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르모필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르모필레는 '뜨거운 문'을 의미하며, 그리스 중부 지역의 좁은 지형으로, 유황 온천이 있는 곳이다. 고대 그리스어로는 '테르모필라이'로 불리며, 그리스 신화에서 하데스로 들어가는 입구와 관련이 있었다. 이곳은 기원전 480년 페르시아 전쟁 중 테르모필레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유명하며, 이후에도 여러 차례 전투가 벌어졌다. 현재는 레오니다스 1세의 동상이 세워져 관광지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르모필레 | |
|---|---|
| 지리 정보 | |
| 일반 정보 | |
| 로마자 표기 | Thermopylae |
| 그리스어 (고대) | 고대 그리스어 표기: Θερμοπύλαι (Thermopylai) |
| 그리스어 (현대) | 현대 그리스어 표기: Θερμοπύλες (Thermopyles) |
| 위치 | |
| 국가 | 그리스 |
| 지역 | 중앙 그리스 |
| 설명 | 고대에는 말리에이스 만과 연결되는 좁은 해안 통로였으나, 현재는 퇴적으로 인해 평야가 되었다. 고대 통로의 폭은 20m에서 100m 사이였으나, 현재는 9km까지 넓어졌다. |
| 역사적 중요성 | |
| 주요 사건 | 테르모필레 전투 (기원전 480년) |
| 설명 | 고대 그리스에서 중요한 요새화된 통로였다. |
| 현대 정보 | |
| 지방 자치 단체 | 라미아 |
| 지역 단위 | 테르모필레스 |
| 인구 (2001년) | 지역 단위: 565명 |
| 인구 (2001년) | 공동체: 273명 |
| 추가 정보 | |
| ISBN | 0-510-03271-0, 0-300-10966-0 |
2. 이름
현대 그리스어 발음은 ‘테르모필레스’[θermopiles]로 표기된다. 고대 그리스어로는 ‘테르모필라이’[tʰermopýlai]로 발음되며 ‘테르모퓔라이’로 표기된다. 현대 카타레부사 그리스어(공통문어)에도 동일하게 적는다. ‘뜨거운 통로, 문’을 의미하며, 열천(온천)이 솟아나는 것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4]
고대에 칼리드로모스 산의 험준한 절벽과 말리아코스 만에 끼인 이 땅의 도로는 가장 좁은 곳이 15m 정도의 폭 밖에 되지 않아서, 방어에 유리한 지형이었다.
테르모필레는 역사적으로 여러 중요한 전투가 벌어진 장소이다. 이 지역의 지형적 특성과 전략적 중요성은 고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전투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라틴어로는 Thermopylae라고 쓰고, ‘테르모필라이’로 표기된다. 또한 이 표기가 영어 등의 언어에서 지명으로 사용되고 있다.
테르모필레는 "뜨거운 문"을 의미하며, 이 지역의 유황 온천을 가리킨다. 이 지역은 또한 그리스 신화에서 저승인 하데스로 들어가는 동굴 입구와 관련이 있었으며, 그 입구가 테르모필레에 있다고 전해진다.[4] 헤라클레스의 과업의 한 버전에 따르면, 테르모필레의 물이 뜨거워진 것은 신성한 영웅 헤라클레스가 히드라의 독을 씻어내려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5]
고대 그리스 종교 관련 부족들의 모임인 최초의 암피크티오니는 테르모필레 근처의 안텔라 시에 있는 데메테르 숭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첫 번째 암피크티오니의 대표들은 "문 조립자"라는 뜻의 ''필라고라이''라고 불렸는데, 데메테르가 그녀의 많은 오래된 숭배에서 지하 세계 또는 저승과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것은 하데스의 문을 언급하는 것일 수 있다.[6]
3. 지리


4. 역사
4. 1. 고대
이 땅에서 가장 유명한 전투는 기원전 480년에 벌어진 테르모필레 전투이다. 헤로도토스의 ‘히스토리아’에 따르면 210만 명의 병력을 상대로 3일간 버틸 수 있었던 것은 이 지형과 중간에 세워진 문 덕분이었다. 스파르타인 300명, 테게아에서 온 전사 500명, 만티네아에서 온 500명, 아르카디아 오르코메노스에서 온 120명, 나머지 아르카디아에서 온 1,000명, 플리우스에서 온 200명, 미케네에서 온 80명, 코린토스인 400명, 테베인 400명, 포키스인 1,000명, 테스피아이인 700명, 오푼티안 로크리스인 등 그리스군은 크세르크세스 휘하의 훨씬 더 많은 페르시아군[7][8]을 막아냈다. 대부분의 군대가 후퇴했을 때 1,000명 이상의 그리스인이 그 협곡에 남아 있었다. 즉, 스파르타인 300명과 테스피아이인 700명이 전투에서 살아남았고, 다른 그리스인들이 인질로 억류한 테베인 400명도 함께였다.[9] 가이우스 스턴은 이 병력이 이전 전투에서 1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실제 숫자는 1,400명보다는 1,250명에 더 가까울 수 있다고 말했다.[10]
그들은 언덕과 바다 사이의 좁은 길목에서 크세르크세스의 방대한 기병대와 보병 부대에 맞서 사흘 동안 버텼다. 그러다 셋째 날, 아노파이아 고개라는 알려지지 않은 염소길을 통해 측면을 공격받았다. 그리스 전설에 따르면, 트라키스의 에피알테스라는 배신자가 이 길을 침략자들에게 알려주었다고 한다. 시모니데스가 쓴 묘비명은 다음과 같다. "지나가는 나그네여, 스파르타인에게 가서 그들의 법에 순종하며 우리가 여기 잠들었음을 전해주오."(Ὦ ξεῖν', ἀγγέλλειν Λακεδαιμονίοις ὅτι τῇδε κείμεθα, τοῖς κείνων ῥήμασι πειθόμενοι.|오 케인', 앙겔레인 라케다이모니오이스 호티 테데 케이메타, 토이스 케이논 레마시 페이토메노이.grc).
