 그리스 연합군 결성
레오스테네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사망하기 직전, 아시아의 여러 태수들이 해산시킨 대규모 그리스 용병들을 모아 타이나룸 곶으로 데려왔다.[3]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망 소식이 아테네에 전해지자, 아테네는 레오스테네스를 타이내러스로 급파하여 이 8,000명의 병사들을 고용하게 했다. 여러 도시 국가 의회에 연설한 아테네 사절들과 함께, 레오스테네스는 많은 그리스 도시들을 그리스 해방이라는 대의에 참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 그는 먼저 아이톨리아로 가서 그 지역 사람들을 설득하여 마케도니아에 대항하는 그리스 해방 전쟁에 참여하게 했다. 데모스테네스와 같은 뛰어난 웅변가들의 영향으로, 로크리스, 포키스, 도리스, 많은 테살리아인들과 펠로폰네소스의 여러 국가들이 이들의 모범을 따랐다. 레오스테네스는 만장일치로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테르모필레 인근에 이 연합군을 집결시켰다. 보이오티아인들은 테베의 부활과 새로 획득한 토지를 잃을까 두려워,[3] 마케도니아와 동맹을 유지하며 아테네 군이 연합군에 합류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군대를 모았다. 그러나 레오스테네스는 그의 군대 일부를 이끌고 아테네를 지원하기 위해 서둘러 보이오티아 군을 완전히 격파했다.
2. 3. 테르모필레 전투와 라미아 포위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망 소식이 아테네에 전해지자, 레오스테네스는 8,000명의 용병들을 고용하기 위해 타이내러스로 급파되었다. 여러 도시 국가의 의회에 연설한 아테네 사절들과 함께, 레오스테네스는 많은 그리스 도시들을 그리스 해방의 대의에 참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 그는 먼저 아이톨리아로 달려가 그 지역 사람들을 설득하여 마케도니아에 대항하는 그리스 해방 전쟁에 참여하게 했다. 데모스테네스와 같은 뛰어난 웅변가들의 영향으로, 로크리스, 포키스, 도리스, 많은 테살리아인들과 펠로폰네소스의 여러 국가들이 그들의 모범을 따랐다. 레오스테네스는 만장일치로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테르모필레 인근에 이 연합군을 집결시켰다. 보이오티아인들은 테베의 부활과 새로 획득한 토지를 잃을까 두려워,[3] 마케도니아와 동맹을 유지하며 아테네 군이 연합군에 합류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군대를 모았다. 그러나 레오스테네스는 그의 군대의 일부를 이끌고 아테네를 지원하기 위해 서둘러 보이오티아 군을 완전히 격파했다.마케도니아의 장군 안티파트로스는 연합군보다 훨씬 열세한 병력으로 북쪽에서 진격했다. 그는 테르모필레 근처의 첫 전투에서 패배하여 라미아라는 작은 마을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레오스테네스는 단번에 전쟁을 끝내고 싶어 가장 강력하게 포위를 진행했다. 그러나 공성 무기나 기술자가 부족했기에,[3] 그의 공격은 격퇴되었고, 그는 더 느린 방법인 봉쇄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그가 환상선을 형성하는 데 몰두하는 동안, 포위된 자들은 강력한 기습을 감행했고, 그 과정에서 레오스테네스는 돌에 맞아 머리에 부상을 입고 사흘 뒤 사망했다.
2. 4. 레오스테네스 사후
레오스테네스는 짧은 기간 동안 지휘하면서 뛰어난 에너지와 능력을 보여주었으며, 그의 죽음은 아테네인들에게 큰 재앙으로 여겨져 애도받았다. 세라미쿠스에서 공공 장례가 치러졌고, 히페레이데스가 장례 연설을 낭독했다.[3] 그의 죽음은 기원전 323년 말 이전에 일어났다. 그는 젊은 나이에 사망했지만, 자녀들을 남겼으며, 피레우스에는 그의 조각상과 함께 자녀들의 조각상이 세워졌다.[3]3. 평가
레오스테네스는 군사적 능력과 명성을 가진 장교로, 마케도니아 통치에 반대하며 그리스의 자유를 옹호한 인물이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레오스테네스는 그리스 도시들을 설득하여 마케도니아에 대항하는 그리스 해방 전쟁에 참여시켰다. 그는 연합군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라미아 포위전 중 사망했다.
파우사니아스는 레오스테네스의 죽음을 그리스 연합군 패배의 주요 원인으로 보았고, 포키온은 "레오스테네스는 짧은 과정에는 매우 적합했지만, 긴 과정에는 적합하지 않았다"라고 평가했다. 레오스테네스는 짧은 지휘 기간 동안 뛰어난 능력과 힘을 보여주었으며, 그의 죽음은 아테네인들에게 큰 슬픔으로 여겨졌다. 히페레이데스는 그의 장례 연설을 낭독했고, 그의 조각상은 피레우스에 세워졌다.
참조
[1]
서적
Diodorus Siculus 15.95
[2]
서적
Polyaenus 6.2.1-2
[3]
서적
A history of Greece, Volume 12
John Murray
[4]
서적
The springtime of the people : the Athenian Ephebeia and citizen training from Lykourgos to Augustus
Brill
2020
[5]
서적
디오도로스, 15.95; 폴리아이노스, 6.2.1–2
[6]
서적
스트라보, 《지리지》, ix. 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