353/352년, 주로 테베가 대표하는 델포이의 암피크토니 동맹과 후일 필리포스 2세가 이끄는 세력, 그리고 포키스인 사이에서 벌어진 제3차 신성 전쟁이 있었다. 이 전쟁은 기원전 357년, 포키스인들이 신성한 토지를 경작한 것에 대한 벌금 부과로 인해 시작되었다. 이 전쟁에서 벌금을 부과받았던 스파르타는 나중에 사면되어 실제로는 참전하지 않았다.
기원전 279년, 갈리아 군대는 브레누스가 이끌었으며, 처음에는 아이톨리아인들과 교전하여 아이톨리아인들이 전술적 후퇴를 할 수 밖에 없게 만들었다. 결국 테살리아인들과 말리안인들에게 스페르체이오스 강에서 격파당했다.
기원전 191년, 시리아의 안티오코스 3세는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 휘하의 로마군에 맞서 이 협곡을 방어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4. 2. 중세
3세기 중반, 게르만족의 일파인 헤룰리가 테르모필레를 침공했으나, 이들을 막기 위해 파견된 로마군에게 패배했다.[1]
997년, 불가리아의 차르 사무엘이 그리스를 침공하여 펠로폰네소스 반도까지 진격했다.[2] 귀환하던 중, 사무엘은 스페르체이오스 강에서 니케포로스 우라노스가 지휘하는 비잔틴 제국군과 마주쳤다.[2] 강이 범람하여 양측은 강 반대편에 진을 쳤는데, 비잔틴군이 강을 건너오지 못할 것이라고 자신한 불가리아군은 경계를 늦추었다.[2] 그러나 비잔틴 정찰대가 강 상류의 여울을 발견하면서 기습을 받았고, 불가리아군은 대패했다.[2]
4. 3. 근대 및 현대
1821년, 아타나시오스 디아코스가 이끄는 그리스 군대는 테살리아에서 진격하여 룸멜리와 펠로폰네소스의 반란을 진압하려는 8,000명의 오스만 제국군대를 테르모필레 인근의 고개에서 저지하려 했다. 디아코스는 48명의 병사들과 함께 스페르키오스 강의 알라마나 다리에서 최후의 저항을 한 후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ANZAC 부대는 침공하는 나치군을 이 지역에서 지연시켜 크레타 섬으로의 영국 원정군 철수를 가능하게 했다. 이 전투는 테르모필레 전투로 알려지게 되었다. 1942년 고르고포타모스 교량 파괴 공작은 당시 독일 문서에서 "테르모필레 근처에서의 최근 파괴 공작"으로 언급되었다.[1]
5. 그리스 신화와의 연관성
테르모필레는 "뜨거운 문"이라는 뜻으로, 이 지역의 유황 온천을 가리킨다. 이곳은 그리스 신화에서 저승인 하데스로 들어가는 동굴 입구가 테르모필레에 있다는 전설과 관련이 있다.[4] 헤라클레스의 과업에 나오는 한 이야기에 따르면, 테르모필레의 물이 뜨거워진 것은 영웅 헤라클레스가 히드라의 독을 씻어내기 위해 이곳의 물을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한다.[5]
최초의 암피크티오니(고대 그리스 종교 관련 부족들의 모임)는 테르모필레 근처 안텔라 시에 있는 데메테르 숭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첫 번째 암피크티오니의 대표들은 "문 조립자"라는 뜻의 ''필라고라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데메테르가 지하 세계 또는 저승과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하데스의 문을 언급하는 것일 수 있다.[6]
6. 관광
현재는 국도 옆에 테르모필레 전투에서 300명의 스파르타 병사들을 이끌고 전사한 레오니다스 왕의 동상이 서 있다.
참조
[1]
서적
"Thermopylae" in: S. Hornblower & A. Spawforth (eds.)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1996
[2]
서적
Archaic Greece: The City States c. 700–500 BC
Ernest Benn Ltd., London & Tonbridge
1976
[3]
서적
Geoarchaeology: The Earth-science Approach to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Yale University Press
2006
[4]
서적
The Herdsman of the Dead: Studies on Some Cults, Myths and Legends of the Ancient Greek Colonization-area
https://books.google[...]
H. De Vroede
1952
[5]
서적
Larousse Encyclopedia of Mythology
https://books.google[...]
Prometheus Press
1959
[6]
서적
Archaic Greece: The City States c. 700–500 BC
Ernest Benn Ltd., London & Tonbridge
1976
[7]
서적
Thermopylae: The Battle for the West
Da Capo Press
2004
[8]
서적
Persian Fire. The First Great Empire and the Battle of the West
Doubleday
null
[9]
서적
The Greco-Persian War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
[10]
간행물
UC Berk. Ext. class "The Persian Wars" 30 September 2009; "Legends of Marathon and Thermopylae" Lecture at San Jose State 13 September 2010; OSHER/OLLI class "Ten Great Battles of the Ancient World" 24 October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